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장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준비의 실무적 진단과 시사점: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

        윤대원 ( Dae Won Yoon ),박균열 ( Gyun Yeol Park ),김복정 ( Bok Jeong Kim ),김수진 ( Su Jin Kim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에 대해 실무적으로 진단하고, 향후 평가대비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3주기 평가는 경영 및 여건 영역, 프로그램 영역, 성과 영역 등 3개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경상대학교는 평가를 위해 사전준비 조치로 사범대학의 경우 인성, 전문성, 창의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각 평가지표별로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요건 구비 노력을 했다. 실제 자체평가준비를 위해, 기획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구성했다. 기획위원회는 교과별 경륜이 풍부하고 전력수립 경험이 많은 교수들로 구성했다. 실무위원회는 주로 사범대학의 각 교과별 교육평가경험이 있는 소장교수들로 구성했으며, 일반대학 교직과정 준비를 위해 자연대학과 인문대학의 교수를 각 1명씩 포함해서 구성했다. 자체평가를 실제 준비하는 중에도 학과장 및 전공주임 교수회의 개최, 조교회의 개최, 상황실 설치, 그리고 실시간 정보공유를 위해 학교 웹하드를 활용하여 사이버공동체를 수립했다. 자체평가보고서의 주요내용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이미 양식을 제시해주었기 때문에, 제시된 안의 범위내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증빙할 수 있는 비치자료를 잘 선별해서 제시해야 되는데, 서류철 정리에서부터 지표영역별 우수 사례 선정, 최종보고서 인쇄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준비를 해야 한다. 경상대학교는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사범대학은 B등급, 교육대학원은 C등급, 일반대학 교직과정은 D등급을 받았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의 경우 다른 국립대학, 즉 서울대학, 경북대학, 전남대학, 전북대학 등과 같은 수준의 결과를 얻었지만, 교직과정의 경우 다른 인접 국립대학과 같이 낮은 등급을 받았다. 교원양성의 주요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사범대학의 평가결과는 컴퓨터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등 학과내부의 특수사정이 개선된다면 추후 평가에서는 전국적으로 월등한 평가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했다. This paper diagnoses on 3rd period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shows some implications. As main indicators,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management and environment, program, and product etc. As preconditional prepa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made objective of the education: personality, expert, creativity for teacher. Based on this objective, GNU has collected and prepared for indicator relating data. For more efficiency, two committees were organized. Those were strategic planning committee and practical committee. As a result, GNU got B grade at the level of Teachers College, C grade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D grade at Subsidiary Course for Teachers Training (Gyozikgwajeong) which has concerned about students not in Teachers College. Comparing with neighboring some national universities, GNU did show not so bad result through this sequential evaluation process.

      •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 연구

        최정혜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현대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을 규명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경상대학교 12개 단대에서 각 10%이상이 되도록 유의추출 표집을 한 1,727명의 학생들이다. SPSS 20.0을 사용하여 대학생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얻었다. 첫째,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에 전체 평균 4.07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성별, 아버지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 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을 영역별로 보았을 때, 가족유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족간 의사소통, 가치체계 공유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은, 성별, 단대별, 종교,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아버지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 경제수준 등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경상대학교 재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가족건강성 향상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familial strength of th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1,727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data including the percentage, average standard, 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are analyzed and obtai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verage self-esteem score of the students is marked as 4.07 comparing to the maximum score of 5.0. It suggests that most of the students in this university positively perceive their self-esteem. And it is found that self-esteem of the students is dependent on their sex distinction and foster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ir familial strength is ranked to 3.79, which also indicates their familial strength is quite strong. When the familial healthiness is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analyzed them in detail, the familial strength is marked as the highest and sharing the same goal is scored at the lowest. The familial soundness is relied upon the orders of sex, difference in their major college, religion, parent’s job,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and level of home economics, respectively.

