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에서의 아시아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 담론과 정책적 대응

        이지영(Lee, Ji-you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본 글은 일본에서의 인신매매 아시아 이주여성에 대한 사회 담론과 일본의 정책적 대응을 고찰한 것이다. 인신매매는 일본으로의 아시아 여성 이주의 한 유형으로 세계적인 경제 구조, 계급, 인종, 젠더가 교차하는 곳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이주 여성의 취약한 권력관계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일본 내 인신매매 아시아 이주여성에 대한 담론은 세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개인의 자발성에 근거한 개인책임론이고 둘째는 이주여성의 취약성을 중시한 피해자 보호 담론이며, 셋째는 이들 여성을 인신매매 피해자로 규정하면서도 시혜적 차원이 아닌 인권보장 차원에서 이들의 보호와 권한 강화를 주장하는 담론이다. 특히, 여성 · 인권 NGO에 의해 형성되고 제기된 인권보장 차원에서의 담론은 인신매매의 실태와 이주 여성이 처한 인권침해의 상황을 가시화하고 인신매매의 문제를 국가의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이슈로서 아젠더화해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일본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이끌어낸 것은 일본을 인신매매 목적지국이나 특별감시대상국으로 지정하는 등 일본에 대해 강화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비판이었다. 일본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비판을 해소하기 위해 인신매매대책을 수립하지만 인권차원에서 피해 여성들을 보호하고 그들의 권한을 강화하기 보다는 치안유지 차원에서 출입국관리를 강화함으로써 일본으로의 이주 자체를 통제하는 방향으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본으로서의 아시아 여성의 인신매매는 더욱 교묘해지고 잠재화되고 있고, 여성의 성적착취에서를 목적으로 한 인신매매에서 노동착취를 목적으로 하는 인신매매로 그 양태가 변화되고 있어 국제이주를 양적으로 통제하는 출입국관리만으로는 인신매매를 근절시킬 수 없고 피해자를 줄여나갈 수 없음이 드러나고 있다. 인신매매의 문제는 인권차원에서 접근해야하며 인신매매대책은 국가에 의해서 배타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 인권보호의 실질적 경험을 축적하고 담론을 형성 발전시켜온 여성 · 인권 NGO 등 다양한 사회 행위자와의 거버넌스 하에 추진되어야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social discourses and policies on Asian female migrants in Japan, focusing on human trafficking. Human trafficking is a type of women"s migration to Japan from Asia, and it occurs by multi causes that are global economic structure, class, ethnicity, and gender. We found that various social discourses on Asian female migrants have been structured in Japan. First, A discourse focusing on the autonomy of woman in migration process, which stresses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human trafficking. Another discourse pays attention to the vulnerabilities of female migrants to human trafficking, that regards them as victims and asserts protection for them. The last is the discourse on women"s human rights that insists on the programs for Asian female migrants" empowerment. The discourses of "victims" protection" and "migrant women"s human rights" have constructed by anti-trafficking movements NGOs, that have supported Asian female migrants. These discourses have contributed to visualized seriousness of human trafficking in Japan, but failed to inducing government"s response by polices on anti-human trafficking. It is international blames on Japan as a destination country of human trafficking that made Japanese government start to establish polices on prevention and prosecution of human trafficking. However, the Japanese programs lacks of gender perspectives, which have not been effective for prevention and prosecution of human trafficking. Now Japan is required to consent to NGOs" discourse and close cooperation to NGOs in governance human trafficking.

