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 역사학습 평가의 실태와 새로운 방향 모색 -학교 수준의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이흥열,김종훈 한국역사교육학회 2009 역사교육연구 Vol.- No.9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situation, problem and a direction of assessment for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with respect to the school level achievement test. The test score, content and format of a periodic history assessment directly affect the teachers' historic and instructional point of view, and indirectly urge students' attitude toward historical lesson as well.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the content of assessment is not based upon the curriculum, but the content of textbook. The assessment domains follows either the Bloom's texanomy of cognitive domain or the texanomy in term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such as 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The main reasons of elementary history assessment are as follows: Firstly, it analyzes the absence and fallacy of assessment of history education. Secondly, it investigates the distortion of assessment domain which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cludes history subject. The new directions of assessment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grope two folds such as the logical presentation of theoretical alternative and the examination of alternative example. First of all, it presents the theoretical alternative logic with respect to several reasons. The first alternative to understands the theory of assessment based upon history education which has opposite angle of general assessment theory. And the second alternative is to set up the assessment domains which can measure appropriately the right purpose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and the domains consist of civilian disposition based upon positive humanistic democracy. The examination of alternative example confirms the educational implication of Korean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and analyzes the assessment items related to the NAEP for U.S. History.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of elementary history education cannot be possible with only concern about assessment itself. Instead, it continuously requires the retrospective professionalism which is related to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s. Ultimately the professionalism of history teachers can blossom when it reaches the step to assess the history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학교 수준의 성취도 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초등 역사학습 평가의 실태와 원인 그리고 새로운 방향을 검토하였다. 정기고사에서의 역사 평가 내용과 형식, 그리고 점수는 초등 교사의 역사교육관 및 수업관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며, 역사학습에 대해 학생이 어떤 태도를 지니는지에 대해서도 간접적이나마 강한 영향을 준다. 초등 역사학습의 실태 분석 결과, 평가 내용은 교육과정보다는 교과서의 내용에 기초하고 있으며, 평가 영역은 블룸의 인지적 영역 분류를 따르거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 분류를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초등 역사학습 평가 문제의 원인으로 첫째, 역사학습 평가에 대한 교육의 부재와 오류를 분석하였고, 둘째, 사회과 교육과정 속에 역사 과목이 포함되어 있는 편제로 인한 평가 영역의 왜곡 문제를 검토하였다. 초등 역사학습 평가의 새로운 방향은 원론적 대안 논리 제시와 대안적 사례 검토라는 두 갈래로 모색해 보았다. 먼저 원인별로 원론적인 대안 논리를 제시하였는데, 첫 번째 대안은 일반적인 평가론의 시각을 역전하여 역사교육을 중심으로 평가론을 바라보는 것이며, 두 번째 대안은 참여적 인본 민주주의에 기초한 시민적 자질을 목표로 하면서도 초등 역사교육의 특수한 목표를 온당하게 잴 수 있는 평가 영역을 설정하는 것이었다. 대안적 사례 검토에서는 NAEP 미국사 평가 틀과 문항들을 제시하고 분석하면서 우리 초등 역사평가에 주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단순한 역사적 사실 위주의 평가, 평가를 위한 평가, 형식적 완성도에 치중한 평가, 타당도보다는 신뢰도를 확보하는 데 관심을 두는 평가 접근은 분명 개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는 평가 차원에서의 관심과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역사교육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끊임없이 반성하고 목표와 내용 및 방법을 관련짓는 성찰적 전문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학습을 평가하는 단계에 이르러 역사 교사의 전문성은 꽃을 피우게 된다.

