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企劃과 豫算의 相互關聯 方案(Ⅱ)

        안경렬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混合經濟體制에 있어서 기획에 있어서 중요한 집행수단은 예산이다. 예산은 公共部門에대한 직접적인 투자는 물론 조세, 보조금, 융자 등을 통해서 민간부문의 투자방향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發展 途上國들에 기획이 집행 수단으로서 예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현실적으로 기획과 예산이 상호관련성을 가지지 못하고 乖離되어 있는 실정임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획과 예산의 관련성에 관하여 문제 제기를 하고 난 후 그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양자의 상호관련성을 위한 분석모형을 제시하였으며 나아가 각 분석의 단계마다 그 분석의 관점에서 양자의 괴리 요인을 파악하였다. [기획과 예산의 상호 관련이론 서설(경북실업전문대학 논문집 제9집, 1990. pp.21-37)]아울러 우리 현실에 대한 기획과 예산의 괴리에 대하여 성격상, 조직상, 행정 행태, 그리고, 제도상의 문제점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더욱이 기획과 예산의 연계를 위한 외국의 중·장기재정제도에 관하여 분석하여 보았다.(기획과 예산의 상호관련방안(I)(경북실업전문대학 논문집 제14집, 1995. pp.141-153)]이러한 분석으로써 기획과 예산과의 상호관련을 위하여 인사, 제도, 행정적, 그리고 입법적인 측면에서 통합적인 연결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우리나라에 있어 기획과 예산의 관계는 서로 유기적 관계를 위하여 제도적 개선을 통해 통합하려는 노력이 있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나 그 운영에 있어서는 기획과 예산의 불일치 현상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알아보았다. 기획과 예산의 관계의 상호 관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간 서로 乖離되어 있는 요인과 현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고위행정관료 및 정치·정당지도자들이 기획에 대한 인식과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는 기획의 대립과정에서 필요한 결정을 적시에 내려 주지 않거나, 공포된 계획을 집행과정에서 무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사회·경제개발에 관한 중요한 결정이 비공식적인 기획과정에서 이루어진다. 둘째, 기획 내용 자체에 결함이 있다. 즉 계획이 의사결정의 기준이 될 수 있을 만큼 구체화되지 못하고 투자 우선 순위나 財源所要가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목표와 수단의 구분이 분명하지 못하며 거시적 목표가 부문, 지역별로 미시적으로 세분화되지 못하고 연차기획이나 細部事業計劃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경우가 많다. 셋째, 발전도상국에서는 상황에 맞지 않는 기획의 방법이나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아울러 신뢰성 있는 자료의 뒷받침 없이 고도의 계량분석이나 모델을 채택하거나 상황적 요인들을 소홀히 하여 현실과 괴리된 대안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넷째, 기획의 집행·평가·통제에 대한 필요한 행정능력이 부족하다. 이것은 유능한 기획의 요원과 전문인력이 부족하고 조직관리 및 예산회계제도가 비효율적이어서 기획의 추진에 지장을 초래한다. 선 기획·후 예산의 순서로 기획중심의 정부사업이 이루어질 때 이를 바람직한 기획체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획과 예산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어느 한쪽이 부족하거나 지나치면 상호관련성은 없어진다. 또한 이미 채택되고 운영되는 예산제도가 어떠한 방식이냐에 따라서 기획의 과정을 어렵게 할 수 있고 쉽게도 할 수 있다. 더욱이 효율적 예산의 과정은 훌륭한 기획의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예산은 일련의 기획과정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기획자체에 모순이 있으면, 이는 예산과 괴리되어 진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기획이라도 이를 뒷받침할 예산이 없으면 기획은 그 효용을 발휘할 수 없다. 