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지평 확대: 인문학을 기반한 의료인문학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공혜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itled Medical Humanities.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s medical humanities program is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Korea. By drawing upon the specific 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a humanities-based medical humanities inter disciplinary program,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umanities-centered medical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interdisciplinary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a non-medical education setting. Chapter 2 covers the specific courses and curricula offered in the medical humanities program. 본 연구는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이 주체가 아닌 문과대학을 기반으로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 융합전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학원이 아닌 비(非)의과대학의 학부과정에서 문(文), 사(史), 철(哲) 등의 인문학을 포괄하는 의료인문학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곳은 없었다. 또 비의과대학에서의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의과대학의 경계 밖에서 국내 최초로 인문학 기반으로 의료인문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는 인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비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 의료인문학 융합전공을 개설하는 준비과정을, 그리고 2장에서는 의료인문학 융합전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소개 및 교과목 운영 현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KCI등재

        인문학의 이념과 한국인문학의 과제

        백종현 ( Chong Hyon Paek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인문학의 대의는 어떤 종류의 대상에 대한 지식 습득이나 창출이 아니라 인격 수양에 있으니, 인문학도는 먼저 덕성을 기르고, 그가 닦은인품의 향취와 연찬의 결과를 이웃과 나눌 일이다. 인문학은 본디 ‘자기를 위한 공부’[爲己之學]이거니와, ‘위기지학’으로서 인문학은 사람이면 누구나 갖추어야 할 ‘사람다움’의 품격을 스스로 함양하는 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교양학문으로서 인문학’이라하겠다. 그러나 인문학도 부차적으로는 ‘남을 위한 공부’[爲人之學]일수도 있으니, ‘위인지학’으로서 인문학은 이웃의 교양을 배양하는 데도움을 주는 직업적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이를 ‘전문학문으로서 인문학’이라고 일컬을 수 있겠다. 지난 5,000년 역사를 거치면서 한국은 주변의 수많은 문명들을 수용하고 혼융하여 ‘한국문화’를 이루어왔다. 문화의 주체는 ‘인간’이니 인간성을 북돋우는 인문학이야말로 문화의 중심이다. ‘한국인문학’은 인문학의 보편적 이념을 한국 사회문화의 토양 위에서 구현하고, 한국어를 거쳐 표출될 수 있는 인문적 향취를 인류사회에 확산시킴으로써 ‘세계문화’를 진보시킬 과제를 갖는다. 이제 한국인문학은 인간됨, 인간의 존엄성, 인간의 품격을 향상시키는 데 요소가 되는 동서고금의 모든 문헌적 자료를 우선 한국어로 펼쳐내어 한국 시민의 품격을 제고하는 데 본뜻을 두고, 그러한 범형을 외국어로도 옮겨 널리 확산시킬 것을 지향할 일이다. 똑같은 가치를 구현함에도 보편성 외에 문명권마다 고유의 양식이 있고, 똑같은 품격이라 하더라도 사람마다 개성 있는 방식이 있다. 한국인문학은 그러한 특수성과 개성이 발양됨으로써 인류 문화가 더욱 풍요로워지고, 인간의 삶의 다양성이 확대되어 오히려 인간 삶의 지속적인 발전 가능성이 높다는 믿음 아래, 모든 특성 있는 인문학과 ‘서로 같지 않되 화합한다’ [不同而和]는 이념으로 이제야말로 세계만방의 문화권역과 상부상조(相扶相助)해 나가는 일을 과업으로 갖는다. Over the past 5,000 years, Korea has established its own peculiar culture by accepting and absorbing the various cultures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with the fact that the subject of culture is a human being, it is conceded that the humanities that are supposed to encourage the value of humanity are at the center of culture. Accordingly, Korean humanities have the task of realizing the universal idea of the humanities 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and at the same time advancing global culture by diffusing a unique Korean spirit.the spirit that can be expressed only through the Korean language.all over the world. Korean humanities has now set the very lofty goal of accommodating, through Korean language, all the valuable materials that have been accumulated over the history of human beings in such a way as to enhance humanity, human dignity, and the value of humanity.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the human value of Korean citizens is to be raised, and that its crux is to spread out through translations into foreign languages. It is well known that just as different communities take different approaches in realizing the same desired sociocultural value, so different persons take different methods in realizing the same desired human value. With the creed that the realization of this sort of uniqueness is conducive to enriching human culture, promoting a variety of human life style, and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ly developing human life itself, Korean humanities purport to go hand in hand with all the sociocultural paradigms such that they recognize different sociocultural peculiarities but at the same time respect and cooperate with them.