      • KCI등재

        旅軒 張顯光의 『大學』 해석 연구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7 No.-

        이 글은 張顯光(1554-1637)의 『대학』 해석에 대해 기왕의 연구가 문집에 수록된 「錄疑竢質」만을 분석해 논한 것을 반성하고, 『역학도설』에 수록된 「大學圖」·「大學改正之圖」를 함께 분석하여 그의 『대학』 해석의 성취과정 및 특징을 밝힌 것이다. 장현광의 『대학』 해석은 세 단계로 성취되었다. 제1단계는 주자의 『대학장구』에 따라 해석하면서 權近·李滉 등의 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그의 「大學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대학도」는 주자의 「대학도」를 따르지 않고 권근·이황의 대학도를 수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데 이황의 대학도보다는 권근의 대학도에 가깝다. 제2단계의 해석은 선유들의 『대학장구』개정설을 보고서 다시 「大學改正之圖」를 작성한 것이다. 이 「대학개정지도」는 권근·이황의 대학도와 완전히 다른 시각에서 만든 것이다. 특히 명명덕·신민 밑에 팔조목의 공부를 배열하고, 지어지선 밑에 팔조목의 공효를 나누어 배열한 것, 전 제4장의 청송장을 경문 맨 뒤로 옮기고, 경문 제2절·제3절을 뒤로 옮겨 순서를 바꾸어서 격물치지장으로 삼은 것, 전 제4장을 없앰으로써 전체를 經一章·傳九章으로 파악한 것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설은 이언적의 설과 유사하지만, 지어지선 밑에 팔조목의 공효를 배열한 것과 전 제1장·제2장의 논리구조를 端(本)-事-極으로 파악한 것 등은 그만의 독특한 설이다. 제3단계는 자신의 개정설을 다시 수정하여 『대학장구』개정설을 제기한 것으로, 「錄疑竢質」에 수록되어 있는 설이 그것이다. 이 설의 핵심은 격물치지장을 재구성한 데 있는데, 채청·이언적의 설을 수용하여 맨 앞에 ‘所謂致知在格物者’ 8자를 보충하고, 그 다음에 경문 제3절, 청송장, 경문 제2절을 배열하고 ‘此謂知本’을 ‘此謂物格’의 오자로 보아 수정하여 ‘此謂知之至也’와 함께 격물치지의 공효로 삼은 것이 특징이다. 장현광은 『대학』을 해석하면서 내용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탐구를 하였는데, 誠意章 ‘誠於中’을 주자 및 쌍봉요씨의 설과는 달리 선이 마음속에 가득 찬 것으로 해석한 것이 독특하다. 이러한 장현광의 설은 경학사적으로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선유의 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문제의식을 키웠고 독자적인 시각으로 『대학장구』개정설을 제기하였다. 둘째, 「대학도」·「대학개정지도」 등을 작성하여 삼경령·팔조목의 공부와 공효에 대한 연관성을 보다 정밀하게 밝혔다. 셋째, 傳文은 經文을 해석한 것이라는 傳文釋經之法의 논리를 개발하여 전문의 논리적 흠결을 보완하였다. 넷째, 격물치지의 개념을 주자와는 다르게 정의하여 격물치지장의 논리적 정합성을 선명하게 하였다. 다섯째, 경문 제2절(知止而后有定……)의 知止·定·靜·安·慮·得을 새롭게 해석하여 팔조목과 연관시킴으로써 삼강령의 공효로 막연히 이해하던 해석을 명료하게 하였다. 여섯째, 誠意章의 ‘誠於中’을 善이 마음속에 가득한 것으로 해석하여 해석의 다양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reflected upon the fact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by Jang Hyeon-gwang(1554-1637) analyzed only his Nokuisajil in his collection of works and included his Daehakdo and Daehakgaejeongjido in his Yeokhakdoseol in analysis, as well, thus finding out that his interpretations of Great Learning underwent three stages and shedding light on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Jang interpreted Great Learning in three stages. In Stage 1, he interpreted according to Zhu Xi's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and critically accepted theories of Gwon Geun and Lee Hwang. It can be checked in his Daehakdo, which hold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ccepted the Daehakdo of Joseon's scholars such as Gwon Geun and Lee Hwang instead of Zhu Xi's Daehakdo. It is closer to Gwon Geun's Daehakdo than Lee Hwang's Daehakdo· In Stage 2, he rewrote his Daehakgaejeongjido based the revision theories