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도 조사 연구 : 강릉원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을 중심으로
김성춘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입학하는 학생 및 학부모를 대상으로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의 필요성, 그리고 개인적 욕구, 기관⋅강사⋅수업에 대한 욕구를 조사하여 현 과학영재교육원의 교육과정과 방법을 고찰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편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연구 결과, 학생 및 학부모 공통으로 영재들에게 우수하고 적합한 교육프로그램의 제공을 가장 기대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실험 위주의 수업 확대, 창의성 훈련 및 개별 관심에 대한 심화 학습의 욕구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영재교육에 대한 정의나 교육 대상, 교육 기간, 강사 자질, 원하는 수업 내용 등에 있어서 학생 및 학부모간에 유의미한 욕구 차이가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학생 및 학부모, 과학영재교육원간의 지속적인 소통 및 교류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및 과학교육참여에 대한 분석
신희선,김선자,박종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0 과학영재교육 Vol.2 No.1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중 과학 분야 특수 목적 고등학교에 진학한 학생의 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자녀의 과학교육에 어떻게 참여하고 있는 지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총 29명의 학부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실시 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들은 자녀들의 과학 관련 특목고 진학에 과학영재교육원의 새롭고 다양한 교육활동과 우수한 동료들과의 교류가 많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다독 습관, 높은 문제해결력 등을 과학영재 특성이라고 생각하였고, 자녀 대부분은 초, 중학교 시절 친구 들과의 문제로 힘든 시기를 겪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녀들을 위해 심리적으로 많은 배려와 지원을 하였고, 다양한 교육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가 현재 원하는 진로 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고, 자녀의 희망을 지지하였으며, 항상 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가정 분위 기를 이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o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ho entered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after graduating from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GEC) for the Gifted view the SGEC and how the parents understand the SGEC and participate in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and interview was carried out on 29 parents, and the resulting are as follows: Parents thought that curriculums of SGEC, various programs that are uncommonly experienced, and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from SGEC mostly influenced their children's entrance into science-related special high school. It was discovered that the parents consider that their children’s habits on heavy reading, high abilities on solving the given problems and other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as the most of children have had their hard times due to the problems with the peer groups in thei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years. All of the parents psychologically payed much attention and offered supply to their children's science education. However, there were some difference in their actual participation. It was evaluated that the parents were precisely understanding the courses their children wish to proceed, supporting them and leading their family atmosphere for the children to be always exposed to the science.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의 상관분석-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생물과학반 학생 대상 -
김순영,황덕준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2 과학영재교육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s research conducted a survey of 25 students of 7th and 8th grades who are enrolled in the biological science class in Science Education Institute for the Gifted at Andong National University. We carried out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and gifted education programs.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was measured using a “ Self-regulated Learning Inventory Instrument”and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as measured the results of academic performance of 1 year.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ents showed the high average of motivation, and the goal orientation of motivation and the elaboration of recognition strategy turned out the welldeveloped relationship.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 is correlated with the motivation of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Therefore, the performance level of Gifted Education Programs would be improved with the support of the motivationenhanced program for the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of middle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 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위해 안동대학교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중학교 1,2학년 생물과학반 영재학생 25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을 상관분석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검사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은 1년간의 학업성취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수치화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 학생들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은 동기차원의 평균점수가 가장 높았고 동기차원의 목표지향성과 인지전략의 정교화능력 사이의 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영재교육프로그램 수행수준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동기차원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 그러므로 영재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기차원 강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중등 과학영재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수행수준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서권수(Seo, Gwon-su),서혜애(Seo, Hae-Ae)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2
본 연구는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을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창의성은, 영재교육에서 핵심적으로 강조하는 교육방향이며, 초등과학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이 창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초등과학 영재교육의 성과도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교육청 소속 영재교사들 중 의도적으로 표집한 93명(전체 524명 중 17.7%)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우편 및 e-mail로 창의성의 정의에 대한 개방형 설문문항에 응답하였으며, 수집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의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창의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주요 항목들을 범주화하여 분석한 결과,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이 인식하는 창의성 구성요소의 주요 범주에는, 발산적 사고 요소에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유용성, 유연성, 합리성이, 정의적 행위에는 개인이 몰입하거나 호기심을 나타내는 내적 방향과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것, 이타적으로 기여하는 것,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 결과적 행위에 사고하는 것, 실천적으로 만들거나 발명하는 것, 문제를 해결하는 것, 연결적 행위에는 기존에 없던 것을 독립적으로 만들어 내는 것의 독립 발현과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는 것의 연결 발현으로 조사되었다. 일부 교사들은 창의성을 발산적 사고 요소의 새로움, 개인적 차원의 몰입, 나아가 사회적 맥락의 가치 등을 포함하여 균형 있게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성을 균형 있게 이해하는 교사들은 주로 영재교육원 소속이며 최종학력이 석·박사, 영재교육 연수를 심화 이상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수준은, 향후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들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analyze the perceptions of creativity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Creativity is a key educational direction emphasized in gifted education, and the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education will vary depending on how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perceive creativity. In this study, among gifted teachers belonging to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n 2015, 93 teachers (17.7% of the total 524) were intentionally sampled and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e research subject respond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on the definition of creativity by mail and e-mai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tent analysis. As a result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and categories of creativity, the main categories of creativity compon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divergent thinking elements, affective behaviors, performing behaviors, and connecting behaviors. The components of divergent thinking include originality, fluency, sophistication, usefulness, and flexibility. The components of affective behaviors include that an individual has inside directions to show task commitment or curiosity, or outside directions to cooperate with others, contribute altruistically, and pursue social values. The components of performing behaviors include thinking, making and inventing, and solving problems while the components of connecting behaviors include creating new and noble things and reorganizing existing things. It was found that some teachers have a balanced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cluding novelty of divergent thinking elements, thinking or making behaviors, and even the value of social context. Teachers who perceive creativity in a balanced way mainly belong to the Institute for the Gifted Education The findings about perceptions of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gifted education are expec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uture.
