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대학원의 교원 양성체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순천대학교를 중심으로

        김대희,이정우,지영래,박은정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Due to the recent trend of the decreasing number of students and over-grow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been pushing for a change in the role of the teacher training process. As a resul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trying to convert it to a system fostering the capabilities of existing teachers rather than training new teachers. In the school context, teachers are required to play a variety of roles, such as cultivating career and digital literacy, because of the demand for convergence curriculum guidance and non-face-to-face classes. The consequence has also resulted from consumer-tailored education, the free grade syste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impact of COVID-19.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must come up with a drastic development plan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the previous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s that can strengthen educational capabilities of teachers in schools in the Jeollanam-do region. In order to make it concret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five-cycl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 analysis of the reform plan for the teacher training cours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a survey of opinions of the profess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chon National University, and a survey of opinions of the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Jeollanam-do reg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firstly divided the majors into the teacher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in-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cutback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e encouraged all departments to improve the content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so that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can develop their teaching skills and abilities in the fu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offer integrative majors, which are expected to be in high demand in the future. This will bring about strengthening the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and advanc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Fourth, newly-coming graduate students should be welcome through specialized doctoral degree (i.e., Doctor of Education or Ed.D.) progra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Lastly, it is imperative to develop professional development courses for in-service teachers to acquire first-grade teacher qualification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to cultivate competency of teaching and learning. 최근 학생 수 감소 및 교원의 과다 양성을 개선하기 위해 교육부에서는 교원 양성과정에 대한 역할 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교육대학원은 신규 교사의 양성보다는 현직 교원의 역량을 함양시키는 체제로 전환시키고자 하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수요자 맞춤형 교육의 강화, 자유학년제 도입, 코로나19의 영향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에 따라 진로소양 함양, 융복합 교과 지도 및 비대면 강좌의 요구 증가 등 교사들에게 다양한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지난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의 반영 및 전남지역의 교사들의 현장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서비스의 제공 등을 포함한 보다 과감한 발전방안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교원양성기관 5주기 평가 결과 분석, 교육부의 교원 양성과정 개편 방안 분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전공 교수 의견 조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생 및 순천지역 교사들에 대한 의견조사를 거쳤다. 연구 결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첫째, 양성과정 정원 감축에 따라 신입생 지원이 높은 전공과 그렇지 않은 전공을 양성과정과 재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운영함으로써 양성과정을 내실화하고, 재교육과정은 융합교육 등을 신설하여 교사들의 관심과 지원을 늘려나가야 한다. 둘째, 교사 및 교육대학원생들이 미래 교육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수 학습 내용 및 방법들을 개선시켜 나가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발전 및 (예비)교사들의 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하여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수요가 많아질 것으로 보이는 융복합 전공의 개설을 다양화해야 한다. 넷째,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에 교육대학원 전문박사(교육학 박사, Ed.D.) 과정을 운영하여 신입생 지원을 확대시켜야 한다. 다섯째, 교육대학원 1급 정교사 자격 취득 연수과정을 교육과정으로 운영하여, 대학원생들의 현장교육 역량을 함양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C대학교의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과목 교육과정 기준 개발 사례 연구

        김필성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현장수업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 논의된 ‘OECD 교육 2030’과 미네르바 스쿨의 사례에 근거하여 교양교과목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과정 기준 개발 사례를 살펴보고자 했다. C대학교는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기 위해 DeSeCo 프로젝트의 후속으로 추진된 ‘OECD 교육 2030’ 프로젝트의 역량개념과 미네르바 스쿨의 사례에 근거하였다. 이들은 주요하게 교과목의 내용과 역량이 연계되는 방식과 역량이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를 포괄한다는 점, 그리고 역량교육은 교육내용을 매개로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점에 근거하여 C대학교는 핵심역량 제고를 위한 교양교과목 교육과정 기준을 개발하여 교양필수 교과목이 이런 기준에 따라 수업을 설계하도록 했다. 이 교육과정 기준에서는 우선적으로 교과목의 성격에 근거하여 학습성과를 도출하며, 이를 핵심역량과 연계하고 학습성과별 루브릭을 포함하는 교육목표를 개발하고 있다. 그런 다음 이런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학습체계, 그리고 핵심개념 중심의 교육내용 기준과 교과목 교육과정 운영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이 사례 연구는 핵심역량이 교과목의 내용과 긴밀하게 연관되는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과 단편적인 지식교육에서 벗어나 지식, 기술, 가치와 태도 등이 실천적으로 통합되는 방식을 보여주고,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가능성이 높은 교과의 핵심개념을 가장 중요한 학습내용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Based on the recently discussed cases of 'OECD Education 2030' and the Minerva School,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tandards for liberal arts subjects. University C was based on the concept of competency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followed by the DeSeCo project to develop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case of Minerva School. These mainly show how the content and competency of subjects are linked and that the competency encompasse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nd that competency education is mediated through the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is point, University C developed the curriculum standards for liberal arts subjects to enhance core competencies and designed classes for compulsory liberal arts subjects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In this curriculum standard, learning outcomes are first derived based on the nature of the subject, and educational goals are developed that link these to core competencies and include rubrics for each learning outcome. Then, we are preparing a learning framework that meets these educational goals, standards for educational content centered on core concepts, and strategies for operating curriculum for each subject. This case study presents a method in which core competenci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subject, and shows a class framework in which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are practically integrated away from fragmentary knowledge education, and applied in various situations. It is valuable in that it presents the core concept of the subject with high potential as the most important learning content.