about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by some Confucian scholars before him. This diagram was made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the Daehakdo of Gwon Geun and Lee Hwang. Its characteristics include putting the Gongbu of Paljomok under Myeongmyeongdeok and Sinmin, placing the Gonghyo of Paljomok under Jieojiseon, moving the Cheongsongjang of the old Chapter 4 to the end of Gyeongmun, moving Passages 2 and 3 of Gyeongmun to the back, changing their order, and taking them as Gyeokmulchijijang by placing them before "Chawuijibon Chawuijijijiya," and figuring the whole work out in Gyeongiljang and Jeongujang by getting rid of the old Chapter 4. Jang's theory is similar to that of Lee Eon-jeok, but it is unique in that it places the Gonghyo of Paljomok under Jieojiseon. In Stage 3, Jang raised a revision theory about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by revising his own revision theory, and it can be found in his Nokuisajil· The core of his theory was the reorganization of Gyeokmulchijijang. His theory is characterized by adding eight letters of ‘所謂致知在格物者’ to the front by accepting the theories of Chae Cheong and Lee Eon-jeok, placing Passage 3 of Gyeongmun, Cheongsongjang, and Passage 2 of Gyeongmun behind them, taking "Chawuijibon" as the misspelling of "Chawuimulgyeok," and making it the Gonghyo of Gyeokmulchiji along with "Chawuijijijiya" after revision. Jang made an in-depth inquiry into the content of Great Learning, as well. Unlike Zhu Xi and 雙峰饒氏, he made a unique interpretation of Seonguijang "Seongeojung" by stating that good filled the heart up. Those theories of Jang Hyeon-gwang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s study: first, he developed 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by critically accepting the theories of Confucian scholars before him and raised a revision theory about Great Learning Divided by Chapters and Sentences with a unique viewpoint; second, he examin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Gongbu and Gonghyo of Samgyeongryeong and Paljomok in more details by writing Daehakdo and Daehakgaejeongjido; third, he developed the logic of Jeonmunseokgyeongjibeop, which argues that Jeonmun is the interpretation of Gyeongmun, and supplemented the logical shortcomings of Jeonmun; fourth, he defined the concept of Gyeokmulchiji different from Zhu Xi and made the logical consistency of Gyeokmulchijijang clear; fifth, he interpreted the 知止·定·靜·安·慮·得 of Passage 2 of Gyeongmun(知止而后有定……) anew, connected them to Paljomok, and made the vague interpretation understood as the Gonghyo of Samgangryeong clear; finally, he interpreted the "Seongeojung" of Seonguijang as the heart full of good, thus propos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 KCI등재