      • KCI등재

        ‘코로나’시대의 『페스트』 읽기를 통한 생태 문해력의 확장과 인문학의 의무

        이명희(Yi, Myoung He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통일인문학 Vol.85 No.-

        본고는 뉴노멀(New Normal)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했음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생태 문해력과 인문학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의 인문학은 기존의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회적 관여(Engagement)와 윤리 감수성(Ethics)이 대두되는 시기로 접어들었다. 이에 1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하여 인문학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불안과 공포의 코로나 시대에야말로 실천적 성찰과 통찰이 절실하기에 인문학의 시작은 현실을 직시하는 데서부터 출발할 수 있음을 피력하였다. 이때 다원적 시각이 내재된 인문학은 사람들에게 성찰과 공감을 이끌었다. 3장에서는 ‘코로나19’ 시대에 다원적 인문학으로서의 ‘생태인문학’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건국대학교 ‘창조적사고와표현’ 수업에서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페스트〉 작품을 읽고 이를 코로나와 그들의 전공을 바탕으로 뉴노멀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학생들은 작품을 통해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삶이 분리될 수 없음을 인지하였다. 질병의 시대에도 ‘연대’만이 살 길이라는 것을 작품을 통해 미래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학생들은 언택트 세상에서 마주하는 개인과 공동체간의 연대에 관한 심층적 고민이야말로 인문학이 지녀야 할 다원적 시선임을 공감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생태적 감수성과 생태문해력의 필요성을 통해 인문학의 확장과 의무를 살펴보았다. 코로나 이후의 인문학은 인류가 공유할 수 있는 통합할 진리와 기준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여야 한다. 또, 오늘날 인문학은 철학, 문학, 예술을 포괄하는 표현인문학에서 과학까지 모두 포함하는 통합인문학이어야 하기에 이제부터 인문학은 학문의 벽을 허무는 일을 과제로 남겨두고 있다. This study acknowledges the advent of a new paradigm in the wake of the new normal era and explores the need for ecological literacy in humanities. Current humanities have moved away from the existing capitalist system and have entered a period in which social engagement and ethical sensitivity are emerging. Chapter 1 of the paper explores the current state of humanities in the era of COVID-19. Chapter 2 states that the beginning of humanities starts from confronting reality, as practical reflections and insights are desperately required in the anxious and fearful COVID-19 era. The pluralistic view inherent in the humanities attracts introspection and empathy from people. Chapter 3 discusses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humanities" as pluralistic humanities in the COVID-19 era. To this end, students from various majors read the book The Plague in a Konkuk University class called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ng." They then sought implementation measures in the new normal of the COVID-19 era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majors. Thus, through the book,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could not separate their individual and community lives. They were able to simulate the future conditions and ascertain that "solidarity" is the only way to survive in the pandemic era. Students agreed that in-depth attention to the solidarity betwee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intact environment is the pluralistic view that humanities should hold. Chapters 4 and 5 examine the expansion and duty of humanities through the need for ecological sensitivity and literacy. Post-COVID-19 humanities should present truths and standards of integration that mankind can share. In addition, today"s humanities must aim to integrate expressive humanitie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science, and undertake the task of breaking down the barriers of the study of fields.

