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7학년도 공주교육대학교 신입생 실태조사

        한규정, 김주연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7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7 No.2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의 2007학년도 신입생들의 기본정보와 가정환경, 경제적 환 경, 대학에 대한 태도, 가치관, 심리적 특성, 그리고 학생생활연구소에 대한 태도 등 총 7개영역에 대하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 조사로서 본교 신 입생 535명중 489명이 응답하였고 이 설문지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2007 학년도 신입생의 연령분포는 만 21세 이상이 34.2%로 2006학년도에 비해 평균연령이 낮아졌으며, 과외를 받은 경험은 다소 높아졌다. 둘째, 신입생들은 다양한 사회적, 문화 적 그리고 종교적 배경 속에서 성장한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이런 다양성이 대학교육 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전년도와 비교해 볼 때, 신입생들이 지각하는 가정의 경제 형편은 부유해졌으며, 학비 조달에 있어서도 큰 어려움 없이 학교생활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넷째, '06학년도에 비해 신입생들은 본교 입학에 대한 만족감이 다소 낮아졌음 을 발견할 수 있었다. 다섯째, 신입생들은 진실한 대인관계를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가 치로 또한 사회적 성공요인으로는 성실.노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섯째, 혼전 성관계에 대해 신입생 응답자의 69.3%가 상관하지 않는다고 하여서, 캠퍼스 내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성희롱 및 성폭력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일곱째, 신입생들이 직 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들은 대학생활과 대인관계들이며 따라서 상담지원으로 진로 및 인간관계 개발과 대인 관계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year 2007 freshmen in the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terms of their demography, family backgrounds, socioeconomic status, attitudes toward the university, value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ttitudes toward the Research and Service Center for Students. Among 535 freshmen, 489 students replied to the survey. The results lea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34.2 % of replied freshmen were beyond 21 years or older, the average age of freshmen and private tutoring that they took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year 2006. Second, they came from various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s, so cultural divers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granted to guide and teach them. Third, as compared the results of the year 2006, the percentage are increased that most freshmen think their domestic economy a little better. Fourth, we found they were unhappier with entrance to this university but happier with Department than freshmen of the year 2006. Fifth, they think the great value in life is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primary factors of success are honesty and hard work. Sixth, 69.3 % of replied freshmen don't care a premarital sex, so the publicity toward sexual harassment should be released to prevent sexual assaults on and/or off campus. Seventh, the problems that are now being faced to freshmen are adaptation to the campus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 and counseling supports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do the career orientation, development guidance and personal relationship.

      • 고오든의 AMMA에 의한 음악심화과정

        함희주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6 公州敎大論叢 Vol.33 No.1

        초등교사의 음악적성은 음악학습을 이끄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본연구의 목적에서 제 시한것과 같이 현재 초둥 교육제도에 의하면 한 교사가 거의 모든 교과를 담당하도록 하 고있다. 음악교과는 일반 교과와 다르기 때문에 음악에 대한 일정한 소질과 능력이 갖추 어져야 한다. 현재 초등교사 교육과정에 있는 각 교육대학교의 학생들의 음악적성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없다. 본 연구 및 각 교육대학에서 사용한 연구도구인 AMMA 검사결과에 의하면 전체 평균 이 중하위로 나타났다. 즉 AMMA검사에 의하면 현재 각 교육대학교의 학생들의 음악적 성이 부족하다는 결과이다. 물론 음악적성은 한 검사에 의한 결과에 의해서만 판단할 수 는 없지만 어느정도의 평가에 대한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능력있는 초등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의 예비교사들의 음악적성 및 소잘에 대한 비교연구를 하므로서 음악을 전담할수 있는 능력있는 교사로 양성하도록 해야한다. 효율적인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먼저 초등교육에서 각 교과의 특성에 맞는 자기전공 영역이 구체화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것은 또한 실제적으로 교육대학 입학제도에서 특정 한 기초능력을 필요로하는 교과에 대한 전공별 지원이 실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공주교육대학교 음악 심화과정 학생들의 음악적성을 AMMA검사에 의해서 실시한 것이다. 결과에서 나타난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중간정도의 능력을 보이고 있다. 요 소별 능력은 각 학년에 따라서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심화교과의 학습체 계와도 관계가 있을것으로 생각한다. 이 결과를 실례로 해서 앞으로는 음악심화과정 학생 들의 음악적성과 학년별 심화교과 학습과의 상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교육대학교 교양수학 교수요목 선정을 위한 방향 탐색