        대학 연구실 안전 강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조성제 ( Cho Sung-je ),김상희 ( Kim Sang-hee ),이소희 ( Lee So-hee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1

        우리나라 연구실의 안전관리는 2005년 3월 제정된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대학교 연구실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의 비율은 2011년 이후84%로 타 연구기관과 기업부설 연구기관과 비교했을 때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교 연구실은 학부생과 석사생으로 구성되어 있어 전문성이 떨어지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성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대학교 연구실 안전사고가 꾸준히 발생하기 때문에 연구실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노력은 필수적이다. 이는 연구실안전법의 중요성을 반증하는 것이다. 이 법은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 설치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연구실 사고로 인한 피해를 적절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구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나아가 과학기술 연구ㆍ개발활동 활성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내용상, 운영상, 그리고 근본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내용상 개선방안에 있어 동법의 적용대상 확대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최근 문 · 이과 융합학문 및 과정 활성화로 인해 대학 연구실험실 안전은 과학기술계열 뿐만 아니라 예체능 및 인문사회계열 실험 실습실을 모두 포함한 안전관리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 연구실 사고는 예체능 계열을 포함한 모든 실험실에 적용되어야 하나 현재 연구실 안전법은 이공계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연구실안전법의 적용 대상을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 설치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로 한정함에 따라 발생하는 법률상의 문제점과 학교 내 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연구실안전법의 법률 적용대상 확대가 절실하다. 이는 연구실 정의 규정의 확장을 통하여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활동종사자’는 대학ㆍ연구기관 등에서 과학기술분야 연구개발활동에 종사하는 연구원ㆍ대학생ㆍ대학원생 및 연구보조원 등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해서도 연구활동종사자의 개념 범주가 불명확하고 연구개발활동의 범위가 모호하기에 과학기술분야와 관련된 법률에서 명시적으로 정의하는 용어를 인용하여 직접적으로 규정함이 동법의 목적달성에 더 부합한다 할 것이다. 적용범위에 있어 대학ㆍ연구기관 등이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설치한 연구실에 관하여 적용하며, 산업안전보건법의 적용대상 근로자에 대해서는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하는 바에 따르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적용범위와 다른 법률과의 관계를 한 조문 안에 두고 있는 것으로 체계정당성의 불일치이다. 그러므로 적용범위에 관한 규정과 다른 법률과의 관계 규정은 별개의 독립조항으로 개정함이 타당하다 하겠다. 운영상 개선측면에서 과학기술분야 연구실만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별도 관리함에 따라 안전사각지대의 발생 및 체계적인 안전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학교 및 연구기관 안전 관련법에 대한 통합 관리 및 협업체계를 구축·운영하는 방향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강력한 컨트롤 타워를 통해 대학교 및 연구기관들에 대한 안전관리가 수행될 필 요성이 있으며, 부처 간 협의체 구성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연구실의 안전에만 치중해 왔던 안전관리를 사람과 환경으로 확대하는 포괄적 관리체계 구축과 운영 또한 필요하다 근본적인 개선방안으로 헌법상 안전권의 명문화를 들 수 있다. 안전권은 ‘위험으로부터 헌법상 보장된 자신의 법익을 온전히 보존할 수 있는 권리’를 의미하는데, 개헌논의에 비추어 조속한 명문화가 절실하다 할 것이다. The safety management of research laboratories in Korea is mainly managed by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enacted in March 2005, but the proportion of safety accidents in university laboratories is 84 percent since 2011, which is a high percentage compared to other research institutes and business-affiliated research institutes. Since most university labs are composed of undergraduate and master's students, their expertise is reduced, and thus they are highly exposed to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Effort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the laboratory are essential because of the steady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in the university laboratory. This is to disprove the importance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The purpose of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is to efficiently manage research resources and thereby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by ensuring the safety of laboratorie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established in a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etc. and ensuring proper compensation for damage caused by a laboratory accident.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ek to improve the contents, operation and fundamental improvement. Improvements in contents include expansion of the scope of application. Recently, due to the revitalization of literature and science convergence studies and courses,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the safety of university research laboratories, including not only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s, but also arts and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laboratories, is increasing. university laboratory accidents should apply to all laboratories, including the arts and physical arts department, but current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are limited to science and engineering. Therefore, it is urgent to expan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Law of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in order to solve the safety problems and legal problems caused by limiting the application of the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to the science and technology laboratory installed i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an extension of laboratory definition rules. There is also problem that the concept category of person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is unclear, and the scope of research activities is ambiguous. Directly quoting terms explicitly defined in laws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is more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law.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Environment in Laboratory Article 3(Scope of Application) However, this has a scope of coverage and relations with other laws in one article. This is a mismatch of system legitimacy. Therefore, the provisions on scope and relations with other laws will have to be revised as separate independent clauses. In terms of operational improvement, only the science and technology field laboratories are separately managed. As a result, safety blind spots have occurred and systematic safety management has not been achiev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management and cooperation system for university and research institution safety related law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safety management of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rough powerful control towers. Inter-ministerial council arrangement can be an alternative.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d operate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that extends safety management to people and the environment, which has been focused only on the safety of the laboratory. The fundamental improvement is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constitutional security. The right to security means 'the right to fully preserve its constitutional interests from risk'. Prompt establishment of the right to constitutional security is urgent.

