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섬유판에서 음향방출원의 위치표정

        박익근,김용권,윤종학,노승남,서성원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

        음향방출 신호를 이용하여 목재 섬유판(fiberboards)의 위치표정의 유용성 유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위치표정의 정확도를 향상하기 위해 신호처리 방법중의 하나인 웨이블릿 변환 디노이징 기법을 활용하여 저주파수인 대칭모드(굽힘파)를 활용하고, 고주파수인 비대칭 모드(팽창파)룰 제거하여 신호를 재구성함으로써 섬유판의 위치표정시 문턱값 통과방법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도달시간차를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디노이징 기법을 활용한 섬유판의 위치 표정과 굽힘강도에 대한 사상총수를 기초로 하여 목재 구조물 및 문화재의 건전성을 평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음파현미경에서 V(z)곡선의 시뮬레이션

        박익근,임재생,윤종학,노승남,서성원 한국공작기계학회 2003 한국공작기계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03 No.-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현미경의 기하학적 원리와 초음파현미경의 특징중 하나인 V(z)곡선의 간섭파형을 시뮬레이션하였고, 실제 초음파현미경의 V(z)곡선법을 이용하여 미소영역에서의 누설탄성표면파 음속을 측정하였다. 초음파현미경을 이용한 V(z)곡선법의음속측정결과가 시뮬레이션 음속값과 큰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미소영역에 초음파현미경의 V(z)곡선법을 적용하여 초음파의 음속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초음파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한 재료의 물성평가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oil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Ik-Won Choi,Dong-Chul Seo,Se-Won Kang,Sang-Gyu Lee,Young-Jin Seo,Jong-Hak Han,Jong-Soo Heo,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1

        To investigat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soils in the vicinity of King Sejong Station of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Fe, Mn, Cu, Zn, Pb, Co, Cd, Cr, Ni and Mo contents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distances and directions from King Sejong Station. 13 sample sites were distributed from King Sejong Station. In site 4, the Cd content was higher than that in other sites. The Cr content was the highest in site 9, and the Ni and Mn contents were high in site 12. Cu, Co and Zn were highly contained in distance 1~2 km from King Sejong Station. Cd, Cr, Ni and Mo contents were lower, whereas Fe, Mn, Cu, Zn, Pb and Co contents were higher than other heavy metal contents at all sites.

      • KCI등재

        명청교체기(明淸交替期) 동강진(東江鎭)의 위상과 경제적 기반

        徐源翊 ( Seo Won-ik ) 명청사학회 2020 명청사연구 Vol.0 No.53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 cause of existence of Dongjiang-Zhen(東江鎭), which emerged from the complicated situation of the Ming-Qing transition period. After the expedition to Zhenjiang(鎭江) in 1621, Mao Wenlong(毛文龍) came to Joseon(朝鮮) and went into the Jia-Island(椵島). November 1622, where he was stationed DongJiang-Zhen. The Ming Dynasty expected Dongjiang-Zhen to defend The Later Jin Dynasty and checking The Joseon Dynasty. Joseon continued to live with Dongjiang-Zhen in an uncomfortable way to protect its loyalty to its upper kingdom. Even though Later Jin had found some uncomfortable with Dongjiang-Zhen which was constantly disrupting its own rear of the territory. They’d rather manage this problem with appeasement than they make a aggressive decision, due to its innerstances. As such, each force's view of Dongjiang-Zhen differed depending on its interests, which enabled Dongjiang-Zhen to existence among Ming, Joseon and Later Jin. Under these circumstances, Dongjiang-Zhen struggle to secure supplies through activities such as Tuntian(屯田) and trade while receiving support from people and Joseon to meet the huge budget of operating a camp. However the moment right after the first Manchu invasion of Joseon(丁卯胡亂), which was starting to cause the change of situation among the Ming-Joseon-Later Jin led to the collapse of their balance. Therefore Dongjiang-Zhen threatened with its international and economical base and reason why it should be existing. In the end, the Dongjiang-Zhen, which had existed as an overseas military camp for 16 years, disappeared into history as the Joseon-Qing combined forces advanced to the Jia-island after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Joseon(丙子胡亂) in 1637.

