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남문화의 지리적 이해

        김덕현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9 慶南文化硏究 Vol.30 No.-

        The geographical factors of regional culture are geographical location, natural environment, and placeness(characteristics of place). Gyeongsangnam-do i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ed by the sea on two sides. The Climate is relatively warm and rainy, especially in the coastal region. Mountains higher than 1,000m are distributed mostly along northwest Sobaek Mountains and east Taeback Mountains. The Naktong River flows through between the two Mountains. Historically, Gyeongsangnam-do has played the role of a gateway to the Korean Peninsula. It is insisted that Buddhism arrived an Gimhae by sea.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Japanese Imperialism in early twentieth century also were begun through Gyeongsangnam-do. The Southeast Coastal Industrial Region, the largest coastal industrial complex of Korea, is concentrated in Gyeongsangnam-do. Mt. Chiri(1915) and the Naktong River are represented as mountain and river of Gyeongsangnam-do. During Chosen period, the Confucian scholars wanted to live valley site, developed upper streams of Naktong River in the interior of Naktong River(Kyongsang) Basin. The Confucian culture of the upper streams of Naktong River was called as "Youngnam Culture". Nammyeong Cho-Shik, living at the foot of Mt. Chiri, was the most famous Confucian scholar of Gyeongsangnam-do. The lower reaches of Naktong River, flowing in Gyeongsangnam-do, had been very vulnerable to a flood. From the first half of twentieth century, many natural levees and back marshes of the lower reaches of Naktong River developed as settlement and agricultural use and recently for horticulture by construction of dam and floodgates. Gyeongsangnam-do has both the mountainous culture and coastal culture. Traditionally, the mountainous Buddhism and Confucian culture had led.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coastal imperialism and capitalist culture has led. Now in the 21th century, it is stressed the need of harmonious development of tradition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Geographical interpretation on the culture of Gyeongsangnam-do is of great significance in understanding of 21th's regional culture. 지역문화에 대한 지리적 요인은 지리적 입지, 자연환경, 그리고 장소성을 들 수 있다. 경상남도는 한반도의 동남부에 위치하여 동쪽과 남쪽 두 면에서 바다에 접한다. 기후는 온난다우한 편이다. 천 미터 이상의 고산지는 대부분 북서쪽 소백산지와 동쪽 태백산지에 분포하고 낙동강이 이 산지사이로 흐른다. 역사적으로 경상남도는 한반도의 관문적 역할을 하였다. 그 예로, 불교의 해양전래설이 있고 임진왜란과 근대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이 경상도에서 시작되었다. 한국 최대의 해안공업단지인 동남산업지대가 경남에 집중되어 있다. 지리산과 낙동강이 경남의 산과 강을 대표한다. 조선시대 양반 유학자들은 낙동강 상류 계곡을 주거지로 선호했다. 낙r동강 상류의 유교문화를 “영남문화”라고 부른다. 지리산 아래에 살았던 남명 조식은 경남남도의 대표적 유학자이다. 경남남도를 흐르는 낙동강 하류는 홍수에 매우 취약했다. 20세기 전반부터 댐과 수문을 건설하여, 많은 자연제방과 배후 습지가 취락과 경지로 변화고 최근에는 원예농업이 발전하였다. 경상남도는 내륙의 산지문화와 해안의 바닷가 문화를 공유한다. 전통시대에는 산지의 불교와 유교문화가 지배적이었다. 20세기에는 해양의 제국주의와 자본주의가 문화를 주도했다. 21세기는 전통문화와 근대문화의 조화로운 발전이 강조된다. 이러한 21세기 지역문화를 이해하는데, 지리학적 설명이 매우 중요하다.

