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천의 민속과 민속의 실천을 아우르는 실천민속학

        임재해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실천의 민속’이 문화적 유용성을 뜻한다면 ‘민속의 실천’은 문화적 유용화를 뜻한다. 유용성 있는 민속을 발견하고 현실생활에 민속을 유용화하는 민속학이 실천의 민속과 민속의실천을 아우르는 길이다. 실천민속학에서 ‘실천’의 의미는 ‘함’에서 찾지만 의도적으로 ‘하지않음’에서도 찾는다. 함의 실천이든 하지 않음의 실천이든 적극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일을힘들여서 이타적으로 하는 것이 실천이다. 진정한 실천은 공동선을 위해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부당한 것에 맞서는 변혁활동이다. 민속학의 실천은 오리엔탈리즘과 식민주의를 극복하고 민속자료를 근거로 미래 가치를귀납적으로 이끌어냄으로써 분과학문으로서 독자성을 확보하는 연구를 하는 것이다. 첫째 민속의 가치를 밝혀서 유용성을 입증하고, 둘째 이론 개척으로 민속학의 학문적 독자성을 확립하는 한편, 셋째 우리 것이니까 훌륭하다는 자민족 중심주의와, 넷째 전통이니까 소중하다는복고주의를 극복해야 한다. 그러자면 민속과 민속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도 실천해야 한다. 적극적인 ‘민속의 실천’은 ‘실천의 민속’을 해명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실천의 민속을제대로 알지 못하면 민속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할 수 없다. 실천의 민속을 정확하게 알게 되면, 잘못 가고 있는 현실문화 관행을 바로잡아 실천할 수 있다. 거꾸로 민속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구상하게 되면 드러나지 않았던 실천의 민속이 새롭게 포착된다. 인간해방의 실천 논리로 민속을 주목하면 전근대적 전통으로 간주되던 민속에서 여성해방과 노동해방의 가치를발견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천의 민속을 제대로 밝히는 일과, 민속의 실천을 창조적으로 수행하는 일은 서로 유기적 관계 속에 있다. 민속학이 민중의 삶을 민주적 주체로 가꾸어 가야 하는데, 오히려 민속학주의나 민속주의에 매몰되어 민중을 수단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려면, 민속을 선험적으로설정하여 조사연구할 것이 아니라, 민중의 삶 속에서 민속을 이끌어내서 조사연구해야 기존민속학과 다른 수준의 여성민속학과 도시민속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민속학은 학자 중심에서 민속 중심으로, 다시 민중 중심으로 나아가서 민중주의 민속학을 하는 것이 실천민속학의길이다. 민속학자의 학문적 실천 현장은 민속학회와 민속학과이다. 민속학회는 계속 확대되고 있는 반면에, 민속학과는 오히려 축소되어 통폐합으로 가고 있다. 대학에서 민속학이 위축되는것을 분과학문의 한계 탓으로 돌릴 것이 아니라, 이타적 연구의 실천과 민속학을 위한 공적활동으로 민속학과를 대학에서 더 확대하는 일에 실천적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연구 업적 쌓기에 골몰하는 이기적 실천에 만족하지 말고, 민속학의 학문적 성장에이바지하는 큰 실천은 물론, 인간해방의 미래를 전망하는 적극적 대안문화 운동의 이타적 실천을 모색해야 실천민속학의 전망이 열린다. The ‘practice-centered folklore’ means cultural usefulness while ‘the practiceof folklore’ refers to cultural usability. It is the way of encompassing thepractice-centered folklore and the practice of folklore to find useful folkloreand use folklore in real life in folkloristics. The meaning of ‘practice’ canusually be found in ‘doing’ in practical folkloristics. However, it can also befound in ‘not doing’.intentionally. It is a practice to do altruistically becauseit is difficult to realize positive values whether it is the practice of doing ornot-doing. The true practice is a kind of revolutionary activity of standing upto injustice for the common good, willingly accepting disadvantages. The practice of folkloristics is to overcome orientalism and colonialism,derive future values inductively based on folk materials and study to secureits identity as one of academic disciplines. First, it is necessary identify thevalue of folklore to prove its usefulness. Second, it is required to exploretheories to establish the academic identity of folkloreistics. Lastly, it is neededto overcome ethnocentrism, a belief in the superiority of one’s own ethnicgroup, and reactionism, a viewpoint which favors the tradition. To this end,it is required to do critical research on folklore and folkloristicsThe active ‘practice of folklore’ starts from the clarification of ‘the practice-centered folklore’. The practice of folklore cannot actively be doneuntil the practice-centered folklore is not really known. If the practice- centeredfolklore is exactly known, the real cultural practice going wrong can bestraightened and practiced. On the contrary, the practice-centered folklore whichhas not come to the front is newly grasped when the practice of folklore isactively conceived. The values of the women’s liberation and the emancipationof labor can be found in folklore regarded as a pre-modern tradition whenattention is paid to folklore through the practical logic of human liberation. Therefore, there is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oper identification ofthe practice-centered folklore and the creative performance of the folklorepractice.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public as a means because folkloristics isburied under folkloristicism or folklorism even though it should developpeople’s lives as democratic principals. To overcome this tendency, it isnecessary to investigate and study folklore after drawing it from people’s lives,not set up it intuitively. 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pursue women’sfolklore and urban folklore at the level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olkloristics. Therefore, it is the way of practical folkloristics to pursue the folklore ofpopulism, changing from the scholar-centered to the folklore-centered and thento the people-centered approach. The fields where the folklorist shall academically practice are the folkloresociety and the Department of Folkloristics. While the folklore society hascontinuously expanded, the Department of Folkloristics has rather reduced tobe merged with other departments. The reason that Folkloristics has shrunkin college shall not ascribed to the limit of an academic discipline. A practicaleffort shall be made to expand the Department of Folkloristics more in collegeas a public activity for the practice of altruistic research and folkloristics. Therefore, folklorists shall not just be satisfied with the selfish practice offocusing on their personal research achievements. They shall search thealtruistic practice of the active alternative cultural movement which prospectsthe future of human liberation in addition to the practice of contributing tothe academic development of folkloristics to view the prospect of practicalfolkloristics.