      • KCI등재

        김성일(金誠一) 초유(招諭) 활동의 배경과 경상우도 의병(義兵) 봉기의 함의

        허태구 ( Tae Koo Huh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4 남명학연구 Vol.41 No.-

        이 논문은 慶尙右道 義兵 봉기의 배경, 金誠一이 작성한 招諭文의 역사적 특징, 招諭 활동의 정치적 함의와 기여를 중앙과 지방의 갈등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재고찰한 연구이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임진왜란 初戰의 무력한 패배를 초래하는 데 일조한 경상도 지역 민심 이반의 근본적 원인은 수령들의 무능과 비겁 때문이라기보다는 전쟁 이전 적극적 군비 확충을 시도한 중앙 朝廷에 대한 지역민의 반발 때문이었다. 초반 전황이 극도로 불리한 상황 속에서 조정은 탄탄한 지역 기반을 가진 재지 사족층(在地士族層)에게 손을 내밀지 않을 수 없었다. 역설적이었던 것은, 조정이 적극적으로 활용하려고 한 경상도 재지 사족층의 잠재력에는 그들이 불법으로 탈점한 토지, 노비로 위장하여 거느린 농민, 마땅히 수행해야 할 軍役을 회피하는 데 성공한 사족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것들은 임진왜란 敗因의 하나로 흔히 언급되는 軍政 문란을 포함한 失政의 결과물이었다. 둘째, 김성일의 초유문은 지역민을 결집하고 의병 활동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초유의 대상인 경상도 지역의 士와 民을 가장 적절하게 설득하기 위한 논리와 내용으로 구성되었는데, 여기에는 階序的 신분 구조와 華夷觀과 같은 당대인들의 특징적인 心性이 반영되어 있었다. 초유문은 크게 보아 義理와 利害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지역민을 설득하고자 하였다. 셋째, 중앙 조정은 안동 출신의 명망 있는 前職 高官이자 南冥學派와 긴밀한 유대가 있는 김성일에게 招諭使의 職名을 제수하여 경상우도에 파견하였다. 김성일은 의병의 봉기를 장려·보장함으로써 武裝 起義할 경우 반란 세력으로 오인 받을 수 있다는 재지 사족의 우려를 拂拭시켰고, 도주·관망 상태에 있던 지방관과 지역민을 결집하여 저항의 장으로 이끌어 내는 데 성공하였다. 나아가, 그는 전쟁 발발 이전부터 누적된 갈등의 연장선상에 있던 관군과 의병의 충돌을 적절히 타협·조정하였다. 경상우도 의병의 봉기는 지역의 방어뿐만 아니라, 이반된 민심을 돌이키는 데 성공함으로써 일본군의 宣撫 공작과 원활한 현지 조달을 저지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first how a righteous militia movement was formed in the Gyeongsang Wu-do(慶尙右道, Western Gyeongsang) province, then what w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all for troops” document (Cho`yu-mun, 招諭文) written by the renowned scholar-official Kim Seong-il(金誠一). Contemplated in this study are the political meaning as well as aspects of contribution displayed by such Cho`yu(招諭) efforts, amidst a situation in which conflicts were continuing between the central region and local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fundamental reason for the population of the Gyeongsang- do region refusing to cooperate with the Joseon government`s war effort which led to dismal defeats for the Joseon troops in the early stage of the war, was actually not the incompetence and cowardice of the local prefects but was rather the local population`s resistance to the central government`s pre-war efforts designed to increase revenue so that the government would have more funding for national defense. When the Joseon forces continued losing, the government had no other choice but to ask the wealthy local gentry class for financial support. The potentials of the local gentry clas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wanted to exploit ironically included land units obtained illegally, peasants disguised as slaves, and some Sajok figures who evaded military drafting, which were all part of the government`s failure to maintain a level of integrity, and also why the Joseon forces found themselves so helpless in an enemy invasion. Second, Kim Seong-il drafted the Cho`yu-mun document to mobilize the local population, and encourage them to join the righteous militia movement. The document is filled with comments designed to persuade the population either high and low in the Gyeongsang-do region. The reality of the society, as well as the people`s perception of the ‘civilized’ and the ‘barbarians’ are well reflected in the document. Kim Seong-il tried to enlist the cooperation of the public by citing two things: the preservation of the cause(義理) and the prospect of interest(利害). Third, the central government appointed Kim Seong-il, who was from Andong and also an ex-governmental official that had quite a reputation and also a connection with the Nam`myeong School(南冥學派), as the Cho`yu-sa(招諭使) official and dispatched him to the Gyeongsang Wu-do region. Kim Seong-il assured that the local gentry members who joined the righteous militia would not be accused or misunderstood as a faction of armed insurrection, and finally he succeeded in mobilizing local officials and local residents who were either on the run or merely standing by. He was also successful in mediating and resolving the years worth of conflict and dissension between the Joseon official army and the righteous militia, which had been rising since even before the war. The rise of the Gyeongsang Wu-do righteous militia not only elevated the level of defense in local regions but also succeeded to evoke the public`s loyalty, which later prevented the Japanese troops from seducing the local population and securing provisions from Korean regions.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 KCI등재

