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 Hwang Kwang-oo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 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thesis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the subject and characteristics of two representative scholars of the Research Society in commemoration of the 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was published from the 1st edition in 1991 to the 55th edition until November, 2017, and introduced a total of 582 papers. In the meantime, the 'Korean Philosophy History Research Society' became a registered place after being nominated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Among the 582 chapters, 297 papers deal directly with Korean philosophy, and 174 papers on Chinese philosophy. Among the Korean philosophical theses, the most popular one was the 198th issue, and the Chinese philosophical thesis was the most popular with the subject of theology. Among the Korean philosophers, Chung Yak - Yong and Chinese philosophers Chu Shi were the most studied. Among the writ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203 were all of them. Among them, Lee Sang Ik published the most articles with 28, and Choi Young Sung was the second with 23. Based on Lee Sang Ik 's thesis 28, Lee Sang Ik is a well - known neo - Confucianism scholar. His research is based on the theory of neo - 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secularism. On the one hand, he establishes his own moral theories and criticizes other moral theories. On the other hand he establishes his own governing theory and criticizes other governing theories. And theoretical proposals on various problems in modern society Based on Choi Young Sung 's thesis, 23, Choi Young Sung is the best researcher in the field of studying in Korea. His research focuses on correcting mistaken perceptions and descriptions in the history of study abroad in Korea, and developing the undeveloped parts. In addition, I am looking for a new perspective on the history of studying in Korea. In addition, he has been studying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Choi Chih Won in order to establish a philosophical foundation for approaching the history of thought rather than jus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 The "Korean Philosophy Journal" has been advanced in quantity and quality, and has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vitalization of the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n Philosophy Department is indispensable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Korean Philosophy Journal" and 'Korean Philosophy History Study Society' and to create excellent scholars.

      • KCI등재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 및 두 학자의 논문 분석 - 제1집에서 제55집까지 -

        황광욱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8

        본 논문은 ‘한국철학사연구회’의 발족 30주년을 맞이하여, 그 학술지인 『한국철학논집』의 논문 분류와 연구회의 대표적인 학자 두 명의 논문 주제와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철학논집』은 1991년 제1집을 부터 2017년 11월 현재까지 총 제55집까지 발간했고, 총 582편의 논문을 소개했다. 582편 가운데 297편의 논문이 한국철학을, 174편의 논문이 중국철학을 다루었다. 한국철학 논문 가운데 198편, 중국철학 논문 가운데 125편이 성리학을 주제로 한 연구이다. 한국철학자 가운데는 정약용이, 중철학자 가운데는 주희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한국철학논집』에 참여한 필자는 모두 203명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이상익이 28편, 최영성이 23편을 게재하였다. 이상익의 논문 28편에 기초해보면 이상익은 철두철미한 성리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성리학의 성리설과 경세론을 두 축으로 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성리설을 정립하고 여타 성리설을 비평하고 있으며, 또 자신의 경세 이론을 정립하고 여타 경세 이론을 비평하고 있다. 그리고 현대 사회의 여러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제안을 하고 있다. 최영성의 논문 23편에 기초해보면 최영성은 한국유학사상사 분야의 최고 연구자이다. 그의 연구는 그간의 한국유학사상사에 있어 잘못된 인식이나 서술을 바로 잡고, 미진하게 개진된 부분을 계발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또한 사상사의 연구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상사를 접근하는 철학적 토대 정립을 위해 최치원의 철학 사상을 깊이 연구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철학논집』과 게재된 논문은 명실상부하며 양적, 질적인 발전을 해왔다. 그러나 『한국철학논집』과 ‘한국철학사연구회’의 지속적인 발전과 훌륭한 학자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성균관대학교 한국철학과의 소생이 반드시 필요하다.