      • KCI등재후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의 방식 -연동 작용과 반영 관계에 대해

        정명교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45

        Since the diversification of the discipline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uman studies and natural sciences has been the very important agenda of the intellectuals. But despite of vehement aspirations, the separation of two sectors has only deepened. In regard of this situation, firstly, I reviewed critically the former attempts which have intended to bridge these heterogeneous spheres. Secondly, I confirmed the necessity of the correspondence of two. And finally, I groped what is the effective form of the communication. The result of my review is as follows. On the first subject, I’ve reasoned the impossibility of using “complementarity” as form of communication between two disciplines, which had been taken for granted and therefore not questioned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I have deduced that using the form of complementarity could lead to commercializing of the human creativity and knowledge that we see prevalent in the field of Informational Technology. On the second subject, I confirmed that the truth is identical to all the disciplines and this fact affords a basis for the impossibility of the complementarity. But I also gave considerations to the autonomy of the each disciplines- the real information and tools which each discipline handles are so different that, we must say, any immediate path between disciplines doesn’t exist. Taking a reflection upon these two contradictory problems simultaneously, I concluded that the truth which every disciplines pursue equally is not transcendental, but it comes gradually into view as synthetic result of incorporating the discoveries that each discipline will make respectively. The truth changes successively as the activities of disciplines and the relationships of them evolve. On the final subject, first of all, I examined possible methods of cooperation and form of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ines, specifically, between the human studies and the natural sciences except the complementarity. I concluded that the form of relationship is linkage (gearing) and the method of cooperation is mutual-reflection between the standpoints of each discipline which try to find out the truth. Lastly, I confessed that the my two concepts, linkage and reflection as the form and method of the encounter between two disciplines, are the result of the reflection on the evolution in the natural sciences, in particular, in the evolutionary theory, and its linkage to the humanities. 학문의 분화 이후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만남은 오래 전부터 중요한 학문 세계의 의제로 추구되어 왔다. 그러나 소망과는 달리,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분리는 더욱 심화되어왔다. 이 글은 첫째,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에 교량을 놓으려는 현재까지의 시도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둘째,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만남의 필연성을 확인하는 한편, 셋째, 그 둘의 만남의 바람직한 방식이 무엇인지를 모색하였다. 이 검토와 모색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주제에 대해, 한편으론 오랫동안 두 학문의 만남의 자연스런 방식처럼 여겨져 질문되지 않았던 ‘상호보완’의 방식이 불가능함을 논증하고, 다른 한편으로 오늘날 세속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인문학과 응용 기술(IT) 사이의 만남의 방식이 기본적으로 상호 보완의 방식에 근거해 있으며, 그 결합의 실제적인 결과는 인문학적 지식의 상품화라는 것을 살펴 보았다. 두 번째 주제에 대해,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추구하는 진리는 하나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바로 이 사실이 상호 보완적 방식이 불가능한 근원임을 살폈다. 그리고 동시에 이 공통된 진리는 결코 선험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각 정신영역의 활동의 합동의 결과로서 점차로 드러난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그리하여 진리는 어느 하나의 정신영역(학문)의 담론체계로 환원되지 않으며, 진리는 정신영역들의 활동과 그 관계가 진화함에 따라 ‘변화’한다는 점을 명제로서 제시하였다. 세 번째 주제에 대해,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협력의 실제적인 방식은, 반영 관계에 근거한 연동작용임을 논증하였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은 각자 자율적인 기제를 갖추고 진화하고 있어서, 그것들을 만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회전수차들을 통해 물이 전기로 바뀌듯이, 혹은 단백질의 촉매작용이 물질을 생체 에너지로 바꾸듯이, 특정한 매개 작용에 근거한 이질적 영역들의 병발적이거나 추동적이거나 종합적인 운동임을 논증하였고, 그것을 연동이라 명명하였다. 다른 한편, 이 특정한 매개작용의 불가피성을 확인하고, 이 매개작용은 상호반사관계, 즉 반영관계를 통해서 성립한다는 점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지를 구성하게 된 계기가 자연과학, 특히 진화론의 거듭된 자기 갱신의 양상들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이었음을 밝히고, 지금까지의 논지 자체가 이 논지의 논리적 체계가 제시하는 바와 같은 방식의 인문학과 자연과학 사이의 만남의 결과이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농촌에서 진행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김성리 ( Kim Seong-lee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論叢 Vol.78 No.3