        강지형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이 초등학교 교직수학으로서 어느 정도의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그에 적합한 교양수학의 교수요목선정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먼저 전국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지도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교 교양수학의 교재내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양수학 교재의 내용분석 결과를 2007년에 개정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과 비교 분석하였다. This paper aimed to inquire into the direction for choosing the syllabu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materials of the curriculums in the al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s. And we analyzed the roles of mathematics as a general education in relation to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Finally we compared them with the suggestions offered by other researches and the national curriculum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school.

      • 國民學校 體育科 保健敎育의 改善方案

        韓萬奎, 金壽均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1994 公州敎大論叢 Vol.31 No.2

        지금까지 保健敎育을 둘러싸고 있는 諸 問題點과 일선학교의 保健敎育을 沮害하고 있는 要素들을 把握하기 위하여 國民學校 體育敎科 保健頜域의 敎育課程, 그리고 보건 교육을 擔當하고 있는 敎師들의 直前敎育이라고 할 수 있는 敎育大學의 保健關聯 敎育 課程, 一線 體育擔當敎師들의 設問內容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이들 내용을 分析한 結 果 다음과 같이 要約할 수 있었다. 첫째, 현행 보건교육과 관련된 내용은 국민학교의 여러 敎科에 걸쳐 포함되어 있으나 엄밀한 意味의 보건교육이라고 볼 수는 없으며,보건교육의 성격을 비교적 많이 포함하 고 있는 體育敎科에서도 知識爲主의 敍述的으로 되어 있어 보건교육의 본래의 目的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에, 건강지식을 실천하고 習慣化할 수 있는 내용으로 構成되어야 한다. 둘째,우리나라 保健敎育 교육과정 內容中 환경과 건강,정신건강,성교육,공중보건,도로안 전 둥에 관한 내용은 사회 문화적인 背景과 시대적인 必要에 의해 강조해야 할 분야이 다. 세째,국민학교 보건교육을 擔當하고 있는 일선 체육담당교사들의 直前敎育이라고 할 수 있는 교육대학의 교육과정 내용중 보건교육과 관련된 講座는 일부 몇 敎育大學에서 만 開設되어 있고,거의 대부분의 교육대학이 개설되어 있지 않아 이에 대한 專門性 涵 養의 기회가 거의 없다. 각 교육대학에서는 이에 대한 깊은 認識과 實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이와 關聯된 硏究에서도 一線敎師들이 학교보건이나 보건교육 에 관련된 강좌의 개설을 요구하고 있어 이의 개선이 必要함을 말해준다. 네째,국민학교의 養護敎師들의 직전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양호교사들은 大學在學中 많은 보건관련 講座를 履修하여 專門的인 能力은 갖추고 있으나, 아직은 양호교사의 配 置率이 일부 대도시에 集中되어 있고 지방의 배치율이 低調한 것으로 볼 때 양호교사들 을 활용한 전면적인 보건교육은 아직 시기상조이다. 따라서 양호교사의 配置를 沮害하 고 있는 關聯法規를 정비하여야 하겠으며 이들의 전문적인 지식을 언젠가는 활용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할 때, 양호교사의 활용에 대한 年次的인 計劃과 施行이 있어야 할 것 이다. 다섯째,현행의 與件과 現況을 고려할 때 학교의 보건교육은 아직은 體育敎科를 통하여 보건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건교육을 擔當하고 있는 일선 체육담당교사들의 專門 性 涵養을 위한 硏修의 機會가 확대되어야겠으며,이들이 보다 정상적인 보건교육을 실 행하기 위한 視聽覺 補助資料의 개발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여섯째,政府當局은 학교의 보건교육은 國家 敎育政策의 觀點에서 정책적인 배려와 계 획 그리고 주변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일곱째,일선 국민학교 體育擔當 교사들의 設問內容을 중심으로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일선 체육담당교사들은 체육교과 보건영역의 指導目的을 건강생활에 대한 바른 健康習 慣 形成에 두고 있다. 그리고 內容에 있어서 內容水準은 비교적 어렵게 느끼지는 않고 있으나 교사의 個人的 인 無關心으로 인하여 교과내용을 완전히 把握하고 있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과 보건영역의 내용중 가장 未洽한 部分은 내용체계가 실천능력의 배양이 아닌 知識爲主의 內容으로 構成되어 이의 시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학년별로 가장 중요하게 關心을 갖고 있는 內容은 3학년은 청결과 건강,4학년은 안전생활,5학년은 신체의 발달,6 학년은 성교육을 포함한 신체의 성장과정 單元을 들었다. 敎授-學習에 있어서는 거의 講義式에 의존하고 있고,1학기당 3-4時間 정도밖에 지도하 지 못하고 있으며,지도는 주로 雨天時등의 체육 실기지도를 할 수 없을 때 지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들은 養護敎師들의 도움은 조금씩은 거의 받고 있으며 보건영역의 지도가 제대로 되지 못하는 理由로 時間確保 문제와 學習資料의 문제를 들 고 있어 이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關心과 관련기관의 학습자료 開發이 뒤따라야 한 다. 또 評價에 있어서는 知識爲主의 紙筆評價에 의존하고 있어 형식적인 보건교육을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아동들의 건강습관 실천과 태도 등 情意的 평가중심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리고 보건교육에 대한 硏修는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이 받은 적이 없으며 연수의 機 會도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련기관에서는 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 고 一般硏修나 또는 보건교육에 대한 독립적인 敎科硏修 課程을 개설하여야 할 것이다.

