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도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영남대 독도연구소 학제간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

        문철영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6 독도연구 Vol.- No.21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가 중점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것은 “독도학 정립을 위한 학제간 연구”이다. “독도학 정립을 위한 학제간 연구”의 기본과제는 제1과제(인문사회과학 분야)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연구’와 제2과제(자연과학분야) ‘독도의 생태보전과 독도해역의 생물상 연구’로 구성하여 1) 독도가 한국 고유영토임을 다학문간 통섭적 연구,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재확인하고, 2) 독도 영유권 확립을 위한 매뉴얼 개발을 통해 만일의 경우 ICJ(국제사법재판소)나 국제중재재판이나 제3자 소송 등의 국제소송에 임하게 되었을 때를 상정하여, 우리가 제시할 수 있는 한국측 증거자료를 바탕으로 한 반박문과 답변서를 비롯한 재판에 임할 매뉴얼(Manual)을 만든다는 데에 초점을 두면서 3) 국제사회에서 용인되는 이론 개발을 통해 일본 측 주장의 허구성과 부당성을 증명할 수 있는 ‘독도학(獨島學)’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런 목적 하에서 역사, 지리학·문화인류학과 국제법, 정치학의 학제간 통섭연구를 지향한다. 이러한 학제간 연구 성과의 한 사례로 「울릉도쟁계의 타결과 쓰시마번(對馬藩)」(필자:송휘영)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의 국내의 울릉도쟁계에 대한 연구가 주로 국내자료에 근거하여 이루어진 데 반해서 이 연구는 『죽도기사』 및 『죽도문담』 등 일본측 1차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리하여 당시 쓰시마번의 내부에서도 일본측의 무위(武威)라는 위협을 바탕으로 한 강경책에 대해 반성이 일기 시작하였고 조선에 대해 인교의 도리로써 대응해야 한다는 스야마 쇼에몽과 같은 온건파의 주장이 대두하였으며, 결국 그의 설득과 번내 여론 주도로 말미암아 에도막부가 조선 어민의 죽도도해를 금지하라는 당초의 주장과는 정반대의 결과인 「죽도도해금지」를 명령하게 되었다는 것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국내자료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 남구만 정권의 강경노선이 그 타결을 주도하였다는 결론의 지평을 확대하여 유학자이자 쓰시마번의 유력번사였던 스야마 쇼에몽을 중심으로 한 온건파의 역할을 들여다 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지평의 확대야말로 독도연구소의 강점이자 앞으로의 지향점이기도 한 것이다. 또 다른 논문인 「죽도고 분석」(필자: 김호동) 또한 도토리번의 번사인 오카지마 마사요시가 1828년에 지은 『죽도고』를 인용서목의 분석과 함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한일 양국의 독도 논문에서 자주 언급되고 있는 『죽도고』 자료를 인용할 때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을 주지시키고 있다. 독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주장하는 일본측 학자들의 논리와 역사 왜곡을 무너뜨리기 위해서는 일본 고문서의 철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면에서 이러한 일본측 사료의 비판적 검토는 앞으로 더욱더 본격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바람직한 독도교육을 위해 ‘내러티브’에 주목해야 한다. 독도의 자연 환경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이나 독도의 영유권을 둘러싼 법제적인 접근 모두는 독도를 이 시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생동하는 삶과는 멀리 떨어진 죽어있고 굳어있는 한갓 돌덩어리 섬으로 바라보게 한다. 독도는 우리 영토라는 영웅담에 기초한 애국주의적인 위인전식 접근 또한 한국인들에게 하나의 도덕적인 교훈을 제공하는 하나의 모범 이상의 의미를 갖기 어렵다. 이렇듯 생태학적 접근 ... The main purpose of Dokdo Institute Yeungnam University is “Interdisciplinary Research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Dokdo Studies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The basic tasks of this project consist of Task 1(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Korean sovereignty of Dokdo’ and Task 2(Natural Sciences), ‘The preservation of ecology of Dokdo and the study of its biosphere’.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as follows: 1) to reaffirm that Dokdo is historical territory of Korea by means of multi-disciplinary researche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es, 2) to develop a manual for defending Korean sovereignty over Dokdo, in case of ICJ(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trial, or international proceedings such as arbitration trials or third party lawsuits, 3) to establish the Dokdo Studies, which can demonstrate the falsity and unfairness of the Japanese claims by developing theories acceptabl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interdisciplinary study of history, geography, cultural anthropology, international law, and political science is needed. One example of the achievements of thes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is “the Conclusion of the Ulleungdo Jaenggye and the Tsushima-bun(clan)”(by Song Hye-young). This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the original japanese data such as 『Takeshima article(竹嶋記事)』 and 『Takeshima story(竹島文談)』, while up-to-now other researches on 「Ulleungdo Jaenggye(Takeshima Nikken)」 have been mainly based on domestic data. This research make us know that the claims of dove such as Suhama Shoemong and its opinion leading had resulted in the opposite result of the original claim, 「Jukdo Voyage Prohibition Order(竹島渡海禁止令)」. This observation make it possible to look into the role of the moderates around Su Yama Shoemong who was confucian scholar and influential Samurai of Tsushima-beon, expanding the horizon of the conclusions of the existing researches centered on the domestic data that the hard line of the Nam-gu Man regime led the conclusion of the conflict. This kind of expansion of research horizon is the strength and future direction to go of the Dokdo Institute. Another paper, “an Analysis of Takeshima Records(竹島考)”(by Kim Ho-dong), also makes us critically examine when quoting 『Takeshima Records(竹島考)』 written by Masayoshi Okajima, Samurai of Tottori-han in 1828, data of which has been often mentioned in many papers on Dokdo in both countries. In order to get over the logic and historical distortions of Japanese scholars who have insisted that Dokdo belongs to Japan's own territory, the critical review of these Japanese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narrative’ for the desirable future Dokdo education. Ecological approaches to Dokdo's natural environment and legal approaches surrounding Dokdo's sovereignty have made Dokdo to be seen as a dying and stubborn stony island far removed from the lively lives of Koreans living today. Patriotic approaches based on stories of historical heroes that eloquently claims “Dokdo is our territory” also means less than an example of providing a moral lesson for Koreans. A approach to make Dokdo live with the lives of the contemporary Koreans and to internalize their story of heros into ‘our own story’ of contemporary Koreans while to make ecological and legal approaches authentic, is a approach of ‘narrative history’. This allows the totality of the internal relations of the various approaches such as ecological, legal and heroic approaches to be represented as a single whole. Through this narrative as ‘a narrative history’, we internalize a series of historical facts about the ‘Dokdo’ issue, which has myriad internal relations into a story.