        본 연구는 농촌에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했을 때 나타나는 효용성을 분석한 글이다. 사회 전반에서 볼 수 있는 인문학 열풍이 도시 중심으로 진행되고 농촌 지역민은 인문학을 접하는 게 어려운 사회문화적인 상황을 사회구조적인 문제로만 접근한다면, 삶의 학문인 인문학이 새로운 차별을 외면하는 것과 같다. 그리고 특정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인문학은 더 이상 삶의 학문이 아니라 하나의 이상으로만 존재하게 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으나, 한 지역에서만 진행되었으며, 지역민 전체가 아니라 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한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밝힌다. 2장에서는 농촌 지역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인문학 강좌를 중심으로 지역민의 인식 변화를 고찰했다. 인문학 강좌에 참여한 지역민들이 인문학 강좌에서 습득한 지식과 정보로 자신들이 살아가는 지역에 대해 주체성을 강화하고, 지역의 역사에서 자긍심을 느끼며, 지역이라는 모호한 공간을 의미 있는 장소로 인식하는 변화에서 인문학의 효용성을 찾았다. 3장에서는 농촌 안에서도 상대적인 소외자인 노인들에게 시 낭송을 매개로 인문학 프로그램을 진행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노인들이 읽기에 비교적 부담이 적은 시와 리듬이 있는 낭송을 진행하면서 노인 인문학의 발전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코로나 19(COVID-19) 감염병 상황에서 노인 세대에 대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부 농촌 지역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인문학 소외지역에서 인문학은 어떤 방법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인문학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에 대해 실천학으로서의 인문학적 지평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미를 둔다. 아울러 코로나 19와 같은 문명의 변화 앞에서 노인 세대처럼 상대적인 인문학 소외계층에 나타나는 인문학 프로그램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에 대해 우리 모두 고민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s at how humanities programs can bring about changes to local people in farming areas where it is not easy to meet the humanities. If the urban-centered humanities craze is approached as a social structural problem, humanities, the study of life, will create new discrimination, and humanities will no longer exist in certain areas, but only in one or more area. The study begins with this recognition of problems, but was conducted only in one region, and only for local people who participated in humanities programs, not the entire community. Firstly,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focusing on humanities courses for farming area residents was examined. Local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humanities course found the utility of humanities in recognizing the ambiguous space of the region as their own place, feeling proud of the region’s history with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y acquired from the humanities course. Secondly, this study looked at the process of conducting humanities programs through poetry reading to elderly people who are relatively marginalized in farming area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utility of the humanities program in the elderly generation in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nly one farming area, bu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humanistic horizon as a practice on how humanities should move and the approach that the humanities should adopt in areas where humanities are alienated. In addition, how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ities that have emerged in the face of civilization changes, such as COVID-19,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지식의 공유와 표현 그리고 디지털 인문학 : 해외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검토

