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정 비교

        김영연,장선진,김수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과저을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균형 있는 교육과정 마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우리나라와 미국의 과학 특기?적성 교육의 내용과 범주, 프로그램의 양이 학교별, 학년별로 어떻게 다른지, 프로그램을 과학의 세부분야인 생물, 화학, 지구과학, 물리, 환경으로 나눈다면 특별히 중점을 두고 있는 분야가 어떤 것인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인터넷 검색과 이메일 면접 그리고 문헌조사를 택하였다.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과학 특기?적성 프로그램을 최근 몇 년동안 운영하는 학교였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에 소재한 5개 초등학교였고 미국에서는 4개 대학과 1개 초등학교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와 미국의 특기?적성교육제도는 공히 학생들의 방과후 교육활동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시행기관과 수혜자가 같은 기관이었지만 미국은 대학과 지역사회의 개입으로 인하여 공급자와 수요자가 다양한 형태이다. 담당영역은 우리나라의 경우 외국어를 위시한 정규교육관련이었지만 미국은 폭력 예방, 레크레이션 등의 사회교육적 내용이었다. 둘째, 우리나라와 미국 모두 초등학교 4학년에 프로그램이 편중된 졍향이었다. 셋재, 내용별 분석에서 우리나라는 인체에 대한 프로그램, 색소분리, 다양한 지구과학이 많은 반면 미국은 생태학, 다양한 화학, 기상학, 천문학, 화석학, 환경 관련 프로그램이 많았다. 또한 우리나라와 미국은 공통적으로 전기와 에너지에 관련된 다양한 물리 분야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많았다. 다섯째, 학년에 따라 개설 프로그램이 특징을 보였다. 생물분야에서 우리나라는 2학년, 미국은 4학년에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구과학분야는 우리나라는 3~4학년, 미국은 3학년에게 많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물리분야는 우리나라는 1~2학년에게 미국은 4학년에게 많은 양의 프로그램수를 제공한다. 환경분야는 양국 모두 매우 부족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중점분야는 화학, 물리 순이었고 취약분야는 환경, 생물, 지구과학 순이었던 반면 미국의 중점분야는 생물이었고 취약분야는 화학, 물리, 지구과학 순이었다. The current after-school science curricula both in Korea and the USA were examin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in science after-school curriculum in Korea. Informa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earching as well as email and telephon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Five Korean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s in addition to four American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one elementary after-school program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quantity, contents and way of management of the programs as wel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Korea, the educational institute is the elementary school, and the object of education is also schoo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USA, however, educational institutes are elementary school, university, and community cent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number of the programs, indicated that the maximum numbers of program were found in the 4th grade in both countries. However, Korean elementary schools open more subjects in after-school science program than American institutions do. Third, Korean curricula emphasize the fields of physics and chemistry more than other fields, but U. S. A focused on the biology and earth science, In conclusion, students of both countries should learn the knowledge of all kinds of science fields.