      • KCI등재

        실천의 민속과 민속의 실천을 아우르는 실천민속학

        임재해(Lim, Jae-Hae) 실천민속학회 2015 실천민속학연구 Vol.25 No.-

        ‘실천의 민속’이 문화적 유용성을 뜻한다면 ‘민속의 실천’은 문화적 유용화를 뜻한다. 유용성 있는 민속을 발견하고 현실생활에 민속을 유용화하는 민속학이 실천의 민속과 민속의 실천을 아우르는 길이다. 실천민속학에서 ‘실천’의 의미는 ‘함’에서 찾지만 의도적으로 ‘하지 않음’에서도 찾는다. 함의 실천이든 하지 않음의 실천이든 적극적인 가치를 실현하는 일을 힘들여서 이타적으로 하는 것이 실천이다. 진정한 실천은 공동선을 위해 불이익을 감수하면서 부당한 것에 맞서는 변혁활동이다. 민속학의 실천은 오리엔탈리즘과 식민주의를 극복하고 민속자료를 근거로 미래 가치를 귀납적으로 이끌어냄으로써 분과학문으로서 독자성을 확보하는 연구를 하는 것이다. 첫째 민속의 가치를 밝혀서 유용성을 입증하고, 둘째 이론 개척으로 민속학의 학문적 독자성을 확립하는 한편, 셋째 우리 것이니까 훌륭하다는 자민족 중심주의와, 넷째 전통이니까 소중하다는 복고주의를 극복해야 한다. 그러자면 민속과 민속학에 대한 비판적 연구도 실천해야 한다. 적극적인 ‘민속의 실천’은 ‘실천의 민속’을 해명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실천의 민속을 제대로 알지 못하면 민속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할 수 없다. 실천의 민속을 정확하게 알게 되면, 잘못 가고 있는 현실문화 관행을 바로잡아 실천할 수 있다. 거꾸로 민속의 실천을 적극적으로 구상하게 되면 드러나지 않았던 실천의 민속이 새롭게 포착된다. 인간해방의 실천 논리로 민속을 주목하면 전근대적 전통으로 간주되던 민속에서 여성해방과 노동해방의 가치를 발견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천의 민속을 제대로 밝히는 일과, 민속의 실천을 창조적으로 수행하는 일은 서로 유기적 관계 속에 있다. 민속학이 민중의 삶을 민주적 주체로 가꾸어 가야 하는데, 오히려 민속학주의나 민속주의에 매몰되어 민중을 수단화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경향을 극복하려면, 민속을 선험적으로 설정하여 조사연구할 것이 아니라, 민중의 삶 속에서 민속을 이끌어내서 조사연구해야 기존 민속학과 다른 수준의 여성민속학과 도시민속학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민속학은 학자 중심에서 민속 중심으로, 다시 민중 중심으로 나아가서 민중주의 민속학을 하는 것이 실천민속학의 길이다. 민속학자의 학문적 실천 현장은 민속학회와 민속학과이다. 민속학회는 계속 확대되고 있는 반면에, 민속학과는 오히려 축소되어 통폐합으로 가고 있다. 대학에서 민속학이 위축되는 것을 분과학문의 한계 탓으로 돌릴 것이 아니라, 이타적 연구의 실천과 민속학을 위한 공적활동으로 민속학과를 대학에서 더 확대하는 일에 실천적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그러므로 개인적인 연구 업적 쌓기에 골몰하는 이기적 실천에 만족하지 말고, 민속학의 학문적 성장에 이바지하는 큰 실천은 물론, 인간해방의 미래를 전망하는 적극적 대안문화 운동의 이타적 실천을 모색해야 실천민속학의 전망이 열린다.

