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도은,이태우,최재목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Dokdo-related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Hub for Dokdo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its status of Dokdo Institute of Yeungnam University. Since the 18th century, The old maps of Korea(Joseon Dynasty) have shown that "Dokdo" is located on the right side(East) or left side(West), bottom side(South) or up side(North) of Ulleungdo, especially a part of map of Gangwon-d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southwest) and lower right (southeast). Next, the map also shows whether Dokdo is located correctly and how Dokdo displayed in different loca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Dokdo location. It can be seen through the status survey. Of the foreign maps depicting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on the map of Japan, "Dokdo" is all drawn in "Ulleungdo". It is said that there is also a way to fold Dokdo inside or below Ulleungdo on an old map of Korea. Foreigners at the time, who did not know how to fold the map in this way, displayed Dokdo on the left side of Ulleungdo in order to imitate the name of a place in the detailed part of Korean map Gangwon-do. The point is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Dokdo cannot be see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point of the cartographer and at that time the geographical and oceanographic aspects. These map status surveys are important materials and are seen as evidence in that they have taught us the well-known fact that there were two large islands in the East S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clear facts that they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nearby sea of Ulleungdo and Dokdo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모델-영남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호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The Education about Dokdo as one among previous measures for ensuring Dokdo dominium, is very important for us. In this paper, the goal is looking for the model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law school of Yeungnam Univ. On the premise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followings. First, section ‘Ⅱ’ recapitulates a present conditions of education about Dokdo in Yeungnam Univ. and local universities in Kyeongbuk province. Second, section ‘Ⅲ’ analyzes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Dokdo in Yeungnam Univ.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Third, section ‘Ⅳ’ suggests the effective model of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And for the last, section 'Ⅴ’ proposes the ways for effectiv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substituted by the conclusion. In light of the examinations and analyses as mentioned above, this paper will present the conclusions as followings. First, the education about Dokdo as law school course is very important to grow up legal specialist about Dokdo. Second, it should be confirmed the scheme that education about Dokdo must be taught from prim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to law school step by step. Third, it needs to grow up specialist under a long-term plan who is well versed in Dokdo problems. Fourth, our nation and local government having heavy responsibility should be done a more affirmative education about Dokdo. Fifth, Korea and Japan should consistently discuss Dokdo problems among establishing Joint Research Council about Dokdo between two nations as civilian organization. Last, emphasizing that the best way to keep Dokdo as our territory depends on the love and concerns to Dokdo to our people. 독도교육은 독도의 영유권확보를 위한 선결적 수단 가운데 하나로서, 그 중요성은 따로 강조하지 않더라도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지난 3년 동안의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의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찾는데 목표가 있다. 이러한 목표 하에서, 본 논문에서는 아래의 몇 가지 측면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영남대학교를 비롯한 지역대학에서의 독도교육의 현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둘째 영남대학교에서 수행해온 독도교육의 내용을 검토하고, 그 한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가장 효과적인 독도교육의 모델을 구하고자 한다. 끝으로 결론에 갈음하여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생을 대상으로 한 독도교육의 나아갈 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이상과 같은 검토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의 독도교육은 독도 관련 법률전문가의 양성 및 국가의 전략적 차원에서의 기여라는 점에서 크게 환영할 일이라는 점이다. 둘째 법학전문대학원에서 독도교육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초・중・고교에서의 독도교육과 연계성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교육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독도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문가양성프로그램이 요청된다는 점이다. 넷째 독도교육을 위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다섯째 가칭 ‘독도교육공동연구회’와 같은 민간 주도의 위원회를 설치하여,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틀 속에서 관련 논의를 지속적으로 이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독도에 관한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지속된다면, 독도는 ‘아름다운 금수강산’으로 영원히 남을 것이다. 국민의 사랑과 관심이 필요한 때이다.