      • KCI등재

        철학 없는 시대 또는 시대 없는 철학

        박영균 ( Young Kyun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9 시대와 철학 Vol.20 No.3

        이 논문은 한국철학사상연구회(한철연)의 역사를 `시대와 철학`이라는 모토 하에서 정체성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 한철연은 `시대의 혼`이자 `시대 모순의 반역자`이고자 하는 생산자적이고 비판적인 주체적 철학을 모색하는 `학술운동`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러나 한철연의 잡지인 『시대와 철학』이 두 개의 창간호를 가지고 있으며 이 두 개의 칭간호가 1987년과 1991년이라는 점에서 이미 두 개의 간극, 사이 속에서 탄생했으며 이 긴장을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유지해 왔다. 시대와 철학은 언제나 일정한 간극 속에서 갈등을 생산한다. 그러나 철학은 시대와 연결됨으로써 `시대정신`을 생산하는 철학이 될 수 있으며 시대는 철학을 통해서 대안적 삶의 새로운 정신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한철연의 역사에서 이 두 개의 결합은 `철학 없는 시대`에서 `철학 있는 시대`로의 시도를 거쳐, `시대 없는 철학`으로 퇴색되어 왔다. `시대 없는 철학`은 대학의 신자유주의적 포섭과 한국학술진홍재단으로의 체제내화와 관련되어 있었다. 철학의 다양성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철학은 `실적 쌓기`, `지적 유희`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점에서 이 논문은 한철연이 `시대와 철학`의 긴장을 유지하려는 애초의 초심으로 되돌아가 사유의 풍부함을 현대화하고 가난한 자들의 철학이면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철학을 조직적으로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will make a search for identity of Korea Association for Studies of Philosophical Thought(KASPT) in view of the motto epoch and philosophy. The beginning of KASPT is an academic movement in quest of a philosophy of maker(labour), a critical philosophy, subjective philosophy wish to a soul of epoch and insurgent of epoch contradiction. But Epoch and Philosophy, journal of KASPT hold on abnormal history that the issue initial number is two. Identity of Philosophical Thought previously originate and inherent in a gap, an interval in between two issue initial number in that each of two issue initial number publish in 1987 and 1991. Epoch and philosophy lead to complications in a gap, an interval in between them. But philosophy can play the role of a philosophy producing the spirit of the age by interfacing epoch and epoch can realize new spirit of alternative life by interfacing philosophy. But in the history of KASPT, a connectin of both have changed from a age seek after epoch in combination with philosophy at epoch in the absence of philosophy to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Philosophy in the absence of epoch has been molded by the environment in which neo-liberalism seizure the university and Korea Research Foundation code a researcher by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s. Although philosophy is diversified, study of philosophy turn into a object of giving actual result , scholastic amusements. For this reason, this essay assert that KASPT go back to one s original intention pursued a state of tension between epoch and philosophy and modernize philosophy based on abundance of thinking and explore ways toward a philosophy of the poor, critical philosophy, subjective philosophy.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근대 한국 사회에서 서양 중세 철학의 수용과 번역의 문제: 개화기부터 1953년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정준영 ( Jeong Jun Yeon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서양 중세 철학은 주제의 성격상 종교적 관심사 속에서 근대 한국에 유입되었으며, 종파별로도 다른 경향을 보인다. 가톨릭은 주로 프랑스인과의 접촉을 통해, 개신교는 대개 미국인과의 접촉을 통해 기독교와 서양 중세 철학을 받아들였다. 그런데 번역의 상황은 서양 철학의 다른 분야에 비하더라도 아주 열악한 것이 사실 이다. 1953년까지는 라틴어 원전 번역은커녕 아우구스티누스의 Confessiones에 대한 중역본 1종만이 있을 뿐이고, 게다가 중세 철학과 관련된 문헌도 드문 편이다. 개신교 쪽의 잡지들에 실린 글들은 일반적인 소갯글에 지나지 않으며, 가톨릭 계통의 잡지 가운데는 덕원신학교의 교지 ≪신우≫가 스콜라 철학을 다루는 몇 편의 중요한 글을 남기고 있다. 번역본이 거의 없는 상황에서 번역어를 추적하기는 쉽지 않은데, 그 중에서 1891년 파리외방전교회가 발간한 ≪羅鮮小辭典≫과 1936년 윤을수 신부가 편찬한 ≪羅鮮字典≫을 보면 흥미로운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전자는 한자 표기를 전혀 하고 있지 않으며 순한글의 표현을 주로 사용하는 데 반해, 후자는 한자어에 대해서는 모두 한문 표기를 하고 있고 순한글 표기가 가능한 낱말에 대해서까지도 한자어를 선호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한자어는 거의 모두가 당시의 일본 문화권의 용어 사용법과 일치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한국이 일제에 편입되면서 주체적 번역의 가능성이 소실되고 말았다는 추정을 할 수 있다. 이렇게 원전 번역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 그리고 일제의 영향권에 귀속되어 있었다는 것은 서양 중세 철학에 대한 수용 과정이 순탄치 못했음을 보여주는데, 내부적으로는 성경무오설과 같은 개신교의 보수주의적 신학과 가톨릭 쪽의 교제주의(敎制主 義)가 번역에 대한 관심을 약화시켰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리고 서양 철학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주된 역할을 한 당시의 한국 철학도들은 서양 중세 철학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태도를 견지했고, 이 때문에 중세 철학에 대한 번역의 동기가 학계에 자리 잡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This study discusses the translational history of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in modern Korea; this paper`s arguments are the followings. 1)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was introduced into modern Korean because of their religious concern. The Korean Catholics took in it mainly through French missionaries, while the Korean Protestants through American missionaries. 2) From the enlightened age to 1953 there is no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In 1953, only one book was retranslated from English by JungJune-Kim, of Augustinus` Confessiones. 3) We can rarely find professional articles, if any. Among them Shin-Woo(Deokwon theological seminary`s school magazine) is drawn attention to us. It included in some articles which discussed medieval Scholasticism. 4) Then in relation to translated terms, two Latin-Korean dictionaries is worth noticing: the one is Parvum Vocabularium Latino-Coreanum (Honkong,1891), the other Dictionarium Latino-Coreanum(authored by P. Laurentio Yun,1936). The one inclined to attempt to translate Latin`s terms into pure Korean language(Hangu˘l), while the other having borrowed from modern Japanese translation-languages applied it to Hangu˘l. Perhaps this negative tendency was caused by Japanese imperialist oppression of modern Korea. 5) Therefore, Why was there no translation of original texts in modern Korea may be that modern Korean independent criticism-culture has checked by Japanese imperialism.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modern Korean Christianity`s extreme radicalism and conservatism have weakened sensitivity of translation. Finally, The academic world of those days had no interest in the western medieval philosophy. Due to these, no translation of original Latin-texts carried out in modern Korea.