        김지선,유인태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論叢 Vol.79 No.2

        In recent years, interest in digital humanities has grown steadily in Korea, but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constructing・using humanities data that is universally dealt with in the digital humanities field, as well as its academic significance, remains limited. The reasons for this are that it is difficult to organize at a glance the field collectively referred to as ‘digital humanities’ due to the variety of research formats in exist within.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ases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in Korea and there are very few professional researchers in the field, as a result of which the channels that can convey the realit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are limited. Considering these points, this article attempts to organize the data processing process and result format of digital humanities projects by reviewing 24 representative cases focusing on sharing and representation of knowledge among overseas digital humanities research examples, as well as to clarify the academic significance contained therein. It is a common feature to create and open various data formats used in web environments, such as CSV and JSON, as well as machine-readable data represented by XML and RDF, while utilizing various formats of JavaScript libraries and Web Framework such as D3.js, Leaflet.js, JQuery and Angular.js. If each digital humanities research case discussed in this article is reviewed individually later, it can be used as a useful clue not only to examine the reality of digital humanities research, but also to specifically plan and carry out digital humanities research projects. At a time when we need to think seriously about where humanities research combined with the digital environment should go in detail, as well as how to accommodate the humanistic awareness and the understanding of digital technology that arises in the process, I hope this article will contribute in some small way. 최근 몇 년 사이 국내에서도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디지털 인문학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다루어지는 인문학 데이터 구축·활용 맥락과 그 학술적 의의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이다. 소위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으로 총칭되는 영역의 연구 형식이 다양해서 일목요연한 정리가 쉽지 않다는 점, 국내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가 많지 않고 해당 영역의 전문 연구자가 극소수라서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를 전달할 수 있는 채널이 제한적이라는점 등이 그 원인이라 하겠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 이 글은 해외의 디지털 인문학 연구 가운데 지식의 공유와 표현에 초점을 둔 대표적 사례 24건을 검토함으로써,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의 데이터 처리 과정과 결과물 형식 그리고 그에 내포된 학술적 의의를개략적으로나마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XML, RDF로 대표되는 기계가독형 데이터를 포함해 CSV, JSON 등 웹 환경에서 통용되는 여러 포맷의 데이터를 구축·개방하는 한편, D3.js, Leaflet.js, JQuery, Angular.js와 같은 다양한 맥락의 JavaScript Library와 Web Framework를 활용하는 것이 그 공통적인 특징이라 하겠다. 이 글에서 다룬 각각의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에 관한 검토가 추후 개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를 살피는 데서 더 나아가 디지털 인문학 연구 프로젝트를 구체적으로 기획· 진행하는 데 있어서도 유용한 단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환경과 결합한 인문학 연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문학적 문제의식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대한 이해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를 본격적으로 고민해야 하는 시점에서, 이 글이 작게나마 기여하는 바가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동아시아 재난에 대한 인문학적 담론의 모색

        강희숙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history of mankind is a history of disaster. Thus, human beings have documented various types of disasters that have led to tremendous changes in the lives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meanwhile, they have continued their efforts to overcome and heal the traces and wounds left by disasters, as well as to constantly repeat or reconstruct stories based on memories and perceptions of them. This study from this point of view focused on two of the most basic and fundamental issues among the discourses that should be assumed regarding the performance of the research agenda, <memory, narration and healing of East Asian disaster, and establishment of disaster humanities>: What is disaster humanities and Why East Asia? As a result of the discussion on “What is Disaster Humanities?”, it was also regarded as the study that places ‘human’ at the center of access to or research into disasters, on the premise of the problem that disaster, above all else, is focused on the question of ‘human life’, and humanistic approach to find the meaning of values and there human decency is requested. The areas of interest in disaster humanities were presented as the history of disasters based on human memory and records of them, changes in perceptions of them, response to them and patterns of narration, changes in shock and psychology induced by disasters, and the resulting trauma and healing, etc. On why East Asia, it seems that the transformation of the thinking of setting East Asia as a unit for one reason is essential, especially when it comes to disaster research or social or national level responses to disasters, on the premise that Korea, China, and Japan are one community where none of them can be excepted when it comes to disasters. This is because the time and space axis of East Asia can be expected to prepare a common ground for the memory and healing of disasters and to provide a clue to share their solidarity against transnational disasters. 인류의 역사는 곧 재난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인류는 개인과 공동체의 삶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을 문헌 자료에 기록하는 한편, 그에 대한 기억과 인식을 토대로 한 이야기들을 끊임없이 반복하거나 재구성해 내는 작업과 함께 재난이 남긴 흔적과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해 내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동아시아 재난의 기억, 서사, 치유-재난인문학의 정립>이라는 연구 아젠다의 수행과 관련하여 전제하지 않으면 안 되는 담론들 가운데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근본적인 문제 두 가지, 곧 ‘재난인문학이란 무엇인가’와 ‘왜 동아시아인가’에 초점을 맞춰 논의가 이루어졌다. 논의의 결과 ‘재난인문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는 재난은 다른 무엇보다도 ‘인간의 삶’의 문제에 관심을 두고, 거기에서 가치와 인간다움의 의미를 찾으려는 인문학적 접근이 요청되는 문제라는 전제하에 재난인문학 역시 ‘인간’을 재난에 대한 접근 또는 연구의 중심에 두는 학문이라고 보았다. 재난인문학의 관심 영역으로는 재난에 대한 인간의 기억과 기록에 바탕을 둔 재난의 역사, 재난에 대한 인식의 변화, 재난에 대한 대응 및 서사화 양상, 재난에 의한 충격과 심성의 변화, 이로 인한 트라우마와 치유 등을 제시하였다. 그다음 ‘왜 동아시인가’에 대해서는 ‘동아시아’에 속하는 국가들 가운데서도 특히 한, 중, 일 세 나라는 재난에 관한 한 어느 한 나라도 예외일 수가 없는 하나의 공동체라는 전제하에 재난 연구 또는 재난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대응에 관한 한 우리에게는 ‘동아시아’를 하나의 사유 단위로 설정하는 사고의 변혁이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동아시아라는 시공간적 축은 재난의 기억과 치유의 공동성을 마련해 초국경적인 재난에 맞서는 연대를 함께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사례 연구: 초기 내한 선교사 사료 수업과 연계하여