      • KCI등재

        역사 없는 역사교육 - 갈림길 위의 역사교육학을 위한 제언 -

        임병철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This is a historiographical essay which critically reviews two recently published works. In doing so, it aims to evaluate some important arguments concerning the purpose and value of history education proposed within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The first work, The Logic of Historical Epistemology and History Educa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subjectivity inherent in history itself, contends that history education should be the socalled humanities education which teaches epistemological procedure and process of historians. Unlike this disciplinecentered perspective, the second work, History Education for the Democratic Society and Citizens, keeps an eye on the public function of education and underscores the turn of history education toward the citizen education or the education viewed from the citizen. Despite this apparent discrepancy, however, two work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each other, because they all premise a purposeful value and insist to lead students to it. In addition, both works either mythify history as a sort of the almighty key or treat it as a simple educational tool so that they run the risk of foreclosing history out of history eduction. By focusing on these problems, this study proposes to study the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이 글은 최근 서로 다른 관점에서 출판된 두 역사교육 논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의 목적과 가치와 관련되어 역사교육계에서 이루어진 중요한 논의들을 검토한 비평적 시론이다. 먼저 『역사 인식의 논리와 역사교육』은 역사 고유의 주관성에 주목하면서, 역사교육이 역사가의 인식 과정이나 절차를 가르치는 이른바 인문교육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러한 학문주의적 경향과 달리, 『민주사회와 시민을 위한 역사교육』은 교육의 공적 기능에 천착하며 시민 양성이나 시민적 관점에서 본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을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저작은 모두 특정한 ‘가치’를 전제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학생들을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점에서 크게 다르지 않다. 또한 이들은 역사를 신화화하거나 교육의 단순한 도구로 제한함으로써 자칫 역사교육에서 역사를 배제하는 위험성 또한 내포한다. 이러한 문제에 주목하면서, 본고는 우리 역사교육의 논의를 확대하고 발전시키는 방안으로서 ‘역사교육학의 역사’를 고구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역사교육연구』 게재논문의 동향과 전망

        최상훈 한국역사교육학회 2015 역사교육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한국역사교육학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인 『역사교육연구』 창간호부터 제20호까지게재된 총 143편의 글을 검토하고 동향과 전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분류 체계와 개론서를 참조하여 연구 성과를 분류할 10개의 범주를 설정하였는데, 범주별 글의 수는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21편, 역사교육과 역사학 15편,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2편,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12편, 역사교육의 교재 23편, 역사수업의 방법 22편, 역사학습의 평가 9편, 역사적 사고 14편, 한국 역사교육사 7편, 외국의 역사교육 18편. 각 범주별로 주목할 만한 글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역사교육론 일반 범주에서는 박현숙허은의 연구가 대표적이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역사교사 3명의 수업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교과서에 대한 해석 양상과 교수내용지식의 활용 방식을 규명하였다. 역사교육과 역사학 범주에서는강선주의 젠더 개념 규명과 류현종의 초등학생 역사 재현에 관한 연구가 의미 있었다. 역사교육의 목적목표 범주에서는 발표된 글이 두 편에 불과하므로 의미 있는 글을 지적하기는 어렵지만두 글에서 제안한 방안을 교육과정 집필이나 평가문항 출제에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교육의 내용교육과정 범주에서는 황지숙의 글이 돋보이는데 동아시아사가 처음 등장한상황에서 내용구성이나 학습방안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역사교육의 교재 범주에서는 천은수의 오개념 형성을 유발하는 교과서 서술 분석에 관한 글이 눈에 띄었다. 역사수업의 방법 범주에서는 이영효, 이해영, 권정애, 류현종의 글이 방법론적으로 새롭고의미 있는 성과를 제시했다고 보았다. 역사학습의 평가 범주에서는 오정현과 김미선의 글이 주목할 만하다고 보았다. 오정현은 출제과정에서 난이도와 관련해서 고려해야 할 준거를 제시하였고, 김미선은 내용타당도를 제고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학교현장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역사적 사고 범주에서는 방지원의 글이 돋보였다. 방지원은 감정이입적 역사이해에 대한 재개념화 필요성을 제기하였는데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보았다. 한국 역사교육사 범주에서는 김한종의 연구가 일제시기 교육사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국의 역사교육 범주에서는 김정인과 신주백의 일본 역사교과서 서술 관련 연구가 돋보였고, 신경희의 미국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도 의미 있는 연구라고 생각하였다. 『역사교육연구』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시의적절한 주제를 선택하거나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하여 학술대회를 꾸준히 개최해야 한다. 학술대회 발표자와 토론자도 회원에게만 한정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참여시켜야 한다. 그래야 학회의 저변이 확대되고 학회지의 내용이 풍성해질 수 있다.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질적인 성장도 필요하다. 기존 학설의 문제점을 찾아내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거나, 학교현장에 직접 참여하여 역사수업의 실체를 살펴보거나 학생들에 대한 질문지 조사나 심층면접을 통해 역사교사와 학생들의 역사인식이나 역사의식을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이와 아울러 연구 성과가 부진한 범주의 연구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tended to survey the theses in the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History Education Association and review their tendencies and prospects. In order to attain these goals I set up t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classification frames and the introduction textbooks of history education. The number of the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21),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15),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2),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12),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23), methods of history teaching(22),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9), historical thinking(14),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7), foreign history education(18). The features of significant theses by categories were as follows. In the category of general theories on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gh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is representative. This investigated the interpretation patterns about textbooks and the practicable method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s by participation observation on classes of three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ategory of history education and history, the study on gender concept and the study on history representation of primary school pupil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goals and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theses are only two, but they are worthy of being applied to curricula reforms and making questions. In the category of contents and curricula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the history of East Asia is significant because that suggested the contents organization and learning methods of the history of East Asia. In the category of teaching materials of history education, the study on sentences in textbooks leading to the misconceptions formations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methods of history teaching, the studies using new methodologies are significant. In the category of evaluations of history learning, two studies are remarkable. One suggested criteria to consider about the difficulty of items in making questions, and the other suggested the methods to raise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ategory of historical thinking, the study on reconception of the empathetic history understanding is remarkable. In the category of history of Korean history education,the study o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at Japan conquest era is significant. Lastly in the category of foreign history education, the studies on the accounts of Japan textbooks are significant, and the survey on American history teachers' historical recognitions is remarkable, too.

