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 탐색

        지준호 ( Chun Ho Chi ),김성식 ( Sung Sik Kim ),이병규 ( Byung Kyu Lee ),김선혜 ( Sun Hye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1

        본 연구는 다변화 사회에 고등교육의 개혁에 대한 요구를 교육대학교의 교사교육 개혁과 관련지어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교육대학교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델 개발을 위한 준거와 기본방향을 설정하고, 서울교육대학교의 최근10여 년간의 장단기 발전계획 및 교육과학기술부와의 MOU 특성화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육`` 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모델은 교육대학교의 역량 강화 및 교사의 질적 수준 향상, 그리고 초등교육의 발전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크게 4대 과제, 즉 비사범계 전공 설치, 대학원 박사과정 신설, 학생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이들 3대 영역을 지원하는 조직 체제 구축을 핵심 영역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교육``특성화 대학으로서의 발전 모델은 서울교육대학교가 처한 다양한 교육환경 요인을 극복하고 대학 안정화 및 내실화를 기하는 계기가 될 것이며, 대학 발전을 위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준거 및 계획 실행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아울러 교사양성을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은 물론, 각 교육대학교의 발전 모델을 개발하는 기초 자료 및 교원양성대학교 특성화 추진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education-based development model for reforming a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to cope with social demands on improving quality of teachers education. This study has constructed basic principles and criteria of the model through analyzing the development plan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NUE) and the memorandum made recently by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M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should be focused on goals such as building of educational capability, assurance of teachers quality, and eventually innovation of elementary education. To realize these goals, four key strategies were suggested: initiation of non-teacher training program, opening of a doctor`s course, operation of various student`s capacity building program, and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onal support system. The suggested education-specialized development model is expected to provide grounds to overcome challenges that universities of education have ever faced with. And it will be also used as a reference document for a new plan of raising quality of teachers.

      • KCI등재

        교육대학 신입생의 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2013학년도 서울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김광수 ( Kwang Soo Kim ),김현령 ( Hyun Ryung Ki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최근 급변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및 교직 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교육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특성 또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 학생들의 변화하는 특성과 교직에 대한 인식을 이해함으로써 초등교원 양성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및 학생지도 방안의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울교육대학교 2013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와 과거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신입생 중 재수생의 비율이 급증하고 있고, 좋은 가정배경 및 학업능력이 뛰어난 우수한 인재들이 더 많이 입학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신입생들은 적성 및 진로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환경변화에 따른 시간 관리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초등교원 양성대학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the characteristics of entering freshmen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of teaching profess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ir views on teaching profession. Researchers expect that the findings can encourage University of Education to develop their curriculum for guaranteeing the quality of traini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urvey of entering freshmen in 2013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researchers compare the result of 2013 with the past.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tudy. The ratio of repeat examinees have been sharply increased. Also, more outstanding students who have good family backgrounds and academic abilities get in to the university. First year students a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aptitude and career issues than the past. And they are troubled in time management. With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University of Education are being discussed.