이는 可用資源이 부족한 발전도상국에 있어서 국가의 발전기획은 무의미한 것이라는 결론에 이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발전도상국에 있어서 행정은 기획에 대하여 괴리의 요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더욱이 기획의 분권·민주화에 있어서는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기획과 예산의 상호관련성을 확보하고 기획체제와 기획의 전환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행정적 측면에서 기획의 영역과 그 역량이 더욱 신장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결과로서 기획과 예산의 상호 관련성을 위한 연결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사상의 방안으로서 기획과 예산의 규모와 방향에 대하여 기획·예산조정위원회에서 이를 채택하게 함으로써 기획과 예산의 연결을 가질 수 있는 조정위원회 운영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더욱이 기획과 예산의 업무를 서로 이해하고 업무상의 교류와 정보교환을 위해 순환보직제도와 공동 교육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도상의 방안으로서 기획과 예산의 연계를 위한 기획 수립과정과 심사분석제도 그리고 평가제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예산과 기획을 연결시켜주는 연동기획제도의 운영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첫째, 국내의 여권의 상황 변동에 대응하여 중·장기경제개발계획의 실효성을 얻기 위한 국민경제 예산제도의 운영에 관한 방만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효율성 있는 예산혁신의 필요성과 제도의 보완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발전 기획과 예산의 효율적인 관리배분을 연결시키고 발전 정책의 성공을 위한 기획과 예산의 연계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기획 과정에서 국민적 합의와 참여의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다섯째, 기획과 예산의 상호관련성을 위한 보다 바람직한 재정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로서 헌법제정의 필요성과 그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기획과 예산의 상호 관련성을 위한 장기적 안목의 필요성과 행정 행태의 변화와 아울러 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중·장기재정기획제도의 운용방안을·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限界는 앞서 제시한 기획과 예산의 분석모형으로서 그 분석의 단계에 따른 즉 문제 제기단계, 대안의 탐색 한계, 대안의 결정단계, 집행의 단계, 사후평가의 단계에 따르는 분석의 관점에서 그 명제에 따라서 우리나라의 현상과 실태를 입체적으로 검증하고 분석해야 함이 타당하겠으나 연구자의 능력과 비용 그리고 시간의 부족으로 현실적이고 입체적인 분석을 하지 못하고 기술적 분석에 그쳤다는 점이다. 이 연구는 연구 주제에 대한 문제 제기의 단계에서 더욱 심화시켜 다음의 연구에서는 더욱 입체적으로 검증되어질 것이라 여겨진다. 아울러 분석모형의 단계에서 사용되어진 변수들의 타당성 여부도 검증되어 있지 못하고 있음을 밝혀 둔다. 결론적으로 기획과 예산의 상호관련성을 위해서는 이 제도를 운영하는 정책 최고책임자의 의지도 중요하지만, 기획과 예산 수립과 집행 과정예서 정부 각 부처, 정당 그리고 국민각 계층간의 의사를 최대한 반영한 합의점을 도출해 낼 수 있는 행정의 민주성을 먼저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아울러 기획과 예산에 관련한 재정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고, 재정제도를 뒷바침하기 위한 재정헌법의 작업이나 관련법규를 개정하고 제도작용의 방식도 혁신하여 행정의 실질적인 합목적성을 회복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나아가 기획과 예산을 담당하는 관계자들의 태도변화를 유도하여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중·단기적 안목과 거시, 미시적 분석을 할 수 있는 能力이 배양되어야 하며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조직의 혁신도 수반되어져야 한다. 더욱이 기획제도에 있어서 현재와 같은 固定企劃(target planning)제도를 유지하면서 連動企劃(rolling planning)이 갖는 장점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 선행조건으로 적어도 10년을 기간으로 하는 장기전망기획(long-term perspective planning)편성을 제도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장기전망기획은 앞으로 반드시 제도화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장기기획이 제도화되면 연동기획의 도입은 비교적 용이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용에는 정부회계의 책임성을 위한 국민경제예산의 운영과 다년도식 예산의 제도가 포함된다. 아울러 이때의 연차기획은 내부적으로 조정작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중기기획과 일관성 있게 연결될 뿐만 아니라 해마다 기획목표를 설정 보완할 수 있고, 또 사업기획을 현시점에서 평가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획과 예산이 현실과 괴리됨이 없이 상호 관련성 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여성복의 의류치수규격에 대한 실태조사 및 문제점