      • KCI등재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도은,이태우,최재목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Dokdo-related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Hub for Dokdo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its status of Dokdo Institute of Yeungnam University. Since the 18th century, The old maps of Korea(Joseon Dynasty) have shown that "Dokdo" is located on the right side(East) or left side(West), bottom side(South) or up side(North) of Ulleungdo, especially a part of map of Gangwon-d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southwest) and lower right (southeast). Next, the map also shows whether Dokdo is located correctly and how Dokdo displayed in different loca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Dokdo location. It can be seen through the status survey. Of the foreign maps depicting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on the map of Japan, "Dokdo" is all drawn in "Ulleungdo". It is said that there is also a way to fold Dokdo inside or below Ulleungdo on an old map of Korea. Foreigners at the time, who did not know how to fold the map in this way, displayed Dokdo on the left side of Ulleungdo in order to imitate the name of a place in the detailed part of Korean map Gangwon-do. The point is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Dokdo cannot be see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point of the cartographer and at that time the geographical and oceanographic aspects. These map status surveys are important materials and are seen as evidence in that they have taught us the well-known fact that there were two large islands in the East S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clear facts that they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nearby sea of Ulleungdo and Dokdo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모델-영남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The Education about Dokdo as one among previous measures for ensuring Dokdo dominium, is very important for us. In this paper, the goal is looking for the model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law school of Yeungnam Univ. On the premise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followings. First, section ‘Ⅱ’ recapitulates a present conditions of education about Dokdo in Yeungnam Univ. and local universities in Kyeongbuk province. Second, section ‘Ⅲ’ analyzes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Dokdo in Yeungnam Univ.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ird, section ‘Ⅳ’ suggests the effective model of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And for the last, section 'Ⅴ’ proposes the ways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substituted by the conclusion. In light of the examinations and analyses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conclusions as followings. First, th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is very important to grow up legal specialist about Dokdo. Second, it should be confirmed the scheme that education about Dokdo must be taught from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law school step by step. Third, it needs to grow up specialist under a long-term plan who is well versed in Dokdo problems. Fourth, our nation and local government having heavy responsibility should be done a more affirmative education about Dokdo. Fifth, Korea and Japan should consistently discuss Dokdo problems among establishing Joint Research Council about Dokdo between two nations as civilian organization. Last, emphasizing that the best way to keep Dokdo as our territory depends on the love and concerns to Dokdo to our people. 독도교육은 독도의 영유권확보를 위한 선결적 수단 가운데 하나로서, 그 중요성은 따로 강조하지 않더라도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지난 3년 동안의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찾는데 목표가 있다. 이러한 목표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영남대학교를 비롯한 지역대학에서의 독도교육의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영남대학교에서 수행해온 독도교육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구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도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은 독도 관련 법률전문가의 양성 및 국가의 전략적 차원에서의 기여라는 점에서 크게 환영할 일이라는 점이다. 둘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독도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중・고교에서의 독도교육과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독도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양성프로그램이 요청된다는 점이다. 넷째 독도교육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가칭 ‘독도교육공동연구회’와 같은 민간 주도의 위원회를 설치하여,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틀 속에서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독도에 관한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지속된다면, 독도는 ‘아름다운 금수강산’으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 KCI등재