      • 1990 학년도 서울교대 신입생의 실태조사 결과분석

        金珍琥 서울敎育大學校 學生生活硏究所 1991 學生生活硏究 Vol.17 No.-

        1990 학년도 서울교육대학 신입생 509명(전체 신입생의 96%)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의 결과를 영역별로 간단히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적 사항 ① 신입생의 출생년도는 1971년이 50.1%, 1970년이 23.8%, 1972년이 15.9%로 1970∼1972년 사이에 출생한 신입생이 전체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② 신입생의 약 77%가 도시지역에서 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③ 신입생의 고교 졸업년도(검정고시 합격년도 포함)는 1990년이 59.5%이고, 그 이전이 40.5%이다. 즉, 신입생중 40.5%가 재수경험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성별로는 남학생(54.3%)이 여학생(35.3%)보다 재수경험의 비율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④ 신입생들은 대부분(96.1%)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밝혀졌다. ⑤ 신입생의 59.5%가 지방에 있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남학생의 55.1%와 여학생의 61.2%가 지방소재 고등학교 출신이다. ⑥ 신입생중 42.2%가 종교를 갖고 있지 않으며, 나머지는 기독교(36.2%), 천주교(11.2%), 불교(8.8%) 등의 종교를 갖고 있다. 한편, 남학생은 64.5%가 종교를 갖고 있으며, 여학생은 55.2%가 종교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정의 배경 ① 신입생중 부모가 모두 살아계시는 학생이 89%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모친만 살아계시는 학생도 9.2%나 되고 있다. ② 아버지의 학력은 68.6%가 고졸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아버지의 학력이 고졸이상인 학생의 비율이 남학생(61.6%)보다 여학생(71.5%)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나 남학생들의 아버지보다 여학생들의 아버지가 학력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③ 어머니의 학력능 고졸이상이 37.6%로 나타나 아버지의 학력보다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어머니의 학력이 고졸이상인 학생의 비율이 남학생(34.3%)보다 여학생(38.9%)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나 남학생들의 어머니보다 여학생들의 어머니가 학력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④ 보호자의 직업은 주로 상업(20.2), 농업(16.5%), 회사원(14.1%), 교육공무원(10.6%), 일반공무원(9.2%), 운수업(6.7%)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⑤ 본인을 포함한 형제·자매수는 3명(29.7%) -4명(27.7%) -5명(18.3%) -2명(10.8%) -6명(6.1%) -8명(2.8%) -7명(2.6%) -1명(1.4%) -9명(0.8%)의 순으로 나타났고, 평균 4명정도인 것으로 밝혀졌다. 비교적 형제·자매가 많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⑥ 신입생의 41.6%가 가정의 평균 월수입이 50만원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⑦ 신입생들의 학배조달은 대부분(83.3%)이 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이 스스로 학비를 조달하겠다는 학생도 6.7%로 두번째로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⑧ 재학중 학비조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신입생이 31%인 반면에 여유가 있거나 충분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학생은 11%에 불과하다. ⑨ 가족의 주거형태는 자택(79.2%) -전세(15.5%) -월세(4.1%) -기타(1.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약 21%가 남의 집이나 방을 빌려서 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가족들이 자택에서 살고 있는 학생이 남학생이 경우 69.6%이고, 여학생의 경우는 82.7%인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의 가정이 남학생의 가정보다 주거형태가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⑩ 신입생중 과반수이상인 54.2%가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민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⑪ 신입생중 54.0%가 자신의 교육에 대해 부모의 관심이 아주 높다고 하였으며, 26.1%는 조금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교 신입생의 부모들은 자녀의 교육에 대해 관심도가 높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⑫ 신입생중 61.1%는 가족들이 화목하게 지내고 있다고 하였고, 12%는 가족간에 불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의 17.4%와 여학생이 10.0%가 가족간에 불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여학생의 가정이 남학생의 가정보다 가족간의 분위기가 더 좋은 편임을 짐작할 수 있다. ⑬ 신입생들이 가정의 가장 심각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는 것은 경제적 어려움이 32.8%로 제일 많다. 32.0%의 학생들은 가정에 심각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진학 동기 및 태도 ① 신입생들은 대학의 기본성격을 학문탐구와 전수(47.0%) -인간교육(21.0%) - 사회봉사 및 현실참여(18.3%) -고급인력의 양성(10.4%) -취업준비(3.1%) -기타(0.2%)의 순으로 지각하고 있다. ② 신입생들은 일반사람들의 대학진학 목적에 대해 취업(42.4%)이나 사회적 대접(24.5%) 등 현실적이고 실리적인 면을 중심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신입생들이 대학을 진학하게 된 가장 큰 동기는 주로 장래 직업준비(39.5%), 사회봉사 및 현실참여(22.8%), 학문과 진리탐구(14.9%), 자신의 인격도야(10.6%)등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업준비와 사회참여의 동기가 강하고 상대적으로 학문적 동기가 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④ 신입생들이 교육대학을 선택한 이유는 주로 교원이 되고 싶어서(50.7%)와 취직이 보장되기 때문(32.4%)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중에는 병역상의 특혜때문에 교육대학을 선택한 학생이 10.9%인 것으로 밝혀졌다. ⑤ 신입생들이 본교를 선택한 최종 시기는 고3초∼원서접수전(52.9%)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⑥ 본교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은 부모 40.3%, 학생 본인 31.9%, 형제·자매 10.2%, 교사 9.6%, 선배나 친구 4.5%, 기타 3.5%로 나타나 약 68%의 학생들이 본교를 선택하는 데 있어 타인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본교 선택에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으로 본인(36.9%)이 가장 많고, 두번째가 부모(29.0%)인 반면에 여학생의 경우는 부모(44.5%)가 가장 많고, 두번째가 본인(29.9%)인 것으로 나타났다. ⑦ 신입생들은 서울교대생이 된 것에 대해 70.4%가 만족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불만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학생은 6.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의 경우 만족스럽게 생각하고 있는 학생이 75.4%인데 비해 여학생의 경우는 68.5%로서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의 만족도가 다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대학생활의 계획 ① 신입생들이 재학중 주거할 곳은 자택 50.0%, 기숙사 24.0%, 친척집 6.7%, 자취 6.5%, 형제·자매집 5.9%, 하숙 5.3%, 기타 1.2%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은 학교에 기숙사가 없는 관계로 자택(57.2%) 다음으로 하숙(18.1%)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학생은 대부분 자택(48.0%)과 기숙사(32.9%)에서 주거할 것으로 나타났다. ②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에서 가장 하고 싶은 것은 인간관계(42.0%) -학문적 탐구(28.7%) -교양활동(14.1%) -써클활동(9.6%) -이성교재(2.8%)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학생은 인간관계(34.8%)보다 학문적 탐구(35.5%)에 더 많은 학생들이 중점을 두고 있는데 반해 여학생은 학문적 탐구(26.1%)보다는 인간관계(44.7%)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신입생들이 교수님께 가장 기대하는 사항은 주로 훌륭한 인생관 확립의 안내(46.0%)와 학생입장의 이해와 관심(29.3%)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문적인 면 보다는 인간적인 면을 더욱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④ 신입생중 써클가입을 희망하는 학생이 61.9%이며, 써클가입을 희망하지 않은 학생은 6.9%로 소수에 불과하다. 즉, 써클활동에 많은 관심과 호기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⑤ 신입생들이 가입하고 싶은 써클은 교양분야(24.3%) -예술분야(18.1%) -친목·오락분야(13.7%) -학술분야(13.5%) -종교분야(12.0%) -봉사분야(8.4%) -체육분야(7.6%) -기타(2.3%)의 순으로 나타났다. ⑥ 신입생의 대부분(87.8%)이 부직(아르바이트)을 갖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학생(80.4%)보다 여학생(90.6%)의 경우에 더욱 부직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⑦ 부직을 원하는 이유나 목적은 주로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서(31.4%)와 잡비를 마련하기 위해서(22.8%)인 것으로 나타나 돈을 버는 데 주된 목적이 있음을 알 수 있다 . 한편, 남학생의 경우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30.8%) -사회경험을 하기 위해(35.4%) -자립심 및 책임감을 기르기 위해(20.0%) -잡비를 마련하기 위해(16.2%)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여학생의 경우는 학비를 마련하기 위해(31.6%) -잡비를 마련하기(25.2%) -자립심 및 책임감을 기르기 위해(18.8%) -사회경험을 하기 위해(17.2%)의 순으로 나타나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돈에 목적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⑧ 신입생들이 대학생활중에 문제에 대해 같이 의논하고 싶은 사람은 친구나 선배 50.9%, 형제·자매 20.0%, 부모 17.3%, 지도교수 4.1%, 학생생활연구소의 상담교수 2.8%, 기타 4.9%로 나타났다. 여기서 대학생활중의 문제를 지도교수 혹은 학생생활연구소의 상담교수와 의논하고 싶다는 학생이 약 7%에 불과해 바람직하지 못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부모나 형제·자매 등 가족들과 의논하고 싶은 학생은 남학생(31.2%)보다 여학생(39.6%)의 경우에 그 비율이 더 높은 반면에 지도교수나 학생생활연구소의 상담교수 등 학교의 교수님과 의논하고 싶은 학생의 비율은 여학생(5.2%)보다 남학생(11.5%)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수영교육 실행경험 및 수영교육 발전방안