      • KCI등재

        소비에트 초기 중앙아시아 여성 정책과 정체성

        이현숙(Lee Hyunsu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1

        1917년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의 성공 이후 중앙아시아에서 행해진 ‘소비에트화’(Sovietization)는 이 지역을 현대화하려는 시도였다.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통제 정책은 이 지역의 이슬람 전통이나 관습, 혹은 이 지역 주민들에 대한 영향을 제거 하거나 축소하고 이를 대신하여 소비에트 문화를 창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에트 초기 중앙아시아 여성 정책은 이중적인 면을 지니고 실행되었다. 소비에트 정부는 여성의 권리 신장을 위해 사회주의 법을 도입했지만 중앙아시아에는 이슬람법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었다.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여성 정책의 주요 목표가 여성의 노동력의 사회화였다면 이는 여성으로 하여금 이중 부담의 짐을 지게 하였다. 한편 소비에트 정부가 중앙아시아에서 행한 급진 정책의 하나인 후줌(Khudjum)은 여성을 베일로부터 해방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지만 많은 중앙아시아 여성들은 이를 문화에 대한 침입으로 간주하고 저항하였다. 이렇게 소비에트 정부의 중앙아시아 정책은 이중적 성격으로 진행되었고, 이는 중앙아시아 여성들로 하여금 소비에트 문화와 무슬림의 전통이 공존하는 독특한 정체성을 갖게 하였다. The Sovietization that took place in Central Asia after the socialist revolution of 1917 was an attempt at modernizing Muslim regions. Where the objective of alleviating the strong Islamic influence among the people in the region, Soviet government"s polices were aimed at destroying traditional Muslim cultures and creating Soviet counterparts. Soviet government"s policies for Muslim women in Central Asia during the Soviet era created ambivalent tension. Although the Soviet government"s intended objective of eliminating or reducing the influence of Muslim Asia law, which had traditional authority in Central Asia, to advocate women"s rights. Soviet laws came to be associated with the public domain while customary laws persisted in private. One of the major objectives of Soviet polices for women was to secure female labor, and the government forced the double burden for women to maintain traditional family work while participating in social labor simultaneously. One of Soviet governmen"s most radical policies for women in Central Asia was Khudjum, which banned women from wearing the veil. However, peoples of Central Asia regarded such policies as intrusion of their culture and vehemently resisted against the campaign. In this way women in Central Asia have unique identity in which traditional Muslim and new Soviet cultures coexisted.

      • KCI등재

        인도의 성인지 예산 제도화와 여성의 참여

        배유경(Yoo-kyung Ba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0 아시아여성연구 Vol.49 No.1

        본 논문의 주요관심은 인도의 성인지 예산 제도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지역 여성 단체의 참여와 기여를 살펴보는 것이다. 1995년 북경여성대회의 성주류화 행동강령 채택 이후 인도 정부는 국제기구의 지원에 힘입어 2004-05예산부터 성인지 예산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였으며, 이는 남아시아에서 가장 선진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인도는 비효율적인 행정시스템과 인종, 종교, 카스트, 지역, 언어 등의 사회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해 법ㆍ정책 수준과 실질적인 지역 수준에서 시행되는 사업 사이에는 큰 괴리가 존재한다. 1970년대부터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된 자율적인 여성조직들은 지역의 특수성에 기초한 다양한 이슈의 풀뿌리 운동을 전개하여 왔다. 인도의 성인지 예산분석가들에 의하면, 정부가 성인지 예산을 현실화하는 과정에서 여성조직의 참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크게 세 가지 연구 과제를 다루고 있다. 우선 인도의 성인지 예산도입 배경과 제도화 과정을 연방정부 수준에서 살펴본다. 두 번째로 세 개 지역에서 여성단체들이 성인지적 관점으로 접근한 지방정부 예산 분석 내용과 지역 수준에서 예산 실행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성인지 예산 제도화 과정에서 여성조직 참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정리해 본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인도의 성인지 예산은 연방정부와 지방정부에서 전담부서를 설치하여 적극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전체 예산에서 여성예산의 비중은 아직 미미하며, 단계별 시행 과정에서 많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여성사업에 대한 지역 여성단체의 참여가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지역편차가 존재하였다. 앞으로 성인지 예산의 안착을 위해서는 연방정부 뿐 아니라 지방정부와 지역 여성단체의 올바른 거버넌스 정립이 시급한 과제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budgeting in India and the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of grass roots-level women's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of India has initiated the gender budgeting in union budget 2004-05 since the adoption of Gender Mainstreaming strategies in making policies from Beijing Platform for Action in 1995. The Indian case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advanced one in South Asia. However, India has many obstacles in Gender Mainstreaming due to an inefficient administration system and the diversity in race, religion, caste, region, and language. In the 1970s and 1980s, autonomous community-based women's organizations led women's movements on region-specific issues. The gender budgeting analysts in India argued that national and local policies can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without stimuli from grass-roots women's organizations. This paper concerns, first, the background of the initiation of gender budgeting and the institutional process at the union government level, second, three cases of women's organizations' gender budget analys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and practica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gender budget, and, finally, the meaning of women's participation in gender budgeting and their limitations. While gender budget cells has expanded at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ince 2004-05 budget, the proportion of gender budget is still very small and there were local differences in the extent of women's participation. It is impending to build up a governance among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based women's organization in order to secure gender budgeting in the future.