      • 글로벌 지구촌 시대에 바람직한 다문화교육과 다문화 수업의 방안 모색

        박은종(Park, Eun-jong)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8 No.2

        gan map . Both temporally and spatially dynamic time is fast global changes will be taking place in various parts . We live together as a family in the modern global society is a knowledge-based society,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society. Social change and development buzzword in modern society, human life in a variety of social issues (issue) , there are bound to occur , and in social situations . Is a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21st century global society .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race, ethnicity, religion, language, philosophy , etc. , regardless of global one point, alternating with whatever you do and that goes with living in a new society . Human society and will open with no physical boundaries . This emphasis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society, which of course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class of units of the curriculum implemented in schools . Generally desirable to perform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social system school school teachers attitudes, understandings, beliefs, and behaviors, teaching styles and strategies, formal training courses and curriculum, instructional materials, assessment and examination procedures, reflection and reflux, counseling programs , community involvement and commitment, a dialect of the language of the school, the school s learning style, school culture, and potential courses, school policies and school curricula and educational policies should be reflected in the plan.Multicultural Culture curriculum, collaboration, anti-prejudice, identity formation, equality, diversity, etc. should be designed around the value. Multiculturalism is a global multi-cultural classroom teaching, the concept of multicultural teaching center, multicultural classroom level, such as anti-bias multicultural how to apply the lessons preferably, by default, should be oriented integrated multicultural classes Importance of the role of front-line teachers in schools is not emphasized too much. Teachers teaching the word of life, as a teacher training course organized and operated a multicultural, multi-cultural core of the educational process.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how teachers are teaching in a multicultural classroom to develop a passion for the study and,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classes will be the effect of the separator. That is why we are multi-cultural and multicultur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more study and will try. 뉴밀레니엄(new millennium)이라는 새천년이 시작된 지도 어느덧 14년째이다. 시간적으로 세월이 빠름과 동시에 공간적인 역동적 변동이 지구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지구촌 가족으로서 함께 살고 있는 현대 사회는 지식 기반 사회, 세계화ㆍ정보화 사회이다. 사회 변동과 발전이 화두(話頭)인 현대 사회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생활 속에서 사회적 이슈(issue)와 사회적 상황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21세기 글로벌 사회는 다문화사회이다. 세계 각국의 사람들이 민족, 인종, 종교, 언어, 이념 등에 상관없이 지구촌 어느 곳에서, 무엇을 하든지 함께 교호하며 어울려 사는 새로운 사회이다. 인적ㆍ물적 경계가 없는 열린사회인 것이다. 이러한 다문화 사회에서는 당연히 다문화교육이 중시되고 이는 다문화 교육과정과 다문화 수업으로 단위 학교 현장에서 구현된다.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사회 체제로서의 학교는 학교 교직원들의 태도, 이해, 신념, 행동, 교수양식과 전략, 공식적 교육과정과 교과목, 교수 자료, 평가와 시험 절차, 반성과 환류, 상담 프로그램, 사회참여와 투입, 학교의 언어와 방언, 학교의 학습 양식, 학교 문화와 잠재적 교육과정, 학교 방침과 정책 등이 학교교육과정과 교육 계획에 반영되어야 한다. 다문화 교육과정은 문화, 협력, 반편견, 정체성 형성, 평등성, 다양성 등의 가치를 중심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다문화 수업은 지구촌 다문화 수업, 개념 중심 다문화 수업, 수준별 다문화 수업, 반편견 다문화 수업 등의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본적으로 통합적 다문화 수업을 지향하여야 한다. 일선 학교 현장에서 교사의 역할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교사의 생명은 수업이라는 말이 있듯이 교사는 다문화 교육과정 편성ㆍ운영, 다문화 수업 진행의 핵심이다. 교사들이 얼마나 다문화 교육과정과 다문화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열정으로 수업을 전개하느냐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발전과 다문화 수업의 효과가 가름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다문화 교육과정 발전과 다문화 수업의 개선을 위해서 더욱 천착(穿鑿)하고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수학과 열린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관한 실태조사 및 그의 방향모색