        독도연구의 기본방향 제의

        김명기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7 독도연구 Vol.- No.22

        The basic direction of Dokdo study can be different for each academic field of scholars participating in Dokdo research, and it may be different for scholars belonging to specific academic fields. Therefore, the basic direction of Dokdo study that the author suggest here, is defined as the basic direction of comprehensive Dokdo studi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transcends the fields of study and disciplines of individual scholars and experts, and beyond the purpose of establishing of each independent research institute. However, this suggestion or presentation of the basic direction of Dokdo research in Korea is eventually linked to the national task, and it goes beyond the scope of Dokdo Institute Yeungnam University as a private research institute. Therefore, the author intends to express his simple feelings while having studied Dokdo, rather than presenting the basic direction of Dokdo study. The author also hopes that this will be a reference for the future directions of Dokdo research in Korea. The author acknowledge that he himself can be criticized for having a bias in international law because the author’s major is international law. However, it is the author's sincerest desire to recommend Dokdo research scholars other than thos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law, especially historians, to study Dokdo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ational law. In the following, as preliminary studies to suggest, will be discussed ‘the relation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history in Dokdo research’, ‘the sources of international law’, ‘the replacement of historical title by modern International law’, ‘Maps as Evidence’, and ‘the principle of contiguity’. In addition,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promotion and dissemination of Dokdo research results’, and ‘specialization of researches of Dokdo institute’ will be proposed by the author. Finally, the necess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Dokdo and the necessity of popularization of Dokdo study results will be hopefully proposed. 독도연구의 기본방향은 독도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학자의 학문분야마다 다를 수 있고, 또 특정학술분야에 소속되어 있는 학자마다 다를 수 있다고 본다. 더 나아가 독도연구소마다 각기 다른 연구방향이 제시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여기서 저자가 의미하는 독도연구의 기본방향은 개별 학자와 전문가의 전공분야와 학문분야를 초월해서, 각 독자연구소의 설립목적을 초월해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의 입장에서 포괄적, 총체적인 독도연구의 기본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렇게 하면 독도연구의 기본방향의 제시는 국가의 과제에 속하는 것이 되고, 민간 대학 연구소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범위를 넘게 된다. 따라서 저자는 독도연구의 기본방향을 제시한다기보다 그간 독도를 연구하면서 느낀 소박한 소감을 토로하여 향후 한국의 독도연구의 기본방향 제시에 미호의 참고가 되었으면 하는 과욕을 가져본다. 저자는 국제법 전공자이므로 결국 이 소감의 토로도 국제법의 영역에서의 편파적 소감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자인한다. 그러나 국제법학자 이외의 독도연구학자, 특히 사학자에게 친국제법 연구를 권고해 보려는 것이 저자의 솔직한 심정이다. 이하 선제적 연구로 “독도연구에서 국제법과 사학의 관계”, “국제법의 법원”, “역사적 권원의 대체”, “지도의 증명력” 그리고 “지리적 접근론”에 관해 논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연구방법상의 제의에서 “학제연구”, “연구결과의 보급” 그리고 “독도연구소의 특성화연구”에 관해 논술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독도에 대한 학제 연구의 필요성과 독도연구 결과의 대중화 필요성을 제의해 본다.