        진주성전투에 있어서 경상우도관찰사 김성일의 역할

        하태규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7 No.-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Kim Seong-il as a governor of Gyeongsang-u-do in the 1st Jinjuseong battle. As you know, the Jinjuseong battle is known as a great victory of war in which people like Jinju minister, Kim Si-min spread the bloody battle and kept the Jinjuseong. At that time, Kim Seong-il led the battle to victory by directing people like Kim si-min as a governor of Gyeongsang-u-do Province. Kim Seong-il, who was acting as Choyusa,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Gyeongsang Jwa-do and stepped down from the Choyusa's office and left for a while. Then, Kim Seong-il was appointed again as an governor of Gyeongsang-u-do. In the meantime, the forces stationed in Gaeryung and Sungju area threatened the Geochang area, and at the same time, Japanese invaders attacked the Jinju area from Busan and Changwon area. Kim Seong-il, who was appointed to the governor of Gyeongsang-u-do, played a major role in maintaining the Jinjuseong with excellent ability and tactical management as the best commander. Kim Seong-il established the defense tactic system of castle centered on the government forces with Jinju minister, Kim si-min as the main axis and he deployed government forces and righteous armies on the outskirts of Jinjuseong to make them rescue, and strengthened the Jinjuseong defense by operating a strategy that allowed them to attack the Jinjuseong. In addition, Kim Seong-il induced the best battle and weakened the power of attack of Japanese invaders about Jinjuseong, and relieved the burden of soldiers guarding the Jinjuseong. In addition, he provided supplies of arrows and other materials to the surrounded Jinjuseong, thereby maintained the combat power and enhanced the morale of the military. Immediately after the Jinjuseong battle, he ran to Samga to cope with the Japanese invaders coming from the direction of Geochang and he blocked the Japanese invaders along with the patriotic army leader Kim Myeon and Jeong In-hong with leading the government forces in the surrounding area. Since then, the patriotic army leader Kim Myeon and Jeong In-hong and others have continuously attacked the Japanese invaders of Sungju and Gaeryung area together with Choi Gyong-hoi and Im Gye-yeong, and finally restored Sungju and Gaeryung areas in February of the following year. In this case, Kim Seong-il's role as governor seems to have played a major role. In conclusion, the victory of the Jinjuseong battle was the result of Kim Seong-il's strategy, which was the supreme commander of Gyeongsang-u-do, and the exquisite tactical operation of Kim Si-min, who was the general guarding the Jinjuseong, and the best battle of the various generals and soldiers who took part in the battle in every battle. The victory in the Jinjuseong battle saved the lives of tens of thousands of people in the Jinjuseong by keeping Jinjuseong, prevented Gyeongsang-u-do into the hands of Japanese invaders, and furthermore, it was able to block the way in which the Japanese invaders could advance into Honam. 이글은 제1차 진주성전투에 있어서 경상우도관찰사 김성일의 역할을 구명하기 위한 논고이다. 주지하다시피, 진주성전투는 진주목사 김시민 등이 혈투를 전개하여 진주성을 지켰던 승첩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때 김성일은 경상우도관찰사로사 김시민 등을 지휘하여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다. 초유사로 활동하던 김성일은 경상좌도 관찰사에 임명되어 초유사직에 물러나 잠시 경상우도를 떠났다가 다시 경상우도관찰사로 부임하였다. 그 사이에 개령, 성주에 주둔하고 있는 일본군이 거창 방면을 위협하고 있는 가운데, 부산 창원 방면으로부터 일본군이 진주성을 공격해 왔다. 경상우도 관찰사로 부임한 김성일은 최고의 지휘관으로서 탁월한 역량과 전술운용으로 진주성을 지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김성일은 진주목사 김시민 등을 주축으로 관군 중심의 수성체계를 구축하고, 진주성 외곽에 관군과 의병을 배치하여 구원하게 함으로써 진주성을 공격하도록하는 전략을 운영하여 진주성 방어력을 강화함은 물론, 분산전을 유도하여 일본군의 진주성 공격의 전력을 약화시켜 진주 수성군의 부담을 덜어 주었다. 아울러 포위된 진주성에 화살 등의 물자를 공급하여 줌으로써 전투력을 유지하고 군사의 사기를 높여주었다. 진주성 전투 직후 그는 거창 방면으로 쳐들어 오는 일본군에 대응하기 위하여 삼가로 달려가, 주변 지역의 관군을 거느리고 의병장 김면, 정인홍 등을 도와 이를 막아내었다. 이후 의병장 김면, 정인홍 등은 전라도 의병장인 최경회 임계영 등이 성주, 개령 지역의 일본군을 지속적으로 공격하여, 마침내대 다음해 2월 성주, 개령지역을 수복하였는데, 여기에도 관찰사로서 김성일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진주성전투의 승리는 경상우도의 최고 지휘관이었던 김성일의 전략과 진주성의 수성장이었던 김시민의 절묘한 전술운용, 그리고 각 전투에서 죽음을 무릅쓰고 전투를 수행했던 제장과 사졸의 분전이 어우러진 값진 결과였다. 진주성 전투에서의 승리는 진주성을 지킴으로써 수만의 성내 관민의 목숨을 구한 것은 물론이고, 경상우도가 일본군의 수중에 들어가지 않게 하였으며, 나아가 일본군이 호남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길목을 차단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학고문헌시스템> 개발과 그 성과