      • KCI등재

        『녀창가요록』서명 고찰 -영남대학교 도남문고본을 중심으로-

        남경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4 No.-

        This is to introduce 『Nyeochangga yorok』housed in Donam library of Youngnam University and considering the correct title of 『Nyeochangga yorok』 by finding he chronological position of 『Nyeochangga yorok』 in ‘Donam mungobon’. By this time, the different versions of 『Nyeochangga yorok』 that were introduced to the academic world were ‘Dongyang mungobon’, ‘Lehyegubon’ as well as ‘Donam mungobon’. There are differing opinions about previous copies, the transcription eras and writing variety based on different versions. These opinions insist that ‘Dongyang mungobon,’ that is assumed to have been transcribed in 1870, is the most complete previous copy, so the different versions of 『Nyeochanggayorok』deem that the manuscript copied the previous version, ‘Dongyangmungobon’. However, as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review between ‘Dongyangmungobon’ and other copies, it come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by reviewing the presentation of melody names and copy ways of lyrics, it concludes that 『Nyeochangga yorok』 in ‘Donam mungobon’ is not the copy of ‘Dongyang mungobon’. Second, 『Nyeochangga yorok』 in ‘Donam mungobon’ and 『Nyeochangga yorok』 in ‘Dongyang mungobon’ are assumed to not be the original copy of one another, but are copied by time, or regional difference, or in other types not including the book. Third, it is assumed that the transcription era of 『Nyeochang gayorok』 in ‘Donam mungobon’ is in an earlier period than ‘Dongyang mungobon’ or ‘Leehyegubon’. Fourth, the book should be titled 『Nyeochangga yorok』 for the following reasons;(1) The copied melodies as well as song title are recorded all in pure Hangul. (2) In spite of containing the same contents, the titles of copies do not correspond to one another. (3) On the other hand, all of the titles of the first page of the different versions’ are 『Nyeochangga yorok』. Fifth, the meaning of 『Nyeochangga yorok』is the Yeochangga(女唱歌) was pulled together and written, therefore ‘Nyeochangga yorok(女唱歌要錄)’ named in Chinese characters, is the correct title. Sixth, 『Nyeochangga yorok』contains ‘Yeochangga(女唱歌)’ separately which were in the various collections of songs at that time, so it is named in the same meaning of ‘Yeochangyuchwi(女唱類聚)’, ‘Yeochangjil(女唱秩)’. 이 글은 영남대학교 도남문고에 소장된 순한글 필사본 『녀창가요록』을 소개하고, 이 필사본의 바른 서명을 고찰함과 동시에 이 서명이 의미하는 바를 밝혀 보고자 한 것이다. 지금까지 학계에 소개된 『녀창가요록』 이본에는 ‘도남문고본’ 이외에 ‘동양문고본’, ‘이혜구본’ 등이 있다. 이들 이본들을 바탕으로 선본(先本) 및 필사 연대, 그리고 창작 형태에 대한 이견들이 분분하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흥미로운 것은 『녀창가요록』의 서명을 다양하게 명명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책의 표지 서명이 ‘도남문고본’에서는 『女唱歌謠錄』, ‘동양문고본’에서는 『女唱歌要錄』, ‘이혜구본’에서는 『녀창가요록』으로 책마다 다르게 표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 영남대학교 ‘도남문고본’과 다른 이본들을 비교,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곡조의 명칭 제시법과 수록된 가사의 필사 방식 등을 국어학적 측면과 서지학적 측면에서 검토해 볼 때 영남대학교 ‘도남문고본’ 『녀창가요록』은 ‘동양문고본’을 그대로 필사한 복사본이 아니다. 둘째, ‘도남문고본’ 『녀창가요록』과 ‘동양문고본’ 『녀창가요록』은 어느 한 이본이 다른 이본의 저본이 된 것이 아니라 다소의 시간 차, 혹은 지역 차를 두어 필사되었거나, 이전에 내려오던 책을 베껴 쓴 것이 아니라 다른 방법(청취 기록)으로 내용을 필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도남문고본’ 『녀창가요록』의 필사 연대는 필사연대가 기록되어 있는 ‘동양문고본’이나 ‘이혜구본’보다 필사 시기는 이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 볼 때 서지학적 측면에서 서명은 『녀창가요록』이라고 명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필사된 가곡들은 가사뿐만 아니라 곡목까지도 모두 순한글로 표기하고 있다는 점(2) 동일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본들의 표제명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점(3) 이에 반해 모든 이본들의 권수제가 공통적으로 『녀창가요록』이라는 점다섯째, 『녀창가요록』은 당시 여러 가지 가곡집에 실려 있던 ‘여창가(女唱歌)’ 가운데 필사자의 구미에 맞는 곡만 따로 모아 수록한 ‘가집 모음집’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KCI등재