      • KCI등재

        ‘조선민속학회’ 재론

        남근우 실천민속학회 2019 실천민속학연구 Vol.34 No.-

        The Chosun Folklore Society, established in 1932, has a significant status when discussing the Korean academic history of folkloristics, for it took an essential role in knowledge production and social practices regarding the folklore of the colonial period of Chosun, and the Chosun folkloristics methodology of its key members has defined the folklore study afterwards for a long time. Therefore this paper first reviews on the issues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the Chosun Folklore Society. In specific, this paper contemplates the questions as follows: ① What was the background or motivation of Seokha Song to lead the establishment of Chosun Folklore Society? ② For what reason, Inseop Jeong and Jintae Sohn accepted the suggestion of Seokha Song to “promote a folklore society”, without any hesitation? ③ Why did they put Imamura Tomoe(今村鞆) and Akiba Takashi(秋葉隆) to the core of the society, instead of cooperating with Neunghwa Lee or Namseon Choi? Next, we would take a look on the issues regarding the practices of the society focusing on these 4 questions: ⓐ For what reason, the Chosun Minsok(조선민속), the journal of Chosun Folklore Society could not be published quarterly? ⓑ Why the publication of Chosun Minsok practically suspended or ceased after its 2nd issue? ⓒ Did the practices of Chosun Folklore Society stop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2nd issue of Chosun Minsok? ⓓ When they continued the publication of the 3rd issue of Chosun Minsok, what did the change in its appearance means? Moreover, this paper analyzes the activities of Chosun Folklore Society which lasted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how the Chosun Folkloristics of the key members changed into the “Study of national culture(민족문화학)” in the liberated Korea. In conclusion, we would examine the meaning of Chosun Folklore Society in the academic history. 1932년에 출범한 조선민속학회는 식민지 조선의 민속을 둘러싼 지식생산과 사회실천의 중심적 구실을 했다는 점에서, 뿐만 아니라 그 핵심 성원들의 조선민속학 방법론이 이후의 민속학 연구를 오랫동안 규정했다는 점에서, 한국 민속학사론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조선민속학회의 창립 과정을 둘러싼 쟁점들을 짚어보았다. 구체적으로, ① 송석하가 1932년에 조선민속학회 창립을 주도하게 된 배경이나 동기는 무엇인가? ② 동시에 ‘민속학회를 발기하자’는 송석하의 제안을 정인섭과 손진태가 주저 없이 받아들인 까닭은 무엇인가? ③ 그들은 왜 이능화나 최남선과 손을 잡지 않고 이마무라 도모에(今村鞆)와 아키바 다카시(秋葉隆)를 학회의 핵심으로 끌어들였는가? 등을 고찰했다. 이어, ㉠ 조선민속학회의 기관지 『조선민속』이 계간으로 발행되지 못한 까닭은 무엇인가? ㉡ 『조선민속』은 제2호 발행을 끝으로 왜 사실상의 종간이나 휴간을 맞이했는가? ㉢ 제2호 발행 후 조선민속학회는 활동이 정지된 상태였는가? ㉣ 1940년에 속간된 『조선민속』 제3호의 외양 변화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네 물음을 중심으로 학회활동 과정상의 쟁점들을 점검했다. 나아가 광복 후에도 존속한 조선민속학회의 활동과 함께 그 주도자들의 조선민속학이 해방공간에서 ‘민족문화학’으로 어찌 탈바꿈하는지를 고찰했다. 그러고 나서 조선민속학회의 학사적 의미를 되짚어 결론을 갈음했다.