        강지형, 이창주, 이양희, 임문규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7 과학교육연구 Vol.19 No.-

        At this time when the 7th degree-levels form curriculum plan that will be carried in Korea school education from 2000 years have been completed, We studied on some ope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ated to the curriculum plan and tried to find out adapt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 researched on the executive requirements and methods for open educations what were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ability emahasized in the 6th mathematics curriculum. 2. We researched on the learner’s own problem-solv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childrens’ levels and the development of self-learning ability which are core components in the 7th curriculum. 3.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instructions executed in the classroom, we explored some executive directions and adapt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educations which are feasible in the current educationa situation.

      • 초등교육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비교 연구

        이현남, 설양환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00 公州敎大論叢 Vol.37 No.1

        한.미 양국간의 교육대학원의 강좌명과 강좌내용의 비교를 통해 이들 교육과정이 과연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인가에 대해 탐색코자 하였다. 양국 교육과정의 내용 지식간에는 공통성 이면에 패러다임(paradigm)적인 차이가 존재 한다. 이런 내용지식의 차이는 교직이 전문직으로 자리 매김 하는데 필요한 ‘지식의 특성 화’라는 뿌리를 흔들리게 하고 있다. 이런 비판은 예비교사나 현직교사들이 살제에서 벗 어난 학습과정과 연결되어 교원양성체제 교육과정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교직 이 전문직으로 공인 받기 위해서는 교사양성체제는 반드시 특별한 언어,문화,지식이 있 어야 하며 특성화된 실제적 지식을 생산하도록 Walker 모형의 교육과정으로 개발. 운영되 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양국의 교육과정 개발이나 운땅은 강연식 강의를 하는 일반대학과 흡사하 기 때문에 전문성 신장에 대한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며 직전,현직교사들의 호응도 얻지 못 하고 있다. 교사들이 실제화 된 지식경험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른 전문인 양성기관처 럼 실제적인 수련과정을 삽입하여야 할 것이다. 이 수련과정은 피상적이 아닌 길고 실제적 이어야 한다. 교원양성체제 및 교육대학원의 교육목표가 전문인 교사를 양성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결과로써 나타나야 한다. 문제는 교원양성체제에서도 아직까지 ‘교사의 전문성’이 어떤 것 인가라는 정체성을 찾지 못하고 있고 찾으려는 노력도 않고 있다. 제언하면. 첫째,교원양성체제는 전문성에 대한 조작적 정의와 정체성을 찾아아 한다. 둘째,교사양성체제의 언어,문화,지식의 특성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전문인 교사를 양 성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모형을 개발하여 운영을 시도하여야 한다.