      •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범대학생의 인식과 대응: 사회교육과와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정우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1 현장수업연구 Vol.2 No.1

        In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ty-four students major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33 in computer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regard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ICT. Responses from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s encompassed a wider range of issues including the social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s background and the response to it than those from computer education majors. Second, students suggested ‘information literacy’ and ‘fluency’ are required as competenci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think more value/attitude as competencies for the prospective teacher than computer education majoring students. Third, students evaluated themselves as lacking the response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fact,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think themselves as less prepared than their peers. Fourth, they did not think that education in the college is helpful for their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uter education majoring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and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were more critical than their peers. Most student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e role of education, nor did they bring about a critical view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ame itsel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ion, curriculum, pedagogy of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changed. 본 연구에서는 S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생과 컴퓨터교육과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대응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생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미지는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 자체였으며, 사회교육과 학생의 경우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4차 산업혁명이 미칠 사회적 영향이나 배경, 그에 대한 대비와 관련된 답변 등 다양하고 폭넓은 답변이 제시되었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일반인에게 필요한 역량과 중등교사에 필요한 역량으로 나누어 질문한 결과, ‘정보 리터러시’, ‘적응력/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사회교육과 학생은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해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을 응답한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본인의 대비에 대한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대체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사회교육과 학생이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 데 대학교육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것에 대해서는 모든 항목에서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평균이 높았으며, 특히 전공수업이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평균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기 위해 대학교육이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컴퓨터교육과에 비해 사회교육과 학생의 비중이 높은 항목은 수업 방법의 개선과 관련된 것이었으며, ‘융합형교육 확대’ 혹은 ‘학과간 칸막이 없애기’와 같은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 경우도 있어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사회교육과 학생이 대학교육에 더욱 비판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들의 응답에서 4차 산업혁명이 지니고 있는 부정적 요소를 상쇄할 수 있는 교육의 적극적 역할에 주목하거나, 4차 산업혁명이라는 프레임 자체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한 경우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면 사범대학, 특히 사회교육과의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전반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운영체제 개선방안 연구

        김재기,신향근 순천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과 敎育 Vol.8 No.-

        Recently, many educators have been paid their efforts to reorganize and redevelop educational systems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t universities. Some studies have reported that teachers in K-12 school systems have tried to develop their expertise in their fields. One way to do this is to enter regular educational programs and to earn an academic degree. This inclination also require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o restructure their systems and improve their education programs. For these education nee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ome suggestions for restructuring teacher training system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The following five aspects for further improve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re suggested: ① Humanization of teacher-training contents, ② Digitalization of educational systems, ③ Interrelationship of K-12 school systems and course-works of graduate programs, ④ Intern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⑤ Professionalization and specialization of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인식에 관한 연구

        문지영,아마르자갈,김학선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0 현장수업연구 Vol.1 No.2

        최근 한국어 교육의 위상이 높아지고 학습자와 교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관련 웹 콘텐츠를 대상으로 빅데이터의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주요 현황 및 인식을 탐색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2018년 5월 1일부터 2020년 4월 30일까지 2년간 축적된 네이버, 다음 사이트 등의 블로그와 뉴스, 학술자료 등에서 ‘한국어교육’을 키워드로 포함하고 있는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런 다음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빈도를 계산하여 중요 단어들을 선정, 정제하고 매트릭스 데이터로 만들어 의미연결망 분석에 이용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 관련 단어는 총 37,135개의 단어가 수집되었으며, 그중 상위 빈도 70개의 단어를 추출하였다. ‘한국어교육’ 키워드가 포함된 데이터에는 ‘한국어, 교육, 자격증, 외국인, 모집, 연구, 한국어 교육, 취득, 학생, 강사, 채용’ 등의 단어가 웹 가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하여 ‘다문화, 베트남, 유학생, 해외, 중국, 한국, 문화’ 등 학습자와 관련된 내용 또는 ‘세종학당, 교육부’, ‘다문화, 결혼이민,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이 정책과 기관에 관련된 내용들도 한국어교육에 대하여 주목할 만한 현황을 반영하고 있었다. 후속 작업으로 UCINET 6을 사용하여 텍스트의 네트워크 중심성과 구조적 등위성(CONCOR: CONvergence of iterated CORrelations) 분석을 진행한 결과 4개의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각각 ‘자격취득시험, 교원채용정보, 한국어 수업, 정책’으로 명명된 4개의 범주는 웹 콘텐츠에 등장하는 한국어 교육 관련 텍스트의 이용층과 그들의 주된 관심사를 보여줌으로써 후속 연구를 하는데 토대를 제공하였다. Recently, the numbers of learners and teacher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due to the recent rise in the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dealt with exploring the trends and issu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web contents relat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arget data set included heterogenous contents such as blogs, news, and academic materials that were accumulated between May 1, 2018 and April 30, 2020 in Naver and Daum sites. For the analysis of semantic networks, the important words were selected, refined, and made into matrix data by calculating their frequencies in terms of text mining. As a result, a total of 37,135 word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collected, of which the top 70 words were extracted. Data containing the keywor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wed that words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certification, foreigner, recruitment, research, Korean language education, acquisition, student, instructor, recruitment’ were highly visible. And the following words such as ‘multicultural, Vietnamese, international, overseas, Chinese, Korean, cultural’ or ‘multicultural, marriage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ere also noted regarding Korean language learners. In seque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COR(CONvergence of generated CORrelations) method using UCINET 6. The newly formed 4 clusters were named as ‘Qualification test, Teacher recruitment information, Korean language class, Policy.’ The four categories showed the diverse user group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web contents and their main interests. The research results provided the basis for the follow-up research reflecting the diversification of Korean language users.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사회문제 탐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특징