        박상봉 ( Park Sang Bong ),이석훈 ( Lee Seok H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수영교육을 담당하는 3학년 담임교사들의 수영교육 실행경험을 드러내고, 수영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초등학교와 Y초등학교에 근무하는 3학년 담임교사 4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심층면담, 문서자료 수집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radley(1979)가 제안한 자료분석 방법인 영역분석, 분류분석을 실시하여 수영교육의 계획-준비-실행-마무리 과정에서의 경험을 드러냈다. 연구결과 수영교육 담당 교사들은 수영교육의 계획과정에서 일방적인 수영교육 시기와 장소 결정 및 통보, 수영교육실행에 대한 부담과 자신감 부족을, 준비과정에서 수영장 이동과 학생 인솔 그리고 탈의실과 샤워실 사용지도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실행과정에서 수영교육의 목표와 실천 사이의 괴리에 대한 침묵, 수영교육의 평가권 위임을, 마무리과정에서 학생들 뒤치다꺼리하기, 후속교육에 대한 여력 부족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영교육 시스템 개선, 수영교육 패러다임 전환, 수영교육 지도자의 교수역량 강화를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발전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play the execution experience of homeroom teachers of third grade that are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swimming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documentation and so forth for 4 homeroom teachers of third grade working in S Elementary School and Y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collected data displayed the experiences in planning, preparation, execution and completion process of swimming education by implementing the territory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as the data analysis method proposed by Spradley (1979). As a result of this study, those teachers in charge of swimming education experienced the difficulties in unilateral decision and notice of time and place for swimming education, burden on swimming education execution, lack of confidence, problem in moving to swimming pool, leading students and instruction to use locker room and shower facility in the preparatory process. In the execution process, they experienced silence on the gap between the goal of swimming education and its practice as well as delegation of evaluation right of swimming education while the conclusion process to experience lack of available resources on supporting students and ensuing training. On the basis of foregoing, the proposal was made on development plan of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with the system improvement of swimming education, paradigm conversion of swimming education, strengthening of teaching competency of swimming education instructors.