        옹혜정,최경미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류치수규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로 생산자 및 소비자에 대한 실태조사 및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국내 여성복 생산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류치수규격의 사용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20-30대 여성을 타깃으로 하는 여성복 생산업체 6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 대부분의 업체에서 자체개발 한 의류치수규격을 사용하고 있으며 치수호칭은 구호칭을 그대로 사용하므로써 K.S 규격을 신뢰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② 각 업체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류치수규격의 사용치수가 업체별로 차이가 있으며 드롭치도 최대 10cm에서 최소 -5cm까지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비자의 구매과정에서의 혼란이 예상된다. ③ 아직까지 대부분의 업체에서 그레이딩 작업을 숙련된 기술자에 의한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치수적합성이 높은 고품질의 기성복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설계기술의 체계화 및 표준화, ㉡그레이딩의 자동화에 대한 설비투자가 필요하다. 소비자의 의류치수규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20-30대 여성 1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①기성복 구입 조건은 디자인, 가격, 기능성 및 실용성의 순으로 결정되며, 선호하는 브랜드의 선택 이유는 디자인, 가격, 기능성 및 실용성의 순으로 결정되며, 선호하는 브랜드의 선택 이유는 디자인, 가격, 치수 순으로 나타났다. ②기성복의 적합성에 대해 54.2%가 불만족하고 있으며 85% 이상의 응답자가 기성복이 잘 맞지 않아 수선을 통해 착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현행 기성복 치수가 20-30대 여성의 체형에 부적합함을 지적 할 수 있다. ③재킷보다는 바지에 대한 불만이 높고, 재킷과 바지 모두 길이에 관한 부위의 불만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하반신 체형에 많은 변화가 오는 것을 커버하기 위해 큰 치수의 바지를 선택하므로써 길이 항목이 길어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④기타 브랜드별 치수 및 호칭체계의 불균일에 대한 불만, 체형별 치수의 다양화와 세분화, 제품치수의 불균일 및 치수표기와의 불일치, 큰 치수의 제품개발 등에 대한 의견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산자와 소비자가 모두 만족 할 수 있으며 신체적합도 및 커버율이 높은 의류치수규격을 개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

      • 다치논리의 MacLaurin 전개을 이용한 규칙베이스 추론과 사례베이스 추론의 통합 추론

        진상화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본 논문에서는 다치 논리의 MacLaurin 전개를 사용하여 규칙베이스 추론과 사례베이스 추론을 통합하여 추론함으로써 해 공간을 조정하여 원하는 결정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통합 추론 방법은 추론 과정을 명확히 알 수 있어 반드시 검색되어야 할 속성들의 우선 순위를 정하여 결경해를 추론할 수 있다. 규칙베이스 추론과 사례베이스 추론을 각각 추론하는 것 보다 통합 추론함으로써 정확한 결정해을 추론할 수 있다. 제안된 통합 추론 모델이 앞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다 입력 (multi input) 및 다 출력(multi output)이 가능하도록 하는 통합 추론 시스템을 개발을 하고, 구현시키는 것이다. 또한, 새롭게 추가되는 규칙 및 사례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지식베이스 축소 및 MSIR 구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 불황기의 전략적 촉진 사례 연구

