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원중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비전형 및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주관적인 반응

        윤보현,시영화,배승오,이은숙,이형영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입원중인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항정신분열약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과 약물에 대한 태도가 비전형 및 전형 항정신병약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31명과 전형 항정신병약물을 복용중인 42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급성기를 지나 안정기에 있는 환자들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자료, 임상력 및 임상상태를 비교하였으며,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 및 약물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해 10문항의 자가 평가 설문지인 Drug Attitude Inventory(DAI-10)를 시행하여 양군 간에 비교하였다. 전형 항정신병약물군은 비전형 항정신병약물군에 비해 입원 치료 중에 더 많은 항콜린성 약물을 복용하고 있었으며, 추체외로계 증후군과 약물의 진정효과로 인한 불편감을 호소하였다. DAI-10에서 비전형 항정신병약물군은 전형 항정신병약물군에 비해 항정신병약물에 대한 주관적 부정적 느낌이 적었으며, 최종 점수에서 훨씬 긍정적인 약물에 대한 주관적 반응과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전형 항정신병약물은 약물로 인한 부작용의 효과로 인해 부정적 반응에 영향을 주었으며, 반면에 비전형 항정신병약물은 긍정적인 약물에 대한 반응과 태도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 Drug Attitude Inventory(DAI) was used to compare the subjective response to antipsychotics between schizophrenic inpatients receiving atypical and 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Method : Seventy three patients meeting selection criteria and receiving atypical(N=31) and typical antipsychotics(N=42) were examined. All of them were in the stabilized stage of their illnesses. Subjective response to neurolepics was evaluated using 10-items of Drug Attitude Inventory(DAI-10). Demographic and clinical data were also analyz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 Patients receiving typical antipsychotics had adjuvant medications such as anticholinergics and more complained of the neuroleptic-induced side effects. They showed more dysphoric responses to the subjective responses to neuroleptics. Patients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s showed significantly non-dysphoric responses on the items asking the negative aspects of medications and more subjective positive responses on the final score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atypical antipsychotics influenced on the subjective positive responses to neuroleptics and neuroleptic-induced side effect affected the subjective negative feelings and attitude to antipsychotics.

      • 정신증적 증상을 보인 장티푸스 1례

        손현균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8 생물치료정신의학 Vol.4 No.2

        장티푸스의 여러 합병증 중에 정신증적 증상은 드문 임상양상이다. 장티푸스와 정신증상과의 인과관계는 아직 명확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장티푸스 환자 중 어떤 화자가 정신증상을 나타내고 어떤 화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지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발병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으로 장티푸스 감염, 고열, 독소, 대사결핍, 효소 결핍, 비타민 결핍, 소인이 있는 성격 경향 등이 추정된다. 저자는 정신증상을 보인 34세 된 남자 장티푸스 환자를 치료할 기회가 있었고 그 환자는 입원당시에는 정신분열병과 같은 증상을 나타냈었다. 그래서 이에 대한 증례보고와 함께 장티푸스 환자의 정신과적 증상에 대한 문헌고찰을 하여보았다. Among the various complications in typhoid fever, the psychotic symptoms are rare clinical manifestati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yphoid fever and the psychiatric symptoms is not yet clear. The causative factors of psychiatric symptoms could be the typhoid infection, high fever, toxin, metabolic deficiency, enzymatic defect, vitamin deficiency, predisposing personality. The author experienced a 34 year old male of typhoid fever accompanied with psychotic symptoms, whose symptoms and signs were like that of schizophrenics on admission, and then author reported this patient and reviewed related articles antipsychotics frequently used to relieve psychotic and behavior symptom during acute manic episode before mood stabilizer have an effect on, and it have been suggested that antipsychotics immediately discontinue when to be relieve acute manic symptom is theoretically the best choice.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정신병적 우울증의 신경심리학적 양상 : 비정신병적 우울증 및 정신분열병과의 비교 Comparison with Nonpsychotic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김진세,유승호,정인과,제용진,김해열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3 No.1