      • 거제에서 한반도의 도시 역사를 보다

        이기봉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9 慶南文化硏究 Vol.30 No.-

        “경남학”은 경남의 문화적․역사적 유산을 제대로 이해하여 경남의 정 체성을 확보하고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에서 붙여진 이름이 다. 그런데 “경남학”은 경남의 고유성만을 강조하는 것만으로는 경남의 유산을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다고 본다. “경남학” 성립의 전제 조건은 경남만의 것에 집착하기보다는 한반도의 역사, 나아가 세계문명사적 흐 름에 대한 종합적 이해 속에서 경남의 유산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 가에 대한 고민이 선행 또는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반도의 역사, 세계문명사적 보편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경남이란 지역적 특징 속에서 경남의 유산을 생생하게 설명할 수 있을 때 “경남학”의 궁극적인 목적 이 달성될 수 있다. 이글은 거제도를 사례로 한반도의 역사 및 세계문 명사적 흐름이 경남의 한 지역인 거제에 어떻게 담겨 있는지 알아보려 한다.

      • KCI등재

        洗庵 河珽運의 삶과 한시 고찰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1 No.-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fe and Chinese poems of Se-am Ha Jeong-Woon, a descendent of the Jinyang Ha Songjeong family in the Sagok village of Jinju as part of research on traditional villages in the Gyeongnam region. As one of intellectuals out of office in the Sacheon area of Gyeongnam during the Korean Empire, he earned respect from local residents by fulfilling his duties and roles as an intellectual out of office in a remote area during the turbulent times home and abroad. As his pen name indicates, he regulated himself by cleaning his mind and staying away from selfish interests and desires. Most of all, he was devoted to the study of keeping and preserving his nature bestowed from the Heaven. His way of life is prominent in his Chinese poems, many of which are about his daily life. His way of life based on self-satisfaction is especially found in his poems about flowers and trees. He also made local people proud of their area by promoting the study and spirit of Gu-am Lee Jeong, one of remarkable sages in the area, and checked local people's passion for the local academic tradition by encouraging young people to study. Historically, the descendents of Jinyang Ha Song-Jeong family mainly lived in Jinju generation after generation. Jinju was the academic and cultural center of the Gangwoo region and produced many outstanding individuals. Compared to them, Ha Jeong-woon led a monotonous life in some aspects. The collection of his works is not big enough to figure out. Sacheon was, however, a remote country village adjacent to the sea and frequently invaded by the Japanese raiders in history instead of a downtown area with advanced civilization. Representing Sacheon as an intellectual, Ha led its local study and culture. Now there is a need to invest research interest and capability in local figures that sustained the times firmly but not in a flashy way. Ha Jeong-woon was an intellectual out of office that revealed such presence in the local history. 본고는 경남지역 전통마을 연구의 일환으로, 경상남도 晉州 士谷里의 진양하씨 松亭家 후손인 세암 하정운의 삶과 한시를 살폈다. 그는 구한말을 살다간 경상도 사천지역 재야지식인으로, 국내외의 혼란한 시기에 궁벽한 지방에 살면서도 재야지식인으로서의 책무와 역할을 다해 지역민의 존경을 받았다. 自號에서도 알 수 있듯, 그는 洗心을 통해 사욕에 빠지지 않으려 자신을 단속했고, 무엇보다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본성을 지키고 보존하려는 공부에 전념하였다. 이러한 그의 삶은 한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의 한시는 일상을 읊은 것이 많은데, 花木을 소재로 한 영물시에서 특히 自適하는 삶의 자세를 확인하였다. 또 지역의 名賢인 龜巖 李禎의 학문과 정신을 현양해 지역민에게 자긍심을 갖게 하였고, 젊은 세대에게 학업을 권장해 지역의 학풍을 진작시키려 한 열정을 확인하였다. 역사적으로 晉陽河氏 송정가 후손들은 주로 진주에 세거하였다. 진주는 강우지역에서 학술·문화의 중심지이고, 뛰어난 인물도 많이 배출된 곳이다. 하정운의 삶은 이들에 비해 단조로운 측면이 있다. 문집의 분량이 많지 않아 파악조차 어렵기도 하다. 그렇지만 사천지역은 문명이 발달한 도심이 아니라, 바다를 인접해 역사적으로 왜구의 침범이 잦은 궁벽한 시골이었다. 하정운은 그런 사천을 대표하는 지식인으로서, 지역의 학문과 문화를 주도해 온 인물이다. 이제는, 우리의 연구도 현란하진 않으나 꿋꿋이 한 시대를 지탱해 온 지역 인사에게로 관심과 역량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하정운은 그런 존재감을 드러내는 재야지식인이었다.