      • KCI등재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방문과 보도 경향 분석 :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를 중심으로

        김병우(Byungwoo Kim)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3 독도연구 Vol.- No.15

        한국정부는 한·일간 독도영유권 논쟁에 대해 종지부를 찍었지만, 일본은 매년 방위백서를 발간하면서 독도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종래 한국정부는 ‘조용한 외교’를 기조로 하여 강경책과 유화책을 병행하면서 일본과의 관계를 유지해 왔다. 그러면서 독도의 배타적 영유 권에 대한 특별한 가시적 조치를 취하지는 않았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광복절을 5일 앞둔 2012년 8월 10일 전격적으로 독도를 방문해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독도에서 ‘독도는 우리땅’임을 천명하여 독도의 실효적 지배 강화를 위한 강한 의지를 보였고,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정치적 행위가 국익을 위해, 독도의 배타적 지배를 위해 절실한 것이었는가 하는 점을 중심으로 대통령의 독도방문을 바라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본고는 영남지방의 대표 신문인 ≪매일신문≫과 ≪영남일보≫를 대상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의 독도방문에 대한 기사의 보도 유형을 분석했다. 이 과정에서 독도방문의 배경과 저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일왕사관 발언 등 쟁점별 보도 경향을 분석한 것은 언론의 취재와 기사 작성, 그리고 저널리즘의 사명감 등을 동시에 파악하려는 목적이었다. 양 신문은 지방신문이라는 동질성이 있는 반면에 각기 고유성과 정체성이 있었다. 독도 관련 기사를 정치적 성격으로 배열하고 보도하는 경향과 기사의 수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대통령의 독도방문에 대해 환영일색의 보도를 유지하면서도 그 한계와 문제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매일신문≫보다 ≪영남일보≫가 상대적으로 중립과 부정적 입장을 보였다. ≪매일신문≫이 ≪영남일보≫에 비해 연합뉴스 기사가 적은 것은 기사의 재생산 문제와 관련이 있었다. 일왕사과발언과 위안부 등 역사인식의 기사 보도에서도 일방적인 긍정과 중립적 입장의 상대적 차별성이 있었으며, 영남지역민들의 반응을 보도하는 면에서도 이러한 점은 드러났다. 양 신문은 지방신문으로서 가지는 공통된 입장과 신문사 고유의 정체성을 드러내면서도 대구경북지역민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면서 언론의 역할을 다하고자 했다.