        19세기 영남유림의 사상적 동향

        권오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8 민족문화논총 Vol.70 No.-

        In the 19th century of the Yeongnam Academia, researches and academic activities of Confucian scholars were animated.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Yoo Bum-Hew(柳範休), Yoo Chi-Myoung(柳致明) and others stood firmly to the Ihak(理學), developed by Lee Hwang(李滉), and held large-scale lectures at the Gosansungsa(高山精舍) and the Hogaesuwon (虎溪書院) to discuss about the Ihak. In addition, the Ohsandang(吾山堂) meeting led by Lee Han-Ong (李漢膺)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also helped strengthening of the solidarity of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through lectures and sermons about the Ihak. Through these types of gatherings and lectures, even til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considered the theory of Igisimsungron(理氣心性論) by Lee Hwang(李滉) as their ideological foundation and develop academic discussions on various subjects upon it. From the oriental orientation of Confucian scholars of Yenognam in the 19th century, 1860s is a period of time to be noted. Choi Jae-Woo(崔濟愚) commenced the Donghak in 1860 and Lee Jin-Sang(李震相) announced the theory of Simjeukri(心卽理說) in 1861. The fact that Donghak was strongly advocated by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Academia in the 19th century is truly interesting. Above all, the most remarkable ideological events in Confucian scolars of Yeungnam Academia was that the Lee Hwang’s Ihak was newly interpreted in the theory of Simjeukri. Of course, there were several academic lines, of Yoo Chi-Myoung and Kimg Hong-Rak, who were trying to preserve Lee Hwang’s theory of Igihobalsul as it was, but amid the time of crisis, they could no longer hold fast only to Lee Hwang’s academic theories. Lee Jin-Sang’s theory of Simjeukri was devised in hopes of fighting off of critiques of scholars of Seohak(西學, western learning) on the theory of Simjeukgi of the semiotics school. However, the theory of Simjeukri was stigmatized as heresy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since it was claimed that this theory run counter to Lee Hwang’s theory, but in 1916, Dosanseowon Confucian Academy acknowledge it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Lee Hwang’s Ihak. In the 19th century, in Yeungnam,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enlightenment did gain almost no popularity. Rather, two academic traditions of preserving of Lee Hwang’s Ihak and newly interpreting of it were existed together. On the other hand, Ki Jung-Jin’s Ihak fromo Honam wa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theory of Simjeukri to confirm their similarities, and such similarities were acted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common front for the Chucksaundong(斥邪運動). In the Yeungnam academia of the 19th century,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School of Courtesy(禮學) developed by Heo Jun(許傳) succeeded with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Gyeonggi were transmitted to confucian scholars in Yeungnam and Woodo. With his teachings, Kim Jin-Ho(金鎭祜)⦁Noh Sang-Jik(盧相稷)⦁Lee Ik-Gu(李翊九)⦁Lee Hong-Suk(李洪錫) and many other scholars initiated the trends of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and School of Courtesy in Yeungnam after the later-half of the 19th century. As the 19th century dwindled and the 20th century began, Confucian scholars of Yeungnam rather moved forward to the patriot enlightenment movement, independence movement, or even socialism rather than cling to Lee Hwang’s Ihak. 19세기 영남학계는 유림(儒林)의 강학(講學) 활동이 활발하였다. 19세기 전반에 유범휴(柳範休)와 유치명(柳致明) 등은 이황(李滉)의 이학(理學)를 철저히 고수하면서 고산정사(高山精舍)와 호계서원(虎溪書院)에서 대규모 강회를 열고 그 이학을 강론하였다. 또한 19세기 전반에 이한응(李漢膺)이 주도한 오산당(吾山堂) 강회 역시 이학의 강론을 통해 영남유림의 결속을 다지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강회를 통하여 영남유림은 19세기 전반기까지도 이황의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고, 그러한 학문적 토대 위에서 다양한 주제에 대해 학술토론을 전개하였다. 19세기 영남유림의 사상적 지향에서 1860년대는 매우 주목해야할 시기이다. 최제우(崔濟愚)가 1860년(철종 11)에 동학(東學)을 창도하고, 이진상(李震相)은 1861년에 심즉리설(心卽理說)을 발표하였다. 특히 19세기 영남의 이학가(理學家)에서 동학(東學)이 제창되었다는 것이 흥미롭다. 무엇보다 영남유림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사상적 사건은 이진상에 의해 심즉리설이 제창되어 이황 이학(理學)을 새롭게 해석한 사실이다. 물론 이황의 이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완고하게 지키려는 유치명-김흥락(金興洛)의 학맥(學脈)이 있었지만, 이제 이황의 이학도 위기의 시대를 맞아 그 학설을 고수할 수만은 없었다. 이진상의 심즉리설은 기호학계의 심즉기설(心卽氣說)을 비판하고 밀려오는 서학(西學)의 도전을 극복하기 위해 제창된 것이었다. 그런데 심즉리설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에 이황의 학설에 배치된다고 하여 이단(異端)으로 낙인이 찍혔으나 1916년에 도산서원(陶山書院)에서 이황의 이학을 발전시킨 것으로 인정이 되었다. 19세기 영남지역은 실학(實學)이나 개화(開化)의 풍조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오히려 이황의 이학을 굳게 지키려는 학맥과 새롭게 해석하려는 두 학풍이 공존하고 있었다. 그런 반면 호남의 기정진(奇正鎭)의 이학이 들어와 이진상의 심즉리설과 같음을 확인하고 척사운동(斥邪運動)의 공동전선을 구축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로 작용하기도 하였다. 19세기 영남 학계에는 경기지역의 실학을 계승한 허전(許傳)의 실학과 예학(禮學)이 영남 우도의 학자들에게 전해졌다. 허전의 문하에서 김진호(金鎭祜)⦁노상직(盧相稷)⦁이익구(李翊九)⦁이홍석(李洪錫) 등 학자가 배출되어 19세기 후반 이후 영남에도 실학적 학풍과 예학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었다. 19세기가 저물어가고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영남유림은 이황의 이학을 지키기 보다는 이학에서 애국계몽사상이나 독립운동으로 나아가기도 하고 사회주의노선을 걷는 학자도 나타났다.