      • KCI등재

        전통한옥에 대한 한문학 유산의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예시를 중심으로 -

        박순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60 No.-

        The objects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literary heritage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our everyday life throughout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Among them,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not only in Korea and abroad since the 1990s, it is not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it is a tangible heritage which is very important as tourism resource as well as cultural property value. Among the classical Chinese heritage associated with the houses,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樓亭記) is one of the richest and deepest contents. As a result, this paper focuses on the Writings, and examined it as a story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cultural contents beyond the viewpoint of considering them as merely classical Chinese texts. And we constructed this as a digital archive, and sought to find ways to utilize not only professional researchers but also cultural workers and general public conveniently.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as meaningful cultural contents in the Writings. The first is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it is about the landlord and several related persons mentioned within the Writings. The second is information about traditional Korean houses, it is about how to build the houses, why it was built, and what is thought in each building structure. The third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of the houses, it is about the world view of intellectuals of the time in the name of the houses. For the more detailed discussion under the above viewpoint, and one Writing was analyzed intensively. The digital archive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 cultural contents was constructed using wiki software. The advantages of wiki softwa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yone can easily make it and it costs almost nothing. Second, the hyperlink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ird, it can encourage participation of many people. Fourth, indexing is done automatically by 'sorting' function. And we present an example of archiving using wiki software, archived a detailed analysis in the previous chapter. We show the capture screens actually implemented and added explanations, and emphasized that this can be conveniently used as cultural contents. 한문학 유산과 관련이 있는 대상들은 의식주 전반에 걸쳐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마주칠 수 있는데, 이 가운데에서도 전통한옥은 1990년대 이래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를 비롯해 관광 자원으로서도 매우 비중 있는 유형 유산임은 굳이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전통한옥과 연관된 한문학 유산 중에서도 樓亭記는 가장 풍부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누정기에 집중하였으며, 누정기를 단지 한문학 텍스트로만 간주하는 차원을 넘어 문화콘텐츠로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 소재로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Digital Archive)로 구축하여 전문 연구자뿐만이 아니라 문화계 종사자 및 일반 대중들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누정기에서 문화콘텐츠로서 의미를 가질만한 요소들은 크게 세 가지로 상정해볼 수 있는데, 첫째는 인물에 대한 정보로서 누정기 내에 언급된 건립자 및 여러 관련 인물들에 대한 정보이다. 둘째는 전통한옥에 대한 정보로서 전통한옥을 어떻게 지었는지, 그렇게 지은 이유가 무엇인지, 건물의 구성 하나하나에 담긴 생각은 무엇인지 등에 관한 정보이다. 셋째는 전통한옥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로서 집 이름에 담긴 당대 지식인의 세계관에 대한 정보이다. 위와 같은 관점 하에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누정기 1편을 집중 분석하였다. 누정기-문화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축하였는데, 위키 소프트웨어의 장점은 다음의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누구나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무료로 제작할 수 있다. 둘째,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을 쉽게 실현시킬 수 있다. 셋째,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분류’ 기능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색인(index)이 만들어진다. 위와 같은 장점을 충분히 수용하여 본고에서는 위키 소프트웨어로 제작한 아카이브 구축 예시를 제시하였다. 앞 장에서 자세히 분석한 바를 아카이빙한 것이다. 실제로 구현된 모니터 화면을 부분별로 캡처하여 설명을 덧붙였으며, 이것이 문화콘텐츠로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의 문화다원론적 재조명 - 『여헌선생성리설』의 이론적 해명을 중심으로-