      • KCI등재

        송석하의 민속 및 민속학 개념의 전개양상

        김광식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Concept Folk and Folklore from 1932 to 1950. Among the main members of the Korean Folklore Society, Song Seok-Ha, who actively expressed the Concept Folk and Folklore. Therefore, this article revolved around Song Seok-Ha’s discussions. Around the mid 1930s, Song Seok-Ha used folk paintings as a survival. Folk have long believed that there is a temporal character, and that the present folklore remains and original folk remains remain intact. Song Seok-Ha was tied to the folk concept of the past. He emphasized the persistence of national culture, such as changing the trend of the age of the contemporary era, and excluding folk changes. Song Seok-Ha repeated the custom in the “To the custom from the folk” (1938).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dernization based on folk folklore, not imported goods. Song Seok-Ha looked for a modern renaissance of folklore that took the path of destruction. And th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practice. In the face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30s, Song Seok-Ha’s practice was a product of a conciliatory nature to appease public worries with cheerful entertainment. In fact, Song Seok-Ha played a pivotal role in promoting regional folk dance and promoting local recreation of local folk songs in the event of a modern renaissance of local art. Song stressed that the colonial art movement of the colonial period was aimed at spreading ethnic Korean consciousness. And He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rt. Song stressed that national art should be based on folk art. National consciousness erupted in the liberation space, and Song Seok-Ha emphasized folk concepts as a national cultur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folk concepts of Song Seok-Ha and Sohn Jin-Tae were suspended. But, the folk concepts of survival and national culture continued without fundamental criticism. 이 글은 1932년 조선민속학회 창립 이후부터 해방에 이르기까지의 민속 및 민속학 개념의 전개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조선민속학회 회원 중 민속 및 민속 개념을 적극적으로 개진한 송석하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193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송석하는 잔존물로서의 민속을 개념화 하였다. 화석과 달리, 민속은 시간적 강인성(전승성)을 지녔고, 현재의 민속에는 고유 민속의 자취 및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송석하는 믿었다. 그러나 근대문명으로 인해 고유민속이 급속히 사라져 간다는 위기의식 속에서 민속을 기록하기 위해 발간된 『조선민속』은 창간호(1933.1), 제2호(1934.5)로 종간되고 말았다. 송석하는 과거를 대상으로 하는 민속 개념에 얽매여 당대의 유행 등을 연구대상에서 배제하는 등 민속의 변화보다는 지속성을 강조하였다. 중일전쟁 직후에 쓰인 「민속에서 풍속으로」에서 송석하는 현대에 부활시킬 수 있는 민속을 풍속으로 재정의 하였다. 수입품이 아닌 민족성에서 양성된 민속을 토대로 한 현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송석하는 인멸의 길을 밟는 민속의 현대적 부활을 모색하며 실천성을 강조하게 된다. 1930년대 경제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그 실천성은 근본적 해결책보다는 명랑한 오락으로 민중의 시름을 달래려는 타협적인 산물이었다. 실제로 송석하는 향토오락(향토예술)의 현대적 부활을 위해 조선민속학회 주최로 ‘제1회 조선향토무용 민요대회’ (1937)를 개최하고 향토오락을 진흥하는데 진력하게 된다. 해방 공간에서 송석하는 식민지기에 수행한 향토오락(향토예술) 부흥 운동은 민족의식을 보급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애써 강조하며, 민족예술의 정수(精粹)인 민속예술의 육성을 주장하였다. 송석하는 민족예술은 민속예술을 토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일찍이 「민속에서 풍속으로」(1938)에서 강조한 민속(민속예술)을 토대로 한 풍속(민족예술)과 동일한 사고방식에 기초한 것이었다. 해방 공간에서 식민지기에 억압되었던 민족의식이 분출되어 민족문화로서의 민속 개념이 강조된 것이다. 해방 공간을 끝으로 송석하와 손진태의 민속 개념의 전개는 중단되고 말았다. 해방 전의 잔존물로서의 민속 개념, 해방 직후의 민족문화로서의 민속 개념은 그 이후에 근본적인 비판 없이 지속돼 왔다. 이 글은 민속(학) 개념을 다루었지만 민중, 민족, 실천 개념을 다시 묻는 비판적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송석하의 민속 및 민속학 개념의 전개양상