      • 영남신학대학교 신학과의 역량중심 교과과정을 위한 방안 연구

        채승희(Seong-Hee Chae) 영남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 목회 Vol.54 No.-

        This paper present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curriculum based on the concept of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The goal is to restore our Christian identity by reaffirming the Christian principles that are the basis of our ideals and inform the reassessment of our educational goals: “Love for God & Love for our Neighbors.” The question is, by what means can we best accomplish this in the modern world? It is important to focus on the Department of Theology, which has been facing a three-folded crisis: a decline in new enrollment, a loss of prestige for schools of theology in general, and a feeling of lacking cultural relevance due to the social isolation enforced during the pandemic. In the face of these difficult circumstances, we are struggling to raise the level of our school to that of a strong, if small, school of theology, to say nothing of looking beyond that!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current philosophy and structure of YTUS, its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of the Department of Theology in particular. Included is a modified vision and goals statement for the Dept. of Theology which is consistent with goal of changing the environment of education. This alternative is focused on core competencies, which are divided them into three main categories: religion, community and professionalism. Each of these includes pertinent competencies: spirituality, morality, values and attitude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creativity and international competencies. The general approach to including core competencies in the Dept. of Theology will be to incorporate research-based best practices in both regular courses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produce an up-to-date educational system. One more task that a Christian university should attend to is to adjust to the age of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Integrating digital technologies into theological education will help to update our methods of education. Modernizing both the equipment and the systems to accustom students to the digital environment is both important and necessary if not only we but more importantly they are to remain competitive in the world of the future.