      • KCI등재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현황과 장애요인 분석

        조혜연 ( Hye Yeon Cho ),이상원 ( Sang Won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운영현황과 교육 시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115명의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개발된 교육현황과 장애요인을 알아보는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에 있어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을 분석하였으며, 설문지 결과 분석은 엑셀과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운영현황과 교사가 경험하는 장애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장애를 느끼지 않는 교사에 비하여 수업시간에 ‘생물다양성‘과 ‘먹을거리‘ 주제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시할 때, 대부분의 교사들은 ‘기후변화’, ‘에너지’, ‘생물다양성’, ‘물의 이용’과 같은 환경 영역의 주제를 선택하는 것으로 볼 때, 환경, 사회 및 경제 영역에 대한 균형성을 가진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다양한 교재 및 수업자료를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가능발전교육에 장애를 느끼는 교사는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대중매체를 통해 교육자료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인터넷에서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 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지속가능발전교육 강화를 위한 필요 요소에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확대’와 ‘교재 및 수업자료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어 공감대가 형성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수업 자료들이 확충되는 등 여건이 조성될 때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 초등학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이 활성화되도록 하기위해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전문성 함양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자료개발이나 연수 기회의 확대와 같은 노력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in elementary school and ESD, identifies the barriers fa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doing ESD. The survey was carried out by teachers who were selected to work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questionnaire which has been developed from based on the advanced research was modified and us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barriers of ES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The Excel and i-STATistic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acing barriers in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are inclined to have more education topics of ``biodiversity`` and ``food``. But, most ESD topics that are used in elementary school class are composed of the environmental domain such as ``climate change``, ``energy``, ``biodiversity``, ``water use``. So, it needs further development of a well-balanced topic among environment, economy and society domain. Second, the teachers facing barriers of ESD rather than teachers not facing barriers need to support the educational materials with diverse and high quality on the internet, because they tend to obtain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mass media than others. Third, most teachers need ``Expanded awareness of ESD`` and ``Expansion of teaching materials on ESD` to support the activation of ES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activate ESD of elementary school if ESD is included in curriculum after expanding the awareness and forming an educational consensus.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need the awareness cultivation and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teachers on ESD to activate ES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on ESD, expansion of mor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 KCI등재