      • 교육 거버넌스를 둘러싼 갈등 사례 연구: 서울형혁신교육지구를 중심으로

        채희태(Hee Tae Chae)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 거버넌스를 둘러싼 갈등 사례를 통해 한국사회 다양한 영역으로 확산되고 있는 거버넌스를 진단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교육 거버넌스는 민과 관의 갈등과 더불어 민과 민, 관과 관 사이에서 빚어지는 주체 간 갈등과, 정책추진의 방향에 따라 발생하는 중앙과 지구 간 갈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관 갈등은 교육 거버넌스 외 여타의 보편적인 거버넌스 상황에서도 일반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갈등으로 주로 민과 관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민과 민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갈등은 수직적 명령 체계로 이루어진 관과 달리, 집단인 동시에 다양한 개인의 수평적 합인 민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그 원인이었다. 이로 인해 민·민 갈등은 주로 가치와 신념의 차이, 실천방식의 차이, 그리고 이해관계의 충돌 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다. 셋째, 관·관 갈등은 교육행정과 일반행정이 분리되어 있는 한국사회의 제도적 특수성으로 인해 발생하고 있었으며, 서울에서 추진하고 있는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경우 자치구청과 교육지원청 사이의 권한 비대칭과 관할 범위 차이 등이 갈등의 원인이었다. 넷째, 서울형혁신교육지구의 경우, 정책 중앙인 서울시·서울시교육청과 서울형혁신교육지구에 참여하고 있는 지구간에 발생하는 중앙-지구 간 갈등도 확인되었는데, 이는 하향식 정책추진이 관성화된 중앙과 지역의 특수성이 정책에 반영되기를 바라는 지구단위 거버넌스의 상향식 요구 사이에서 발생하는 갈등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Governance’ through a case of conflict on educational governance which is one of the essential tasks of the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This article argue that conflicts in this governance arise from not only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but also between centre and district. Because the conflicts come from actors such as citizen vs. citizen or public vs. public on the subject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policy implement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general conflict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also occurred in universal governance situation other than Educational Governance, mainly due to difference of identity between civil society sector and public sector. Second, a conflict among the actors of civil society sector wa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vil society sector which is a horizontal combination of various individuals, unlike the ‘public’ that consisted of vertical command system. As a result, a conflict among actors of civil society sector was mainly caused by difference in value and belief, difference in method of practice, and clash of interests. Third, a conflict aomng the actors of public sector was caused by institutional specificity of Korean society which separate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general administration. In addition, in the Education Governanc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of Seoul, a conflict aomng local governments as gener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 Office as educational administration was caused by asymmetric authority and difference in the scope of jurisdiction. Finally, a conflict occurred amon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s the policy centre of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in Seoul and other actors in the District, in other words a conflict between centre and district, was also confirmed.

      • 북한 이해교육의 대안 연구

        박찬석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5 초등학교교육연구 = Elementary school education research Vol.5 No.-

        Unification is to contain life style & spiritual civilization in all of field. In order to build basically peaceful atmosphere in korea peninsular, citizens of south-korea have critical thoughts and vision for their future. The unification educators must enhance analysis of north-Korea for south-north korea reconciliation & cooperation with each other. Now, the study of north-Korea understanding should be based upon the broad cognition on north korean society. Through this study, our students can learn all of the reality about north Korean. We, experts of unification education, should have concrete ideas for new generation of the peaceful unification. Those ideas are resulted from critical north-Korean perspective and opened nationalism. 통일은 남북한의 모든 방면에서 삶의 양식과 정신문명을 공유하는 작업이다. 한반도에서 이러한 기초적인 평화적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 남한의 시민들은 민족에 관한 비판력과 비전을 가져야 한다. 통일교육 관계자들은 남북한 화해와 협력을 위한 북한 분석을 강화하 여야 한다. 그 동안 정부는 남북한 화해와 협력무력 도발의 불용, 일방에 의한 흡수통일 반대와 교류 협력을 분명히 천명한 바 있다. 이러한 주장에서 우리 민족의 분단 시대를 이해하는 노력이 통일교육에서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북한 이해의 연구는 전반적인 북한 사회의 광범위한 인식으로 구성되어져 야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리 학생들은 북한의 실상을 배울 것이다. 우리, 통일 교육의 전문가 들 은 평화통일을 희망하는 젊은 세대를 위한 구체적인 생각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생각은 비판적인 북한 인식과 열린 민족주의에서 기인된다. 즉, 통일교육은 올바른 북한 이해를 바탕으로 민족의 평화와 통일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작업이다 . 이러한 작업의 실천이야 말 로 통일역군인 신세대를 키우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