        이정희 ( Jeong Hee Le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1989년부터 고서실을 설치하여 운영해오다가 2001년 10월 지역민의 도움으로 대학 내에 南冥學館이 건립되자, 고서실을 남명학관으로 이관하고 ‘文泉閣’으로 명명하여 재개관하였다. 문천각에서는 남명학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는 경남지역 민간소장 고문헌을 다년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문천각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고문헌의 원본은 영구보존하고 활용성은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고문헌 디지털화 계획을 수립하였다.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2004년부터 행정안전부 <국가DB 구축사업>을 유치, 2011년 남명학 관련 고문헌을 디지털화한 <남명학고문헌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였다.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은 남명학 관련 문헌, 유학자 문집, 기록류, 고서 해제, 고문서, 책판 등을 디지털화여 인터넷을 통하여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남명학 연구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남명학 연구가 전국화·세계화 될 수 있는 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이 사업을 통하여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도서관 특성화 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교수신문·국가브랜드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가 공동 주관한 <대학의 유산, 한국의 미래다>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has been collecting old books and local archival materials since 1989 when it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which was then housed in the university library building. In 2001, the department was renamed ``Moon Cheon Gak(文泉閣)`` and moved to Nammyong(南冥) Hall, a building newly erected in memory of a leading scholar of the Choseon Dynasty. Moon Cheon Gak consists of the Preservation Division and the General Division. The Preservation Division preserves old thread­bound books, engraved wood blocks, and archives. The General Division houses modern photocopies of old books, genealogical data, and has rooms for exhibitions.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 Moon Cheon Gak, has now started to digitalize various kinds of old materials as part of a nationwide data base digitalization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aim is to promote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stern Gyeongsang. The digitalized materials include collections of Confucian scholars` writings, documents, exhibition of important old books, and engraved wood blocks. The data base uses high resolution color imaging and replicates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the authentic document You can search the data base by using advanced search terms such as family name, last name, adult name, nom de plume, ancestral home, residential place, and birth date and year. Original images allow you to check or compare whether there are any missing letters or misprints in modern versions. The Nammyong collections are housed in Nammyong Hall and managed by Moon Cheon Gak. The books, documents, and archival materials made accessible online were selected among the materials in the Department. The collections form a unique research resource for the study of Master Jo Sik(1501-1527), whose most well-known nom de plume was ``Nammyong`` or ``the Great Southern Ocean``. Nammyong was a well-known scholar from the mid Joseon Dynasty,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in scholarly circles we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Gyeongsang region.