        김광식(Kim, Kwang-Sik) 실천민속학회 2017 실천민속학연구 Vol.30 No.-

        이 글은 1932년 조선민속학회 창립 이후부터 해방에 이르기까지의 민속 및 민속학 개념의 전개양상을 검토한 것이다. 조선민속학회 회원 중 민속 및 민속 개념을 적극적으로 개진한 송석하의 논의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1930년대 중반을 전후하여 송석하는 잔존물로서의 민속을 개념화 하였다. 화석과 달리, 민속은 시간적 강인성(전승성)을 지녔고, 현재의 민속에는 고유 민속의 자취 및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다고 송석하는 믿었다. 그러나 근대문명으로 인해 고유민속이 급속히 사라져 간다는 위기의식 속에서 민속을 기록하기 위해 발간된 『조선민속』은 창간호(1933.1), 제2호(1934.5)로 종간되고 말았다. 송석하는 과거를 대상으로 하는 민속 개념에 얽매여 당대의 유행 등을 연구대상에서 배제하는 등 민속의 변화보다는 지속성을 강조하였다. 중일전쟁 직후에 쓰인 「민속에서 풍속으로」에서 송석하는 현대에 부활시킬 수 있는 민속을 풍속으로 재정의 하였다. 수입품이 아닌 민족성에서 양성된 민속을 토대로 한 현대화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송석하는 인멸의 길을 밟는 민속의 현대적 부활을 모색하며 실천성을 강조하게 된다. 1930년대 경제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그 실천성은 근본적 해결책보다는 명랑한 오락으로 민중의 시름을 달래려는 타협적인 산물이었다. 실제로 송석하는 향토오락(향토예술)의 현대적 부활을 위해 조선민속학회 주최로 ‘제1회 조선향토무용 민요대회’(1937)를 개최하고 향토오락을 진흥하는데 진력하게 된다. 해방 공간에서 송석하는 식민지기에 수행한 향토오락(향토예술) 부흥 운동은 민족의식을 보급시키기 위한 것이었다고 애써 강조하며, 민족예술의 정수(精粹)인 민속예술의 육성을 주장하였다. 송석하는 민족예술은 민속예술을 토대로 해야 한다고 강조했는데, 이는 일찍이 「민속에서 풍속으로」(1938)에서 강조한 민속(민속예술)을 토대로 한 풍속(민족예술)과 동일한 사고방식에 기초한 것이었다. 해방 공간에서 식민지기에 억압되었던 민족의식이 분출되어 민족문화로서의 민속 개념이 강조된 것이다. 해방 공간을 끝으로 송석하와 손진태의 민속 개념의 전개는 중단되고 말았다. 해방 전의 잔존물로서의 민속 개념, 해방 직후의 민족문화로서의 민속 개념은 그 이후에 근본적인 비판 없이 지속돼 왔다. 이 글은 민속(학) 개념을 다루었지만 민중, 민족, 실천 개념을 다시 묻는 비판적 연구가 요청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volution of Concept Folk and Folklore from 1932 to 1950. Among the main members of the Korean Folklore Society, Song Seok-Ha, who actively expressed the Concept Folk and Folklore. Therefore, this article revolved around Song Seok-Ha’s discussions. Around the mid 1930s, Song Seok-Ha used folk paintings as a survival. Folk have long believed that there is a temporal character, and that the present folklore remains and original folk remains remain intact. Song Seok-Ha was tied to the folk concept of the past. He emphasized the persistence of national culture, such as changing the trend of the age of the contemporary era, and excluding folk changes. Song Seok-Ha repeated the custom in the “To the custom from the folk” (1938).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dernization based on folk folklore, not imported goods. Song Seok-Ha looked for a modern renaissance of folklore that took the path of destruction. And the emphasis has been placed on practice. In the face of the economic crisis in the 1930s, Song Seok-Ha’s practice was a product of a conciliatory nature to appease public worries with cheerful entertainment. In fact, Song Seok-Ha played a pivotal role in promoting regional folk dance and promoting local recreation of local folk songs in the event of a modern renaissance of local art. Song stressed that the colonial art movement of the colonial period was aimed at spreading ethnic Korean consciousness. And He advocated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art. Song stressed that national art should be based on folk art. National consciousness erupted in the liberation space, and Song Seok-Ha emphasized folk concepts as a national cultur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the folk concepts of Song Seok-Ha and Sohn Jin-Tae were suspended. But, the folk concepts of survival and national culture continued without fundamental criticism.