        엄연석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This essay aims to reexamine the cultural pluralism implied in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as a fundamental theory that constitutes Jang Hyeon-kwang's Science of Changes, with the goal of transition from conflict to fusion. Jang, Hyeonkwang imparted meaning as an origin to cause immeasurable changes in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one invariabl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ncept of the Endlessness(無極)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His consideration of Li as Tao composing mysterious operation has a philosophical meaning encompassing various values of reality. Jang Hyeon-kwang thought that Gyeong and Wi have invariable universality and standard timeliness in changing circumstances by interpreting Li-Chi as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e mentioned that following Gyeong and Wi of Li-Chi as it was the enterprise of saint with the standard Wi. According to him, because good and evil, order and confusion of human world all depend on a correct establishment of longitude and latitude or not, monarchal governing principle rides on an excellent governance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s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c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accommodates realistic and empirical pluralism in that latitude as standard to which handles changing circumstances in accordance encompasses specificity and diversity with invariable longitude. He understood inner correlative relation among six lines of a hexagrm as what has continuit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in the framwork of ontology and cosmogony of the Great Ultimate, Yin and Yang, the Four Symbols, the Eight Trigrams. And this view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 recognized discernment of good and evil, judgment of right and wrong as Gyeong of common morality of engagement of talent and policy draft in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in view of Wi of coping with change that his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satisfies diversity and multiplicity of government position. In the last analysis, this view point means that administration theory that surrounded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as characteristic accepting political and cultural pluralism.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한 이론적 추구로서 衝突로부터 融和로의 전환이라는 목표하에 장현광 역학(易學)을 구성하는 핵심 이론으로서 經緯說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다원론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이 함축하고 있는 문화다원론적 함의를 해명한다는 것은 태극 개념과 경위 개념을 구성하는 理와 氣를 수직적 가치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이고 상보적인 의존성을 가지고 조화를 이루는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현광은 무극과 태극 개념 속에 하나의 불변하는 보편적 원리보다도 구체적 현실에서 헤아릴 수 없는 변화를 낳는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가 리를 도의 신묘한 작용을 이루는 것으로 본 것은 현실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철학적 의미를 갖는다. 장현광은 리기를 經緯說로 해석하여 경과 위가 불변의 보편성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에서 표준적 시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리기의 경위를 그대로 따라 행하는 것을 표준적인 緯를 갖춘 성현의 일이라고 언급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간 세상의 선악과 치란은 모두 경위가 올바르게 세워졌느냐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제왕의 통치 원리는 經緯를 잘 다스리는 데 달려 있다고 보았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불변하는 경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을 시의성에 맞게 처리하는 것으로서 ‘緯’가 특수성과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현실적 경험상의 다원성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는 한 괘 여섯 효의 내적 상관관계를 태극, 양의, 사상, 팔괘의 존재론적 관점과 생성론적 관점에서 縱橫으로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보고 있는데, 이러한시각은 경위설과 긴밀한 연결성을 갖는다. 장현광은 인재등용론에서 선악을 분별하고 시비를 밝히는 것을 인재등용과 정책입안의 상도로서 經으로 보았다. 반면에 그의 인재 등용관이 직책의 다양성과 다원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應變의 緯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요컨대, 이러한 관점은 그의 經緯說을 중심으로 한 경세론이 정치문화적 다원성을 수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 KCI등재