      • KCI등재후보

        비평논문:“이론화의덫”: 오늘날의 역사교육학에 대한 비판적 단상

        임병철 한국역사교육학회 2010 역사교육연구 Vol.- No.12

        This is a historiographical essay on the contemporary studies on history education in Korea, in particular, its sustaining concerns, problems, and academic horizon etc. By mainly focusing on two major recent works in the field,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Theory of History Education, it aims at analyzing the present state and drawbacks of history education as an academic field. It claims that one of the most damaging problems found in the field is an excessive devotion to the theorization, which causes the separation of history education from history and more harmfully runs the risk of establishing the theory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practicality. In addition, two works raise some important issues regarding the readership and the intellectuals’responsibility in the nowadays academic world.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a redirection of history education: first, the search for a new object and scope of history education; second, the pursuit of a new theory based upon historical studies; third, the change in academic conversational topic which takes the practical circumstance into consideration. 본고는 한국 역사교육학계의 화두와 학문적 지평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한 일종의 비평논문이다. 특히 최근 국내에서 출판된 두 권의 책,『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과『역사교육의 이론』의 내용과 논점을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역사교육학계의 문제점을 성찰하는 것을 본고의 목적으로 한다. 이 두 책의 논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오늘날 우리 역사교육학계의 가장 커다란 문제는 과도한 이론화의 함정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역사적 시각이 결여된 역사교육의 이론이 제시되는 한편, 이와 함께 현장과의 정합성이 고려되지 못한 구태적인 이론의 수립이 계속되어 왔다는 것이다. 아울러 임용고사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감안할 때, 이 두 책은 독자와 그에 조응하는 지식인의 책임이라는 보다 커다란 주제를 논의의 지평으로 확대시킨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지나친 이론화에 대한 경도가 역사교육에 관한 논의에서‘역사’와‘교육’을 소외시킬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이에 대한 대안으로 역사 교육의 대상과 범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 역사 내용이 뒷받침된 이론의 수립, 그리고 현장에서의 실천을 염두에 둔 학문적 화두의 제시를 제안한다.

