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조직 상황을 고려한 HRD 평가 모형의 활용: 조직의 HRD 수준과 평가력을 중심으로

        박소연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2 휴먼웨어 연구 Vol.5 No.1

        평가가 HRD를 판단하고 개선하는 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직에 적합한 평가 모형 을 활용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조직이 평가를 얼마나 필요로 하는가와 조직이 평가할 역량을 갖 추고 있는가와 같은 상황 변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의 HRD 평가 요구(needs) 와 평가 준비도(readiness)의 수준을 탐색함으로써 조직 상황에 적합한 HRD 평가 모형을 선정하여 활 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RD 평가 요구의 수준을 탐색하기 위하여 조직의 HRD 진화 및 성숙 수준을 중심으로 각 수준별 평가 요구를 도출하였다. 이어서 평가 준비도의 수준을 탐색하기 위하여 조직의 평가력(evaluation capacity) 수준을 중심으로 각 수준별 평가 준비도를 구체 화하였다. 마지막으로 HRD 평가의 유용성과 실행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조직의 HRD 평가 요 구와 평가 준비도의 수준에 적합한 HRD 평가 모형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HRD 평가 모형의 활용에 있어 상황 적합의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HRD 평가 이론 확장 및 현장 실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HRD업계 프리랜서 근로자의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조절 효과

        최원설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HRD업계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하여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셀프리더십,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직무만족 간의 조절 효과 모형을 설정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HRD업계 프리랜서 300명을 대상으로 2022년 5월에 설문을 실시하였고, 274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방법은 변인간 다중회귀분석과 평균중심화 방법을 적용한 상호작용변수를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에 의한 조절 효과 분석이다. 먼저 다중회귀분석 결과 셀프리더십,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구성요소와 셀프리더십의 상호작용변수를 위계적 회귀분석에 투입한 결과, 셀프리더십과 직무만족 관계에서 타인과의 학습이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입학전형별 대학 재학생 및 졸업생의 진로성과에 관한 사례연구: A대학 학생들의 진로 관련 경험분석

        박윤희,고성민,송영주,임수원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5 휴먼웨어 연구 Vol.8 No.1

        이 연구는 서울 소재 4년제 A대학교의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입학전형에 따른 진로성과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3학년 이상 재학생 10명 및 5년 이내 졸업생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한 후 코딩 과정을 거쳐 인터뷰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학생 인터뷰에서는 총 4개의 내용영역(진로 관련 경험, 진로 관련 대학생활, 진로 탐색 및 결정, 진로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15개의 범주 및 49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졸업생 인터뷰에서는 총 3개의 내용영역(진로 성과, 진로 관련 대학생활, 진로 지원 방안에 대한 요구)에서 10개의 범주 및 3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주요 결과는 재학생과 졸업생 모두 수시 학생부 종합 전형과 수시 학생부 교과 전형의 진로 관련 대학 생활 경험과 진로 탐색 및 결정의 주요 특징이 유사하였고, 수시 논술과 정시 수능 학생들이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인터뷰 응답 내용을 통해 입학전형에 따른 진로성과 향상을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또한 입학전형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대학, 단과대학, 학과에서 학생들의 진로 관련 대학 생활 및 진로 탐색 및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for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at A university to examine the career outcomes focused on an academic performance according to admission type. Ten more than third-year current students and ten alumni who graduated within the five years participated in Focus Group Interviews (FGI),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oding process. The results identified 17 categories and 58 subcategories from four content areas for current students—career-related characteristics, career-related university life,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and demands for career support measures. For alumni, 10 categories and 37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content areas—career outcomes, career-related university life, and demands for career support measures. Both groups showed similar patterns in career-related experiences and decision-making, particularly among students admitted through evaluation centered on admission officers and subject grades, while those admitted via essay and CSAT scores exhibited comparable traits. Based on interview responses, the study identified key requirements for improving career-related academic performance according to admission type. Furthermore, tailored recommendations were provided for universities, colleges, and departments to better support students' career-related university life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 KCI등재후보

        Work-Grit의 개념과 HRD 분야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지영,김우철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18 휴먼웨어 연구 Vol.1 No.2