        교육대학 국어과 교육과정(심화) 構成案

        方仁泰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0 한국초등교육 Vol.11 No.2

        This thesis have studied to make of curriculum plan in Korean primary school language teachers. Language teaching is very important that it is a basic of other lesson. Because language teacher's instructional ability interrelates other lesson's achieved result. Therefore the curriculum of 1anguage teaching is directly related a success of primary education in Korea. So I have tried to consist of curriculum in adopting our educational condition. To conclusion is as belows: First, prim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basic of all language teaching and a role of instrumental learning in other subject. So we ought to cultivate capability to do the culture production activity of language-literate. Therefore primary teachers must have a technical method and a professional personality. Second, at present the training of primary school teacher is shortage of many aspects. So it is necessary to be change of recognition and environment of our primary school. So to speak, primary school teacher may to take charge of only one subject. This has relation to the educational revolution. Third, it is much shortage for practical less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that a future primary teacher are completed the whole course by a curriculum in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is our task. But it is not difficult to solve, if we had have a valuable target to future along with our educational reality. Fourth, 1 have proposed a practical curriculum plan. It has planed to double folded hours and lectures are taken to all teacher's trainee. That is a bottom for primary language teach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lesson Korean language sincerely.

      • KCI등재

        우리나라 대학 전공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 분석

        신정철(申正撤),윤세정(尹世貞),정지선(丁智善),이소연(李昭娟),정혜주(鄭惠珠)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1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의 교육과정 및 교수요목을 분석하고 이를 미국 대학과 비교함으로써 우리나라 대학 교육과정의 구조적 특징을 밝힌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대학들 중 해당 대학의 교육과정 편성이 타 대학에 영향이 큰 5개 대학을 선정하였으며, 이들 대학의 인문?사회?자연?공학계열의 대표적 학문영역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학 교육과정은 교양과정보다 전공과정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공교육과정은 “심화전공”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 분과학문의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대학 교육과정은 각 분과학문의 심화전공과목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 학문 영역과의 통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심화과정들 간의 위계적 연계성 또한 낮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학문영역에 따라 교육과정 편성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의 대학교육과정 개편에 있어 통합성과 위계성 등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curriculum focusing on subject major. To analyz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curriculum, we collected data from program of study and course syllabus, and checked with scholars in each disciplines that we selected for this study. For this study, we selected four disciplines from five universities, that represent each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Compared to liberal arts courses, through the analysis, we found that disciplinary subject-related courses have strong influences on undergraduate curriculum. In addition, subject-related courses are mainly consisted of intensive subject-related topics. As a result, the integrations with other disciplines and the link with social demand were relatively less represented in undergraduate curriculum. Further, each course did not link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equence of each subject. The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across four disciplines chosen for this study. Therefore, we concluded that disciplinary subject knowledge dominates undergraduate curriculum in Korea.

      • KCI등재

        사범대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장덕호(張德虎),백선희(白善喜)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아시아교육연구 Vol.22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교원양성기관인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사범대 재직 중인 3개 대학 교수 8명을 대상으로 심층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용시험은 사범대 교육과정의 구성보다는 운영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었으나 중등학교 현장에 필요한 교원양성의 목적과는 거리가 있었다. 둘째, 각 교과교육과별로 모학문의 영향이 사범대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 모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범대의 교과교육과 교수들은 모학문의 영향력을 끊어내고 교과교육에 보다 충실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이기도 하였지만 여전히 모학문(예: 수학교육과의 모학문은 수학)이 사범대 교육과정의 운영까지 깊숙이 관여하고 있었다. 또한, 교직과목은 여러 영역을 융합할 수 있는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모학문의 영향으로 인해 분절된 내용을 다루고 있어 사범대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막상 각종 정책 이니셔티브나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고 있는 학교 현장의 실제성은 사범대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미흡하게 반영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사범대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pects affecting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of secondary teacher education (T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ofessors from colleges of education of three universities. Based on the interviews, four findings were address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had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rather than the composition of the secondary TE curriculum, b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as distorted rather than contributed to nurturing quality teachers for secondary schools. Second, for each subject education department, the influence of academic disciplines(e.g., mathematics for math education) had strong impacts on both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Additionally, the teaching subjects have been taught within each domain of education field(e.g.,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history) despite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of various fields. Although some of the professors tried to build TE curriculum more faithful to the subject education, it was not easy because most professors of the secondary TE program had been trained under academic disciplines instead of subject education. Third, teacher competencies required by secondary school sites have rarely influenced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secondary TE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made.