      • KCI등재

        초등 역사교과서에 제시된 역사적 인과관계 분석

        나미란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8

        The concept of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is one of the important historical understanding or analysis tools that enable students to learn the process of forming historical knowledge beyond simply memorizing and repeating information in textbook.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how causal relationships are described in elementary history textbook. For this purpose, I reviewed kinds of causal explanations and characteristics causal explanations in historiography, and analyzed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written in elementary history textbook.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und. First, it describes the historical events has been occurred by the motives and needs of great characters like heroes. Second, both the macro-structure and of the micro-structure of the text describe a continuous linear sequence of events. Third, it presents the one of the various causes of historical events and excludes others. Fourth, the direct motivating fact was regarded as the key cause and the indirect relating fact or background as a subordinate o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elementary school history textbook, the strategies of describing the historical causal relationship in it are as follows. First, the description of historical causal relation should help children understand that events occurred as a result of interaction of two factors -historical actors and cultural/social causes. Second, it is better to present unexpected event or the force interfering with the event in the causal network, Third, we should consider not only the direct cause but also the indirect background. By classifying multiple events into core causes, history textbook can provide an activity to determin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auses. These finding have implications for describing history textbook, teaching techniques with textbook, and implementation of critical historical thinking in elementary history classrooms. 역사적 인과관계라는 개념은 학생들이 교과서에 있는 정보를 단순히 기억하고 반복하는 것 이상으로 역사지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체득할 수 있는 중요한 역사이해 또는 분석도구 중 하나이다. 이 글에서는 초등학교 역사교과서의 서술방식을 역사적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특징을 알아보고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역사학의 논의를 중심으로 원인 설명의 방식과 원인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역사교과서에서 역사적 인과관계의 서술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역사적 사건이 영웅과 같은 위대한 인물들의 동기와 욕구에 의해서 일어나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둘째, 텍스트의 거시구조와 미시구조에서 모두 일직선형의 계속적으로 사건을 나열하면서 설명하고 있다. 셋째, 역사적 사건을 초래하는 다양한 원인 가운데 한 가지 관점에 따른 원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외의 다른 관점을 제공하지 않았다. 넷째, 직접적 계기가 되는 사건은 핵심 사건으로 간접적 배경은 부수적 사건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이러한 초등학교 역사교과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역사교과서의 인과관계 서술 방향으로는 역사적 인물과 사회·문화적 구조라는 두 가지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로써 사건이 일어난 것임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서술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단선적인 원인 설명방식을 지양하고 다원적 원인들이 상호작용하는 다원인 연결망을 중심으로 나타내야 한다. 다원인 연결망 안에는 사건을 방해하는 힘이나 예기치 않은 사건까지 제시되는 것이 좋다. 셋째, 직접적 계기뿐만 아니라 간접적 배경도 함께 고려하여 제시한다. 교과서에서 여러 요인 중에서 핵심 사건을 선택하게 함으로써 원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판단하게 하는 활동을 제시할 수 있다.