        한미경 ( Han Mikyung K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人文科學 Vol.123 No.-

        본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도 활발해지고 있는 디지털인문학이 더욱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디지털인문학 교육도 더 효율적이 되어야 함을 전제로 실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수업의 모델을 고안하는 것이다. 먼저, 디지털인문학 교육 관련하여 현재 세계 각지에서 수행되고 있는 교육 사례들을 총체적으로 개관하였고, 이어서 정규 교육으로 개설되었던 수업 중 여섯 가지 사례를 선정하여 그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그 다음 구체적인 사례로 정부의 지원으로 수행되고 있는 <내한 선교사 편지 디지털 아카이브> 프로젝트와 연계하여, 연세대학교 연합 신학대학원이 디지털인문학을 교회사의 새로운 수업 방법론으로 적용해 보기 위하여 개설되었던 < 선교사 편지 DB를 통한 재한선교사 연구 >의 핵심 내용을 소개하였다. 이 수업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들은 기존의 디지털인문학 수업의 강점을 분석하여 본 수업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도록 창의적으로 적용해 본 결과들이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사료적 가치가 충분한 내한 선교사 편지라는 1차 자료를 한국 교회사의 맥락에서 면밀히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디지털인문학의 기법을 교회사 연구에 접목하는 실전 교육을 받을 수 있었다. 인문학을 연구해 온 다수의 대학원생들은 디지털 기법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수업을 고안했다. 특히, 기술적인 영역은 따로 제작한 영상을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그 결과 수업을 마칠 무렵에 학생들은 몇 가지 디지털 툴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학기말 과제는 출판을 전제로 고안되었으며 실제로 수업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이 하나의 팀이 되어 완성한 과제물은 웹 사이트(www.kmhistory.com)를 통해 공유되었다. 그리고 수업의 중간 과제물이었던 선교사 편지의 전자 편찬은 XML-TEI 파일을 만들어 미국 디지털인문학 사이트인 TAPAS Project를 통해 출판했다. 웹 사이트의 구축의 경우 참여 학생들이 특정한 선교사에 대하여 연구한 뒤에 결과물을 워드프레스에 입력했고 매핑과 타임라인을 동료들과 협업하여 완성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인문학 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은 융합적인 학문의 특정상 디지털인문학센터를 구축하는 것과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This paper examines multiple cases of programs and courses related to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offered in recent years in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in Korea and abroad. Six digital humanities cours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aching plans. This paper also introduces ‘Korean Church History in Missionaries Letters,' a digital humanities course offered in Spring 2021 at Yonsei University’s Unite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which was designed based on the analyses carried out in the first part of this paper. The course allowed students to experiment with the primary sources of the early missionaries in Korea and familiarize themselves with various digital tools. Through the course,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y to complete a final project as a team-namely, building a website on the works of American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aries in Korea.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ed individually to create XML-TEI files, then uploaded them to the TAPAS Project website. Finally, the paper suggests the need for digital humanities centers, which can play a major role as a hub for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on campus.