      • KCI등재

        장애를 가진 직장여성의 여성으로서의 경험 연구

        이은미(Eun-Mi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8 아시아여성연구 Vol.47 No.2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직장여성의 여성으로서의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여성주의적 시각에서 분석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10명의 장애를 가진 직장여성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장애여성들은 전통적 성역할 의식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의식이 장애라는 요소와 맞물려 이들의 심리, 사회, 신체적 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장애 여성과 마찬가지로 장애여성도 가정 내 가사와 육아의 주 수행자로 역할하고 있었고, 이러한 역할수행에 있어 남편등으로부터 도움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직장 내에서도 장애여성은 ‘여성’역할을 수행하도록 강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셋째, 장애여성은 구직이나 월급, 승진이나 동료들의 의식 등에 있어 차별이나 불이익을 당하기도 하고, 특히 임신이나 출산 등에 대한 배려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이와 같은 부정적인 경험도 존재하지만, 직업활동은 사회적 편견이나 차별로 인한 피억압을 경험하는 장애여성들에게 독립된 존재로서의 의미와 가치를 찾게 하는 수단이자, 직업적, 개인적 발전과 성취를 위한 도전과 변화의 통로가 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장애여성들은 장애가 삶에 미치는 영향이 압도적이어서 여성의식이나 여성정체성이 잘 생기지 않지만, 장애가 문제가 되지 않는 영역이나, 주부나 엄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한 전통적 의식이 변화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고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역할 의식에 대한 탐색과 도전 및 의식전환, 장애여성들에게 필요한 실질적인 도움 제공, 장애여성의 문제를 여성운동 내에서 부각시키기, 취업지원 서비스 제공, 장애운동의 주체들과의 네트워크구축 필요성 등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the experience as a woman of women with disability at workplace through the lens of feminist perspectives. 10 women with disability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most of the participants showed traditional gender role perception which later combined with the factor ‘disability’, which affects them in negative ways with psycho-social-physical aspects. Secondly, likewise the women without disability at workplace, the participants were likely to be expected to play ‘woman role’ in family as well as at workplace. Thirdly, discrimination and disadvantages were vividly found at workplace regarding job searching, salary, promotion and peer attitudes. Also caring atmosphere lacks for pregnant women with disability. Fourthly, in spite of the negative experiences and effects, the job activities provided feeling and status of independence, value as well as challenge and being a channel for personal and occupational growth. Lastly, there were not clear boundary between the effects of disability and gender. Rather the participants seemed to feel more powerful influence of disability than gender factor. But when faced no disability-related issues or when playing housewife or mothering job, they felt the need to change of the traditional perception of gender role. With these findings, it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such as giving women with disability broadening opportunity to explore and challenge the gender-role perception, providing them substantial support, issuing the issues of women with disabilities in feminist movement, supplying jobsearching support service, and building the network with disability movement agencies.

