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문화기호학적 방법론

        임지룡,김영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이 연구는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학교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방법론을 제시 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디어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 개념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 학교 미디어 교육으로서 특히 중등 국어과의 미디어교육적 요소를 검토하게 된다. 나아가 현행 국어과에서 적용되는 미디어교육의 방법론을 개괄하고 문제점을 도출하게 된다. 아직까지 미디어교육이 ‘미디어를 통한 교육’ 즉 미디어를 통해 특정 교육 요소를 이해시키는데 활용하는 도구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런 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미디어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육적 대안을 마련하게 된다. 그것이 바로 문화기호학적 교수학습방법론이다. 일찍이 기호학은 구조주의를 바탕으로 한 질적 연구방법으로서 교육적 영역에 도입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레마스에 의해 시도되었던 행동자 모형과 내러티브 분석 기법을 중등학교 미디어교육에 도입한다. 이 문화기호학적 방법론은 멀티 리더러시를 가능케 하는 데, 이는 미디어 수용자 혹은 잠재적인 미디어 학습자가 특정 미디어 텍스트를 통해 문화적 차원의 의미 해석에 기여한다. 뿐만 아니라 수용자나 학습자가 처한 사회문화적 콘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성찰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The research explores acceptance of medi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extends to teach communication skills as 'new language'. Using internet is not only the technology but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For the new generation, media education valu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like the constructivism paradigm. Media education have to be get through via the idea of literacy. For going forward expansion of communication ability, the purpose and contents of media education need to be re-established. Results of this article were as follow: First, the idea of media education was reflected on the 7th Korean curriculum. And some Korean teachers group developed series of textbooks for media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Second, the teaching methodologies based cultural semiotics, multi-literacy methodology and narrative scheme methodology play an important role for secondary Korean class.

      • KCI등재

        K대학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과 다문화교육역량의 관계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

        김선화,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다문화배경학생의 증가는 중등교사에게 다문화교육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도 다문화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정규과목 운영, 비형식교육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육이 실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이 다문화교육역량에 주는 영향과 이 영향에 대한 진로결정수준의 상호작용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에서 교직 수강생과 사범대 학부생이다. 분석을 위하여 조사대상자에게 다문화교육경험 횟수(GTU사업 관련/비관련, 수업/세미나/체험형태), 다문화교육역량, 진로결정수준을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조사자료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중등교사의 다문화교육경험 총 횟수와 다문화교육역량의 정적 관계는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둘째, GTU사업 관련/비관련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한 상호작용효과는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수업형태와 체험형태의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진로결정수준에 의해 조절되었다. 그러나 세미나형태 다문화교육경험 횟수는 다문화교육역량에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을 통한 학습전이에 영향을 주는 변수 : 학습자 특성, 교육과정 특성, 상황적 특성, 학습을 중심으로

        현영섭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1

        예비중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은 ‘필수적’이지만, ‘형식적’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았다. ‘형식적’이라는 비판은 교육현장실습이 현장성 높은 지식 획득과 활용이라는 목적을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실습을 통하여 학습한 것을 활용하는 학습전이에 예비중등교사의 교육현장실습 후 학습자 특성(자기효능감, 학습동기), 교육과정 특성(동일구성요소, 자극변산성), 상황적 특성(교육현장실습 교사의 지원,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 학습이 주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육현장실습에 참가한 대구의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27부의 설문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현장실습교사의 지원과 동료예비중등교사의 지원은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가장 강하게 주는 변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학습동기도 예비중등교사의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수였다. 셋째, 교육과정 특성 중 동일구성요소는 학습과 학습전이의도에 직‧간접 영향을 준 반면, 학습전이에 대한 자극변산성의 경로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Interview