      • KCI등재

        「太政官指令」 付図 「磯竹島略図」発見の経緯とその意義」

        漆崎英之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3 독도연구 Vol.- No.14

        1. ?태정관지령? 부속 지도 ?기죽도약도? 발견 경위 2005년 3월 대신대학에서 일본의 한반도 침략 죄에 대한 설교를 계기로 나는 독도 문제와 관련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어느 날 “죽도 외 1도 건에 대해서는 일본과 관계가 없다는 것을 명심할 것”이라고 하는 태정관(太政官) 지령이 원본에서는 붉은 글씨로 되어 있는 한 문장을 만났습니다. 붉은 글씨를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고 그 의미를 알고 싶다는 생각에서 원본의 개시 신청을 하고 동년 5월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원본에는 ?기죽도약도(磯竹島略圖)?(울릉도 약도)로 쓰인 작은 봉투 안에 접혀진 한 장의 부도(付圖)가 담겨져 있었습니다. 그것이 ?기죽도약도?였습니다. 펼쳐 보고 더욱 놀랐습니다. 부도 오른쪽 상단에도 ?기죽도약도?라고 기록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죽도(울릉도)와 함께 송도(독도)가 그려져 있던 것입니다. 2006년 5월 고신대학 강연에서 제시한 공문록 및 ?기죽도약도?에 대해 6월 7일 부산 MBC 문화방송이 처음으로 텔레비전 방송에서 공개하였습니다. 독도연구자인 박병섭 선생도 “지금까지 본 적이 없는 사료이다”라고 말씀하시고 즉시 인터넷상에 공개하였습니다. ?기죽도약도?의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인터넷상과 서적(『다케시마=독도논쟁』?內藤正中?박병섭, 2007년, 新幹社)에 공개한 것은 박병섭 선생님이 처음이었습니다. 2. ?태정관지령? 부속지도 ?기죽도약도?의 의의 ?기죽도약도?가 발견되기 전부터 공문록 사료를 진지하게 마주 한 연구자들은 ‘외 1도’ 가 송도(독도)라고 하는 바른 결론을 당연히 내리고 있었습니다. ?기죽도약도?는 이러한 연구자들의 연구의 결과가 옳았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습니다. 박병섭 선생님이 “?공문록?에 쓰여진 외 1도인 송도(松島)가 독도인 것은 ?공문록? 부속 ?기죽도약도?를 보면 일목연하다”(?시모죠 마사오의 논설을 분석한다?, 90쪽, ?독도연구? 제4호, 2008년, 영남대학독도연구소)고 적고 있는 대로입니다. 태정관지령을 문서사료와 함께 확인한 ?기죽도약도?에 의해서 ‘외 1도’가 어느 섬을 가리키고 있는지 판단할 수 없다고 하는 견해는 거부되었습니다. 게다가 ‘외 1도’를 공문록 그 자체로 부터 해석하는 것을 의도적으로 피해 공문록밖에서 독도 이외의 섬이라고 결론지으려고 하는 잘못된 시도와 결론도 무력화시켜버리고 말았던 것입니다. 3. 독도문제 해결의 길 독도연구의 제1인자로 거론되는 고 나이토 세이쥬(內藤正中) 선생님은 일본 외무성의 자세를 “과거의 역사와 정면에서 부터 바라보려고 하지 않고 역사의 일부를 편의주의에 따라 수박 겉핥기를 하고, 그 한편으로 자신의 주장과 맞지 않는 사실은 무시하고 고려하지 않는다”(?죽도=독도문제입문? 64쪽)고 비판하고 있었습니다. 즉, 국가가 역사로 부터 진심으로 배우고 마주보고 역사적 사실을 존중해 간다면, 독도 문제도 해결의 길을 찾아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자국의 역사에서 진심으로 배운다는 것은 국가 스스로가 그 시대의 역사에 새겨진 발자취로서 역사적 사료에 관심을 가지고 이것을 존중하는 것입니다. 국가가 과거의 잘못을 진지하게 응시하고 회개하는 것에 의해서 미래는 올바르게 열어 갑니다. ?기죽도약도? 등이 중요한 사료는 이것을 보는 사람이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진실로 마주 보는지 어떤지를 비추는 거울입니다. “죽도(울릉도) 외 1도(독도)는 일본의 영토가 아닌 것을 알아야 한다”고 하는 태정관지령은 확실히 오늘 일본에게 회개를 강요하는 지령인 것입니다.