      • KCI등재

        민속의 재구와 지역사회의 혁신 – 청주시 수곡동의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현(Kim, Jeong-Hyeon) 실천민속학회 2023 실천민속학연구 Vol.41 No.-

        신자유주의적 모순이 심화ㆍ확산되고 있는 현 시대적 조건 속에서, 민속은 공동체문화로 변화ㆍ재구됨과 동시에 대안성을 가진 문화적 실천으로 부상ㆍ전개되고 있다. 이 연구는 공동체문화 실천으로 표현될 수 있는 민속의 현재성을 살폈다. 특히 공동체문화 실천이 현재적 효과 가운데 하나로 이해될 수 있는 사회혁신과 관련하여, 청주시 수곡동의 실천 사례에 주목했다. 청주시 수곡동의 실천 사례는, 민속의 현대적 변환으로서 공동체문화 그리고 그 사회혁신적 양태를 살피는 데 유용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실천 주체들은 돌봄 체계의 부재 속에서 실존을 위협받던 지역의 아이들을 보살피기 위해 ‘사례회의’, ‘목요놀이’ 등의 공동체문화 실천을 수행했다. 그 결과 많은 지역의 아이들을 돌봄의 영역으로 이끌어낼 수 있었다. 주목되는 것들은, 실천의 핵심 원리ㆍ소재로서 민속의 고전적 형태 즉 마을문화와 민속놀이가 활용되었다는 것, 그리고 민ㆍ관의 공동체적 협력 속에서 실천이 기획ㆍ수행되었다는 것이다. 이는 사회혁신으로 표현될 수 있는 공동체문화이자, 현재성과 대안성을 갖는 민속이 사례로 논해질 수 있을 것이다. Within the condition of nowadays, which contradiction of neo-liberalistic intensified and spreaded folklore became community culture by transformation and reconstitution, while emerged and developed for cultural practice, having alternativeness. This study examined present aspect of folklore, which can be expressed for community culture practice. Especially, related with social innovation, interpreted as community culture’s current effects, it focused on a practical case of Sugok-dong in Cheongju-si. Practical case of Sugok-dong in Cheongju-si shows useful attribute to inspect community culture as current transformation of folklore and it’s aspect for social innovation. Practical subjects performed community culture practice such as ‘Case conference’ and ‘Mokyo-Nori’ to look after the children of this region, who were threatened their existence by absence of care system. As a result, many children could be drawn to care domain. There are two points to notice. One is using of village culture and folklore play, which is a classical form of folklore, as core principle and subject of practice. the other is cooperating of folk and government, to plan and fulfill the practice. It can be discussed for community culture, expressed as social innovation, and case of folklore having current aspect and alternative.

      • KCI등재후보

        우리시대의 관광자원으로서 민속의 가치구현에 관한 연구

        한상일(Han Sang-Il)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4 No.-

        본 연구의 주제는 우리시대의 관광자원으로서 민속의 가치구현에 관한 주제를 가지고 살펴보고자 한다. 이것은 현재 관광자원으로서의 민속축제에 민속의 현재적 가치반영이 부족함을 가정하여 시작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고의 중심은 민속의 전승이 수용론적 관점보다는 변용론적 관점에 두어야 함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관주도적에서 관지원적 행사로 거듭나야 한다. 둘째, 민속의 고유성을 바탕으로 전국적 나아가 세계적으로 보편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축제를 기획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축제는 우선적으로 지역 내 구성원들의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집단적 신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축제의 목표가 설정된 가운데 부수적으로 사회문화적, 경제적 효과 등을 기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거리축제와 소규모 공동체의 자생적 축제 지원에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문화교류의 장으로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세계적으로 성공하는 축제는 민간의 주체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고 있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이 시대의 상징이 되는 탈의 탄생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청소년들에게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주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주제인 우리시대의 관광자원으로서의 민속의 가치구현을 위해서는 민속문화가 외래문화의 수용과정에서 옛것으로 치부되어 사라져가는 현실에서 민속문화가 지니고 있는 현재적 공유가치를 찾아내고 그것이 현재적으로 관광자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형태를 만들어내어 수용을 통한 전승과 변용을 통한 전승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lue building of the folklores as contemporary tourism resources. This study discusses whether or not the succession of the folklores should be considered the acceptable aspects rather than the transformed ones. In addition, the conclusions are made as follows. First, a local festival should not be local government-centric approach. Second, It should be planned to obtain its generalization worldwide based on the authenticity of folklores. Third the local festival should have an apparent aim to provide a collective happiness based on local participants' consensus in a local destination, which can result in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Fourth, it should be taken care of a small-scaled street festival held in a local destination through the financial support. Fifth, the festival should playa critical tole in cultural exchanges among participants. Sixth, a internationally reputed festival is based on the public's voluntarily participation. Seventh, a representative mask of the modern society should be developed. Eighth, the young should be given a chance to express themselves at the festival. Finally, for the value building of the folklores as contemporary tourism resources, it should be considered both the acceptable aspects with the transformed ones, And so, it could be functioned with contemporary value in the context of degenerating folklores as a valueless old ones.