        본 연구는 24명의 비정신병적 우울증 환자, 25명의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 그리고 49명의 정신분열병 환자 총 98명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적 양상을 비교하여, 정신병적 우울증이 비정신병적 우울증과는 다른 신경심리학적 이상이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신경심리학적 검사로써 숫자상징검사, 선로잇기검사 A형과 B형, 수지력검사, 시각지속수행검사, 공간기억검사 및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숫자상징검사, 선로잇기검사 A형에서 비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이 정신분열병 환자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2) 시각지속수행검사에서 비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이 정신분열병 환자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행능력을 보였으며,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은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유사하게 낮은 수행능력을 보였다. 3) 공간기억검사에서 정확한 반응의 비율은 정신분열병 환자군이 다른 두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수행결과를 보였고,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은 비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과 서로 비슷했다. 4) 위스콘신카드 분류검사에서 비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은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행능력을 보였고, 정신병적 우울증 환자군과 정신분열병 환자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정신병적 우울증의 신경심리학적 양상은 비정신병적 우울증과 다르며, 특히 전두엽의 기능부전을 의심할 수 있는 소견을 보였다. Objectives : A lot of studies have suggested evidences that psychotic depression is different from nonpsychotic depression in many aspects. Hence, the authors compared clinical variables and neuropsychological features of psychotic depression to those of non psychotic depression and schizophrenia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psychotic depression is classified by the different diagnostic category to nonpsychoticdepression. Methods : We examined the neuropsychological features of 24 nonpsychotic depression patients, 25 psychotic depression patients, and 49 schizophrenia patients. The neuropsychological tests that we made comprise digit symbol test, trail-making test A, trail-making test B, finger tapping test, continuous visual performance test, spatial memory tes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Results : 1) Mean score of digit symbol test and trail making test A in nonpsychotic depression group is statistically higher than in schizophrenia group. 2) Nonpsychotic depression group showed statistically higher accuracy than schizophrenia group and psychotic depression group showed similar result with schizophrenia group in continuous visual performance test. 3) Schizophrenia group showed statistically lower rates of accurate responses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spatial memory test. 4) Nonpsychotic depression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s than the other two groups and psychotic depressi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schizophrenia in correct total score, error total score, and completed categories score for Wisconsin card sorting test. Conclusions : Above results show that frontal dysfunction might be appeared in psychotic depression. Therefore, we suggest that psychotic depression might be distinguished from nonpsychotic depression.

      • KCI등재후보

        주요 정신장애자들에서 수면의 질과 건강관련 삶의 질

        방규만(Kyoo-Man Bang),김희철(Hee-Cheol Kim)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1 No.2

        목적 : 수면의 질이 나쁘면 삶의 질도 불량하다는 연구 결과가 일반 인구집단뿐만 아니라 여러 의학적 상태를 가진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주요 우울증 및 원발성 불면증 환자들을 포함한 주요 정신장애자들에서 수면의 질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방법 :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정신과 외래 및 입원 진료 상황에서 정신증(정신분열병, 정신분열형장애 포함), 주요 우울증, 원발성 불면증으로 진단을 받은 환자들 가운데 본 연구에 동의한 9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에게 불면증에 관한 설문지와 자기 보고식 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한국형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Korea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 KQOLS), Beck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 STAI) 등을 평가하였다. 결과: 세 집단 모두에서 PSQI 총점이 평균 5점 초과이었으며 원발성 불면증 집단에서 PSQI 총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주요 우울증 집단은 KQOLS의 정신적 건강, 통증, 활력, 건강상태 인식 및 건강상태 변화 영역에서 정신증 집단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원발성 불면증 집단은 KQOLS의 통증과 건강상태 변화 영역에서 정신증 집단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우울증 집단과 원발성 불면증 집단 간에는 KQOLS의 전 영역에 걸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면의 질이 나쁜 집단은 KQOLS의 전 영역에 걸쳐 평균 점수가 낮았으며 불안과 우울 증상이 더욱 심하였다. 불안과 우울 증상을 통제한 후에 수면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었던 KQOLS 영역은 정신적 건 강, 통증 및 활력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정신증, 주요 우울증 및 원발성 불면증 환자들 모두에서 수면의 질이 나쁘며 이들의 저하된 수변의 질은 건강관련 삶의 질적 저하와도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주요 정신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수면장애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Objectives: Poor sleep quality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construct associated with poor quality of life for members of the general population and patients with various medical condition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quality of sleep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ajor mental disorders including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rimary insomnia. Methods: Ninety three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psychosis (including schizophreniform disorder and schizophrenia),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primary insomnia were recruited from inpatient and outpatient psychiatric clinics of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Assessment instruments included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 the Korea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cale(KQoLS) ;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of Spielberg. Results: The mean scores of global PSQI in three groups were greater than 5. Primary insomnia group recorded the highest score of global PSQI. Major depressive disorder group had lower scores in spiritual health, pain, vitality, health status perception, and health status change domains of KQOLS than psychosis group. Primary insomnia group had lower scores in pain and health status change domains of KQOLS than psychosis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all domains of KQOLS between major depressive disorder group and primary insomnia group. Poor sleepers reported lower mean scores on all domains of KQOLS and they were more anxious and depressed. After controlling for anxiety and depression, the domains of KQOLS associated with quality of sleep were psychological health, pain, and vitality.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qualities of sleep in patients with psychosis, major depression, and primary insomnia were poor and their poor qualities of sleep were associated with lower health-related qualities of life in them. We suggest that intens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leep problems are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major mental disorders.