      • KCI등재

        이주여성노동자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관한 경험적 연구

        김영란(Young Lan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7 아시아여성연구 Vol.46 No.1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 이주해 있는 여성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에 대해 경험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문화적 적응지원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노동자들은 주로 제3세계 국가이면서 가부장적 사회로부터 유입되고 있으며, 노동시장에 편입해도 성별로 분업화된 직종에 주로 종사하고 있다. 즉 남성보다 낮은 지위, 임금, 작업환경, 모성보호 부재와 함께 성폭력을 경험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주여성은 인종 및 계층문제뿐만 아니라 성문제 등이 중첩되어 이주남성노동자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이주자들이 이주국에 편입되면 그 사회에 적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주국에 대한 언어, 법과 제도 그리고 생활양식 등에 대한 지식 및 인식이 필요하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이주여성노동자들은 남성보다 사회문화적 적응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나아가 여성들간에도 적응에 있어 차이를 보일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조사결과 사회문화적 적응과 관련하여 성별 차이보다는 여성 집단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주여성노동자들의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해서는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적응관련 정책뿐만 아니라 여성 집단간의 차이를 고려한 맞춤식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empirical survey and on finding support ways, concerning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women laborers immigrated into Korea. In Korean society, these women are mostly coming from the Third World,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and being occupied in labor field of gender division, that is, with lower status and wage, worse labor environment and the lack of maternity protection, they may experience sexual violence. So these women have more difficulties than men laborers, concerning problems of race, social class and gender. In transferring into the immigration state, it is important for the immigrated to adjust themselves to that society, especially to know and understand language, law and institution, and ways of living of the state. Female laborers immigrated into Korea, however, have more difficulties in sociocultural adaptation than men ones, and differences even between them. These difficulties interfere in overcoming different discriminations in the labour field. So, with the multicultural and multiracial society near at hand in Korea,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reality of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of Female laborers immigrated into Korea and to propose, on this basis, support ways to their adaptation.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어머니 노릇(mothering): 몽골 출신 고학력 여성의 자녀교육을 중심으로

        윤승주(Yun Seung Ju),김노을(Kim Noeul)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몽골 출신 고학력 이주여성들의 어머니 노릇에 대한 것이다. 몽골 결혼이주여성들은 사회주의 체제하에서 자라고 교육받았기 때문에 한국 자본주의 체제의 경쟁적인 교육 시스템과는 매우 이질적인 사회 ·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관련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 · 경기 지역에서 장기간 거주하며 학령기자녀를 키우고 있는 직업을 가진 고학력 몽골 출신 이주여성 15명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몽골 출신 이주 어머니들은 ‘모성’과 ‘결혼이주’, ‘학부모’라는 특수성의 교차점에 놓여 있었다. 둘째, 이주 어머니들은 자녀교육 지원 경쟁과 사교육에 대한 갈등 등을 통해 본국에서 형성된 교육에 대한 인식과 한국에서 새롭게 형성된 사회 · 문화적 배경과의 상호교차 속에서 어머니 노릇을 재구성하고 있었다. 셋째, 이주 어머니들은 어머니 노릇에 대해 더 주체적으로 인식하며 사고를 확장해 가기도하였다. 이 연구의 기여는 다층적 구조에 놓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어머니 노릇을 인식하고 재구성하며 주체적으로 확장해 가는 경험을 통해, 이들에 대한 한국 사회의 시선과 정책적인 지원 역시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있다. This paper is about the mothering of highly-educated migrant women from Mongolia. As married Mongolian migrant women were raised and educated under the socialist system, they have a very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from Korean women who were raised and educated under a competitive education system. However, few studies investigating this issue. We extensively interviewed 15 women, who have been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s for a long time, are raising school-age children, and have jobs. We found that: (1) these women are at the intersection of the specificity of “mothering”, “marriage migration,” and “school parents”; (2) they are reorganizing mothering through the competition for children"s education support and conflict over privat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mutual recognition of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y and the newly formed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n Korea; (3) they have more independent awareness of mothering and have expanded their thinking.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s that the Korean society"s perspective and policy support for married migrant women must be changed through recognizing, reconstructing, and expanding the mothering of these women.

