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한 번역에서의 독점(読点)의 번역 분석 - 소설 こゝろ와 번역본을 중심으로 -

        전은정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23 T&I review Vol.13 No.2

        한국어와 일본어에서의 쉼표/読点 사용은 사용 빈도와 사용 양상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는 띄어쓰기를 통해 문장과 구절을 명확하게 구분하므로 쉼표의 사용 빈도가 낮은 반면, 일본어는 띄어쓰기가 없어 読点이 가독성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한국인은 쉼표에 대한 인식과 사용 방법을 올바르게 파악하지 못하여 번역이나 글쓰기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가 경우가 많은데, 실제로 한국 국어교육에서도 쉼표 사용에 대한 중요도가 낮다. 이로 인해 한일 번역사는 일본어의 読点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와 한국어를 일본어로 번역할 때 読点처리에 대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는 번역물의 품질과 독자의 이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쉼표 사용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교육, 번역 가이드 라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일 쉼표/読点 사용 차이를 조사하고 일본 작가 夏目漱石의 작품 『こころ』을 중심으로 쉼표/読点 사용 빈도와 번역 전략을 분석하여 원문의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번역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어와 일본어 간의 쉼표/読点의 사용 및 번역 패턴의 차이를 깊이 이해할 수 있으며, 번역 작업에서 이러한 요소가 번역 텍스트의 구조와 의미 전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번역 연구나 번역 도구 개발과 같은 분야에서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것이며, 이를 통해 번역 품질 향상과 자연스러운 번역문 생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저작권과 번역

        이상모,김근우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22 T&I review Vol.12 No.2

        Sangmo Lee and Keunwoo Kim (2022). Copyright and Translation. With the advent of translation systems that utilize artificial intelligence, discussions on artificial intelligence translation are taking place more actively than ever before. In cases such as the Bible, there is sometimes a need to re-translate a text despite the existence of prior translations based on the original text, which results in follow-up translations conducted by other translators. According to the current copyright law, translations are recognized as a type of independent secondary wor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s and copyrights from a legal perspective. In particular, an in-depth review is required on how creativity, the element that is protected by copyright, is applied to translated works.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ed works and secondary works recognized by current copyright law, analyzes the criteria applicable to translated works, and examines such applicability through the analysis of state judgments made in relation to such works.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Korea) 인공지능을 활용한 번역시스템의 등장으로 인해 인공지능 번역과 관련한 논의들이 과거 어느 때보다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실제로 성경과 같이, 원문을 바탕으로 진행된 선행 번역물이 존재하지만, 동일한 원문에 대한 재번역의 필요성이 있어 다른 번역가가 다시 진행한 후행 번역물이 있을 경우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이다. 현행 저작권법에 따르면, 번역물이 독자적인 2차적 저작물의 유형으로써 인정된다. 따라서 번역물과 저작권과의 관계에 대한 법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저작권의 보호를 받기 위한 요소인 창작성이 번역 저작물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관한 심도있는 검토가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은 현행 저작권법에서 인정하고 있는 번역 저작물과 2차적 저작물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번역저작물에 적용될 수 있는 기준을 분석한 후 저작물과 관련한 법원 판결의 분석을 통해서 그러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한다.

      • ALTA(미국문학번역협회) 소개

        존 발콤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05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제1회 국제학술대회 및 제4회 한국문학 번역출판 국제워크숍 : Vol.2005 No.

        미국에서는 문학번역에 대한 이해가 일천하며, 심지어 문학번역에 대한 올바른 평가는 더더욱 열악하다. 본 논문에서는 ALTA(미국문학번역협회)를 소개하고, 일련의 서비스 및 활동을 통해 문학번역의 위상을 제고하고자 하는 ALTA 의 임무를 설명하겠다. 1979 년에 제 1 회 전미 총회가 이루어진 이래로 ALTA 는 전세계 문학번역가들을 위해 독특한 임무를 수행해 왔다. 20 년이라는 기간 동안 ALTA 는 문학번역가들을 위한 서비스 제공, 문학번역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포럼 주최, 전세계 문학번역가들과의 협력, 문학번역가들의 권익대변 등의 활동을 통해 문학번역의 위상제고를 꾀하는 광범위한 기반을 갖춘 조직으로 성장했다.ALTA는 미국 유일의 문학번역 전문조직이다. ALTA 회원들에게는 "Translation Review" 라는 잡지를 발송한다. 여기에는 번역가와의 인터뷰, 번역의 이론과 실제, 대학에서의 번역 수업, 문학작품의 해석을 위한 번역 방법론 적용에 관한 기사, 출판사 소개, 문학번역 출판의 동향, 번역 프로세스와 번역물의 평가에 중점을 두는 리뷰 등이 실린다. ALTA가 발행하는 "Annotated Books Received" 는 최신 번역물 목록으로서, 각 번역물에 대한 주석이 함께 제공된다. "Newsletter" 라는 소식지는 회원현황, 지원금, 회의일정, 수상소식 등 문학번역계의 관심사를 전한다. "ALTA Guides to Literary Translation" 은 초보에서 베테랑에 이르는 모든 번역가들을 위한 실용적인 조언을 제공한다. ALTA의 웹사이트는 계속 확장 중이며, 여기서는 번역활동, 회원현황, 연례총회 소식, "Annotated Book" 발췌, "Translation Review" 최 신호 등을 볼 수 있다. ALTA의 연례총회는 현재 문학번역계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토론하는 장으로서 한 해 행사의 하이라이트이다. ALTA 의 연례총회는 문학번역가들이 자신의 최신 번역물을 선보이고, 서로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며, 공통의 문제에 대해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여기에는 출판사와 작가들도 참석한다. ALTA 에서는 번역입문자들이 ALTA 연례총회에 와서 참석할 수 있도록 특별경비를 지원하기도 한다. ALTA 는 문학번역의 뛰어난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전미번역상을 수여하고 있다. 이상은 출판계의 후보지명으로부터 시작하여 번역물에 대해 문학적 중요성, 충실성, 예술성의 관점에서 3차에 걸친 철저한 심사에 이르는 1 년 여의 긴 과정의 결정체이다. 지난 27 년간 ALTA 는 문학번역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많은 일을 해왔다. 물론 아직도 할 일이 많이 남아 있으며, ALTA의 회원들은 한결 같은 헌신과 열의를 통해 이를 이루어 갈 것이다.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교육 중 기계번역 활용 고찰– 외국인학생 대상 설문조사 기반 –