        강현석,정재임,최윤경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모티브로 시작되었다. 하나는 Bloom이 오래 전에 제안한 교육목표 분류학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반응에 대한 구체적 대안 찾기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최근의 일련의 개정 작업에서 발견되는 Bloom에 대한 대안의 모색이다. 교육목표분류학은 교육의 과정에서 중요한 도구로 기능을 해오고 있다. 도구는 항상 새롭게 만들어져야 한다. 학문적 논의와 현장의 실천적 노력에서 보다 정교하게 보완하고 그 대안을 모색 할 때가 되었다. 그것은 실제 수업이나 교사양성의 맥락에서 보다 구체화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 작업의 일환으로 교사의 인터뷰와 몇 가지 대안을 단서로 하여 하나의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학교교육의 중핵으로서 교육과정, 교수·학습, 평가의 문제는 교육목표분류학의 이론적 논의와 현장 실천의 문제가 연계되어야 하는 숙제를 안고 있다. This study starts with two kinds of motive. One is searching for practical alternatives of teachers' responses in service about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 suggested. The other is exploring alternatives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cently.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functioned as a crucial instrument on the process of education. This kind of instrument should be made as a newer one. It is time this instrument should be made as a newer one. It is time this instrument were made to be revised precisely and alternatives of that were explored through disciplinary discourse and practical efforts in service. It should be applied to be specified in the context of instruction and cultivating teachers. The study has tried to suggest possible alternatives on the basis of teachers' interview and som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s a clue. A matter of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 and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oretical discussion on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a practical matter in service.

      • KCI등재

        2021~2022년 언론 보도 분석을 통한 정권의 변화와 고교학점제 담론 양상

        지미영,강주현,김수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3 중등교육연구 Vol.71 No.1

        권이 바뀜에 따른 각 교육 계층의 이슈와 교육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페어클로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언론보도에 나타난 고교학점제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사이트를 이용하여 대표진보언론인 <한겨례신문>과 대표보수언론인 <조선일보>, 4개 대표방송사 <MBC, KBS, SBS, YTN>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언론보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21년 7월~12월과 2022년7월~12월로 조건을 두었다. 그 연구 결과로 첫째, 2021년과 2022년로 변화되며 나타난 교육계 사회적 이슈는 코로나19로부터의 정상 수업, 국가 정권의 변화와 보수 교육감의 높아진 비중으로 인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 성취도 평가과 절대평가에 대한 논란이 큰 흐름의 중심에 있었다. 둘째, 정권이 바뀌면서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특히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에 거쳐 진로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2021년과 2022년의 각 교육부와 교육청의 입장에서 고교학점제의 시행은 그대로 실시될 것으로 보였다. 넷째, 언론에서는 대중에게 고교학점제에 대한 내용, 진행과정, 비판적 내용, 긍정적인 내용을 모두 소개하고 있었다. 이 연구로 언론이 국민들에게 국가교육정책 알림 역할을 함과 그 내용으로 정권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변화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공급자 위주의 보도가 이루어질 뿐 학습자 중심에 선 보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KCI등재

        2009와 2015의 국어과 교육과정의 독서 영역 비교

        김진희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4

        본 연구에서는 2009와 2015의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독서 영역의 변화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개정 방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2009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독서 영역을 중심으로 국어과 교육과정의 체제인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내용 성취기준,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항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2009와 2015의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독서 영역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5에서는 국어과 영역 중 독서 영역에서 많은 변화를 시도하였다. 기존의 <독서와 문법>에서 <독서>만 따로 독립적인 교과로 분리되었고, ‘1학기에 1권의 책읽기’라는 슬로건을 내걸어 통합적 독서 활동을 강조하고 있다. ‘성격’과 ‘목표’에서는 2015의 개정 방향과 기조를 반영하였으며 다양한 분야의 독서와 자기 주도적 독서를 강조함으로써 평생 독자로서의 역할을 드러내었다. ‘내용 체계’에서는 2009에 비해 ‘독서’ 행위에 중점을 두었으며, ‘독서의 분야’를 새롭게 추가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내용 성취기준’에서는 2009의 성취기준을 재조정하였는데, 본고에서는 이를 ‘이동, 삭제, 추가, 통합, 분리, 유지’의 방식에 따라 재조정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에서는 재조정된 내용 성취기준을 반영하여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금융 이해도와 바람직한 금융교육 방향 탐구