      • 자연계열 대학생들의 전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정찬기오 ( Chang Gi Ho Chuang ),박신렬 ( Sin Yeol Park ),김훈희 ( Hoon Hee Kim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계열 대학생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전공역량에 대한 자기보고형 창의성 용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대상은 경상남도 소재 2개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75명으로 교육대학교(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2학년 학생과 사범대학(수학교육과, 생물교육과) 2학년 학생, 그리고 자연과학대학(수학과, 생물학과) 2학년 학생과, 공과대학(반도체공학과, 토목공학과) 2학년 학생들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조사 도구는 박병기(1998: 36-39)의 MAPS 4A 모형 중에서 ‘창의적 능력’ 부분만을 발췌하여 부분적인 자구수정을 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계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개의 요인으로 상정하였다. 과거 역량으로는 직전학기 학점, 현재 역량은 설문조사 도구의 전공만족도, 미래 역량으로는 전공에 기반을 둔 비전 창 출 각오를 상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연계 대학생들의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에 대한 인식 평균값의 순위는 지식>융통성>민감성>정교성>상상력>유창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전공 역량의 평균은 3.49였으며, 과거 전공 역량의 평균은 3.26, 현재 전공 역량의 평균은 3.55, 미래 전공 역량의 평균은 3.66안 바, 자신의 전공에 대한 역량은 점점 강화되는 것을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의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역량에서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과 전공 역량 간에는 비교적 낮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지식’과 ‘융통성’이다. 하지만 보다 세부적인 요인을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연구나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대학입시제도의 변화과정과 수시-정시 전형의 주요내용 분석

        이재태 ( Jae Tae Lee ),문승한 ( Sung Han Moon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현대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의 변화과정과 수시-정시 전형의 주요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학입시에 관심이 많은 학생-학부모-교사 등에게 입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1945년 이전의 입시제도와 이후의 입시제도는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입학사정관제에 의한 입시제도는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2015학년도의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은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입시제도는 개인의 능력을 판단하여 그 시대의 요구와 대학 자체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생 개개인을 판단할 수 있는 차별화된 평가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입학사정관제는 평가 과정상의 공정성이 중요하며, 학생-학부모-교사들에게 입시의 수월성 제공이 중요하다. 수시 전형과 정시 전형은 시기-모집단위-평가방법 등 학생들의 여건에 맞는 입학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지원자격의 제약조건을 최소화 하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 proces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major contents of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s along with providing basic resources that can help parents, students and admissions officers to underst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what fundamental differences there are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efore 1945 and after 1945, how differ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occasional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in 2015.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ourc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suggeste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methods that can judge individual``s ability and can satisfy both demands of the times and demands of the university. Regarding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differentiated evaluation methods that can judge each student need to be sought. Regarding Admission Officer System, fairness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is important, along with provid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ith convenience of college admission. For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s, college admission opportunities that suit students`` situation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in period, unit of recruitment and evaluation method, and methods that minimize constraint condition of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should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