      • KCI등재

        그림을 통해 본 가부장적 근대 유럽에서 활용한 여성 이미지의 이중성

        전경옥(Chun, Kyung-oc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1 아시아여성연구 Vol.50 No.2

        근대 국가가 수용하는 진보와 변혁이 역사의 방향을 틀어가고 있을 때, 이 시기 여성의 이미지는 진보적인 근대의 특성과 걸맞지 않은 가부장적 시선 안에서 풍자와 차별의 대상으로 남겨졌다. 여성의 이미지는 근대성의 불완전한 모습의 반영이며 근대 정치사상의 역사 속에서 제외된 약자의 진실을 대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근대화의 다양한 선전은 그럴듯한 외관과는 모순되게 고정관념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인식할 때 근대성의 정치성을 완전히 파악할 수 있다. 이 논문의 문제의식은 하나는 그런 이해와 비판이 주로 여성성을 비사회적이고 비정치적인 성격으로 과장하는 것에 있다. 또 하나는 여성을 국가의 상징으로 만들어놓을 때 이는 살아있는 인간이 아니라 인위적이고 자연적이지 않은 신화적 존재로 과장한다는 것이다. 여성적인 국가는 아이를 보호하는 어머니 모습을 담고 있다. 이 논문은 첫째, 근대 서양 정치사상의 남성 중심적 가부장제의 토대를 소개한다. 둘째, 이 토대에 대한 도전을 소개한다. 셋째, 여성에 의해 사회적 통념이 무너지는 현장을 풍자하는 이미지를 통해 교회나 국가 권력의 훼방자로서의 여성의 이미지를 다룬다. 넷째, 앞의 부정적 이미지와는 언뜻 보기에 상반되는 인격화된 국가의 알레고리를 통해 가부장적 국가와 사상이 드러내는 이중성을 비판한다. 이렇게 하는 과정에서 자유주의가 합리화하는 근대성의 정체를 비판적으로 정리하고 정치사상의 사회적 역할의 확대를 요구한다. This paper explores 1) the conflicting images of women shown in the political drawings and paintings in modern political thought, and 2) the meaning of those drawings and paintings as the tool of studying political thought. First, this paper challenges the prevailing belief that modern political thought began from Machiavelli has provided the essence of liberty and equality, the major concepts of liberalism. Patriarchal perception has been consistent in the core of liberal ideas though. The major goal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images of women politically used in Europe from the 16th to the 19th centuries. By doing this, we can see the inconsistency of liberal nature of modern political thought in Europe. The drawings of Aristotle and Phyllis reveal the oppressive power over women conducted by the church and the state, and the image of the state personified women utilizes maternal nature. Whatever the intention of using these images, never changed is patriarchal treatment of women. Second, this paper shows political satires of modern Europe as the alternative of studying political history and political thoughts.

      • 탈북여성 인권보호의 국제정치학적 의미와 대안 모색

        홍규덕(Kyudok Hong)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2 아시아여성연구 Vol.41 No.-