        상영우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IMF 불황은 특정기업에 국한된 것이 아닌 대다수 기업, 업종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는 현상이기 때문에 불황시의 기업 마케팅이 적극적이고 공격적이냐. 아니면 소극적이고 방어적이냐에 따라 불황기의 촉진 전략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불황기에는 대부분의 기업이 광고비를 대폭 감축하는 등 움츠려 드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런 상황일수록 기업이 위기를 기회로 보고 보다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촉진전략을 수립하고 과감히 투자할 때 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기업의 도산과 실업률 증가, 임금의 동결 등의 악재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유래 없는 변화가 일고 있다. 소득계층, 심리적 요인, 구매상품의 특성 등의 변수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이 불황이전에 비해 매우 신중하고 현실적이며 구매동기 역시 복잡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불확실하거나 무모한 충동구매를 자제하고 있다. 그러나 불황기일수록 보다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구매 행동을 추구하는 소비자를 설득하고 그들의 본질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고려하며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창의적이고 경제적인 정보제공형 촉진 전략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불황기에 효과적인 촉진전략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불황기에는 한정된 촉진 예산으로 투자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선 먼저 불황에 따른 소비자나 경쟁 환경, 대소비자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변화에 대한 분석과 대응이 필수적이다. 1. 제반 마케팅 비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목표 소비자 집단을 세분화해서 집단별로 서로 다른 취향, 라이프스타일, 매체접촉행동 등을 분석하고 불황기의 변화된 소비자의 환경과 심리상태를 충분히 반영하는 동기유발형 크리에이티브를 개발한다. 불황기를 맞아 절약, 애국심, 가족 -이웃사랑을 강조하고 실직자들의 우울한 정서를 대변하는 IMF형 광고가 급격히 늘고 있는 추세다. 2. 최적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조합하는 통합적 마케팅 커뮤니케이션(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전략을 수립해서 시너지 효과를 높이고 다변화되고 있는 매체환경에 신속히 적응하며 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적극 개발, 활용한다. 그러고 기존 4대 매체를 포함한 기타 마케팅정보 채널에 대한 전반적인 재평가를 통해 IMF시대에 적합한 효과적 정보채널 믹스를 구축한다. 3. 소비자 니드를 반영하고 틈새시장(Niche Market)공략을 위한 새로운 카테고리 제 품을 개발하고 유통경로를 차별화 한다. 최근 매출불황과 의약분업실시를 앞둔 약국들이살아남기 위한 차별화 전략으로 성인병 컨설팅과 처방을 위주로 하는 '상담전문약국'으로 전환하고 환자의 체질테스트와 식이요법 , 양-한방의 복합처방을 해주고 있다. 4. 기업광고와 상품광고를 연동한 소비자 pull형 광고를 전개하고 효율성을 바탕으로 하는 저원가 전략(Low Cost Management)을 도입하여 시장과 소비자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한다. IMF체재 이후 불황으로 인한 광고비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자 기업브랜드 자산을 적극 활용,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펼치며 상품광고와 더불어 그룹통합이미지를 강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5. 침체된 사내의 분위기 쇄신을 위한 기업비전형 광고로 위기를 극복하고 재기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국민적 영웅 손기정 옹과 박세리 선수를 앞세워 경제위기에 대한 책임론을 회피하면서 재도약의 다짐을 설득력 있게 전달하여 국민들의 공감대를 형성한 삼성의 기업이미지 광고가 그 좋은 사례다. 6. 불황기에 제한된 예산하에서 서로의 고객을 공유함으로써 이미지 제고와 비용 절감, 판매 증대를 달성하고 도든 참여업체에게 공동이익을 줄 수 있는 win-win식 공동광고 전략을 우선 개발하고 향후 제품의 연구에서 개발, 생산, 판매, 서비스까지 모든 과정에 걸쳐 공동마케팅 활동을 확산해 나간다. PCS를 비롯한 호텔, 항공업체 등의 경쟁관계에 있는 동종업종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영화, 음반과 화장품 등의 전혀 다른 이종업종간에도 시너지 효과를 위한 전략적 제휴가 성행되고 있다. 7. 초저가 브랜드를 개발한다. 프라이스 클럽이나 까르푸 같은 대형 할인매장들은 불황극복을 위한 가격파괴의 일환으로 메이커 제품의 브랜드와 디자인만 바꿔서 가격을 파격적로 할인한 PB (Private Brand)상품을 선보였는데 광고비나 재고부담비, 판촉관리비와 같은 원가부담이 전혀 없는 이러한 PB상품의 도입은 불황속에서도 국내 유통업계의 가격 경쟁을 가속화시킬 전망이다. 결국 광고를 비롯한 촉진관리는 기업이 불황을 탈출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마케팅 수단 중의 하나이며 광고는 비용이라기 보단 장기적 상표자산 관리를 위한 중요한 투자라고 볼 때 앞으로 전략적 촉진에 의한 기업의 성공적 불황 극복 사례에 대한 보다 심층적 연구가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하겠다.