      • KCI등재

        ‘재난인문학 정립’을 위한인문학의 함의와 역할에 대한 분석

        박승현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59

        The term “Disaster Humanities” is still new in our academic area. It is an attempt to understand, interpret and find ways of responding to disasters that conflict with the wishes and the intentions of human beings in pursuit of happiness. In order for the concept of Disaster Humanities to have practical meaning, it is imperative to answer the question at which point the humanities could involve into the disasters which mean painful and tragic parts of our realities. Furthermore, it seems that which implications the humanities here have and what its role need to be discussed consistently. In such society, the anxiety and sense of crisis that the entire ecosystem including human beings may face destruction always suppress us. To prevent this risk from being reality and turning into disaster, we must find the ways to revise existing paradigms and perspectives of the world. If nothing has changed in the view of our world, the future of mankind would be dark. At this point where disastrous situations have potential dangers, there is possibility of involvement of ethical philosophy and the humanities. In fact, there is nothing but humanity who determine the fate of mankind. In order to eliminate the current “risk society”, we cannot help but call for a shift in our established way of life and the values. Such changes of the values depend on the will of human. The manifestation of human will be for realization of human ideals, which must be based on ‘internal morality’. Standing ‘internal morality’ on the basis means a sense of coexistence in which humans not only affirm their own existences but acknowledge otherness. To overcome selfish desire to only pursue one’s own survival and then realize life together suggests that human beings achieve humanity. This is where the role of the humanities is revealed. ‘재난인문학(Disaster Humanities)’이란 용어는 우리 학계에서 아직 생소하다. 인간이 행복을 추구하는 일반적인 삶의 의도와 바람과 상치되는 재난에 대하여 인문학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 그 대응의 방법을 찾아나가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재난인문학’이란 개념이 실질적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재난이란 고통스럽고 비극적인 현실의 문제에 대하여 ‘인문학’은 어느 지점에서 개입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답을 하는 것이 우선되어 보인다. 그리고 한 걸음 더 나아가 여기서 말하는 인문학이란 어떤 함의(含意)를 담고 있으며, 그 역할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사회는 위험사회라고 정의된다. 그러한 위험사회 속에서는 인류를 포함한 전 지구의 생태계가 파멸의 위기에 직면할지 모른다는 불안감과 위기감이 늘 우리를 압박하게 된다. 이러한 ‘위험’이 현실화하여 ‘재난’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기존의 삶의 패러다임과 세계관을 변화시킬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만약 세계관의 대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인류의 장래는 어둡다고 할 수 있다. 사실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인류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이러한 ‘위험’을 내재한 재난의 상황에 윤리 철학, 그리고 인문학이 개입할 가능성이 열려 있는 것이다. 지금의 이른바 ‘위험사회’의 ‘불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기존의 삶의 방식과 가치관의 전환을 요구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한 가치관의 전환은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의지 발현은 인간의 이상 실현을 위한 것이고, 그 이상은 바로 ‘내재적 도덕성’에 기반해야만 한다. ‘내재적 도덕성’에 기반한다는 것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함과 동시에 타자성을 인정하는 공존의식을 발현하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다움을 실현한다는 것은 자신만의 생존을 추구하는 이기적 욕망을 극복하고, 타자와 더불어 삶을 실현하는 것이다. 바로 이 부분에서 인문학의 역할이 드러나는 것이다.