      • KCI등재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와 구성 체계 탐색 :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8 교육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시야를 넓히고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와 구성 체계 및 특징을 탐구하는 것이다. 문헌 검토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의 의미를 검토한 결과, 이것은 지역화된 미국 교육 체제의 특성상 모든국민에게 질 높은 과학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국가 개입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등장했으며, 과학교육의 목표를 ‘과학적 소양 함양’으로 규정하고 그에 도달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 평가하는 길잡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둘째, 국가과학교육기준의 구성 및 체제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 이것은 상호 관련된 6개의 하위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기준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교사의 역할과교육이 강조되고 있고, 과학 평가와 학습내용의 범위가 확장되어 상세하고 다양한 수준에서 제시되고 있으며, 교육체제와 정책에 관한 지침을 두어 과학교육의 총체적인변화를 시도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를 토대로 미국 국가과학교육기준이 우리나라과학교육과정 개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한 결과로써, 과학교육의 목표는 충분한 물적?인적 자원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사회문화적 요구조사 및 연구를 통해 장기적 비전을 제시할 수 있도록 설정해야함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개정의 범위가 교사 교육을 비롯한 현실적 지원 및 정책계획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어야함을 제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개발과정을 반성하고, 그 과정에 교육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실제적 지원방안과 정책적 결정까지 포함하도록 과학교육과정에 대한 시각이 변화해야 함을 권고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NationalScience Education Standards(NS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gain insightsfor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Findings from the literature reviews are as follows. First, NSES appeared as theneed of national leadership increased to provide high quality science education to allstudents, in the context of highly localized education system. It serves as a guidelineof 'what and how to do' in order to achieve 'the scientific literacy,' which is theultimate goal of the science education. Second, NSES presents six interrelated standardsto attain scientific literacy. For the holistic change of the science education, thosestandards emphasize a)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eachers' role and the need of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cience education reform; b) to expand and diversify theareas of science contents and the ways of assessment; and c) to provide criteria toselect school science programs as well a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policies. The investigation of NSES provides useful insights toward science curriculumreform in Korea: a) the goal of science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providelong term vision, which reflects its own societal demands; b) the scope of sciencecurriculum reform should be extended to contain actual plans for teachersprofessional development, financial resource, policy making, and so on. The studysuggests that the future science curriculum reform in Korea should consider how tosupport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erms of financial support and educationalpolicy based on the vision of the thing which is needed to sustain change.

      • KCI등재

        과학의 본질과 과학교육에 관한 구성주의적 관점

        서예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과학 교수학습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보다 적절하고 의미 있는 과학경험을제공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과학적 지식의 본질과 과학교육에 관한 철학적 관점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전통적으로 과학적 지식은 실증주의의 영향력 하에 실재를 반영하는 객관적 진리로 여겨져 왔다. 따라서 과학교육은 과학적 지식의 암기와 표준화된 양적 측정을 통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과학적 지식의발생 및 발달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들은 사회적이고 주관적인 과학적 지식의 본질을밝혀주었다. 이렇듯 과학에 관한 맥락적 성격을 강조하는 철학관으로서 구성주의는 과학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구조와 경험의 질적 변화 및 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의중요성을 강조하면서 발달하였다. 최근, 구성주의는 고도로 다원화된 현대사회의 특수성으로 인해 보다 정교한 형태의 사회문화적 구성주의로 발전하였는데 주로 권력과 문화의 측면에서 과학학습에 관한 평등성과 수월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시각은과학의 교수학습에 있어 다양한 학습자들의 관심과 요구가 사회적 주류집단의 이익에의해 간과되지 않아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진정한 과학교육을 위해 모든학생들에게 이미 규정된 동일한 과학교육과정과 방법을 적용하기보다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가치와 기대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과학을 가르치고 배울 것을 제안한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philosophical perspectives on the nature ofscience and scientific knowledge as a basis to understand the complexities of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s well as to provide meaningful science learningexperiences for learners. Through examining literature, it is revealed thatscientific knowledge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objective truth or reality, under positivism. However, close examinations of howscience has developed disclose that subjective and social factors play a crucialrole in the prod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By challenging the predominantview of knowledge and science, constructivism has been developed as a newphilosophical perspective by stressing the cognitive structure to be found in theindividual learner and focusing on the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learning. Recently, constructivism has been elaborated in the form of socioculturalconstructivism, addressing the issue of equity and excellence in science learningin terms of power and culture. Such a perspective emphasizes that the voicesand interests of some groups of learners should not be privileged at the expenseof others. The study suggests tha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ught to bedeveloped in a way to acknowledge different sociocultural values and demandsfrom diverse learners, rather than to provide same science curriculum andmethods for all of them.