      • 공기압 구동 왕복 피스톤 장치의 메카니즘 개발(1)

        정영석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기존의 공기압 구동 유압펌프의 장치가 파이롯트 밸브와 에어 싸이클링 밸브의 조합으로 되어 있으나 본 장치는 에어 싸이클링 벨브로만 구성되어 피스톤의 왕복에 따라 직접 에어 싸이클링 밸브가 접촉식으로 작동하므로 충격은 있으나 동작이 확실하고 이물질에 의한 고장도 적으며 , 구조가 간단하고 반응속도가 빨라 시간당 왕복 횟수가 많으므로 토출량도 더 높다.

      • 地方自治時代에 있어 集團民願管理方式의 代案摸索

        이희복,장영두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구미시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이제 본격적인 지방자치의 실시와 더불어 일단 제도적·형식적 차원의 민주주의가 정착된 것으로 일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제도적·형식적 민주주의의 정착은 동시에 내용적·실체적 차원의 민주주의를 이루어야만 하는 과제를 남기고 있다. 이러한 내용적·실체적 차원의 민주주의는 곧 행정분야에 있어서는 관치 행정적 성격에서 자치행정적 성격으로 개선할 것을 요구하고 있고 이는 곧 관료적 행정에서 진정한 주민의 참여와 통제에 의한 민주적 행정으로 전환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즉, 지방자치시대에 걸맞는 정신적 기반과 행정적 태세를 필요로 하고 있고 주민과 지방의회 의원과 공무원에게 다같이 지방자치시대에 적합한 사고방식과 행태를 요구하고 있으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공히 명실상부한 지방 자치행정이 전개될 수 있는 행정체제를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보았던 집단민원에 대한 논의도 결국은 위와 같은 지방자치체제의 주민의 참여와 통제를 통한 민주화라는 방향에서 기본적으로 접근되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제시될 수 있는 대안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바로 참여의 진정한 활성화를 통해 지방정부와 주민간에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민주화가 이룩되어지는 것이라고 보여진다. 그리고 지방정부가 지역의 집단민원에 대한 뚜렷한 관리전략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집단민원에 대한 명백한 관리전략 없이 단순히 주민의 반대에 끌려 다니다 보면 결국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지방자치의 참뜻을 살리는데 역부족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즉 자율적인 합의가 도출될 수 있기 위해서는 지방정부가 투명성(공개성)과 아울러 공정성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지방자치시대가 보다 심화될수록 주민참여의 확대는 자연스러운 일이고 님비 현상으로 간주할 수 있는 주민의 요구라 할지라도 지방정부는 이를 회피하여서는 문제의 해결에 접근할 수 없는 것이며 이를 주민의 생존권의 발로로 보아 참여를 기반으로 하는 절차적인 민주화와 실체적인 민주화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자세를 보여야 할 것이다.