      • KCI등재

        문화권력으로서의 독도-학계·언론계·교육계의 동향과 자장을 중심으로-

        조수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3 독도연구 Vol.- No.35

        본고는 2000년 이후로 시기를 한정하여 독도연구의 동향을 통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와 동북아역사재단이 양대 축을 형성하여 한국 학계의 독도연구를 선도해왔음을 분명히 했다. 이어서 신문 사설을 독해함으로써 언론계는 독도문제를 통해 우경화하는 일본을 표상하고 동시에 이를 다양한 한일 과거사와 연동시키고 있음을 드러냈으며, 또한 언론계가 독도문제를 다루는 기본적인 인식 틀은 독도는 협상의 대상도 아닐뿐더러 분쟁의 지역도 될 수 없다는 것임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초·중등학교의 독도교육을 둘러싼 교육정책을 살펴봄으로써 교육현장에는 강력한 정치적 자장이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했고, 독도교육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을 통해 점차 세분화·체계화·디지털화·문화콘텐츠 산업화되고 있으며, 그러한 움직임에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와 동북아역사재단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본고는 이 같은 고찰을 통해 독도라는 기표는 대한민국 사회의 앎·지식, 매체·문화, 일상·생활 등 구석구석의 영역에서 의미작용을 일으키며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으로 우리 영토’라는 담론과 인식을 신체화·구조화하는 문화권력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해석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Since 2000, this paper has statistically examined the trend of Dokdo research with a limited period of time, and it has been made clear that Dokdo Research Institute of Yeoungnam University and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have formed two pillars to lead the Korean academic research on Dokdo. Next, by reading newspaper editorials, this paper cleared that the media have represented Japan leaning to the right through the Dokdo issue and at the same time linked it to various Korean and Japanese past history. It also confirmed that the basic perception framework for the media to deal with the Dokdo issue is that Dokdo is neither subject to negotiation nor a disputed area. Finally, by reviewing the educational policies surrounding Dokdo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t was pointed out that a strong political magnetic field was working in the educational field. Additionally, it was discovered that Dokdo education is gradually becoming more industrialized, systematized, digitized, and cultural content through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budgets, and Dokdo Research Institute of Yeoungnam University and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are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the move.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the signifier of “Dokdo” acts meaningfully in every corner of Korean society, including knowing, knowledge, media, culture, daily Life, and acts as Cultural Power that embodies and structures the discourse and perception that “Dokdo is our territory historically, geographically, and internationally.”

      • KCI등재후보

        정부기관 산하 독도 홍보사이트의 현황과 과제

        김호동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독도연구 Vol.- No.18

        Japan MOFA constructed 14 pages of 「10 points to understand 竹島-Takeshima issue」 pamphlet at Japan MOFA homepage site from February 2008 and listed it on March 8. The Dokdo Research Institute of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which financed by Korean government listed 「10 truths about Dokdo which Japan don’t know」 pamphlet at the homepage of the Foundation to oppose Japanese action on August 14, 2008 at the time of opening, and also ‘Korea Dokdo and Marine Territory Research Center’ of Korea Maritime Institute listed the pamphlet 「Dokdo is Korea Inherent Territory」 on the homepage. Japan MOFA listed motion picture 「Takeshima」 at the homepage on December 10, 2013, also listed motion picture 「Toward the future relationship」 on March 13, 2014. listing 「Takeshima pamphlet」(10 pages,PDF), and 「leaflet: Takeshima」(2 pages, PDF) on March 2014. The subtitle of the pamphlet and leaflet was ‘To resolve the issue by legal dialogue’. The counter action to Japan MOFA of 「Takeshima」 motion picture by Korean MOFA was listing 「Beautiful territory of Korea」 motion picture which listed at thee Korean MOFA homepage on December 31, but there is no counter action until to Japanese 「Takeshima pamphlet」(10 pages, PDF), and 「leaflet: Takeshima」(2 pages, PDF) by Korean MOFA, Northeast History Foundation, and, Korea Dokdo and Marine Territory Research Center of Korea Maritime Institute. This paper decided study title as 「Present status of Dokdo publicity site of Korean government supported Dokdo research institute and the task」 to promote Korean counter action. 일본 외무성은 2008년 2월, 「竹島-다케시마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10가지 포인트」라는 14쪽 분량의 팸플릿을 만들어 3월 8일부터 외무성 홈페이지에 게시하였다. 거기에 대응해 정부출연기관인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가 2008년 8월 14일에 개소한 직후 「일본이 모르는 10가지 독도의 진실」 팸플릿을 만들어 홈페이지에 게시하였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독도·해양영토연구센터’도 「독도는 대한민국의 고유영토입니다」 팸플릿을 만들어 홈페이지에 게시하였다. 일본 외무성의 경우 「다케시마」 동영상을 2013년 12월 10일에 외무성 홈페이지에 게시하였고, 2014년 3월 13일에 「미래지향적인 일한 관계를 지향하며」 동영상을 홈페이지에 게시하였다. 그리고 2014년 3월, 「다케시마 팸플릿」(10페이지, PDF), 「전단: 다케시마」(2페이지, PDF)를 게시하였다. 팸플릿과 전단의 副題는 ‘법과 대화를 통한 해결을 지향하며’로 정했다. 일본 외무성의 「다케시마」 동영상 대한 대응은 외교부에서 「대한민국의 아름다운 영토」 동영상을 만들어 2013년 12월 31일에 외교부 홈페이지에 게시하였지만, 외교부와 정부출연기관인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연구소,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독도·해양영토연구센터의 경우 전단과 팸플릿에 대한 대응은 지금까지 없다. 그것을 촉구하기 위해 제목을「정부기관 산하 독도 홍보사이트의 현황과 과제」로 잡았다.