      • KCI등재

        논문 : 박종홍에서 "전통"의 문제 (1) - 전통 인식을 중심으로 -

        박영미 ( Young Mi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1

        우리에게 근대는 서양의 근대를 수용할 것인가 거부할 것인가를 선택해야만 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곧 전통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와 연관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서양의 근대와 전통의 관계에 대한 여러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그 가운데서 전통에 대한 전면적인 단절은 해외 유학생과 경성제국대학 졸업생이 주축이 된 서양철학 1세대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들은 자신들의 사유에서 전통을 완전히 배제했고, 전통은 나에서 타자로 전도顚倒되었다. 박종홍은 서양철학 1세대 중에서 예외적으로 전통의 전승을 강조했다. 더 나아가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의 상호이해 위에서 ‘우리의 철학’ 건립을 주장했다. 하지만 이 역시 서양철학 1세대와 동일하게 전통에 대해 성찰도비판도 수행하지 않은 가운데 이루어졌다. 그리고 서양철학과 전통철학의 재해석을 통해 이루어진 박종홍의 철학은 박정희 정권의 국가주의적 통치를 뒷받침하는 수단이 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전통’, ‘기획된 전통’은 전통의 또 다른 타자화이다. 현재 서양철학, 동양철학 연구 모두에서 전통의 단절은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 현대철학은 한 번도 제대로 전통을 성찰하고 비판한 적이 없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에게 나타나는 전통에 대한 지나친 ‘배제’와 ‘옹호’ 모두 동일한 인식의 기원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고, 우리에게 주어진 책임은 무엇인지를 묻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radition of the first generation in Western philosophy and Park Zhong-Hong. What modern means to us is from deciding whether or not Western modern is accepted. This i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tradition; in addition, it brings on many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of Western modernism and tradition. The entire severance of tradition comes from the first generation in Western philosophy, which is composed of students studying abroad, mainly from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They eliminated tradition from their way of thinking; as a result, tradition was interpreted as separation from their philosophy. Park Zhong-Hong emphasizes on upholding tradition, even though he is the first generation in Western philosophy. Furthermore, he insisted on establishing our own philosophy based on the mutual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Park Zhong-Hong, however, also did not criticize nor examine tradition like the first generation in Western philosophy. His philosophy made with reinterpretation of Western philosophy and traditional philosophy became the means to support former president Park Jung-Hee``s regime. ``Made-up traditon`` and ``Planned tradition‘ are another separation of tradition as well. Nowadays the severance of tradition is common in studies of both Western philosophy and Eastern philosophy. Korea Contemporary Philosophy has never examined nor criticized tradition properly. Moreover,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excessive elimination and advocate of tradition is on the basis of the same awareness and opens the question of the responsibility upon us.