      • 한국인의 사회문화가치관 분석

        우갑정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국내의 여러 학자들이 한국사회의 저변에 내재해 있는 문화에 관해 여러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예컨대, 崔在錫(1997)은 가족주의, 감투지향. 상하서열과 친족의 구분, 그리고 공동체지향 등을, 白完基(1982)는 운명주의, 가족주의 및 권위주의를, 金雲泰(1979)는 전통지향, 숙명주의, 사대주의 및 정의지향 등을. 金泰吉(1979)은 가족주의 , 관능적 쾌락주의. 금전만능주의, 외관과 형식주의 및 理智보다 감정의 우선 등을, 그리고 愼侑根(1979)은 장자우대 불균형 상속, 배타주의, 연공서열, 가장의 권위화 및 아래 사람들에 대한 복종과 종속을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으로 들고 있다. 李圭泰(1982)는 한국인들은 사이 (間)를 소중히 여기고, 이에 높은 가치를 부여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金璟東(1979)은 한국사회의 전통요소와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본 한국사회의 조직원리를 구성하는 구조적 특징의 하나로 인정주의에 얽힌 인간관을 들고 있다. 그리고 崔晩基(1989)는 한국인의 문화, 한국인의 의식구조와 사고방식, 한국인의 행동양태 등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정의주의(情宜主義)가 한국사회나 한국인 의식 저변에 내재한 가장 기초적인 문화의 하나이고. 사이에 대한 중시경향이 보다 구체화하여 표출된 것이 연고주의라고 주장하였다. 金璟東(1979)은 한국사회의 전통적 요소 가운데 하나의 핵심적인 조직원리는 집단주의인 동시에, 이 집단주의의 그물을 엮어주는 마디나 집단이 결속하는 테두리가 연고관계이다. 이 연고관계의 핵은 가족이고, 그 근거는 혈연이다. 한국적 연고관계는 친족, 동족, 그리고 문중 등의 넓은 범위로 확대되어 지연, 학연, 그리고 갖가지의 파벌 등 심지어 자기가 소속한 기관에 대한 연고에까지 적용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한국사회의 문화에 대한 연구들에서 어떤 부분에서는 의견이 일치되고 있으나, 또 다른 부분에서는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박기찬(1996)은 우리나라의 조직특성은 집단 중심적이고, 리더십 스타일은 권위주의적이라서 전제적 리더십 행위를 표출하고 있으며, 확실한 규율 또는 상위계층의 권위에 의해 문제를 해결하려는 성향이 강하고, 가족이나 특정한 집단에 대한 충성심이 강하며, 자아실현보다는 체면이 행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이미 발생한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상위계층에 의존하나. 사전에 문제발생을 방지하거나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며, 다변화환경에 적극적으로 적응하며, 높은 수준의 성취목적을 달성하여 고도의 성장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한국인의 사회문화가치관에 대한 이해를 얻을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자는 한·일간의 개인의 가치관, 성격 및 행동규범에 있어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 중에 있다. 본 연구는 본연주자의 한·일간 비교연구의 관점인 후속 연구를 위한 선행분석의 필요성에 의하여 수행되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 연료분사전자제어 기관의 공회전운전과 안정운전영역에 관한 연구

        정연종,조규상,김원배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전자제어연료분사기관의 공회전 상태에서 안정운전영역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하여 점화시기, 공기연료비, 연료분사시기 등을 변화시켜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전자제어연료분사기관의 경우, 공회전 상태에서 점화시기변화에 대한 안정운전영역 (S0A:Stab1e Operating Area)은 SA=10-20˚btdc 이며 최적 운전점(OP)에서의 공회전 운전시 연료소모에 있어 약 6-27% 정도의 절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공회전상태에서 부하운전으로 바뀔 때, 기관부조방지를 고려하여 점화시기 변화시 안정운전영역을 가급적 당기는 것이 유리하며, 본 실험기관의 경우 최적 공회전시기는 SA=10˚btdc, AF=14, IJ.Timing=90˚btdc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안정운전에서의 공회전 운전시 일반적인 공회전상태와 비교할 때 약 6% 정도의 연료 절감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연료분사시기 변화에 대하여는 공회전 변동이 큰 폭의 변화를 보이지는 않지만 정숙한 운전을 위해서는 안정운전영역이 배기행정 중인 IJ.Timing =0-90˚btdc정도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4) 최적의 연료분사시기는 연소압력 및 배기가스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와 운전상태의 변화시 기관부조방지를 위하여 연료분사시기가 IJ.Timing=90˚btdc가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組織變化에 따른 組織構成員의 抵抗原因과 管理方案