      • KCI등재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연구 - 자료의 實相과 復原을 중심으로 -

        정우영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8 No.-

        This paper conducted researches on three viewpoints in regard to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嶺南大本) of Balsimsuhaengjang (發心修行章). Chapter two of this paper reviews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contents of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嶺南大本). Chapter three compares and contrasts Songgwangsa Edition (松廣寺板) with Seobongsa Edition (瑞峯寺板) to highlight the latter’s status and significance as materials for the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Both Editions are Korean annotations of the Buddhistic classics that exhibit the geographical use of Sino-Koream pronunciation about the year 1580. The study of the former shows that palatalization was distributed in Suncheon(順天) areas of Jeolla Province. The examination of the latter reveals that it was not distributed whatsoever in Yongin(龍仁) of Gyeonggi Province and the central dialect. Chapter four addresses some problems in restoring missing or damaged pages in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by examining the present situations of it and Tokyo University collection of Seobongsa Edition. We proposed some principles of reconstructing and restoring it from the standpoint of Korean linguistics and bibliography, and used computer graphic techniques to restore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of Balsimsuhaengjang and Chobalsimjagyeongmun (初發心自警文) in Seobongsa Edition. In conclusion, the paper has made some important contributions to restoring and providing original images of Yeungnam University collection of Balsimsuhaengjang of Seobongsa Edition and the 1583 version of Seobongsa Edition that has not been released to the academic circles. 이 글에서는 嶺南大本 『發心修行章』을 중심으로, 주로 세 가지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2장에서는 우리나라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영남대본 『發心修行章』의 書誌의 특징과 구성 내용 등을 개관하였다. 제3장에서는 松廣寺板(1577)과 瑞峯寺板(1583)의 상호 비교・대조를 통해 서봉사판의 구체적 實相과 국어사자료로서의 位相을 밝혔다. 이 두 판본은 1580년을 전후하여 한국한자음의 지역적 분포를 보여주는 佛典諺解 자료이다. 송광사판을 통해서는 전라도 순천 지역에 구개음화가 확산되어 있음을, 서봉사판을 통해서는 경기도 용인 및 중앙방언에서 구개음화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제4장에서는 영남대본 『發心修行章』에서 훼손되거나 낙장된 여러 張을 복원하기 위하여 일본 東京大本과 함께 실태를 조사하여 여러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국어학・서지학적 관점에서 再構・復原 원칙을 수립하였으며, 컴퓨터그래픽 기술로 영남대본 『發心修行章』과 서봉사판 원간본 『初發心自警文』을 復原하였다. 이 글은 그동안 학계에 공개되지 않았던 영남대본 『發心修行章』 및 1583년의 서봉사판 원간본의 전체를 복원함으로써 학계에 원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 KCI등재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동빈문고 소장 구결 자료에 대하여