      • KCI등재

        논문 : 일민주의 철학의 정립자, 이승만인가 안호상인가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 여부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탐구-

        선우현 ( Woo Hyun Sun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5 시대와 철학 Vol.26 No.4

        ‘일민주의의 정립자는 누구인가?’의 물음은, 무엇보다도 ‘일민주의를 정립하게 된 근본 동기나 의도가 이승만 통치 집단의 정치적 필요성에 따른 것인가? 아니면 철학자 안호상의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실천철학적 구상과 사유를 실제 현실에 구현해 보고자 하는 철학(자)적 욕망에서 비롯된 것인가?’를 보다 명확히 갈라보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런 한에서, 이 문제는 ‘일민주의는현실 권력의 요청에 따라 즉흥적으로 구성된, 철학적 실체는 없고 허울만 그럴듯한 단지 이데올로기적 외피에 불과한 것인가? 혹은 안호상 본인의 독창적인철학적 문제의식과 성찰적 사유를 심화.발전시켜 수립한 고유한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로서 볼 수는 없는가?’를 비판적으로 확인하여 판별해 볼 것을 촉구하는 물음이기도 하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 상황을 염두에 두고, 일민주의 철학에 대한 ‘본격적인’ 철학적 고찰 작업을 수행하는 도정에서 맨 먼저 직면하게 되는 난제인 ‘일민주의의 정립자는 누구인가?’의 문제를 주된 논구 대상으로 삼아, 이를 둘러싸고 이루어지는 몇 몇 철학적 쟁점과 이론적 논란을 소개하고, 그에 대한 보다설득력 있는 납득할만한 해명을 제공해 보고자 기획되었다. 특히 이러한 기획을 통해 새롭게 반성적으로 논구하여 규명해 보려는 주된 ‘사회철학적 사안’은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그 하나는 일민주의를 이승만 정권의 지배 이데올로기로만 보려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나름의 고유한 철학적 문제의식과 그것의 현실화 기획을 함유하고 있는 자생적 실천철학의 단초적 형태로 간주할 수 있는 여지 내지 가능성을 보다 진지하게 검토해 보는 것이다. 또 다른 하나는, 설령 일민주의 철학을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로서 적극 해석할 수 있다고 해도, 과연 그것이 ‘진정한 의미’에서 자생적 실천철학의 자격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볼 수있는가의 여부에 관해 보다 정밀하게 검토해 보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지면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첫 번째 사안만을 다루고 있다. 덧붙여 이 글에서 수행되는 이 같은 시도는, 안호상 철학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 작업을 ‘완결 짓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제약과 한계를 지니고 있다. 그런 만큼 이 글은 일민주의 철학을 자생적 실천철학의 맹아적 형태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시론적(試論的)’ 탐구에 머무르고 있다. In this article I intend to try to shed light on some philosophical controversial issues and interpretative problems centering around the question ‘Who is the founder of Ilminism, Lee or Ahn?’, providing more convincing and acceptable explanations about them. The social philosophical matters which I hope to reveal critically and illuminate reflexively through this critical work are approximately as follows. In the first place, I try to examine critically and more earnestly the possibility to regard and interpret Iliminism as an embryonic form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which contains proper and original philosophical critical mind and its project of realization, departing from the narrow viewpoint to consider Ilminism as a ruling ideology completely. In the next place, I try to examine critically and minutely whether Ilminism satisfies the qualifying conditions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in its truest sense’ or not, even though Ilminism can be construed more positively as an embryonic type of spontaneous social philosophy. By the way In this article I deal with only the first matter owing to limited space and so on. In addition to this, I confess the fact that my trial has not a few limits and problems on the ground that it is carried on with the overall investigation on Ahn`s philosophy not completed. For that reason, this article remains in its essay state about the interpretation-possibility of Ilminism as an embryonic form of spontaneous practical philosophy.