      •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의 역사적·철학적 기초

        이은화,이정환,이경우,이기숙,박은혜,홍용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1997 교육과학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유치원인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의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 이론적 근거를 역사적ㆍ철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화유치원 설립 당시부터 현재까지의 교육과정의 성립 및 변천과정과 철학적ㆍ심리적 사조를 살표보고 이들의 영향이 이화유치원 교육과정에 나타난 부분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1914년 한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설립된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이화유치원은 설립 이후 지금까지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의 모델을 제시하며 선도적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육과정의 측면에서는 유아들의 전인발달 특히 사회ㆍ정서적인 발달을 중요시하고 우리의 전통사상과 기독교정신, 진보주의 이론 및 구성주의가 그 철학적ㆍ심리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mainly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wha Lab Kindergarten, which was founded in 1914, is the very first kindergarten for Korean children. It has played the leader's role of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since then. Second, the curriculum of Ewha Lab Kindergarten was differentiated from other kindergartens' from its beginning in the sense that it was based on the firm belief of child-oriented philosophy. Third, essence of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has remained the same despite of its several changes. It has put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child, especially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oriented curriculum which is based on the child's interests and experiences. Fourth, the curriculum for Ewha Lab Kindergarten was influened by several philosophies and psychological theories. Among those, Korean traditional thoughts, Christianity,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are the most salient. Because Ewha Lab Kindergarten was founded by American missionary, Christianity was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Examples can be that hymns, prayer, and bible stories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nd Easter, Thanksgiving, and Christmas are also celebrated. Perspectives on the purpose of education,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the teacher's role were influenced by Korean traditional thoughts. The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the teacher's role, an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heavily influenced by both Progressivism and Constructivism.

      • KCI등재

        대학 교육의 질향상을 위한 성공적인 사이버 교육의 운영요소 및 전략

        주영주,최성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2 교육과학연구 Vol.33 No.2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법에 대한 관심은 대학 교육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 대학은 강의실 안에서 이루어지는 수업과 함께 사이버교육의 도입은 필수적인 요소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통적 대학 교육기관에서 새로운 교수방법으로 사이버교육을 새로이 도입하고, 활성화 시키기 위한 지침을 탐색, 제안하고자 하였다. 즉 새로이 사이버 대학을 설립,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대학을 중심으로 대학 교육의 질을 향상하고, 다양한 교수 방법을 도입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에게 풍부한 학습의 기회를 주기 위한 사이버교육의 도입을 위한 운영요소을 마련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한 지침으로서 사이버교육을 계획, 운영하기 위한 운영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 대학의 이념과 목적에 맞추어 이의 실천을 담당할 독립적인 교육행정기관, 2. 건물의 기초공사와도 같은 교육시설 즉, 인프라(infrastructure), 3. 온라인 교육에 맞는 학사운영, 4. 학습을 평가하고 컨텐츠 평가 전략과 질관리에 대한 노력을 통한 교육내용개발, 5. 내용제공자, 교수자(강의자), 조교, 운영자 등의 인적자원, 6. 사이버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수들과 학생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체제 및 7. 사이버 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인 교육평가가 그것이다.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university, managers and instructors have tried several instructional method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cyber-education having unique characteristics, such as time and place independence, and interactivity, pushes them to think about the quality and method of college education. Cyber education combined with the classroom would boost the interactivity among students and instructors, leading to the good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This study tried to suggest the guidelines and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when the traditional university initiates the cyber education. These are followings; 1. Establishing independent cyber education center, 2. Preparing the infrastructure and equipments, 3. Preparing course management appropriate with on-line education, 4. Developing the good quality of course contents, 5. Supporting the personnel resources such as a content provider, a instructor, a tutor, etc., 6. Establishing support system for the student and instructor, and 7. Having a reliable and valid evaluation system of cyber education.

      • KCI등재

        한국과학영재학교(KSA)의 u-러닝에 대한 관심도 분석 :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을 중심으로