        남경란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1 No.-

        This study aims to closely review literature on Gugyeol housed at the central library, Dongbin Library, at Yeoungnam University; 「Geumganggyeong -gaecheong」, 「Daehye-bogak-seonsaseo」, 「Myobeob-yeonhwa-gyeong」, 「Buljo- yeokdae-tongjae」, 「Yukjodaesa-beopbodangyeong」, 「Chimun- gyeonghun」 and analyze the Gugyeol letter types and combined patterns foun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helps to prove the features of Gugyeol literature housed at the central library, Dongbin Library, at Yeoungnam Univer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number of Gugyeol letter type found in Gugyeol literature housed in Dongbin Library is 55 letter types in 「Geumganggyeong-gaecheong」, 54 letter types in 「Daehye-bogak-seonsaseo」, 78 letter types 「Myobeob- yeonhwa-gyeong」, 56 letter types in 「Buljo-yeokdae-tongjae」, 62 letter types in 「Yukjodaesa-beopbodangyeong」, 61 letter types in 「Chimun-gyeonghun」. Second, the number of combined patterns showed in Gugyeol literature housed in Dongbin Library is 126 combined patterns in 「Geumgang gyeong-gaecheong」, 266 combined patterns in 「Daehyebogakseonsaseo」, 806 combined patterns in 「Myobeob-yeonhwa-gyeong」, 111 combined patterns in 「Buljo-yeokdae-tongjae」, 201 combined patterns in 「Yukjo daesa- beopbodangyeong」, 295 combined patterns in 「Chimun-gyeonghun」. Third, Gugyeol types showed in each literature are divided into five types and analyzed;(1) basic letter and abbreviations used together (2) different letter types by parts which follow in the same basic letter, (3) the abbreviations of the same basic letter which turns into the various different types, (4) written in more than two different types marked in the same sound, (5) the shapes of the letter type are the same, but the different marked sound with the basic letter. Fourth, the omitted letter types in the existing discussion and joint form were found out 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literature. Fifth, this described the features of Gugyeol literature housed in Dongbin Library. 이 글은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동빈문고에 소장된 구결 문헌 「금강경계청」, 「대혜보각선사서」, 「묘법연화경」, 「불조역대통재」, 「육조대사법보단경」, 「치문경훈」을 면밀히 검토하여 문헌에 기입된 구결 자형과 결합유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동빈문고에 소장되어 있는 구결 문헌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동빈문고 소장 구결 문헌에 기입된 구결의 자형 개수는 「금강경계청」이 55개, 「대혜보각선사서」가 54개, 「묘법연화경」이 78개, 「불조역대통재」가 56개, 「육조법보단경」이 62개, 「치문경훈」이 61개였으며, 결합유형의 개수는 「금강경계청」이 126개, 「대혜보각선사서」가 266개, 「묘법연화경」이 806개, 「불조역대통재」가 111개, 「육조대사법보단경」이 201개, 「치문경훈」이 295개였다.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외래환자에 대한 약물처방 동향의 분석

        이광윤,김원준,김승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8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 No.1

        대구 및 그 인접지역의 질병 발생 경향을 추정하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의 약제수급 계획을 위한 참고자료를 얻기 위하여 1985년 3월부터 동년 8월까지 당 병원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을 위하여 내려진 약물 처방을 전산 집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장 빈번히 처방된 약물로 부터 100종의 약물을 처방빈도 순으로 나열하였던 바, diazepam, aluminum compound, acetaminophen, isoniazid,metoclopramide,?????????, carboxymethylcystien, ephedrine, codeine, caroverine(이하 생략)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같이 선정된 100종의 약물을 임상용도별로 분류하여 총 처방회수 521,855회에 대한 백분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추신경계약물(20.57%)이 가장 많았고, 다음은 위장관 및 평활근에 작용하는 약물(18.64%), 호흡기계약물(16.11%), 항균제(15.12%), 심혈관계약물(5.64%)의 순으로 많았으며, 그 다음은 소염제(4.33%), 단독비타민제(3.76%), 호르몬 및 항호르몬제(3.29%), 감기치료제(3.12%), 이뇨제(2.81%), 간기능이상치료제(2.02%), 자율신경계약물(1.89%), 항히스타민제(1.02%) 및 소독약(0.7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report offers descriptive data about the drugs utilized in out patient department (OPD)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YUH) in the period of march to august in 1985. The data in this report were produced by the computerized totalization of the number of mentions of individual drugs included in the prescriptions. The 100 drug entries that were most frequently recorded are listed in rank order. The listing is arbiturarily restricted to the drugs that were prescribed as single preparations, the drugs of basis of compound preparations and the drugs of adjuvent or corrective of compound preparations that have significant therapeutic effects-either by generic names. And in addition, the listing also involves the compound preparations used in relatively large frequency, and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which have the unique pharmacologial actions each other by proprietary names. And all routes of administrations were allowed. The 10 drugs most frequently named are diazepam, aluminum compounds, acetaminophen, isoniazid, metoclopramide, ?????????, carboxymethylcystein, ephedrine, codeine and caroverine in order. The 521, 855 drug mentions listed as above are described by the chief therapeutic usage that each is intended to apply generally. The drugs which account the largest proportion of total mentions were those acti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20.57%), including tranquillizers and sedative hypnotics(11.71%), analgesic antipyretics(5.55%), antidepressants(2.15%) etc. Gastrointestinal drugs and smooth muscle preparations(18.64%) included antacids and anti-ulcerdrugs(9.24%), antiemetics(3.57%), spasmolytics(3.14%) and others. Respiratory drugs (16.11%) included expectorants and cough preparation(10.99%) and bronchodilators(5.12%).Cardiovascular drugs (5.64%) included cardiac drugs and coronary vasodilator(4.12%) and antihypertensives and vasodilators(1.06%). And anti-inflammatory drugs(4.33%), vitamins of single preparations (3.76%), hormones and their antagonists(3.29%), common cold preparations(3.12%), diuretics(2.81%), drugs supporting liver function(2.02%), drugs affecting autonomic nervous system(1.89%) including anti-glaucomas, atropine and cerebral vasodilators, antihistamine drugs(1.02%) and disinfectants(0.74%) were following in order. The data in this report were compared to those reported by H. Koch, et al. in United States(US), 1981 as "Drugs Most Frequently Used in Office Practice: National Ambulatory Medical Case Survey, 1981." Cardiovascular drugs prescribed in YUH were much less in proportion than in US(10.56),but gastrointestinal drugs accounted the larger proportion than in US(3.72%). Expectorants and cough preparations in YUH also accounted the larger proportion than in US(2.74%). In conclusion, in the period of march to august, 1985, OPD of YUH prescribed the CNS drugs including diazepam most frequently, and gastrointestinal, repiratory and chemotherapeutic drugs in next orders. It is supposed that the eating habits of Koreans and a unique atmospheric condition in Taegu as a basin were som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proportions of drugs acting on gastrointestinal and repiratory tracts.