      • KCI등재

        철학원전 번역을 통해 본 우리의 근현대 - 개화기부터 1953년 이전까지 ; 한국 근대에서의 도가 및 제자철학의 이해와 번역

        김갑수 ( Kim Gab Su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2

        서양철학은 1920년대에 본격적으로 우리나라에 도입되기 시작했고, 근대적 방식에 의해 동양철학이 연구되기 시작한 것도 이 시기부터이다. 1910년부터 1949년까지는 도가 및 제자철학에 대한 전문 주석(해설)서나 번역서가 하나도 없기 때문에 논문이나 평론 등을 통해 도가 및 제자철학에 대한 당시 지식인들의 태도나 관점을 살펴볼 수 있을 뿐이다. 이 시기의 도가 및 제자철학에 대한 관점은 주체적 해석론, 동서 절충론, 전면 부정론 등 세 가지 틀로 정리될 수 있다. 주체적 해석론자들은 동양철학 혹은 제자 철학이 서양에 뒤질 게 없다거나 심지어는 서양철학 사상보다 우월하다는 신념에 바탕하여 서양 철학이나 문화를 비판한다. 동서 절충론자들은 동서양의 문화적 특징을 부각시키면서 양자의 조화 가능성을 모색하거나, 서양의 특정 사조의 사유 형태가 동양에서도 발견된다고 논증함으로써 그것이 인류 사상사의 보편적 사조임을 주장한다. 전면 부정론자들은 동양문화 혹은 노장 사상의 열등성을 입증하는 데 골몰하지만 상당 부분 오해와 몰이해를 드러낸다. 1950년대 초에 이르러 서경보와 김운주에 의해 『노자』 주석(해설)서가 출판되고, 50년대 후반에는 신현중과 유영모에 의해 『노자』가 번역된다. 두 종의 『노자』 주석(해설)서는 모두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도가 및 제자철학과 관련된 현존하는 최고의 번역서라고 할 수 있는 신현중의 『국역노자』는 요즘 나오는 번역서들과 비교해도 질적으로 크게 뒤지지 않지만, 유영모의 『늙은이』는 일상적 언어와는 거리가 먼 낯선 언어로 번역되었고 또 널리 보급되지도 않았다. 1950년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한 『노자』주석(해설)서나 번역서들은 동양철학 전문 연구자에 의해 수행된 것이 하나도 없고 또 전문 연구자를 그 독자로 상정하고 쓰여진 것이 하나도 없다. 근대적 방법에 의해 동양철학이 연구되기 시작한 뒤 30년이 넘는 긴 기간 동안 도가 및 제자 철학 원전이 단 한 권도 번역되지 않았던 주요 원인은 전문 연구자나 지식인들이 한문 을 외국어로 생각하지 않았던 데 있고, 다른 한 원인은 당시의 독서ㆍ출판 시장과 관련이 있다. In 1920`s, the full-scale western philosophy spread to Korea. And from that time on, the eastern philosophy has studied as a modern method. There are no professional commentary or translation for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from 1910 to 1949. Therefore, we could only research the then intellectuals` attitudes and viewpoints on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through the monographs and critiques. We may distinguish these time`s standpionts about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into three. These are, `View of Independent Interpretation`, `View of Compromising between East & West`, `View of All Denial.` In early 1950`s, The book of Tao-te-ching was annotated by Seo Kyung-Bo and Kim Un-Ju. these two commentaries are both related with Buddism so closely. The oldest existing translation ― bonds with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 is Sin Hyun-Jung`s `Guk-Yuk-Noja`(Korean Tao-te-ching) which is published in 1957. The commentaries or translations since 1950`s have never accomplished By professional eastern philosophy researcher, also, never For them. We could find out the main reason htat there is no fruit at all about Taoism and Various Philosophical Schools over 30 years since the eastern philosophy had studied as a modern method. That`s because the majority of professional researchers & intellectuals could read Japanese as well as Chinese character, and also, they didn`t think Chinese character as foreign languag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현대철학사 방법론의 확장: 이규성의 ‘한국현대철학사론’과 그 논쟁들의 재검토를 중심으로