      • KCI등재

        만성 정신분열병 및 분열정동장애 환자에서 Risperidone, Olanzapine 그리고 Quetiapine의 치료 효과와 안정성에 대한 전향적 비교 연구

        조지현(Ji-Hyun Cho),강승훈(Seung-Hun Kang),이수진(Soo-Jin Lee),김정기(Jeong-Gee Kim),주명진(Myung-Jin Joo)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2

        목적 : 비정형적 항정신병 약물인 risperidone, olanzapne 그리고 quetiapine은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양성 증상만이 아니라 음성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세 약물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 연구는 드물며, 특히 만성적인 경과를 겪고 있는 환자들에 대한 전향적인 국내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risperidone, olanzapine 그리고 quetiapine의 치료 효과와 안정성에 대해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정신분열병 또는 분열 정동 장애로 입원 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으며 동일 질환의 재발이나 악화로 만성정신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포함하였다. 총 83명의 환자가 등록되었고, 71명의 환자가 12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인구학적 특성에서 세 약물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세 약물군 모두에서 평균 이환기간은 14년 이상이었다. 12주간의 평가약물 단독 투여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risperidone 6㎎/day, olanzapine 20㎎/day, 그리고 quetipine 600㎎/day으로 고정용량 투여를 원칙으로 하였다. 치료효과의 평가는 PANSS로 이루어졌으며, 매 2주마다 평가되었다. 치료반응군은 전체 PANSS 점수에서 30%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체중, 혈당, 그리고 혈중 콜레스테롤은 매 2주마다, 혈중 프로락틴은 매 4주마다 공복 시에 측정되었다. 결과 : 12주간의 치료 후, 세 약물군 모두에서 투약이전 보다 양성 증상 및 음성증상에서 유의한 호전이 있었으며, 치료효과의 정도는 세 약물군 사이에서 동등하였다. 혈당과 혈중 콜레스테롤 치의 증가에서 세 약물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혈중 프로락틴치의 증가와 추체외로 부작용은 risperidone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Quetiapine군에서 12주 치료 종결 후 의미 있는 체중의 증가가 있었으며, risperidone군 그리고 olanzapine과 비교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이러한 결과는 risperidone, olanzapine 그리고 quetiapine 세 가지 약물 모두 만성적인 경과를 겪고 있는 정신분열병 및 분열정동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있어 양성 증상과 음성 증상 모두에 동등한 정도로 효과가 있다고 제시한다. Olanzapine과 quetiapine이 risperidone에 비해 추체외로계 부작용은 적었으나, quetipaine이 rispeirdone과 olanzapine보다 체중은 다소 더 많이 증가하였다. Objectives : Risperidone, olnazapine, and quetiapine, which are atypical antipsychotics, are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improving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Although many studies about these atypical antipsychotics have published, few published studies provide direct comparisons of these three atypical antipsychotics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in Korea. The authors studied the comparative effects on therapeutic efficacy and adverse effects rispendone, olanzapine, and quetiapine in patinets in a chronic mental hospital. Methods : The subjects were inpatients with DSM-Ⅳ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in a chronic hospital and the history of previous admission. They were sequentially assumed to receive risperidone, olanzapine or quetiapine for 12 weeks. The 12-week trial consisted of an 1-week escalation and 11-week fixed dose period(risperidone 6㎎/day, olanzapine 20md/day, quetipine 600㎎/day). Clinical response was defined as a ≥30%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Body weight and serum glucose and cholesterol level were assessed at base line and at weeks 2, 4, 6, 8, 10 and 12. Serum prolactin level was checked at baseline at weeks 4, 8 and 12. Results : Eighty-three inpatients With DSM-Ⅳ diagnosis of chronic schizophrenia or chrome schizoaffective disorder were sequentially assigned to receive risperidone, olanzapine or quetiapine for 12 weeks and seventy-one subjects were complete the study. Twelve weeks later, all three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NSS 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total scores, while they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ree groups. In terms of adverse effects, risperidone group showed more extrapyramidal symptom than olanzapine and quetiapine group. Body weight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12 weeks in quetiapine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 group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risperidone, olanzapne, and quetiapine are equally effective in inpatient with chronic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and considerably effective as in patients with shorter duraion of illness. Olanzapine and quetiapine had an advantage with less neurologic side effect than risperidone.