        탈북자에 관한 보도가 전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으면서도 한국에서나 세계인권 단체에서 탈북 난민들의 문제를 여성인권 보호차원에서 접근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인권단체인 사단법인 “좋은 벗들”의 중국동북부지역 2,479개 마을에 대한 현지조사보고서는 2001년 11월부터 2002년 4월초까지의 탈북자 센서스에서 남성 6,971명에 비해 여성 2만 1,100명으로 3배 이상 여성이 많은 것으로 밝히고 있으며, 이중 20대-30대 젊은 여성층이 많으며, 조사의 손길이 닿지 않는 산간오지를 포함한 경우, 여성의 비율이 훨씬 높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탈북자의 인권문제를 북한주민 인권개선이라는 지나치게 광범위한 주제로 접근하기보다는 “여성인신 매매와 성폭력에 대한 피해방지”라는 매우 제한적이지만 국제사회의 공감을 획득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문제해결에 있어서 중국정부와 지식인들의 공감대를 확보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도 이들을 비난하기보다는 이들이 수긍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 공동으로 문제해결에 접근하는 전략적 선택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본 논문은 탈북자의 문제가 지니는 국제정치학적 의미를 3가지 분석수준(levels of analysis)에 따라 검토하면서, 특히 탈북 여성들의 인권보호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탈북자의 발생은 우선 지역국가들로부터 지역안보차원에서 대처가 필요한 새로운 위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는 점에서 큰 변화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초국가적 연대를 갖는 비정부기구들의 참여증가와 문제해결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는 것 역시 새로운 변화이다. 마지막으로 탈북자에 대한 문제는 국내적으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대응책 개발에 관한 정부 또는 민간단체간의 활발한 정책토론을 유도하는 부수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본 논문은 3가지 퍼즐(puzzles)을 통해 주제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첫째, 미국의 중간선거 이후 확대될 보수주의적 세계관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인권문제의 해결에 반드시 저해되는 것만이 아니라는 사실을 밝히고자 했으며, 둘째, 인권문제가 결코 개발이나 환경문제 등 다른 영역의 문제와 결별된 채, 독자적으로 해결될 수 있는 단순한 문제가 아님을 밝히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세계화와 정보화는 북한 탈북자들의 문제를 국제사회의 중심현안으로 만들어 줄 가능성이 매우 크지만, 이에 대한 준비가 먼저 갖추어져야만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국제사회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의 변화와 사고전환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탈북여성 인권신장은 우리의 영토가 아닌 다른 국가의 영토 내에서 신장 되어야 한다는 지극히 어려운 조건을 안고 있으며 따라서 탈북여성의 인권유린에 관한 우리의 느낌과 자세도 중요하지만, 중국정부와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건설적 협력관계를 창출하고 유지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국제사회에서 활동하는 여성단체들과 공동으로 대처해나가야 하며, 동시에 다른 지역 여성들의 피해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이들의 문제해결노력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할 것이다. 미국의 대 이라크 공격을 앞둔 현 상태에서, 서방의 언론들은 아프가니스탄의 여성들에 이어, 이라크 여성들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거론하기 시작했으며, 인권사각지대로서 이들 사회가 갖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북한의 핵 문제가 미국과 대결국면으로 갈 경우, 북한의 인권 특히 탈북자들의 비참한 인권실태는 미국의 공세적 정책을 정당화하는 차원에서도 더욱 활발하게 비쳐질 가능성이 크다. 다만 그럴 경우, 우리 여성계가 단순히 세계여론의 비난에 동조하고 말 것인지, 아니면 이들의 문제를 치유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지는 전적으로 우리의 준비여하에 달려있다. 북한의 탈북자 문제에 대한 배경과 심각성, 그리고 어떤 대응책들이 가능한지를 세계여론의 중심부에서 충분히 이해하고 문제해결에 동참할 수 있는 매우 조직적이고 다각적인 노력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탈북여성들이 겪은 피해사례와 이에 대한 조사는 현 수준보다 훨씬 체계적인 방법으로 진행해야 하며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채택 가능한 증거기준에 입각한 자료를 확보해나가고 증언을 채택해나가는 매우 세심하고 조직적인 준비를 갖춰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그들 피해자들이 국내사회에 안정되게 적응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확충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할 것이다. 결국 우리가 추구하는 대응노력의 결과여부가 국제사회의 동참여부를 결정할 관건이 될 것이다. It would be futile to debate whether those North Koreans who crossed the Yalu and Tumen Rivers to China in searching for foods and shelter can be considered as political refugees. It is absurd to say that all those migrants were driven by the fear of political persecution and physical threat. However, it is equally absurd to deny that Kim Jong Il and his party are torturing and abusing those people when they were caught by the undercover secret police at the border or within the territory of China. This study suggests that despite much publicity on North Korean migrants in China, it is seldom to focus on this issue from the particular perspectives of women in terms of massive human rights violation against women. According to the field study on 2,479 villages in Northeast China done by Good Neighbors, female to male ratio among escapees is almost three to one. The census reports that there were 21,100 female migrants while only 6,971 male migrants were found during the period of November 2001 through April 2002. Among those female migrants, more than two-thirds are in the 20s and 30s. It signifies the problem of human trafficking of women migrants and sexual violence against those young women are rampant in many areas of Northern China since they have virtually no legal protection. One of the major arguments of this study is that a plan must be designed to narrowly focus on preventing human trafficking and sexual violence against North Korean migrant women. This study emphasize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bring the Chinese government as well as its intellectuals in to find ways to solve this problem as constructive partners. This study brings three puzzles that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has to focus on. First, how does the Bush administrations drive for a more aggressive doctrine of preemption affect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North Korea particularly, for the security of those escapees? Second, can human rights issue be targeted independently without considering the factors of domestic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hirdly, how much do the globalis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can help the issue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atten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despite much criticism on unilateral, preemptive military action against the Iraqi forces and no tolerance policy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brinkmanship, the two-track Bush policy of applying pressure through diplomacy while continuing to push forward with intelligence and military options will be the best alternative to deal with such a dictator like Sadam Hussein and Kim Jong Il who have exerted their ruthless power against their own people and make them to leave for another country for searching for foods in order to avoid starvation and diseases. Second, the human right issue can never be dealt alone successfully. The environmental problems afflicting North Korea are structural and will require a long-term and holistic approach that goes beyond the ad-hoc, albeit numerous emergency relief operations that now exist. South Korea should take the initiatives to help North Korea to strengthen its endogenous capacities to develop in a more sustainable direction. Yet, it is highly unlikely for a newly elected President and his government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as current government has done unless Pyongyang shows a sign of fundamental change by fully committing to give up its nuclear option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Third, human rights violations in North Korea and miserable life story of North Korean escapees in China will soon be appeared on the Western mass media as the U.S. will focus more on Pyongyang in order to deal with the nuclear crisis. However,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civic society has not ready yet to provide a leading role to help those people who were deprived of their basic rights in North Korea and China. This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Korean government as well as