        김지은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23 T&I review Vol.13 No.1

        일상에서 기계번역의 사용은 이제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일상은 물론, 전문적인 번역에서도 기계번역은 활용되고 있다. 특히 게임 로컬라이제이션이나 매뉴얼 등의 번역에서는 이미 기계번역이 자주 사용된다. 또한, 한국 법제처 등 기관은 법령 등 전형적인 스타일의 텍스트에 기계번역을 활용하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하였다. 국내 번역 수업에서도 기계번역의 포스트 에디팅을 일부 적용하기는 하나 소극적이고, 외국인 학생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특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을 전공하는 외국인 학생은 모국어가 한국어가 아니고, 번역 교육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기존의 통번역대학원 석사생과 다르다. 때문에 본 연구는 번역을 전공하는 외국인 석사생의 기계번역에 대한 의견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 방식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번역’을 전공하는 외국인 석사생들이 과제 수행 중 기계번역을 얼마나 활용하는지, 기계번역 사용에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 등 인식을 조사하고, 그에 적절한 기계번역 활용 방법 제안하고자 하였다. 조사 결과 예상보다 기계번역의 활용도와 긍정적 반응이 높았고, 사용 빈도도 적지 않았다. 학생들은 다양한 목적으로 기계번역을 과제 수행에 활용하고 있었고, 그들 중 일부는 기계번역 사용이 번역 학습에 도움을 준다고 답했다.

      • KCI등재

        학부번역전공자의 인간번역과 기계번역 포스트에디팅 품질 비교

        이선우,이상빈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21 T&I review Vol.11 No.2

        The quality of machine translation outputs, including those of Google Translate and Naver Papago, has increased rapidly over the last few years. This development has raised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urrent undergraduat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is still relevant and feasible. Against this backdrop, a small-scal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quality of human translation and post-edited machine translation undertaken by university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two groups of 30 Korean undergraduates who attended a basic translation course in the spring semester of 2021. They were asked to translate two Korean texts, Text A (171 characters) and Text B (160 characters), both of which were extracted from relatively easy newspaper articles, into their B language (English) under two different conditions. One of the participant groups translated Text A for 10 minutes using machine translation outputs and translated Text B for 20 minutes without the help of any translation machine. The other group performed the same tasks, save that the source texts were assigned in reverse order. A total of 117 translations were collected and rated independently on a five-point scale by the two teacher-resear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st-edited translations were much better than the human translations and that the human translations contained more errors in vocabulary and grammar.

      • 한국 사법 통역 제도에 관한 재고(再考)

        류현주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12 T&I review Vol.2 No.-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Korean system of judiciary interpreting from an interpreter’s perspective stemming from direct practices and indirect observation. Korean courts have an interpreter registry program where prospective interpreters are recommended and screened based on degrees and previous English-speaking work experiences including interpreting. However, non-registered interpreters and volunteers occasionally do interpreting work, which means that the current court interpreter program doesn’t have strict guidelines for employing interpreters, let alone accreditation & certification systems. The present paper argues that evaluating the current registry interpreters’ competence and providing mandatory refreshing courses and seminars for both interpreters and ‘clients’ (i.e. legal professionals and administrative staff in courts) are preconditioned before the certified accreditation system is fully introduced and put in place as the current system doesn’t guarantee competent interpretation.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Korea)

      • KCI등재

        시의 형태적 특성과 번역 ‒ 김혜순 시집 "한 잔의 붉은 거울"의 번역을 기반으로 ‒

        이상빈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연구소 2022 T&I review Vol.12 No.2

        Sang-Bin Lee (2022). On the Translation of Form in Poetry: An Investigation of Kim Hyesoon’s Han chan ŭi pulgŭn kŏul (A Drink of Red Mirror). In this article, I discuss the matter of form in poetry translation. My argument is that the visual elements of a poem are not always translated as they appear in the source text and may instead be reconstructed by the translator’s interpretation of the poem. To clarify this argument, I compare Han chan ŭi pulgŭn kŏul, a collection of surrealist poems written by Kim Hyesoon, with A Drink of Red Mirror, an English translation by Jiwon Shin, Lauren Albin, and Sue Hyon Bae. Specifically, I examine seven poems — Old Refrigerator (Oraedoen naengjanggo), Lunar Month’s End (Kŭmŭm), O (O), Face (Ŏlgul), Scribbled Letter (Kalgyŏ ssŭn p’yŏnji), Eye of a Typhoon (T’aep’ung ŭi nun), and Mixer & Juicer (Mixer & Juicer) — in terms of layouting, lowercasing, italicizing, or spacing. Then, I briefly touch on the “same” poems in Un verre de miroir rouge, a French translation by Choon-woo Yee and Lucie Angheben. This comparison demonstrates the stark differences in visuals between the English and French translation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