      •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과 역사교육에의 적용

        신진균 한국역사교육학회 2006 역사교육연구 Vol.- No.4

        이 글은 역사교육 현장의 이론과 현장의 문제를 염두에 두면서 포스트모던 역사인식이 역사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줄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본 것이다. 과학적 역사학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소재와 역사분야를 개척함으로써 기존의 역사학에 활력을 불어넣은 포스트모던 역사학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역사는 역사가에 의해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다는 관점, 즉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을 역사학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은 우선 역사 교과서를 한 사회의 전형적인 지배담론으로 간주하고, 역사학습에서 대화와 소통이 가능한 매개물로 이용할 것을 요구한다. 또한 교사와 학생으로 하여금 역사지식의 생산자 내지는 능동적인 구성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역사학습에서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을 잘 드러내고 교사와 학생의 능동적 역사구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내러티브의 활용을 통한 역사하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한 실제 수업 방안으로 배움책 활용 수업과 극화 학습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역사 글쓰기나 예술의 형태를 통한 역사표현과 같은 수행평가를 통해서도 역사학의 구성적 특성이 반영된 역사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post-modern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consider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actical dilemma of history education. In post-modern history, which questioned on the fundamentals of scientific history and suggested new explorative topics and areas, the most noticeable point is that the history is "constricted", not discovered by historians. This means admitting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as a peculiar characteristic of history. In the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 history, first of all, history textbooks are regarded as not only a typical dominant discourse of a society but also a medium for intercourse and communication occurring in the process of history learning. Also, teachers and students actively produce historical knowledge and construct it with their own interpretation. In order to encourage those active participation within classrooms, it is necessary to utilize Narrative. For this, this article suggested to make use of workbook and roll-play in classrooms. In addition, performance assesment such as writing history or representing history on the form of art were suggested as another way to carry out history education within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후보

        한일 상호 이해를 위한 역사교육연구의 새로운 경향 -한일 역사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카마타 사토시 한국역사교육학회 2008 역사교육연구 Vol.- No.7

        이 논문은 일본과 한국 역사교육 담당교사의 역사인식과 역사의식,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한일 상호이해롤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점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시험성적을 더 의식해서, 역사적 사실을 기억시키는 학습을 중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들이 역사의 특성이나 역사를 배우는 의의를 중시하는 역사수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조사 연구의 결과와 카마다의 선행 연구의 결과(한국의 중학생이 역사 용어를 더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 등)에서, 한국의 역사교육은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이해시키면서, 역사 용어를 알게하는 것도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일본의 역사교육 담당교사는 역사를 배우는 의의나 의미를 학생들에게 이해시키려고 하면서도, 눈앞에 닥친 시험의 압력 때문에 역사 수업의 내용과 방법에서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

      • KCI등재

        역사 교과서 도입 주제 구성, 어떻게 할까?

        방지원(Bang jiwon) 한국역사교육학회 2021 역사교육연구 Vol.- No.41

        역사 교과서의 도입 주제는 지금까지처럼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대화’라는 평면적인 정의와 역사를 배우는 이유를 나열하는 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역사 교과서의 도입 주제는 교과서 첫머리에 등장하는 짤막한 ‘학습주제’이지만, 그 의미는 하나의 학습주제 그 이상이다. 역사교육이 존재하는 사회문화적 맥락, 현재에 발 딛고 과거를 탐구하는 역사의 내재적 가치로서의 역사적 비판적 사고와 논쟁성, 학생의 자기 형성을 돕기 위한 교육적 이상 사이에 존재하는 다층적 긴장을 끊임없이 의식하며 구성되는 역사교육 개념의 실천적 표현이다. 역사교과서 도입 주제는 오늘날 학교 역사교육의 역할에 대한 인식에 기초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학교 역사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일상의 현실로 경험하는 여러 형태와 내용의 역사‘들’을 식별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자기 기준을 가질 수 있어야 하고, 그 역사‘들’이 가지는 힘, 즉 역사로부터 나오는 ‘과거의 힘’이 무엇이며, 어떤 식으로 작동하거나 행사되는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 자신이 어떤 역사의식을 가지고 역사‘들’을 만들고 타인과 소통하는 주체가 될 수 있다는 것도 깨달아야 한다. 또한 과거의 힘에 기대어 현재를 비판적으로 통찰하면서 지금과 다른 변화된 사회를 상상하고 만들어가는 주체가 바로 자기 자신이고 곁에 있는 동료 학생들이라는 점을, 서로에 대한 연대와 책임을 느끼며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도입 주제는 이와 같은 학교 역사교육의 역할에 기초하여 학생 스스로 역사를 배우는 과정과 배움의 결과를 성찰하고 의미화할 수 있는 지적 도구를 제공해야 한다. 이 글의 제안은 일차적으로 교사의 교육과정을 염두에 두었다. 국가 교육과정이나 교과서도 중요하지만, 시시각각 달라지는 학생들, 학생들 각자가 처한 환경과 그들이 역사과목을 배우게 되는 맥락을 총체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 주체가 교사라고 보기 때문이다. The ‘introduction topic’ of history textbooks should deviate from the way of listing the reasons for learning history and the flat definition of ‘history is a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s before. Introduction topic is a short ‘learning topic’ that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textbook, but its meaning is more than a learning topic. It is a practical expression of the concept of history education consisting of constant awareness of th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history education exists, historical critical thinking and controversy as an intrinsic value of history to step into the present and explore the past, and educational ideals to help students form themselves. The introduction topic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rol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oday. Through school history education, students should be able to have their own standards to identify and evaluate the history of various forms and contents experienced in everyday reality. It should also be able to recognize the power of the history, that is, the power of the past from history, and how it works or is exercised. It should also be realized that students themselves can be the subject of creating and conveying history to others. In addition, it should be possible to feel solidarity and responsibility for each other and accept that it is oneself and fellow students who are next to each other who imagine and create a changed society different from the present while critically giving insight into the past. Based on this role of school history education, the ‘introduction topic’ should provide intellectual tools for students to reflect on and meaning the process of learning history and the results of learning on their own.