      • KCI등재

        무슬림 여성의 히잡착용에 대한 종교현상학적 해석

        안신(Ahn Sh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9 아시아여성연구 Vol.48 No.2

        무슬림 여성이 착용하는 히잡의 상징성은 여성주의 종교담론에서도 핵심적인 논쟁의 주제로 최근 부상하고 있다. ‘복종과 평화의 종교’로서 이슬람은 그 어원적 의미와는 달리 가부장적인 제도 아래 여성들을 억압하고 고립시켜 그녀의 권리를 유린하는 여성차별적인 종교인가?아니면 다른 종교들보다 앞서 여성의 권리를 보호하며 여성의 사회참여를 미리 예견하고 실천한 양성평등의 종교인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필자는 먼저 이슬람 외부자의 고백론적 입장에서 이슬람과 무슬림 여성의 히잡을 ‘억압’의 상징으로 비판하는 기독교 여성신학자들의 주장을 분석했다. 그들은 기독교의 메시지를 무슬림들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히잡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에 이슬람 내부자의 환원론적 입장에서는 히잡을 서구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항하는 ‘저항’의 상징으로 지지해 왔다. 우리는 상호 충돌되는 두 입장을 동시에 극복하면서 종교현상학적 해석을 통하여 다차원적 종교상징으로서 히잡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필자는 7세기에 집성된 꾸란과 9세기에 수집된 무함마드의 언행록(하디스)을 분석하여 히잡이 초기 이슬람 사회에서 형성되었다기보다는 후기 이슬람의 확산과정에서 유입되면서 가부장적 제도와 결합하여 강화되어 정착된 것으로 설명했다. 꾸란의 남녀유별관은 유대ㆍ기독교 세계관보다 현대 여성주의 관점에 가까운 양성평등론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나 이후 일부 언행록은 여성을 본성적으로 남성보다 열등한 유혹자로 간주해 히잡착용의 정당성을 확보했다. 앞으로 다차원적 종교상징으로서의 히잡착용에 대한 여성주의 담론은 이슬람 세계관의 공감적 이해와 상황의 심층적 분석을 균형 있게 시도함으로써 그 다양한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Muslim women's veiling becomes one of the key issues in feminist discourses of religious studies. Has Islam, the religion of submission and peace, oppresse women by isolating them from society and stealing their human rights? Or has it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gendere quality by protecting women's rights and strengthening their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author examines two main approaches: outsider's confessional approaches and insider's reductive approaches. Christian feminists and scholars of mission studies criticize the negative dimension of Muslim women's veiling, regarding it as the symbol of oppression. On the contrary, Muslim social scientists focus on the political dimension and emphasize the meaning of resistance in women's veiling. Overcoming these trends, the author suggests the necessity of religious-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Muslim women's veiling as a multi-dimensional religious symbol. The analysis of the Qur'an and Hadith leads us to recognize the different views of woman between early Islam and late Islam. Hijab was originated from pre-Islamic culture and became a part of Islamic tradition. Muslims have transmitted women's veiling and Islamic teaching to other cultures through the process of expansion. We find the gender equality in the Qur'an, but the Hadith contains some elements of gender discrimination concerning the human nature. In conclusion, we need to open ourselves to new approaches balanced by the empathetic understanding of Islamic worldviews and the contextual analyses.