      • KCI등재

        차이 공간의 가능성과 불가능성 -도시 공간에서 마을 만들기-

        정수진 실천민속학회 2018 실천민속학연구 Vol.31 No.-

        The concept ‘practice’ has been used as a key concept in the history of korean folkloristics. But the arguments to examine and consider the concept have not been advanced sufficiently. In the existing folkloristics, the concept of practice has been mainly understood only by the practice of the researcher. In particular, the tendency was to assume that the academic practice of the researcher was integrated with the social practice as an activist. As a resul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different practices was overlooked, and the problem of elitism, which assumes that the researcher’s academic knowledge is superior to the ordinary knowledge of lay people, has been left undetected.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sit the concept ‘practice’ and suggest a new method of reconstructing it in folkloristics which assumes the closest distance to the people. Especially I referred to the several social theories that have led the epistemological turn with the concept ‘practice’, and asserted the practice what folkloristics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e ordinary practice of lay people. And then I examined how to analyze them with presenting an case analysis. Concretely, I considered the people in ‘Sungmisan maeul’ in Mapogu, Seoul and their spatial practice to make village in urban space. ‘실천’은 한국민속학에서 성립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줄곧 핵심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천 개념을 자명한 것으로 상정해 온 까닭에 그것을 둘러싼 중요한 물음들에 대해 생산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기왕의 민속학에서는 연구자의 학문적 실천을 사회적 실천과 통합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그 결과 이 두 가지 서로 다른 실천 간의 차이는 간과되었으며, 연구자의 학문적 지식을 일반인들의 일상적 지식보다 우월하다고 여기는 엘리트주의의 문제는 비판적으로 검토되지 않은 채 남겨졌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실천 개념을 천착함으로써 인식론적 전환을 이끈 사회이론들을 정리하고, 학문적 차원에서 그 개념이 가지는 도전적인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지렛대로 삼아, 민속학이 주목해야 할 실천은 다름 아닌 ‘일반인’들의 일상적 실천임을 강조하고 그 실천을 어떻게 대상화할 수 있을지 검토했다. 구체적인 분석 사례로, 도시 공간에서 마을 만들기를 실천하고 있는 서울 마포구의 성미산마을을 고찰함으로써 일반인들의 공간적 실천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았다.

      • KCI등재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민속학

        정수진(Jung, Soo-jin)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7 No.-

        이 글은 국가의 무형문화재 보호정책과 민속학의 관계성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일제 식민주의를 경험한 한국 사회에서 무형문화재 제도는 민족주의 담론을 배경으로 민족 문화의 재생을 지향했던 지식인들에 의해 민족 정체성을 담보한 문화적 표상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성립했다. 일본의 초기 민속학자들과 달리 한국에서는 그 제도를 떠받치는 역할을 자임한 것이 바로 민속학이었다. 그리고 한국 민속학자들이 연구 대상으로 삼은 민속은 애초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와 깊숙이 결부된 것이었다. 즉 민속을 통해 민족문화의 본질을 규명하고, 나아가 그 같은 민속을 인멸의 위험으로부터 구제하여 보존하는 것을 민속학의 사명으로 여겨왔다. 결과적으로 한국 민속학의 관심은 그 불변의 본질을 내장한 과거의 민속으로 무게 중심이 쏠릴 수밖에 없었고, 지금 눈앞에서 부단히 생성되고 변화해가는 생활의 실천 현장은 조사와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민속의 무형문화재화, 민속학의 무형문화재학화는 그러한 연구 경향의 당연한 귀결로 보인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재를 중시해 온 한국 민속학이 지배 권력의 문화정치와 결합한 국면, 특히 전두환 정권의 ‘국풍81’을 살펴보았다. 우선, 단군 이래 최대의 관제 축제로 익히 알려진 이 정치적 이벤트에 민속과 무형문화재가 어떻게 전용되는지, 또한 저명한 민속학자들이 어떤 의도와 논리로 그 정치적 축제에 관여하거나 혹은 동원되는지, 그리고 그들이 의도했든 의도하지 않았든 ‘국풍(國風)’을 정당화하는 논리와 담론을 생산함으로써 당절의 문화정치와 어찌 공액(共軛)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짚어보았다. 나아가, 최근 국립무형유산원이 마련한 기획논문 특집(『무형문화재와 민속학의 비교연구』)을 분석 대상으로 민속과 민속학의 체제화가 민속학이라는 학문 자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folkloristics. In Korean society that experienced colonialism,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was establish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 cultural representation that secured the national identity by intellectuals who sought to regenerate national culture with nationalist discourse. Unlike the early Japanese folkloristics scholars, it was folkloristics that self-appointed the role of supporting the system in Korea, and so the folklore that scholars took as the subject of study was inevitably deeply linked to the nationalist ideology. Folkloristics scholars have regarded it as the mission of folklore to clarify the nature of national culture through folklore, and to save and preserve such folklore from the danger of extinction. As a result, folklore studies were limited to folklore that could be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at is, folklore as the past, and the practice of life that is constantly being created and changed in front of us now was excluded from the subject. The result of this are that fokloristics have become the study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that folklore has become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Problem is when the folkloristics, that has become so, is combined with the cultural politics of the ruling power. This article took note of the cases of Japan and Germany, and focused on the nationally held “Kookpung 81” in the 1980s. In addition, it focused on the problem that had formed a conjugation and an accomplice relationship the folkloristics scholars with those cultural policy, by allowing folklor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be mobilized with very political intentions at the national tradition event, namely ‘Kookpung’ used by folklore scholars in a similar sense to the folklore of the day, and by producing logic and discourse to justify the situation whether they intended or not. Then, how did the conservative academicizing of folklore and folkloristics, brought about in the process, have an effect on the discipline itself? This article reviewed the special papers on the subject of “Comparative Studies between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Folkloristics” recently prepared by the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Center, and attempted to capture some of the current folkloristics scholars’ general per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lklore an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olicy.