      • KCI등재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유사역사 문제

        이정빈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1

        This paper analyzes the description of ancient Korean history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2017), “Korean History for High School” and “History 1 for Middle School”, by focusing on the textbook’s composition and pseudohistory issues. At first, this paper compared the composition between the state-issued history book and the state-authorized textbooks. The amount of ancient history content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had been increased dramatically compared with the state-authorized one. Thematically, the number of contents in the political, military, literature, and exchange history had been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social and economic history content had greatly been diminished. As a result, the national narrative was emphasized without explaining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society properly. Especially, through the narrative of a war, the aspect of the state centered around the king had been developed into a powerful state. The description of Gojoseon period greatly had been strengthened compared with other periods. The narrative contents about Gojoseon were also focused on describing it as a powerful state, and the pseudohistorian’s opinion was partly accepted through the annotations. The opinion was about the territory of Gojoseon and Han’s four commanderies. The origins of that opinion could be found in ‘Crisis in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of Korea,’ provoked by the period of the Park Jung-hee government’s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It is the reappearance of an aspect of ‘Crisis in the Study of Ancient History of Korea’ and the description of the state-issued textbook according to that from the mid-1970s to the 1980s. The ancient Korean history field in the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2017) needs to be noted as another example of the combination of chauvinism and nationalism. 본고는 국정 역사교과서(2017) 『고등학교 한국사』와 『중학교 역사 1』의 한국고대사 서술을 분석한 것으로, 구성과 유사역사 문제에 주목하였다. 우선 국정 역사교과서와 검정 역사교과서의 구성을 비교했다. 전반적으로 분량이 대폭 증가했다. 고대사 서술 분량의 증가는 국정 역사교과서 편찬의 방침이었다. 고대사 서술을 강조함으로써 민족주의를 내세우고자 했다고 이해된다. 주제별로 나누어 보면 정치・군사사와 문화・교류사가 증가했다. 반면 사회・경제사는 크게 축소되었다. 사회・경제사 축소는 학습부담 경감이 이유였다. 하지만 그 결과 고대사회의 구조와 특징이 제대로 설명되지 못한 채 국가서사가 강조되었다. 특히 전쟁을 통해 국왕 중심의 강국・강대국으로 발전한 모습이 부각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조선 서술이 주목된다. 여타의 고대국가 서술과 비교해 비중이 높아졌는데, 역시 고조선을 강국・강대국으로 묘사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중등 교육과정의 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주를 통해 학설까지도 소개했다. 그런데 주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 것은 근래 활동 중인 유사역사가의 주장이었다. 고조선의 영역과 한사군의 위치 문제가 대표적이다. 주지하다시피 유사역사가의 대부분은 고조선의 영역에 도착적인 모습을 보이는데, 그 기원은 1974년 박정희 정부의 역사 교과서 국정화로부터 촉발된 ‘고대사파동’에서 찾을 수 있다. ‘고대사파동’은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역사교과서 서술에 영향을 미쳤다. 국정 역사교과서(2017)의 유사역사 문제는 1970년대 중반~1980년대 이른바 ‘고대사파동’과 그에 따른 국정 국사교과서 서술이 재현된 양상이다. 이 점에서 국정 역사교과서의 한국고대사 서술은 국가주의와 國粹主義가 결합한 또 하나의 사례로 주목된다.