      • KCI등재

        ‘재난인문학’의 실천 방법론 정립을 위한 시론 - 치유론을 중심으로 -

        박승현 ( Park Seung-hyun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재난인문학’이란 개념은 우리 학계에서 아직 생소한 용어이지만, 재난에 대한 과학 기술적, 경제적 접근을 넘어서 인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이해하고, 그 대응의 방안을 찾아가려는 목적에서 문학, 역사, 철학 등 학제간접근을 시도하고 있는 학술적 활동이라고 일차적인 정의를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재난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이러한 재난이 한번 일어나게 되면 필연적으로 우리 삶의 일상성을 무너뜨리고, 사회와 자연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키는 심각한 사고이고, 사건이라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인간이 삶의 터전인 이 땅 위에 존재하는 한, 새로운 하루를 맞이하지 않을 수 없듯이, 재난이란 절망적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가기 위하여 새로운 희망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대부분 인간은 자신의 불행을 방치하지 않는다. 언제나 직면한 사태에 대한 의미 분석을 위한 새로운 물음과 관점의 전환을 통하여 삶의 방향성을 새롭게 정립하고, 현실의 고통을 극복해 가려고 한다. 재난을 극복하려는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지만, 개인적·사회적인 극복 의지를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발휘하느냐에 따라 그 결과가 달라질 것이다. 보다 나은 목적의식을 가지고 세상을 바꾸는 힘은 오직 인간에게서만 나올 수 있다. 인류를 포함한 전 지구의 운명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오직 인간밖에 없다는 것은 누구나 인정하는 사실일 것이다. 그래서 현재 전 지구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는 재난극복과 미래의 삶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인간의 손에 달려 있는 것이고, 그것은 인간의 의지에 호소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재난인문학은 실천인문학이다. 치유는 재난을 경험하고 마주한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일이다. 따라서 치유를 말하는 ‘인문학’은 단지 이론을 탐구하는 학문적 영역을 넘어서, 인간이 직면하는 고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학’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대학에서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등과 같은 객관적인 지식 탐구로서 분류된 학문적 영역에 머무는 인문학이 아니라, 구체적 삶의 현장에서 ‘자기완성’과 ‘공감 능력’을 발휘하는 ‘실천 인문학’은 바로 이러한 재난극복의 의지 발현을 위한 방향성 결정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된다. 재난 극복을 위한 실천 방법의 원리로 ‘반물화反物化’의 원칙과 ‘관점의 전환’을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에 대하여 인문학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것은 한편으로는 재난이란 불행을 낳은 현실의 부조리함에 대하여 비판적 사유를 진행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의 고통을 극복하고, 새로운 삶의 방향성과 이상의 제시를 통하여 인간의 존엄성을 확보하려는 작업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oncept of 'disaster humanities' is unfamiliar to our academic community, but it can be defined as an academic activity that attempts to interpret, understand and respond to disasters from a humanistic perspective beyond scientific, technological and economic approaches. There are various kinds of disasters, bu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once such a disaster occurs, it is a serious event that inevitably breaks down the daily life of our lives and drastically changes societ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As long as humans exist on this land, where we live, we cannot help but face a new day, so even in the desperate situation of disaster, we cannot but say new hope to lead their lives. Most humans do not neglect their misfortunes. People always try to redefine the direction of life and overcome the pain of reality by changing their perspectives and question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situation they face. There are various ways to overcome disasters, but the results will vary depending on in what direction and how we exercise our personal and social will to overcome them. The power to change the world with a better sense of purpose can only come from humans. It would be a fact that only humans can determine the fate of the entire planet, including humanity. So it is in human hands to overcome the disasters that are causing the current global crisis and to determine the future direction of life, and it is bound to appeal to human will. Disaster humanities are practical humanities. Healing is what happens at the scene of a specific life experienced by a disaster. Therefore, "humanities," which refers to healing, play a role as "practical learning" to solve the pain faced by humans, beyond just the academic realm of exploring theories. Rather than humanities that remain in academic areas classified as objective knowledge exploration such as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natural sciences in universities, "practical humanities" that display "self-completion" and "sympathy" in the field of concrete lif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direction. As the principles of practical methods for overcoming disasters, the "principle of anti-materialization" and "transition of perspective" may be presented. Therefore, attempting a humanistic approach to disaster is to proceed with critical thinking about the absurdity of the reality that caused the unhappiness of disaster, on the other hand, to overcome the pain of reality, and to present a new direction and ideal of human life. It can be understood as a work to secure dig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