최호성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전국의 2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가운데 14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제반 특성과 실태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각 교육원의 운영 사업보고서를 토대로 교육목표, 조직 구성원, 과학영재선발과 관리 방법, 교육 프로그램 구성 체계와 내용, 학습 성취도 평가 방법, 대학별 특별 추진 사업 계획 등 6가지 측면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그동안 과학영재교육원이 미친 사회적 영향과 교육적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대학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하고 추진해가야 할 발전적 실천 과제들을 모색하였다.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 관련 논문의 주제 분석 : 1980년부터 2008년까지
권언근,김윤경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과거를 돌아보고, 미래과학영재교육의 질적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함이다. 우리나라 과학영재교육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해 1980년부터 2008년까지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주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연대별로 정리하였다. 국내과학영재교육의 도입기라 할 수 있는 1980년대에는, 교육개발영역에 대한 연구가주를 이루었으며 영재교육에 대한 기초연구와 영재아에 관한 연구도 다수 병행되었다. 국가적지원이 강화된 1990년대에는, 영재아에 대한 연구와 교사영역에 대한 연구가 큰 폭 상승하였다.2000년대에는, 다양한 정책적 변화가 있었으며 연구 분야에도 다양화 현상이 두드러졌다. 전반적으로, 학부모 및 영재아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기초연구에 대한 부진현상도 극복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실정에 맞는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근본적인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과학영재교육에 관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이는 영재아와 그 부모를 포함하는 다방면의 연구이어야 함을 강조한다. 더불어 본연구의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전문적인 연수프로그램의 개발과 권위적인 학술지의 등장이라는제도적인 변화도 병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COVID-19로 인한 원격 영재수업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재돈,박병열,이현동,이효녕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3 과학영재교육 Vol.1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nline education on gifted students’ systems thinking, science motivation, and scientific self-efficac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ubjects were 68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in 2020. The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15 different subjects was conducted for 90 hour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systems thinking, science motivation, and scientific self-efficacy, the preandpost-test design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online gifted education was systematically conducted using the university’s existing LMS system, while also reducing students’ group activities and interactions between both students-students and students-instructor within the classroom. Second, online gifted education was effective in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systems thinking and science motivation, however, the effect size was relatively small. Third, educational effects on students’ systems thinking were affected by the district of residence and previous educational experience. Therefore, gifted education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population structure and regional disparities to cultivate human resources needed in the future fast-changing society. 이 연구에서는 COVID-19 상황에서의 원격 영재수업이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및 과학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20학년도 초등과학 영재학생 68명이며, 원격 영재교육 프로그램은 총 15개의 주제로 90시간동안 교육이 진행되었다. 교육 효과 검증을 위해 시스템 사고, 과학 동기, 과학 자기 효능감 검사도구를 영재교육 사전 사후에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 과학영재교육은 기존의 대학 LMS 시스템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모둠활동 축소, 교수-학생 및 학생 간 상호작용이 줄어드는 등의 한게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격 영재교육을 이수한 초등과학 영재학생들은 시스템 사고와 과학 동기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으나, 그 효과의 크기는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원격 영재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변화는 이전 영재교육 경험의 유무와 거주지역의 차이와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최근 지적되고 있는 국내 인구구조 변화 및 지역별 격차에서 비롯된 문제를 고려한 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우수한 인력을 양성해낼 수 있을 것이다.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의 비교
김호상,유미현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5 과학영재교육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rivate educa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between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a survey about private educa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was conducted with 272 sciencegifted students selected and educated by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affiliated with Seoul and Gyeonggido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and 97 average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ivate education between gifted and average students was similar and over 90% of students received private education. Private education was recognized as positive help to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ssions of gifted students and school grades of average students. However, gifted students thought reading and in-depth learning in interested areas were more helpful in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ion admissions than private education. Second, compared to average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ubjective well-being, low stress and low depression. Third, comparison of gifted students’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from private education showed the more hours were spent for private education, the lower selective well-being and the higher depression were. Fourth,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subjective well-being, stress and depression showed that gifted students with high subjective well-being had lower stress and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을 비교하고 그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방법을 찾고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정서적으로 보다 더 이해하고 지도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에소재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교육받고 있는 과학영재 272명과 일반학생 97명이다. 