      • KCI등재

        학습 자료로서 역사영화에 대한 역사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유득순 한국역사교육학회 2018 역사교육연구 Vol.- No.30

        History movies are a subject of public interest and a subject of study in history education. However, it is doubtful whether history movies are accepted as materials for history learning. It is because history movies contain fiction. A history movie is not history, but it contains history. If students can grasp historical contents in movies and find out something more than that, they can learn history through history movie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and value of history movies as learning materials. For this purpose, I interviewed the teachers and learners about how they utilize history movies. As a result, history teachers recognized history movies as useful learning materials: motivation, enhancement of factual understanding, and improvement of thinking ability. And learners tried to understand the stories and facts from the movies while considering various factors. In addition, learners evaluate history movies considering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history movies were made. This suggests that history movies can be widely and usefully utilized for history learning. History movies for history learning should focus on ‘history’ rather than ‘movies’. In order for a history movies to be a ‘Movie for History Learning’, it should have verisimilitude and probability. Likewise, History movies should have ‘historical verisimilitude’ derived from historical facts, which is reproduced close to truths. It should have a ‘historical probability’ based on the contextual knowledge. 역사영화는 대중적인 관심의 대상이자, 지속적인 역사교육의 연구 대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허구를 담고 있는 역사영화를 역사 학습을 위한 하나의 자료로 인정하는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 있다. 역사영화를 역사라고 할 수는 없지만, 역사영화 속에는 역사가 담겨 있다. 역사영화 안에 담겨 있는 역사적 사실을 파악하고, 그 이상의 무언가를 찾아낼 수 있다면 역사영화를 통해 역사 학습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습 자료로서 역사영화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역사 수업의 주체라 할 수 있는 역사교사와 학습자들이 역사영화를 어떻게 활용하고 인식하는지에 대하여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역사교사들은 동기 유발, 사실 이해의 증진 뿐 아니라 사고력 향상을 위한 도구로서 역사영화를 유용한 학습 자료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하여 역사영화 속 이야기와 그 안에 담긴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역사영화가 제작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서 역사영화를 평가하기도 하였다. 이는 역사영화가 역사 학습을 위하여 폭넓고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역사영화와 역사 학습을 위한 역사영화는 다르며, 또 달라야 한다. 연구자가 규정하는 역사영화의 범위는 매우 넓지만, 역사 학습을 위한 역사영화는 ‘영화’보다 ‘역사’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역사영화가 갖추어야 할 요건이 역사적 핍진성과 역사적 개연성이다. 즉 과거의 상황과 당시의 인물을 묘사・재현하는 과정에서 역사영화는 역사적 사실에 기반하여 실체에 가깝게 재현된 ‘역사적 핍진성’을 가져야 하고, 당시의 상황과 역사적 사실이라는 맥락 속에서 재현되고 창조되는 ‘역사적 개연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영화 가운데 이러한 요건을 갖추거나 일정한 가공을 거쳐 역사적 핍진성과 역사적 개연성이 높은 것이 바로 ‘역사학습영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