        慶南 河東의 儒脈과 南冥學 傳承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Hadong (河東)-gun, Gyeongnam (慶南) by century, the 15th century has one, the 16th century has two, the 17th century has 7, the 18th century has two, the 19th century has 16, and the early 20th century has one. The period that indicates the highest rate is the 19th century, and the next is the 17th century. In Gyeongnam area, Nammyeong (南冥) School that transmits Nammyeong Jo Sik’s studies has played the initiative roles. And we can see that Confucian scholars in Hadong area are produced proportionally to Nammyeong School’s rise and decline. About their distribution by area, Okjong-myeon has produced the most Confucian scholars, that is, 21 out of total 29. The next is Bukcheon-myeon as six, and Geumnam-myeon and Yangbo-myeon have produced one each. Among these, Confucian scholars from Angye-ri, Okjong-myeon are 11, so they are more than half of the Confucian scholars from Okjong-myeon. And they take up one third of the entire Confucian scholars from Hadong-gun. Based on the statistic data, we can establish that the center of Hadong Confucianism is Okjong-myeon, and in that area, Angye-ri has formed the core area. According to the aspects of formation of academic lines, Nammyeong School has 11, Hanju (寒洲) Affiliation has four, Nosa (蘆沙) Affiliation has five, Seongho (星湖) Affiliation has three, Wooam (尤庵) Affiliation has one, Hwaseo (華西) Affiliation has one, and the rest are six. Th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chools in Hadong-gun, Nammyeong School and Namin lines occupy the majority, and the next highest are literary men of Nosa Affiliation. About the transmission of Nammyeong studies in Hadong area, we can come up with the fact that Jinyanghassi Sajikgongpa (晉陽河氏 司直公派) scholars from Angye Village did transmit it by family learning. And we can also point out that scholars like Ha Dal-hong, Jeong Woo-bin, Jo Seong-ga, Choi Sook-min, Gang Byeong-ju, or Jeong Don-gyun did respect and emulate Nammyeong and tried to practice it even though they were from different academic lines or factions. 경남 하동 지역 유학자의 세기별 분포는 15세기 1명, 16세기 2명, 17세기 7명, 18세기 2명, 19세기 16명, 20세기 초 1명이다. 가장 비율이 높은 시기가 19세기이며, 그 다음이 17세기이다. 경남 지역은 南冥 曺植의 학문을 계승한 南冥學派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남명학파의 성쇠에 따라 하동 지역의 유학자도 비례하여 산출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역별 분포는 총 29명의 유학자 가운데 옥종면이 21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북천면이 6명, 금남면과 양보면이 각각 1명이다. 이 가운데 옥종면 안계리 출신의 유학자가 11명으로, 옥종면 유학자의 절반이 넘는 비율을 차지하며, 전체 하동군 유학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이러한 통계를 근거해 볼 때, 하동 유학의 중심지는 옥종면이며, 그 중에서도 안계리가 핵심 지역이라고 규명해 볼 수 있다. 학맥 형성 양상을 살펴본다면, 남명학파 11명, 寒洲系列 4명, 蘆沙系列 5명, 星湖系列 3명, 尤庵系列 1명, 華西系列 1명, 기타 6명이 된다. 그러므로 하동 지역의 학파별 분포는 남명학파 및 南人 계열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노사계열의 문인이 많은 비중을 가진다. 하동 지역의 남명학 전승과 관련해서는 안계마을 출신의 晉陽河氏 학자들이 家學을 통해 계승한 사실을 거론할 수 있다. 그리고 河達弘, 鄭瑀贇, 趙性家, 崔琡民, 姜柄周, 鄭敦均 등의 학자들이 서로 다른 학맥과 당파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남명을 존숭하고 본받아 실천하려 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 KCI등재