      • KCI등재

        정신분열병의 발병연령에 따른 할로페리돌 투여 전후의 혈장 Homovanillic Acid, 3-Methoxy-4-Hydroxyphenylglycom의 농도 변화

        홍정원(Jung-Won Hong),김봉조(Bong-Jo Kim),한규희(Kyu-Hee Hahn)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2

        Catecholamine의 주요 대사산물인 혈장 HVA 및 MHPG 농도변동과 약물에 대한 반응, 임상변인들과의 연관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추시 확인하고 혈장 HVA 및 MHPG 농도의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16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복용을 2주간 중단하여 약물의 영향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혈장 HVA 및 MHPG 농도를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 투여 24시간 후의 발병연령과 HVA 및 MHPG 농도의 변동을 알아보았다. 혈장 HVA 및 MHPG의 측정은 고압액체크로마토그래피-전기화학측정방법을 이용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여 DA계의 변화를 유도한 후 혈장 HVA와 MHPG 농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에서 각 개인별로 혈장 HVA와 MHPG 농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혈장 HVA와 MHPG 농도와 발병연령과의 상관관계를 볼 때 26.56세 이하에서 발병한 환자 군에서 26.56세 이상에서 발생한 군보다 더 낮은 혈장 HVA와 MHPG 농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농도의 차이는 항정신병약물을 투여 후 더욱 뚜렷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는 혈장 HVA와 MHPG 농도가 정신분열병의 생물학적 지표로서의 의미를 보여준다고 생각된다. 또한 정신분열병을 생물학적인 지표에 의해서 좀 더 동질적인 아집단으로 구분할 수 있을 가능성과 정신분열병이 단일질병이 아니라 여러 아집단으로 구성된 증후군일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s : The author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homovanillic acid(HVA) and methoxyhydroxyphenylglycol(MHPG) concentrations in plasma as biological markers before and after single haloperidol treatment. Methods : Sixt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enrolled after two-weeks washout of neuroleptics. Baseline plasma was obtained at 8 : 00 AM after washout. After baseline sampling,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aloperidol and consequent sampling was done 24 hours later. The concentrations of HVA and MHPG were compared with age of onset. The HVA and MHPG levels were assayed using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 Results :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ge of onset and plasma HVA concentration after haloperidol treatment. The early onset group had lower plasma HVA concentration than the late onset group. More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age of onset and plasma MHPG concentration after haloperidol treatment. The early onset group had much lower plasma MHPG concentration than the late onset group.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activities of dopamine and norepinephrine are different with respect to age of onset after haloperidol treatment. Plasma HVA and MHPG concentration can be used as biological markers for subgrouping of schizophrenia. These results might suggest that schizophrenia is not a single disease, but a syndrome.

      • 항정신병약물로 초래되는 체중 증가와 세로토닌 수송체 유전자 다형성 간의 연관성

        최석주(Seok-Ju Choi),하태민(Tae-Min Ha),정치영(Chi-Yong Jung),박세현(Se-Hyeon Park),김영훈(Young-Hoon Kim),공보금(Bo-Geum Kong)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2