      • KCI등재

        민속 개념 재고

        남근우(Nam, Kun Wu) 실천민속학회 2013 실천민속학연구 Vol.21 No.-

        이 글에서는 우리가 민속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고 또 어떻게 유지되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한국 민속학이 처한 방법적 인식론의 폐색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지난 8, 90년간 기왕의 민속학 연구에서 본질화한 민속 개념을 재고하여 그 자명성을 해체하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민속 재고의 결과를 정리하면, 1920년대 중반 무렵 일본에서 들여온 ‘민속=잔존문화’ 개념이 해방 후 ‘민속=민족문화’로 전경화(前景化)하고, 그것이 다시 1970년을 전후하여 고정 불변의 기층문화론과 결합한다. 이후 이 기층적 민족문화론이 한국 민속학을 규정하는 금과옥조가 되어 우리의 연구 실천을 아직도 강하게 긴박하고 있다. 물론 70년대 초반의 ‘원론적 대화’나 80년대 중반의 ‘현장론’ 등을 통해 그것을 탈각할 수 있는 전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학’의 본질주의 민속학에 대한 미련과 신념 때문에 무산되고 만다. 결론적으로 한국 민속학이 방법적 인식론의 폐색 상황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층적 민족문화 담론을 불식하는 게 급선무라고 보인다. 본론에서 고찰했듯이 그것은 일본 민속학의 오독(誤讀) 과정을 거친 나치즘 민속학의 기층문화론에, 해방 후 손진태가 내세운 정치적인 ‘민족문화학’의 수사가 결합하여 고착화한 것으로, 우리가 경험과학적으로 실증할 수 없는 동어반복의 이데올로기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 독일산 일본 경유의 선험적 이데올로기는 우리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생활 주체들을 ‘민속의 보유자’나 ‘전승주체’란 이름으로 객체화하여, 민속의 소멸이야기와 그 구제의 욕망을 지속적으로 양산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There may be no more important concept than folklore in korean folklore studies. Because from shipbuilding ‘Chosun foklore studies’ of the 1920s up until today we have ever spined the folklore as the target of investigation and study.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sit this concept folklore and then to dismantle its clarity. In order to pursue the above objectives, first it went into the process that locked the concept folklore as the basic national culture after liberation, that brought into the country as remnants of old customs in Japanese colonial rule. Then it traced the “principle dialogue” surrounding the core task of korean folklore studies unfolded in the early ‘70s. In addition it examined critically the ‘field theory’ located as viable methodology of the studies since the mid-80s. Actually the both could be seen as the turning point to replace the frame of korean folklore studies with folklore and its subject objectified by a new principal. But both eventually were regressed to priori ideology, namely the basic national culture. This paper investigated its cause and the limits of its epistemology and sought the exit of korean folklore studies facing the occluded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