        德山洞府의 문화지리적 상상력- 「神明舍圖」와 ‘덕산 문화’의 상관성 -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ach to Deoksandongbu in the aspect of cultural geography, being based on a hypothesis that Sinmyeongsado, which Nammyong published in Sancheongjae, was in a certain functional relation with Deoksandongbu. In the structural aspect, Ipdeokmun serves as a gate to a relationship. Open Deoksandongbu can be a state ruled by Taeiljingun. In the ideological aspect, the Confucian ideals of Yosunilwol meet the Taoist ideals of Mureungdowon. It is the same with the space of Deoksan, where there is Ipdeokmun at the boundary point based on Sinmyeongsado. Once passing through the narrow space called Deokcheonbyeori, the visitor is inside in the huge space. A unique culture was created in the structure of Gwang(廣)-Hyeop (狹)-Gwang(廣). In Deoksan, various stories related to Nammyong have been passed down. In those stories, he would enjoy a luxurious life in Deoksan, live with an unmarried woman that became a snake out of her love for him, give his friend a grave and have it returned after his death, or competed against Toigye in a Taoist magic contest. Those stories have been transmitted broadly among the people in Deoksan and formed an oral culture with a different aspect from the correlations between Sinmyeongsado and Deoksandongbu. The people focused on interest in those Nammyong stories. 본고는 德山洞府를 문화지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인 바, 남명이산천재에 게시했던 「신명사도」와 덕산동부가 일정한 함수관계에 놓인다는 가설에 기반한 것이다. 구조적 측면에서 입덕문은 口關 역할을하며, 확 트인 덕산동부는 태일진군이 다스리는 나라일 수 있다. 사상적측면에서는 堯舜日月의 유가적 이상과 武陵桃源의 도가적 이상이 상호맞물린다. 덕산 공간 역시 「신명사도」에 근거하여 그 경계지점에 입덕문이 놓이고, 덕천벼리라는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 안쪽에는 넓은 공간이 나타난다. 廣-狹-廣의 구조 속에서 독특한 문화가 생성되었던 것이다. 덕산에는 남명 관련 이야기가 언중에 의해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다. 남명이 덕산에서 사치를 즐겼다, 자신을 사모하다가 구렁이가 된 처녀와 함께 살았다, 幽宅을 친구에게 주었다가 사후에 돌려받았다, 퇴계와 도술 시합을 벌여 이겼다는 등의 이야기가 대체로 그러한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주로 덕산 일대에 민중 사이에서 광범하게 전해지는 것으로, 「신명사도」와 덕산동부의 상관성과는 또 다른 측면의 구술문화를형성하였다. 민중들은 남명 이야기를 흥미 본위의 대항 담론으로 이끌어 간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주제 양상

        하강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okseongnu’s pavilion(矗石樓) poetry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re-recognit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poetry is the most critical.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themes reflected pavilion poetry.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 group,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works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ere 710 writers and 1028 works of 884 poem titles in Chokseongnu’s pavilion. This is tentative but it is the country’s largest size as a single pavilion to date. The largest number of the writers, over 49% of the total, were from Gyeongnam Province, and among them, about 87% were from western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Jinju. The biggest number of the writers were tourists, and many of the works were by officials involved in the governance of the city. Moreover, there were a number of writers with family members or colleagues who were writers. Second, approximately 87%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or about 893 poems, showed the time of creation. The number of work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133, which was a relatively small distribution. Approximately 33% of the works, or 335 poems, were created after 1900, which was the result of mass production of works by writers from Gyeongnam Province who were bor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hird, among Chokseognu poetr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number of seven-character poems, which accounted for 93%. Among them,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poems reached about 75%, indicating they were commonly enjoyed by many people. This was derived from the general creative tendency of rhyme-borrowing poems, which utilized the authority from the original works. Jeong Eulbo’s poem in the previous section served as the original work only until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40% of the people borrowed rhymes from Shin Yuhan’s works, which proves it was a big trend. In addition, poetic diction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ve been used customarily, which was clearly a different point from other palace-pavilion poems. Fourth, Chokseongnu poetry's themes could be divided into into four types: praise in the cultural landscape of Jinju,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will for national salvation, the memories and internal reflections of patriotic heroes, the real purpose of tourism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a trend of creation with a theme that calls on patriotic heroes to have internal reflections or to promote the spirit of strong loyalty. As a result, many poems highlighting only outstanding scenery have disappeared, and it served as an occasion to achieve the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rough Chokseongu tourism or writing poems. In this context, anti-national entertai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strongly criticized using poems. I hope that this diachronic and positivistic study on Chokseongu’s pavilion will help not only enshrin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literature but als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ld but also constitute various aspects of local literary history and further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본고는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의 내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시문의 총량 파악은 무엇보다 절실하며, 제영시에 반영된 다양한 주제 의식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대한 문헌을 두루 뒤져 촉석루 제영시 전모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 집성 자료를 바탕으로 작가층의 성격, 작품의 형식과 내용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촉석루 제영시의 작가는 710명, 작품 수는 884제 1,028수에 달했다. 이는 잠정적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전국의 단일 누정으로서는 최다 수준이다. 그리고 작가는 경남 출신이 가장 많아 전체 49%를 넘고, 그중에서도 진주를 비롯해 서부 경남 출신이 약 87%를 차지했다. 또 작가는 유람객이 제일 많고, 고을 통치와 관련된 관리들의 작품도 적지 않았다. 작가들 중에는 스승과 제자, 혈연관계가 있는 문인들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둘째,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은 893수로 전체 약 87%에 달했다. 이중 임진왜란 이전의 작품은 133수로 비교적 적은 분포를 보였다. 작품의 약 33%인 335수가 1900년 이후에 창작되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출생한 경남지역 문인들의 작품이 대거 양산된 결과였다. 셋째, 촉석루 시 중 7언시가 93%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7언율시가 약 75%에 달해 대표적인 양식으로 향유되었음을 알았다. 이는 원운의 권위를 활용하는 제영시의 일반적 창작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편을 잡은 정을보의 시는 조선전기까지만 원운으로서 기능했다. 조선후기에는 신유한의 시를 차운한 이가 40%일 정도로 거대한 흐름을 이루었다. 또한 임란 사적과 유관한 시어가 관습적으로 활용되었는데, 이는 다른 누정시와 분명히 구별되는 지점이라 하겠다. 넷째, 촉석루 시의 주제는 진주의 문화경관에 대한 상찬, 임진왜란의 대응과 구국 의지, 순국 영웅의 기억과 내면 성찰, 유람의 진정성과 시대의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후로는 순국 영웅을 호출해 내면을 성찰하거나 강개한 충의 정신을 주제로 내세우는 창작 경향이 지배했다. 이에 따라 빼어난 경관만을 부각하는 시는 자취를 거의 감추었고, 촉석루 유람이나 작시 행위를 올바른 시대의식을 체득하는 계기로 삼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강점기의 반민족적 유람 풍조를 시를 통해 준열히 비판하기도 했다. 촉석루 제영시를 대상으로 진행한 통시적이고도 실증적인 본 연구가 누정문학의 특성을 구명함은 물론 지역문학사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나아가 한국문학사를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거창 강동마을 문화유적의 현재적 활용을 위한 제언