        목적 :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에서 항정신병약물 복용으로 불가피하게 유발되는 체중 증가에 대한 예측 및 위험인자로서 세로토닌수송체 유전적 다형성인 5-HTTPLR이 활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자는 DSM-Ⅳ진단 기준에 부합하고, 최소 12주 이상 대상 항정신병약물 중 한 가지를 단독 복용한 161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들이었다. 조사 내용은 환자의 성, 연령, 체질량지수, 체중, 약물 종류와 사용기간 등과, 5-HTTLPR(5-HT transporter-linked polymorphic region)의 44 bp insertion/deletion 다형성 분포와 대립 유전자빈도였다. 자료 분석에는 SAS(Ver. 8.1) grogram을 적용하였다. 결과 :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복용 후 체중 증가는 복용 12주째 2.37㎏ 및 연구시점인 복용 평균 78주째에는 6.92㎏로 조사되었다. 여성, 30세미만, 체질량지수 25미만에서 의미있는 체중 증가가 관찰되었고, 5-HTTLPR이나 대립유전자와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 체중 변화는 성, 연령, 원래의 체질량지수, 항정신병약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차이를 보였으며, 항정신병약물 복용으로 유발된 것으로 여겨지는 체중 증가와 5-HTTLPR의 연관성을 규명할 수 없었다. 보다 많은 환자와 교란변수의 엄격한 통제를 통한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 Using an independent Korean sample,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sex, age, baseline BMI(body mass index) and 44 bp insertion/deletion polymorphism in 5-HTTLPR(5-HT transporter-linked polymorphic region) with antipsychotics-induced weight gai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161 subjects were fulfilling with the DSM-Ⅳ crieteria for schizophrenia. All patients had taken antipsychotics for at least 12 weeks. We reviewed weight changes. We examined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y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gene 5-HTTLPR in all subject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of genomic DNA with primers flanking the promotor regions of the 5-HTT gene.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body weight in those patients whose physical status were female, under 30 years old and under 25 of BMI. Subjects taken atypical antipsychotics were a significant increase of body weigh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y of 5-HTTLPR between antipsychotics-induced weight gain. Conclusion : There was significant weight gain in female, under 30 years old, under 25 of BMI and taking atypical antipsychotic-medica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tic polymorphism in 5-HTTLPR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ntipsychotics-induced weight gain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치료가 혈청 VEGF, sVEGFR-1 및 sVEGFR-2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 예 비 연 구 -

        김태현,김도훈,이상규,손봉기,정전섭,Kim, Tae Hyun,Kim, Do Hoon,Lee, Sang Kyu,Son, Bong Ki,Jung, Jun Sub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7 생물정신의학 Vol.14 No.4

        목 적: Cytokine 중의 하나인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와 VEGF 수용체들은 다양한 생체내 조절 및 질병 상태와 연관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치료에 따른 혈청내 자유(free) VEGF와 가용성 VEGFR-1, 가용성 VEGFR-2의 변화를 보기 위한 것이었다. 방 법: 각 환자들은 DSM-IV 진단기준에 의해 정신분열병으로 진단을 받았고, 약물투여 시작일을 기준으로 4주째 및 8주째에 추적 관찰하였다. 모두 13명이 환자군에 포함되었으며 항정신병약물 투여전과 투여후 4주째, 8주째에 각각 PANSS에 의한 상태 평가와 함께 자유 VEGF, sVEGFR-1, sVEGFR-2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13명의 정상 대조군을 환자군의 나이와 성별에 맞춰 선정하였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군의 혈청 자유 VEGF($295.2{\pm}43.7$pg/ml)와 sVEGFR-2($8259{\pm}336.7$)의 농도는 정상 대조군($199.0{\pm}28.8$ 및 $8481{\pm}371.9$)과 비교하였을 때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sVEGFR-1의 농도($86.2{\pm}10.3$, p<0.05)는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59.0{\pm}6.4$)에 비해 의미있게 상승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항정신병약물 투여 후 자유 VEGF 농도는 4주째($338.9{\pm}56.5$)와 8주째($309.5{\pm}58.7$) 모두 투여 전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VEGFR-1 농도는 약물 치료후 8주째($57.3{\pm}6.3$, p<0.05)에 측정한 결과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sVEGFR-2의 농도도 치료전과 비교하였을때 약물 치료후 4주째($7761{\pm}403.0$, p<0.05)와 8주째($7435{\pm}333.5$, p<0.05)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 론: sVEGFR-1과 sVEGFR-2 농도의 감소는 항정신병약물이 작용하는 도파민 신경계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 자살과 정신 장애

        제영묘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4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0 No.1