        오영수,도규태 경북대학교사범대학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1

        글로벌 경제 시대를 맞아 개인이나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있어 금융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 보다도 높다. 본 연구는 금융에 대한 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행 경제교육과정에서 금융교육의 강화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고등학생들의 금융에 대한 이해도와 교사들의 금융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대구지역 고등학교의 교사 학생에 대한 설문을 통해 측정하였다. 대구지역 고등학생들의 전반적으로 금융이해도는 미국은 물론 수도권의 학생들에 비해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개별적이고 단편적인 금융지식보다는 금융에 대한 기초지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꼽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조사, 그리고 최근의 금융교육 교재 등을 참고하여, 고등학생들에 대한 바람직한 금융교육 내용으로 ‘국민경제와 금융’, ‘소비와 신용’, ‘저축과 투자’. ‘다양한 금융상품’의 네 가지 영역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It is essential to equip some amount of financial knowledge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economic agents in the era of global economy. This paper purpose to develop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in high school in Korea by evaluating the extents of students' financial understanding, and by surveying teachers' opinion on financial education contents. The results of survey show that students' in Daegu area habe a lower financial quotient than that of students in Seoul area as well as American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is results, we suggest an economic and financial education context which could be used in the high school level students in Korea.

      • KCI등재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에 관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탐구

        이윤복,이지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최근,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의 증가와 이를 기반으로 한 학교 현장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관점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현황,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워드 프로세서와 Nvivo 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6가지의 주요 내용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필요성과 도입에 대한 공감. 둘째, 현재 학교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음.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 시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적용 가능성이 충분함. 넷째, 교육과정 디자이너로서 교사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음. 다섯째, 통합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의 적용 가능함. 여섯째, 교사 연수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진정한 이해를 실현하는 교실 수업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개념도방법론을 활용한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필요한 장애수용태도-통합교육교사를 중심으로

        최병섭,한수진,이지연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1

        본 연구는 국내 통합교육을 경험해본 교사들, 이하 통합교육교사를 대상으로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 method을 활용하여 통합교육교사가 경험한 장애수용태도의 내용과 차원, 군집은 어떠하고 중요도와 현재 실행도는 어떻게 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내용과 차원, 군집을 알아보기 위해 13명의 통합교육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인식하는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고, 82개의 진술문 중 최종적으로 53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으며 중요도와 실행도를 알아보기 위해 56명의 통합교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진술문의 내용을 교사관련과 주변자원관련, 인식과 이해의 2개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통합교육교사들의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전체 진술문 중요도가 ‘중요하다(5점 기준으로 4.48)’에 근접하여 평가하였고, 실행도는 ‘보통이다’ 와 ‘실행하고 있다(5점 기준으로 3.90)’에 근접하게 평가하였다. 이는 통합교육교사가 직접 참여하고 경험을 토대로 나온 결과이기에 연구 및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교육정책의 숨은 비용: 교사의 노력

        김희삼 경북대학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2020 중등교육연구 Vol.68 No.2

        교육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위해서는 증거에 바탕을 둔 정책의 추진이 중요하다. 교육생산함수의 실증적 분석 결과에 기초한 교육정책의 투입비용과 성과평가가 대표적인 증거로 사용된다. 그런데 교육정책의 투입비용을 고려할 때 금전적 비용만 고려되고 교사의 노력은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여러 가지 교육정책들에 대한 종합적 교육성과, 재정투입비용, 그리고 교사의 노력 요구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 재정투입비용은 낮게 평가되었지만 교사의 노력이 많이 요구되는 교육정책들이 다수 발견되었다. 특히 교육성과가 높게 평가된 교육정책들이 교사의 노력을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정책의 추진에 있어 교사의 노력이라는 숨은 비용이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