        김세호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4 No.-

        거창 강동마을은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에 자리한 마을이다. 정온(鄭蘊)의 출생지에 기원한 충신당 동계정온 고택이 전하고 강천재(薑川齋) 등의 문화재가 자리하여 유서 깊은 역사를 자랑한다. 강동마을은 조선시대 답사일번지로 평가되는 원학동(猿鶴洞)에 속하고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된 수승대(搜勝臺) 등이 자리하여 역사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역사문헌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이와 관련한 정보는 제한적인 수준에 머무르는 실정이다. 이에 이 글에서는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강동마을의 문화유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우선, 강동마을 문화유적의 시문을 밝혀 역사기록을 정리할 것을 제안한다. 충신당 동계정온 고택 및 강천재 관련 기록을 통해 역사적 가치를 밝히고 그 의의를 정립할 필요성이 있다. 다음으로 원학동 일대 명승과 문화유적을 바탕으로 한 문화관광 자원의 활용이 요구된다. 조선시대 원학동 유람기를 바탕으로 일대 명가에 의해 경영된 주요 명승을 안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승대 명칭과 관련한 논쟁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수송대 명칭에 나름 의의가 존재하므로 이러한 논쟁을 활용해 대중에게 알리는 계기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하동 安溪 마을의 인문 환경 -學術文化 인프라의 조성 및 경영을 중심으로-