        이경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국내 최초 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Korea Science Academy: KSA)가 2007년 3월부터 ‘교육인적자원부 u-러닝 연구학교’로 운영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에서 변화(educational change)란 결국 교사가 무엇을 생각하고 행동하느냐에 달려있다(Fullan, 2007: 129)는 인식 하에, u-러닝에 대한 KSA 교원의 관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가 이루어진 배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의 u-러닝 연구학교 정책이 올해로 3년차를 맞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천적인 모형이 부재할 뿐만 아니라 u-러닝에 대한 개념적 합의조차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둘째, 현재 교육기관인 KSA가 향후 교육방법에 대한 시범 및 연구기관으로 발전할 것이 요구되고 있어(정현철 외, 2006), KSA의 u-러닝 적용은 이러한 전환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관심중심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을 근거로 관심단계설문지(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SoCQ)를 사용했으며 비형식적 인터뷰(one-legged interview)와 개방형 질문을 보조적으로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KSA 교원은 u-러닝에 대한 비호의적 비사용자(hostile nonuser)였다. 둘째, 연구위원은 일반 교원에 비해 u-러닝에 대한 관심도는 높았으나 저항감(resistance) 또한 높았다. 셋째, KSA 재직기간이 짧은 교원이 u-러닝에 더 높은 관심도를 보였다. 넷째, 교과에 따라 u-러닝에 대한 관심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u-러닝이 KSA에서 성공적으로 도입․운영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관심도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처방(interventions)이 필요하다. 특히, u-러닝과 학교변화에 대한 전문적 지식, 대인기술을 함께 갖춘 변화촉진자(change agent)와의 파트너십(partnership)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Science Academy, the first highschool for the science gifted, has beeninitiating u-learning supported by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Development since March 2007. According to Fullan(2007: 129), implementingchange depends on what teachers do and think. Thus, this study investigatedthe concerns of teachers about u-learning at KSA. Based on the Concerns-Based Adoption Model of change, the study utilizedthree ways to assess concerns: (1) the stages of concerns questionnaire, (2)one-legged interview and (3) open-ended concerns statement. The results of thestudy indicate that, at first, the majority of teachers are the hostile non-userover u-learning. Second, teachers who participate in the u-learning committeehave more concerns about u-learning than other teachers, but they also tend tobe resisters. Third, teachers who have been a shorter period in KSA have moreconcerns. Fourth, according to their subject, the profile of the stages of concernsshowed various patterns. Implications to succeed in u-learning at KSA include differentiatinginterventions based on teachers' concerns. Most importantly, the partnership isbuilt between KSA and the change agent who has expert knowledge about notonly u-learning but also educational change.

      • KCI등재

        역량중심 체육교육과 테크놀로지 통합의 가능성

        유정애(JeongAe You),손환(Hwan Son),진연경(Yeonkyung Ji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수행하여 체육교과에서의 테크놀로지 통합 현황을 분석하고, 역량중심교육과 과정중심 평가 체계 내 체육과 학습에서 테크놀로지와 과정중심평가 통합의 방향성과 그 가능성을 제시하여, 체육교육과 테크놀로지의 통합을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방안들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 테크놀로지 통합 수업은 학생의 참여 동기 자극, 학생과의 상호작용, 다양한 자료제시 방식의 측면에서 긍정적이었으나, 현장에서 보편화되기에는 기술적 특면, 학습자 인식측면, 콘텐츠의 부재의 한계점도 나타나고 있었다. 테크놀로지 통합 체육교육은 역량중심교육의 중심이 되는 과정중심평가체제 내에서 학습 과정에의 평가, 능동적 학습의 평가, 문제해결력 배양을 위한 평가, 다양한 평가 방식 제공 등의 긍정적 가능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체육교육 내에서 테크놀로지는 체육교과 역량 함양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는 데 그 역할을 다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을 위한 기술로서 테크놀로지의 적용, 테크놀로지 활용 과정 중심 평가를 위한 루브릭 설계, 테크놀로지 통합을 위한 체육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 강화의 노력이 더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technology integration in physical education by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In the process,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direction and potential of technology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integr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learning in the capacity-oriented education and process-oriented evaluation system, and assessed the measures that should precede the integr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technology. The study found that technology integration classes were positive in terms of student motivation,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various methods of presenting data, but limitations of technical features, learner recognition, and lack of content were also seen in the field. Technology-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had positive potential in terms of the assessment of learning processes, active learning,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provision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within the process-centered assessment system that is central to capacity-oriented education. Thus, technology should play a role in assessing the process of enhancing the function of physical education. The application of technology education, the design of rubrics for technology-based evaluation, and the effort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enhance their skills to integrate technology were discussed.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physical impairments: The case of South Korea