      • KCI등재

        호주 무슬림 여성의 베일과 '호주성' 논쟁

        문경희(Moon, Kyoung-h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2 아시아여성연구 Vol.51 No.2

        본 연구는 최근 10여 년 동안 호주에서 나타난 무슬림 이민자에 대한 문화적 인종주의 확산 현상에 주목하며, 그 과정에서 등장한 "호주성"과 베일착용 논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논란의 핵심에 젠더, 인종, 종교라는 세 개념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과, 결국 이들 세 개념을 토대로 전개된 "호주성"과 베일착용 금지 논란이 동시대 호주사회 내 무슬림 여성의 사회적 배제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점도 고찰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호주에서 전개된 무슬림 이민자에 대한 비무슬림 호주인의 "호주성" 강화에 대한 논의는 한편에서는 국가 안보와 사회통합, 여성의 권리 획득 이라는 명분하에 진행되었지만, 그 과정에서 "호주성"에 내재되어 있는 가부장적 백인 민족주의와 기독교 세속주의를 표출함과 동시에 확대 재생산하는데 기여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일부 비무슬림 남성의 무슬림 여성에 대한 "인종화된"폭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그로 인한 무슬림 여성의 안전 및 권리 침해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최근 호주 사회에서 "호주성"을 중심으로 강화되고 있는 민족적 정체성 확립과 사회통합 인식으로 인해 무슬림 여성의 사회적 배제와 함께, 그들의 문화적 다양성과 시민적 권리가 위협받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에 베일이 범죄 및 신분가장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호주 일부 지역에서는 특수한 상황 하에서 무슬림 여성의 베일 착용을 법적으로 제한하기 시작했다는 점도 논의된다. This paper looks into the expansion of cultural racism against Muslim immigrants in contemporary Australia, paying special attention to the debate over "Australianess" and banning Muslim women"s veils. While the concepts of gender equality, anti-racism and secularism are implicated in the construction of "Australianess", the recent debate of "Australianess" and veils has contributed to worsening of Muslim women"s social exclusion, as well as violating their rights and cultural diversity. The major argument of this paper is that the non-Muslim Australians have emphasized "Australianess" as the key values and norms mattering for national security, social integration, and women"s rights. However, this has inevitably generated the discourse that "others" cultures, including Muslim women wearing a veil in public sphere, are confronting the values and norms of "Australianess", and therefore, the veils should be banned in Australian society. The view that Islam as potentially problematic for women"s rights is underpinned by a racialized conception of "Australianess" as secular and gender equal. Nonetheless, in this process, an unnamed assumption of "Australianess", as patriarchal, white nationalist, and Christian has been highlighted. As a consequence, non-Muslim Australian men"s "racialized" violence against Muslim women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resulting from threatening of Muslim women"s personal security and their social righ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