        김학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8 No.-

        Chosŏn was a state ruled by civil officials (文治國家) as well as a community of ruling by rituals (禮治) that was made with literary and elaborated with courtesy. The literati those who believed in Learning of Master Zhu in respect, posed themselves as devoting performers for civil administration (文治), and they had a strong attachment to village, which was the space of realization of Ga (家), a basic unit of the state. The village was implanted to them as not only for dwelling and living, but also as a knowledge community that has a self-sufficient in academic culture. They accepted general realization of this conception as Chosŏnization of the Learning of Master Zhu. Village as a human environment is not formed, but it is a space constructed by human being who has particular ideology and valu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spa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bility of the person who designs the space. When the person who is far-sighted with brilliant vision involved in the design, it will be able to ensure an excellence of characteristics, that is an elegance of the space. The origin thought of the Ha clan in Angye village was the Learning of Master Zhu and the Study of Nammyŏng. The former was a vertical thought that has generality, and the latter was a horizontal value that was based on distinctiveness. They created their culture by putting these two thing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is, they gave prominence to their existence and expanded their social and academic field as well. It was early 17th century that the Ha clan settled in Angye in 15th century secured the supreme control of the space and started to manage the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of Master Zhu and the Study of Nammyŏng. On its peak, there was a scholar called Ha Hong-do who was preferred by Yŏngnam academia. The academic culture infra that he and his descendants constructed and managed―Munam(文巖), Kyŏngsŭngjae(敬勝齋), Mohanjae(慕寒齋), Chongch'ŏnsŏwŏn(宗川書院), Chikpanghŏn(直方軒), Kwangyŏngjŏng (光影亭), Igoksŏdang (尼谷書堂), Sasansŏdang(士山書堂)―had reflected their goal of academic culture and sociopolitical line of Angye village. Their lives set in Angye village were remained in historical stratum in 300 years’ time and we are trying to ruminate on their lives through this historical stratum. This is what the village is. Writings could be corrected or elaborated according to one’s needs and interests, but the traces of life which were built impregnably as time passes do not tolerate hasty changes. This is the scene of the cultural history of village, that is simple and sincere, also severe. 조선은 文으로 빚고 禮로 다듬은 文治國家이자 禮治의 공동체였다. 朱子學을 尊信했던 양반 사대부들은 ‘文治’ 구현의 충실한 수행자를 자임했고, 국가의 기초 단위인 ‘家’의 실현 공간인 마을에 대한 애착은 강렬했다. 그들에게 마을은 住居와 生活을 넘어 學術·文化를 자급하는 知識共同體로 착상되었고, 그것의 보편적 구현을 朱子學의 朝鮮化로 받아들였다. 인문 景觀으로서의 마을은 形成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이념과 가치를 지닌 인간이 造成하는 공간이다. 그 공간의 우열은 그것을 디자인하는 인간의 능력과 직결된다. 시대를 내다보는 안목과 식견을 지닌 인간이 디자인에 개입할 때 그 공간은 形質의 수월성, 즉 格調를 담보할 수 있다. 안계마을 河氏의 本源的 思惟는 朱子學과 南冥學이었다. 전자가 보편성을 지닌 종적 思惟라면 후자는 특수성에 바탕한 횡적 가치였다. 이들은 양자를 종횡으로 엮에 자신들의 문화를 만들어 갔고, 또 그것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성을 부각시키며 사회·학문적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15세기에 안계에 정착한 하씨들이 이 공간에 대한 우월적 지배력을 확보하고 주자학·남명학적 개념과 구도 속에서 마을을 경영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초반이었고, 그 정점에는 그 시대의 嶺南學界가 선호했던 河弘度라는 학자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와 그 자손들이 조성하고 경영했던 文巖[門巖]·敬勝齋·慕寒齋·宗川書院·直方軒·光影亭·尼谷書堂·士山書堂 등의 학술문화 인프라는 안계마을의 학술문화적 지향과 정치사회적 노선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안계마을을 무대로 펼쳐졌던 그들의 삶의 모습은 300년의 시간 속에서 역사의 지층으로 남았고, 우리는 이 지층을 통해 그들의 삶을 반추하려 한다. 마을은 이런 것이다. 글은 인간의 필요와 이해에 따라 고칠 수도 있고, 곱게 단장할 수도 있지만 시간의 경과 속에 견고하게 다져진 삶의 자취는 섣부른 개변을 용인하지 않는다. 이것이 마을의 문화사가 지니는 質實하면서도 혹독한 장면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