      • KCI등재

        대학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한 초등 교사들의 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이정아 ( Jeong A Lee ),주은정 ( Eun Jeong Ju ),장신호 ( Shin Ho Ja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3

        이 연구는 한 대학에서 제공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학교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과 요구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초등학교 환경교육에서 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책임감’을 환경교육의 중요 요소로 꼽았다. 교사들은 환경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바쁜 학사 일정과 체계적인 환경 교육과정의 부재를 학교 환경교육의 장애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자신의 학생들이 외부 지원 환경 교육을 받음으로써 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될 것을 기대하였고, 외부 지원 환경교육에서는 실제적인 체험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을 요구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 for environment education of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nvironmental outreach program provided by a university.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considered ‘sensibilities’ and ‘responsible actions’ for environment as the important factors in elementary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heir ‘lack of knowledge’ about environment. ‘Busy school schedules’ and ‘absence of systematic environmental curriculum’ were other hindrances to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y hoped students` ‘continued attentions’ to environment and ‘practices’ by taking the outreach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s also expected that students have the real experience opportunities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by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후보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

        문성환 ( Seong Hwan Moon ),이현주 ( Hyun Ju Lee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1 한국초등교육 Vol.22 No.3

        이 연구는 초등학생이 교과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진로교육을 접해볼 수 있도록 교과와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한 프로그램이 아동의 진로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15차시)은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수학, 사회, 과학, 미술, 음악 교과수업에서 진로교육과 연계할 수 있는 활동 및 재량활동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교육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해 서울시 중랑구 소재 S초등학교 4학년 1개 학급 24명을 대상으로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검사도구는 진혜영(2005)의 진로인식 검사지와 학생들의 활동 소감문을 사용하였으며, 통계해석 프로그램으로는i-STATistic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수업과 진로교육이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정규 수업 시간에 진로교육과 관련된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15차시 분량의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한 교과연계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진로인식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진로인식의 하위 영역 중 ``일과 직업 세계의 이해`에서 실험집단의 사후 평균이 42.58로 사전 평균 38.25보다 통계적으로 p < .05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 영역의 경우 사후 평균이 43.04로 사전 평균 39.63보다 통계적으로 p < .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활동 소감문에서도 대부분의 학생이 프로그램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program which will improve students` awareness of career by achieving the learning goal and career investigation at the 4th grade class of revised curriculum 2007. The curriculum-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education-learning process, with the materials from Korean, Mathematics,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extra-curricular activity. The subjects were two classes of 4th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Choong-Rang-Gu, Seoul.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 1st, 2010 to Dec 23th, 2010 throughout 16 terms of research. In this study, quantitative evaluation with career-understanding questionnaire rearranged by Chung,Hye-Young(2005) was applied, In addition, qualitative evaluation with activity report and observation of student`s interest and behavior were also used. The result was analyzed through t-test with i-STATistics program which is made by Kim, Kyoung-Seoung(2008).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mprovement of career-awareness is as following. First, the average grad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t the subject of ``the understanding of the job and career environment`(p < .01), the subordinate category of future career awareness, and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p < .05). Second, the average grade of post tes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test in the area of ``the understanding of work and the career environment`([p < .05] and ``rational career decision making`(p < .05)`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tudy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First, the curriculum-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natural career education during normal class. Second, the curriculum-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the career awareness of 4th grade students. Therefore, the new developed curriculum-related career education program will improv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elping them to make rational decision. Besides, this will contribute for vitalizing career-educations in elementary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