        Cho, Joohee(조주희),Park, Moon Seok(박문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9 교육과학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이하, 특수교육법)이 시행된 이후 일반학교에 다니고 있는 장애 학생들의 통합교육 경험을 분석하고, 통합 지원이 실제로 장애 학생들의 일반 학교 적응을 돕고 있는지 혹은 저해하는지에 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고, 신체적인 손상으로 인해 손을 움직이거나, 언어를 사용하거나, 이동할 때 어려움이 있는 12명의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장애 학생들로부터 수집한 질적 면담 자료를 바탕으로, 일반학교의 통합 교육 환경을 1) 물리적 환경, 2) 특수 지원, 3) 비장애인들과의 상호작용, 4) 배움의 기회로 구분하고, 장애의 사회모델을 이론적 관점으로 채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통합교육 상황에서 장애 학생들은 교육 활동과 사회적 활동에서 여전히 배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더 나아가 장애 학생의 직업적인 기회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장애 학생들은 특수교육법 시행으로 일반학교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되었지만, 아직 진정한 의미의 통합교육을 경험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장애 성인에 의해 설계된 통합교육 지원 체계들이 실제로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통합교육을 위해 제공되는 지원들은 어떤 장애 학생들의 일반학교 적응을 돕는 반면, 동시에 다른 학생들에게는 일반학교 참여를 배제시키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애인을 동질적인 집단이 아닌 개별성을 가진 존재로 인식하고, 장애인 학생의 개개인의 특성이 고려되어질 때에만 진정한 통합교육이 달성될 수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통합교육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있어서 장애 학생 당사자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교육 경험을 당사자의 관점으로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clusive education experiences of with physical impairments (relating to dexterity, mobility, and/or speech) and discusses their perception of whether formal and informal practices facilitate or hinder the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o mainstream school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students with physical impairments in mainstream schools and analyzed the data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of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exploration indicate that mainstream schools have not yet embraced full inclusion and continue to disempowe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restricting their social, educational, and career-related opportunities. This study argues that formal and informal practices established by non-disabled adults have unintended consequences as they prevent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o mainstream schools. This qualitative research is concerned with understanding the meaning and processes involved in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fore,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emphasize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dividu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setting, which a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physical environment, special support, interaction with non-disabled people, and learning opportun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now allowed access to mainstream schools; however, they are still oppressed in mainstream schools. It highlights that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not a homogeneous group; therefore, for genuine inclusion, educators and policy makers need to accommodate individual students’ needs when developing educational policies and procedures.

      • KCI등재

        포트폴리오에 나타난 자기반성의미 : 전문대학 유아교육실습생의 경험을 중심으로

        최일선,조운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7 교육과학연구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elf-reflection ina student teacher portfolio.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orientation about a student teacher portfolio to student teachers before studentteaching. And the student teachers made a student teacher portfolio during thefour weeks of student teaching. After student teaching, the researchersconducted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questionnaire survey, and groupinterview of student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 teachers hadopportunities to confirm their philosophy and knowledge level, and tried toconnect those with teaching practice in the process of making a student teacherportfolio. Second, student teachers experienced not only repeated reflection butalso shared reflection with peers through the student teacher portfolio. Third, thestudent teachers were convinced that a student teacher portfolio was theresources for future plans and recharging themselv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실습생 포트폴리오에 나타난 자기반성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육실습생들에게 교육실습 전에 포트폴리오 제작에 대한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교육실습기간 동안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 후에는 자기 평가 및 동료 평가 질문지와 집단면담을 시행하는 순서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실습생들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철학과 지식을 확인하는 기회를 가지며, 이를 교수 실제와 연계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둘째, 교육실습생포트폴리오는 교육실습생들로 하여금 반성을 반복적으로 하게 할 뿐 아니라 반성을 공유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셋째, 교육실습생들은 포트폴리오를 미래 설계와 재충전의 자원으로 인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