        박민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3 시대와 철학 Vol.34 No.1

        이 글은 이규성의 ‘철학함(철학사 연구 및 서술)’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이 글은 2012년 『한국현대철학사론』 의 발간으로 최종 집약되는 한국현대철학사론의 핵심적인 연구들(1987-2012)을 순서대로 분석하면서 이규성의 방법론적 고유성과 특징들을 사상사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는 이규성 ‘철학함’의 핵심내용, 다시 말해 한국현대철학사의 연구 및 서술과 관련된 방법론적 입안 과정을 이해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을 수행하면서 결론적으로 이 글은 이규성 철학함에는 근본원리로서 ‘의지(意志)’, 내용과 지향으로서 ‘내외합일(內外合一)’이 놓여 있다고 평가하는 한편, 철학사 방법론의 과도한 기계적 적용이라는 한계 역시 공존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최종적으로 이 글은 이규성의 한국현대철학사론과 직간접적으로 소통했던 다른 연구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대비시켜 이규성의 철학사 방법론의 의의와 한계를 명확하게 정리하고, 한국현대철학사론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중국철학 : 艾思奇(애사기)의『대중철학』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중화

        조봉래 ( Bong Lae Ch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3 한국 철학논집 Vol.0 No.39

        중국 마르크스주의에서 ‘중국화’와 ‘대중화’는 언제나 중요한 문제였다. 중국화는 아직까지 꾸준히 강조되고 이론적으로도 발전 했지만, ‘대중화’는 상대적으로 주목을 덜 받으며 이론적으로 정립된 내용이 많지 않다. 그러나 2007년 중국공산당 제 17차 전국대표대회에서 “당대 중국 마르크스주의 대중화를 추동하자”라는 보고가 제출된 후 중국 학술계에서는 마르크스주의의 대중화와 관련한 다방면의 이론화 작업이 진행 중이다. 중국 마르크스주의 철학사를 통틀어 ‘마르크스주의의 대중화’를 최초로 제기했고 이 문제에 대해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이론가를 망라하여 가장 독보적인 영향을 끼친 사람은 아이쓰치(艾思奇)이다. 아이쓰치의 『대중철학』은 마르크스주의의 대중화와 관련하여 가장 대표적인 책이다. 1930년대 중국은 심각한 위기에 봉착했고 중국의 지식인들과 대중들은 중국을 하나로 묶어 이끌어 줄 수 있는 사상무기를 절박하게 요구하였다. 많은 지식인들이 이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것으로 마르크스주의에 주목하였고, 특히 아이쓰치는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지도 작용을 어떻게 발휘시킬 것인가, 추상적이며 심오한 철학원리를 어떻게 통속화 대중화 시켜 그것을 광대한 군중들이 장악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를 있는 힘을 다해 고민했던 것이다. 『대중철학』은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통속화와 중국화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책이 출간 된 이후 중국혁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철학』을 통해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중화를 고찰해 봄으로써 당대 중국정부가 마르크스주의의 대중화를 다시 강조하는 이유를 파악하고자 했다. 1930년대 아이쓰치의 『대중철학』과 마르크스주의 철학의 대중화 운동이 마르크스주의를 민심을 통일할 수 있는 사회공동체의 학문으로 자리를 잡게 했다면 시장경제의 확대로 인해 혼란과 갈등을 겪고 있는 21세기의 중국공산당도 바로 중국 사회를 통합하려는 목적으로 ‘중국 마르크스주의 대중화’를 다시 한 번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e ‘Localization’ & the ‘Popularization’ issues always play an important role at the Chinese Marxism.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C.P) is still emphasizing the ‘Localization’, but the ‘Popularization’ did not received the Chinese theorists` attention. Therefore a new theory in ‘Popularization of Chinese Marxism’ is very small. But at the 17th National Convention, C.C.P offered a suggestion that entitled “Lead the popularization of Marxism in China”. And diversity theorization involved popularization of Marxism is in motion by Chinese theoretician. Throughout history of Chinese Marxism, the first theoretician who raised an objection of the popularization of Marxism in China is Aisiqi, and his achievements in this field are unequaled. His Popular philosophy is the most typical book on the popularization of Marxism in China. In the 1930s, China faced a serious crisis, Chinese intelligentsia & mass desperately wanted an idea to unify the country. Many intellectuals have latched on to the Marxism, especially Aisiqi was absorbed in the important assignment that how can bring out leadership of Marxism, how can popularize abstract and profound principle of Marx philosophy. Aisiqi`s Popular Philosophyis marked by the ‘Localization’ & the ‘Popularization’, after this book is published, had a big impact on Chinese Revolution.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a meaning through the Popular Philosophy consideration and evaluation to get to the bottom of that the C.C.P offered a suggestion with ‘Popularization of Chinese Marx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