        자살은 정신장애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정신장애를 가진 환자의 과도한 사망율에 기여한다. 이런 연관성을 자살에 대한 정신 부검 연구와 특정 질환의 자살 사망율을 연구함으로써 평가되어 왔다. 이런 접근법은 자살 당시에 자살자의 90% 이상에서 하나 이상의 정신장애를 가지고 있고, 어떤 정신장애는 자살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자살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정신의학적 요인들은 우울장애, 물질사용장애, 정신분열병 등이며, 이에 관한 많은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대부분의 정신장애가 자살 혹은 자살 기도와 뚜렷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자살과 정신장애에 관한 이전의 여러 문헌을 조사하여 자살과 정신장애의 연관성을 고찰해 보았다. Suicide has a strong association with mental disorder and contributes to the excess mortality of the mentally ill. This association has been assessed by 'psychological autopsy' of consecutive series of suicides and by studying the suicide mortality of particular disorders. These approaches have shown that more than 90% of persons who die from suicide satisfy the criteria for one or more psychiatric disorders at the time they kill themselves and that certain mental illnesses have increased suicide risks. Highly significant psychiatric factors in suicide include depressive disorders, substance abuse, schizophrenia and other mental disorders. Numerous studies have documented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mental disorders and suicide or suicide attempt. The purpose of this review article is to describe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e and mental disorders by searching of some previous suicide/mental disorder literature.

      • KCI등재

        정신분열병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로 일 종합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치료에서 Clozapine의 사용의 실태 : 유효성 및 부작용 Effect and Side Effect

        김찬우,이동건,김정기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3 생물치료정신의학 Vol.9 No.1

        목 적: Clozapine은 치료저항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실제 임상상황에서 clozapine의 사용 실태와 효과, 부작용, 사용용량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7년 1월 1일부터 2002년 4월 31일까지 메리놀병원 정신과에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가운데 clozapine을 치료약물로 사용한 환자 53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Clozapine을 사용한 환자의 평균 연령은 30.6±8.6세이었으며, 평균 이환기간은 9.1±6.9년, 과거 입원횟수는 평균 2.4±2.0회 이었고, 이전에 사용한 항정신병약물의 개수는 평균 2.6±0.9개이었다. 진단명은 정신분열병이 50명이었고, 약물사용 이유로는 이전의 항정신병약물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47명(88.7%)이었으며, 약물사용이후 평균 재원일수는 66.2±31.1일이었다. 퇴원시의 PANSS 점수를 약물사용 이전과 비교하였을 때, PANSS positive, negative, total score 모두에서 임상증상의 호전이 관찰되었지만, PANSS total score가 25%이상 개선되었을 때를 치료반응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전체의 32.1%(17명)에서 약물치료에 반을을 보였다. 약물사용 후 관찰된 부작용은 빈도순으로 타액분비항진, 진정, 7%이상의 체중증가, 변비, 경련, 발열, 현훈, 유뇨증, LFT의 이상, 구토, 심계항진, 구강건조의 순이었다. 결 론: Clozapine은 기존의 항정신병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치료저항 정신분열증 환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수 있으나, 그 효과는 제한적이다. 부작용의 측면에서 경련의 빈도가 높게 관찰되었는데, 근간대성 경련의 빈도가 높게 관찰되었고, 근간대성 경련이 전신성 경련으로 진행할수도 있다는 점에서 근간대성 경련 또한 간과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Objectives:Clozapine is effectively used to treat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patients. Researchers have been conducted on the usage, effects, side effects and the amount of use in the actual clinical practice. Methods:Research is one by the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of 53 patients, who were admitted at the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of Maryknoll general hospital from Jan 1, 1997 until Apr 31, 2002 and were treated clozapine afterward. Results: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30.6±8.6year and the average duration of illness was 9.1±6.9years and the number of admission history was 2.4±2.0. The prior number of antipsychotics use is average 2.6±0.9. Fifty patients were diagnosed schizophrenia. For the reason of usage, forty-seven patients(88.7%) were resistant to prior antipsychotics and average duration of admission was 66.2±31.1 days since the administration. When comparing PANSS score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at the moment of getting out the hospital, the symptom has improved in the PANSS total score improves over 25%, 32.1%(17patients) of the group showed progress in the drug treatment. The side effects were hypersalivation, sedation, weight gain over 7%, constipation, seizure, fever, dizziness, enuresis, abnormal LFT, vomiting, palpitation, and dry mouth in frequency order. Conclusion:Clozapine is effective to the treatment-resistant schizophrenia, but the effect is limited. In terms of the side effects seizure has been detected at a higher frequency and also myoclonic jerk has at a higher frequency either. The thing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s that myoclonic jerk could progress to generalized seiz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