        이정우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1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ssu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The characteristics of 'Inquiry on Social Issues' were examined based on my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curriculum revis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was newly established as a elective courses for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It is design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 problem,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derive a solu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was also r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revision pursued in the ‘chongron’ while maintaining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level of difficulty was lowered by reflecting the review opinions raised during the revision process, and modifications were made to allow a more specific approach to social issues. In other word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ubject goal of 'cultivating learner-initiate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problems', the number of ar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was drastically reduced, and they wer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to a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hanges in the type of elective courses. 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more easily modified tha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ethod of presenting social problems was adjusted, and as an elective courses for convergence, it was guided to approach social issues in an integrated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revision, the tasks to make 'Inquiry on Social Issues' well used in the classroom was proposed by dividing it into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 execution.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개발 방향과 특징,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개발 방향과 개발 과정에서의 쟁점,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특징을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한 연구자의 경험 및 최종 결과물로서의 교육과정 문서 분석에 근거하여 살펴본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는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되었으며,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공동체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 스스로 사회문제를 선정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 역시 이러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유지하면서 총론에서 추구하는 개정의 방향을 고려하여 개정되었다. 그리고 개정 과정에서 제기된 검토의견을 반영하여 난도는 낮추고,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수정이 이루어졌다. 즉,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주도적 사회문제 해결 능력 함양’이라는 기존의 과목 목표를 유지하면서 고교 학점제로의 전환과 선택 과목 유형의 변화를 고려하여 영역과 성취기준의 수를 대폭 축소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보다 그 내용을 쉽게 수정하고 사회문제의 제시 방식을 조정하였으며, 융합 선택 과목으로서 사회문제에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에 맞게 ‘사회문제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잘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과제를 교과서 개발, 수업 실행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우리 나라 학교 환경교육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방진영,김대희 순천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科學과 敎育 Vol.8 No.-

        Environment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settlement of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s not activated because the national support is very weak in Korea. This demonstration is dealing with various problems and developing methods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The major developing methods are 1) systematizatio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2) diversific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ethods, 3) construction of life-long environmental education system. The national financial and administrational supports are essential to realize these methods.

      • 고등학교 정치교과서의 정치교육내용 비교 분석 : 『정치·경제』·『정치』교과서의 비교를 중심으로 『Politics·Economics』and 『Politics』

        조성규,손병선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9 科學과 敎育 Vol.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political education contents in a viewpoint of conservative and innovative function between 『Politics』and 『Politics·Economics』of the high school textbooks, those have been used in 5th and the 6th curriculum. First of all, this study made an analytic model about the political education context of the high school textbooks on the basis of many theories about the political education for students. Second, it made criteria about the usefulness and the harmony between conservative and innovative function for political education in a socio-functional point of view, and also, briefly reviewed the process of undergoing change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ntil now. Third, according to the criteria, it examined the contents of the politics textbooks of the high school and analysed the frequencies of contents in each political education areas.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Politics·Economics』 showed more tendencies of a rightist direction than those in 『Politics』. In conclusion, the study is suggesting it is critical for students to teach organization culture, discipline and to maintain the society, but the recent political education needs to teach them both conservative and innovative area to a adjust themselves to a changing society.

      •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을 중시하는 진로교육 방안

        정영진 順天大學校 師範大學 附屬 科學敎育硏究所 1996 科學과 敎育 Vol.4 No.-

        The caree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within schooling, which means that the various perspectives of individual students such as abilities, aptitudes, interests, etc., should be clearly figured out and developed by career educators. To b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guidance and counseling for career educ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planned, organized, and performed and furthermore, each individual should take into account his own skills, abilities,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Several guidelines for career education emphasized the variety of each individual can be suggested as followings : ① Individual: Achieve a long-term life goal, ② Family: Maintain a happy family, ③ School: Perform a whole-person centered education, ④ Society : Improve the partnership between university research and industry, ⑤ Nation : Allocate the human resources efficiently. The guidelines for career education should increase the success of achieving one's career and life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