        유호성,강용석 경북실업전문대학 산업개발연구소 1999 산업개발연구 Vol.5 No.1

        현대사회는 급속한 사회변동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서 모든 조직도 그의 생존과 발전을 위하여 급속한 환경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조직의 생존력과 효과성을 높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서 환경과 동태적인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조직도 계속적인 변화를 하여야 한다. 이러한 조직의 변화나 신축성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대두하게 되는 것이, 바로 동적 현상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저항문제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변화란 현대사회에 있어서 모든 조직체가 발전 및 생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겪어야 할 현상이며, 이러한 변화에 대한 조직구성원의 저항 역시 조직체가 겪어야 할 필수적인 현상이라고 하겠다. 모든 조직은 변화에로의 압력과 이에 저항하는 세력간의 상호작용 관계속에서 점진적인 변화가 이루어진다.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당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아래 네가지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① 지도층(5-10%)의 솔선수범: 현재 우리의 국난의 책임 소재는 일반국민에게도 조금의 책임은 있을 수 있지만, 모든 부분에 있어서 지도층의 책임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부분의 상위 5-10%의 지도층이 그 책임의 근원지라면 지나친 표현일까? 조직의 환경을 좌우하는 것이 통상적으로 그 조직의 지도층(최고 관리층)이므로 이들이 솔선 수범하는 자세를 보일 때 조직의 모든 구성원들은 협력할 수도 있고, 그로 말미암아 공동운명체로써의 결속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② 보수의 상한제 도입: 현재 우리나라의 많은 공, 사 조직들은 입사와 동시에 정년이 보장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그와 동시에 보수체계 또한 근무연한이 넓어남에 따라 보수가 오르게 되어 있어, 업무능력과는 별개의 현상이 나타난다. 인간의 능력은 체력, 경험, 숙련도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일반적인 경우인데 업무의 생산성도 일정 수준까지는 능력이 향상되지만, 어느 시점에서는 능력이 하향적으로 나타나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 수 있다. 이에 보수체계는 일정시점을 정점으로 하여, 그 후로는 오히려 보수체계를 하향조정방향으로 설정하여 인건비 절감을 통한 조직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제도적일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론 모든 구성원에게 일률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며, 특수한 업무나 그 능력이 검정된 경우는 예외로 적응시켜야 할 것이다. 보수의 상한제는 연봉제와는 다른 개념이며 연봉제의 역기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③ 도덕성 회복: 현재 우리들은 너 나 할 것 없이 과정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사회풍토가 위기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절대다수의 부모들 (특히 젊은 세대들은 더욱 심하다) 은 자기 자식들이 모든 일에서 과정보다는 결과에 관심을 많이 가진다. 재벌의 경우도 재력을 앞세워 그들의 행위를 정당화시키며, 또한 정치인과 공무원의 부패의 원인인 뇌물수수의 판단도 힘의 논리에 치우치는 경향으로 비추어 진다고 볼 수 있다. 우리들 또한 그에 수긍하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지속된다면, 사회의 병리현상은 극복될 수 없을 것이며, 그로 말미암아 현재 위기상황의 근본적인 치유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것을 치유할 수 있는 방법으로 도덕성을 회복해야 할 것이다. ④ 점진적이고 지속적인 변화의 필요성: 엉킨 실타래의 실을 빨리 풀려고 하면 오히려 더 엉키는 법이다. 그러나 실의 매듭이 어디인지 정확하게 인지해 풀려고 하면 결과는 더 빠르고 효율적이 될 것이다. 따라서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면 점진적, 지속적, 일관적이어야 하며, 특히 과단성과 투명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건들이 이루어질 때, 환경변화에 따른 구성원들의 저항은 현저히 줄어들 것이며, 이를 조직문화로 정착시킬때, 조직원의 저항관리는 물론 조직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