      • KCI등재

        中国教育改革进程中高校教师薪酬状况及满意度研究

        진남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2014 중국과 중국학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alary status and satisfactionamong college teachers in China and to analysis differences of variousdemographic factors in college teacher’s salary satisfaction. Using data fromthe 1999 to 2011 China Labor Statistical Yearbook, this article seek toinvestigate the salary changes of college teachers after the education reformwas launched. In order to explore satisfaction among college teachers, 133data was extracted from the 2003 to 2010 China General Social Survey. The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aying level has been increasing during theresearch period. It suggested that the increasing paying level has related withChinese education reform. Second, salary satisfaction was declined from2006, in 2010 was 2.92 point out of 5 point. It suggested that as the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related pay in college, expanding incomedifferences reduced the paying satisfaction. Third, demographic factors suchas gender, age, education, major, area, administrative level, technologicallevel were not found to have any differences in salary satisfaction. Thefindings suggested that Chinese college teacher’s salary satisfaction might berelated with the interaction of multiple factors. 본 연구는 중국에서 근무하는 대학교원의 급여 현황과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중국 대학교원 근무환경의 개선 및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중국노동통계연감> 1999년부터 2011년까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중국교육개혁 실시 후, 대학교원의 급여변화를 파악하였다. 2003년, 2005년, 2006년, 2008년, 2010년 중국사회종합조사(CGSS) 조사대상 중에서 본연구목적과 부합하는 대학교원 133명을 추출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사용하였고, 변인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증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기간에는 중국 대학교원의 평균급여수준이 높아졌으며 이것은 대학교육개혁 실시와 관련이 있음을 설명한다. 둘째, 2006년 이후 중국 대학교원의 급여 만족도는 하락하여2010년에는 5점 만점에 2.92점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대학교원 성과급제실시와 함께 대학교원 간 임금격차의 확대와 관련이 있음을 설명한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급여만족도를 살펴보면 성별, 연령별,학력별, 전공별, 지역별, 행정등급별과 기능등급별 급여만족도의 차이가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중국 대학교원 급여만족도의 차이는 단일변량변인보다 다중변량 변인들간 상호작용에 의한 차이로 설명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금 중국 대학교원의 근무환경과 급여 관련 부분은 현실적으로 적당하지 못한 점을 시사한다. 중국 대학교원의 근무환경 및 급여 만족도의 개선을 위하여 부단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