      • KCI등재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 대학생의 독도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강경리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2 독도연구 Vol.- No.3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development plan for Dokdo education in university education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okdo education.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with 17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A University. The results are in terms of educational goals, the balance of the territorial education values through the objective education and the expansion of the territorial education values through th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erms of the curriculum, the balance of the Dokdo education field through a step-by-step curriculum and the integration of the Dokdo education field through the convergence curriculum;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s, the balance the scope of Dokdo education throug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Dokdo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cutting-edge media; in terms of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e systematization of the Dokdo education infra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linked to Dokdo education and the specialization of the Dokdo education infrastructur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ized system of Dokdo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독도교육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바탕으로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인 성찰일지 작성하기와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교육의 독도교육 발전 방안은 교육목표 측면에서 객관적 교육을 통한 영토교육 가치의 균형과 세계 시민교육을 통한 영토교육 가치의 확장, 교육과정 측면에서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한 독도교육 영역의 균형과 융‧복합 교육과정을 통한 독도교육 영역의 통합, 교육방법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통한 독도교육 범위의 균형과 첨단매체 활용을 통한 독도교육 범위의 확대, 교육인프라 측면에서 독도교육 연계시스템을 통한 독도교육 인프라의 체계화와 독도교육 전문시스템을 통한 독도교육 인프라의 전문화로 나타났다.

      • KCI등재

        "죽도 영유권 분쟁의 초점 - 국제법의 견지에서(塚本孝) -" 비판

        정갑용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2 독도연구 Vol.- No.12

        쓰카모토 다카시(塚本 孝)가 일본의 ‘竹島問題硏究會’가 2007년에 간행한 「竹島問題に關すゐ調査硏究新告書」에서 주장하는 바는, 근대에 들어서 독도를 일본영토로서 취급하여 다른 나라가 이를 다투지 않았으므로 일본의 영유권이 인정된다는 것이며, 일본이 독도 인근해역에서 어업을 실시하고 지도를 작성되는 등 독도에 대해 역사적 권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SCAPIN No.677와 SCAPIN No.1033 영유권의 최종적 귀속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므로 독도영유권에 관하여 효력이 없고 1951년 샌프란시스코조약에서 독도를 대한민국에 반환한다는 규정이 없으므로 독도가 일본영토라 남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와 같은 쓰카모토 다카시(塚本 孝)가 주장에 대한 비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이 주장하는 독도에 대한 역사적 권원은 근거가 없으며 오히려 일본의 자료나 사료가 독도영유권이 대한민국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영토로서의 인식하고 취급한 것이 확실하지 않고 장래 이 역사적 권원이 근대 국제법상의 권원에 의해 보강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근대 이전에 일본이 독도를 자국의 영토로 인식하지 않았다는 점을 인정하는 매우 솔직한 견해라고 본다. 셋째, SCAPIN No.677이나 SCAPIN No.1033은 독도를 일본의 행정권에서 제외하고 있는데, 이들 문서는 독도영유권이 대한민국에 속한다는 객관적인 정황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1951년 샌프란시스코조약에서 일본이 독도를 자국영토라는 규정을 명백하게 규정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이후에 1965년 한일기본협약에서도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점을 인정받지 못하였으므로 결과적으로 독도가 대한민국의 영토라는 점을 승인한 셈이 된다. 결론적으로, 쓰카모토 다카시(塚本 孝)의 주장은 객관성, 합리성 및 과학성이 결여하고 있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