연구를 통해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교육 실태 현황은 비슷하게 나타나 90% 이상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었으며, 사교육이 과학영재의 영재교육기관 선발과 일반학생의 학교 성적에긍정적인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영재는 일반학생에 비해 주관적 안녕감이 높고 스트레스가 낮으며 우울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시간에 따른 과학영재의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 정도를 비교해본 결과 사교육을 받는 시간이 많을수록 주관적 안녕감은 낮고, 우울 정도는 높았다. 넷째, 주관적 안녕감, 스트레스, 우울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과학영재가 스트레스,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완,박만구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2
본 연구는 영재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를 위한 맞춤식 교육으로 멘토링을 활용한 수학영재교육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서울교육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에서 2008년에 실시한 수학영재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5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대면 교육 및 사이버 교육을 통하여 8개월 동안 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멘토링 프로그램은 영재들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하였으며 여러 형태의 그룹 구성 및 운영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영재를 위한 일반 교육의 보완 프로그램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사이버 교육의 병행과 함께 사회적 배려 대상자들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의 활용 및 지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도교수의 인식 조사
김흥태,홍준의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18 과학영재교육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ntors' perception of the goal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nd the mentor's opinion about the mentorship program. The mentors were selected among professors teaching the science gifted students at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attached to 20 universities. The questionnaires were sent to 142 mentors in 20 universities, and 4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generally accept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degree of enthusiasm and research ability of the selected students in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attached to university was usually above average. Second, it was evaluated that the research topic selection was appropriate, and the research period was over the average. However, it showed negative to the research funding for the mentorship programs. In spite of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mentorship program, 44% of the survey participating mentors answered that the current mentorship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Third, in terms of performance of mentorship program, the mentors responded positively to students' research ability, creativity,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ontribution of mentee to improvement of intellectual curiosity. However, in spite of the positive percep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mentorship program, 44% of the survey mentors mentione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the present program.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main elements of the curriculum, the overall averag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3.90 and 3.53, respectively.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research topic and the instruction of the mentorship program were evaluated to be high, but the satisfaction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al center was the lowest.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ch element of education, all elements except the research topi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rovements in student selection, management of the mentorship program, and the goal and evaluation of the program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전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사교육의 문제점 및 지향 목표에 대한 지도교수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전국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사사교육 학생을 지도하고 성과발표회에 참가한 27개 대학의 과학영재교육원에 사사교육 지도교수를 대상으로 하여 대학의 사사교육 담당 지도교수 142명에게 온라인 설문지를 발송하여, 최종적으로 응답한 46명의 설문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사교육 지도교수들은 현재의 사사교육 학생 선발 과정의 적합성과 선발된 학생들의 열의 및 연구 수행 능력에 대해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이었다. 둘째, 사사교육 수행 과정과 관련하여, 연구 주제와 학생 연구 논문 지도수준은 평균 이상, 연구 장비 및 기자재 지원과 교육 및 연구 기간에 대해서는 대체적으로 보통 수준의 평가를 보였다. 그러나 사사교육을 위한 연구비 지원에 대해 보통 이하의 부정에 가까운 인식을 나타냈다. 셋째, 사사교육의 성과 측면에서, 조사대상 지도교수들은 학생들의 연구 능력, 창의성 및 과학적 문제 해결력, 지적 호기심 향상에 미치는 사사교육의 기여도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사사교육의 성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에도 불구하고, 현행 사사교육 과정의 전반적 개선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조사 참여 지도 교수의 44%가 현행 사사교육이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응답을 보였다. 넷째, 사사교육 과정의 주요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의 전체 평균은 3.90, 만족도의 전체 평균은 3.53으로 중요도가 더 높았다. 사사교육의 연구 주제와 실험 지도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 반면, 과학영재교육원의 지원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사사교육 각 요소별 중요도와 만족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구주제를 제외한 모든 요소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선발 과정 및 학생 자원 관리, 사사교육의 수행, 사사교육의 목표 및 성과 평가의 측면에서 필요한 개선점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