        Grit defined as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 term goals is an increasing issue as a great personality which predict outstanding performance. However, the links between grit and HRD have yet to be explored.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usage of ‘Girt’ in the context of HRD from the literature. It develops a concept of ‘Work-Grit’ and a conceptual framework. From the research, we defined ‘Work-Grit’ as perseverance and passion with positive growth mind set and self control for personal long term goal related with organizational goal. The conceptual model of ‘Work-Grit’ elaborated on grit-HRD linkage based on goal-setting theory and job characteristics theory. Moreover, academic/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내부결속력, 지식공유, 대학생활적응, 학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박혜영 ( Park Hyeyoung ),김효선 ( Kim Hyosun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4 휴먼웨어 연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학습자의 내부결속력, 지식공유, 대학생활적응, 학업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지원체제 지원사업(LiFE)에 참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 2곳 중 평생교육체제 단과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2024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을 실시한 후 최종유효표본으로 236부를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부결속력이 지식공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부결속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식공유가 대학생활적응에 정(+)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식공유가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 다섯째,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내부결속력이 대학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지식공유는 부분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공유가 학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대학생활적응이 완전매개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들의 학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조직 내 내부결속력을 강화하고 지식공유 및 대학생활적응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ult learners' internal cohesion, knowledge sharing,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dult learners enrolled in the lifelong education college system at two four-year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Education(LiFE) project.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4, and a total of 236 valid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sample. To test the hypothese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nal cohesion positively affects knowledge sharing. Second, internal cohesion positively influences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knowledge sharing positively affects college life adaptation. Fourth, knowledge sharing does not statistically affect academic performance, and thus this hypothesis was rejected. College life adaptation positively affects academic performanc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knowledge sharing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internal cohesion on college life adaptation. Furthermore, college life adaptation fully mediates the effect of knowledge sharing on academic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are made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for adult learners by strengthening internal cohesion within organizations and promoting knowledge sharing.

      • KCI등재후보

        기업 HRD 담당자의 지속학습활동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이상호 ( Sang Ho Lee )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19 휴먼웨어 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HRD Practitioners in Corporation.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231 employees who are in charge of HRD business in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of corporate HRD Practitioner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ubjective career success.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HRD Practitioners showed that the norm of subordinate factor of social capital has moderate effect. On the other hand, trust and network,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capital, do not have moderating effects.

      • KCI등재

        데이터 기반의 HRD 평가를 위한 HR Analytics 전망과 과제 탐색

        박소연,조연주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4 휴먼웨어 연구 Vol.7 No.2

        본 연구는 데이터 기반의 HRD 평가를 위한 HR Analytics 변화 전망과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델파이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24명의 HRD 전문가를 델파이 패널로 구성하여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HR Analytics와 관련한 향후 5년 변화 전망을 실현가능성과 변화중요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HRD 요구 파악, 기획, 운영, 평가, 환류 등에 있어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판단, 예측, 의사결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질 것이고, 평가 데이터의 디지털화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평가자료의 형태와 원천이 다양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HR Analytics의 도입 과제를 과제필요성과 해결시급도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데이터 수집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이에 따라 활용 계획 구체화할 필요가 있고, 실제로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이며 어떻게 그 데이터를 축적 및 관리할 것인지 규정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과정, 교과목, 강사, 학습자 등 다양한 수준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평가 설계할 필요가 있는 등의 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HRD 평가 활동이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되며 HR Analytics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HR Analytics의 성공적 도입과 활용을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데이터 기획과 설계가 중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숙달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배상준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로서의 숙달목표지향성,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그리고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Elliot과 McGregor(2001)의 숙달목표지향성 측정도구, 김정주(2009)의 인지된 학업성취도 측정도구, Harvey et al.(2006)의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서울 소재 3개 원격대학 성인학습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49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유효하지 않은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하고 241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숙달목표지향성과 인지된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구성요인 중 학습자 동기/ 자기효능감/ 자율성의 부분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습동기 유형,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원격대학 성인학습자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해 학습자의 학습동기 파악, 학습자의 자기주도성 수준의 증진을 위한 실천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방 대학생의 일의 의미,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홍인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factors that can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he meaning of work,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region, and a total of 13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SPSS 26.0 and AMOS 21.0 programs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meaning of work is perceiv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re more likely to occur, and learning agility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learning agil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of work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d ways to enha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developing strategies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후보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기관 강사의 교수행동과 학습전이와의 관계

        석지나,조인철,조대연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평생교육기관 강사의 교수행동과 학습전이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경기 동부지역의 평생교육기관에서 직업능력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료한 학습자 283명을 대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학습시간이 증가할수록 학습전이가 높아진다. 둘째, 학습시간을 통제했을 때, 비대면 쌍방향 실시간 교육환경에서 평생교육기관 강사의 교수행동이 높을수록 학습전이가 높아진다. 세부적으로 열정, 과업지향, 유대감이 높을수록 학습전이가 높아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