      • KCI등재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죽산천 인공습지의 오염물질 정화효율 평가

        최익원(Ik-Won Choi),서동철(Dong-Cheol Seo),강세원(Se-Won Kang),이상규(Sang-Gyu Lee),서영진(Young-Jin Seo),임병진(Byung-Jin Lim),박종환(Jong-Hwan Park),김갑순(Kap-Soon Kim),허종수(Jong-Soo Heo),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주암호 상수원 상류지역인 죽산천에 위치한 죽산천 인공습지의 수생태학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에서의 영양염류 처리효율, 수생식물의 무기성분 흡수량 및 퇴적물내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질에서의 영양염류 처리효율은 COD와 SS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낮았다. 죽산천 인공습지의 주요 우점종의 영양염류 흡수량을 조사한 결과, T-N 및 T-P 흡수량은 8월에 노랑꽃창포 > 수련 > 노랑어리연꽃 순으로 최대흡수량을 나타내었다. 퇴적물내 O.M 함량은 시기별로 큰 차이가 없었고, T-N 및 T-P의 함량은 봄에서 여름으로 시기가 변함에 따라 낮아져서 겨울까지 낮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퇴적물내 microbial biomass C:N:P의 비율은 봄, 여름, 가을 및 겨울이 각각 117~140:1~4:1, 86~126:5~6:1, 68~101:2~6:1 및 47~138:2~4:1로 나타났다. 죽산천 인공습지는 질소와 인의 처리효율이 낮고, 겨울철 수질 정화효율이 낮아 습지의 정화효율 향상을 위한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in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for trea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removal rates of nutrients in water and the total amounts of T-N and T-P uptakes by water plants were investigate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N and T-P in sediment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SS (Suspended Solids), T-N and T-P in inflow were 0.07∼1.47, 0.60∼2.65, 0.50∼4.60, 1.38∼6.26 and 0.08∼0.32 ㎎ L?¹, respectively. The removal rates of BOD, COD, SS, T-N, and T-P were ?¹0, 51, 66, -3 and 5%, respectively. The maximum amount of T-N uptake by water plants in August was 368.7 ㎎ plant?¹ in the 2<SUP>nd</SUP> treatment stage by Nymphoides peltata, 1314.6 ㎎ plant?¹ in the 3<SUP>rd</SUP> treatment stage by Iris pseudacorus, 1160.4 ㎎ plant?¹ in the 4<SUP>th</SUP> treatment stage by Nymphaea tetragona GEORGI, respectively. The maximum amount of T-P uptake by water plants in August was 121.7 ㎎ plant?¹ by Nymphoides peltata in the 2<SUP>nd</SUP> treatment stage, 268.7 ㎎ plant?¹ by Iris pseudacorus in the 3<SUP>rd</SUP> treatment stage and 212.0 ㎎ plant?¹ by Nymphaea tetragona GEORGI in the 4<SUP>th</SUP> treatment stage, respectively. Organic matter contents in sediments were not different. Contents of T-N and T-P in sediments were higher in spring. Microbial biomass C:N:P ratios in sediments in spring, summer, autumn and winter were 117~140:1~4:1, 86~126:5~6:1, 68~101:2~6:1 and 47~138:2~4:1, respectively. We could conclude that Juksancheon constructed wetlands show high removal efficiencies of COD and SS. However, improvements of management in winter seaso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pollutants.

      • KCI등재

        조사자 증언에서의 특신상태 증명수단으로서 영상녹화물 활용

        서원익(Seo, Won Ik) 한국형사소송법학회 2021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Vol.13 No.2

        2020년 2월 4일 개정된 형사소송법은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인정 요건을 사법경찰관이 작성한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능력 인정 요건과 동일한 내용으로 규정하여, 피고인이 법정에서 조서의 내용을 부인할 경우 증거능력이 부정된다. 이러한 현실에서, 범죄사실을 부인하는 피고인의 수사과정의 진술을 법정에 현출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조사자 증언이라 할 것이고, 이러한 조사자 증언은 형사소송법 제316조 제1항의 요건인 ‘특신상태’가 증명되어야 증거능력이 인정되므로, 조사과정에 대해 가장 객관적으로 신빙성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서 영상녹화물의 활용이 필요하다. 영상녹화물은 피의자의 진술과 진술 당시의 상황을 가장 생생하게, 여과없이 보여주는 자료로서, 수사기관의 조사과정에서의 특신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피의자의 인권보호와 실체진실 규명의 조화로운 접점을 찾게 해 주는 매개체로 기능할 수 있다. On February 4, 2020, If the accused denies the contents in court, the ability to prove evidence is denied. This is because the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suspect questioning report prepared by the prosecutor have been revised to the same content as the requirements for the admissibility of evidence of the suspect questioning report prepared by the judicial police. Therefore, the only way to show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the defendant who denies the crime in court is the testimony of the investigator.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tilize video recording as data that can most objectively judge the credibility of the investigation process because the testimony of the investigator is recognized only when the „special status‟ which is the requirement of Article 316 (1)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s proved. Video recording is data that shows the statement of the suspect and the situation at the time of the statement without filtering and it functions as a medium to find a harmonious contact point between the protection of the suspect s human rights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truth in order to determine the „special status‟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 KCI등재

        참깨 부산물 Biochar의 중금속 흡착특성

        최익원(Ik-Won Choi),서동철(Dong-Cheol Seo),강세원(Se-Won Kang),이상규(Sang-Gyu Lee),서영진(Young-Jin Seo),임병진(Byung-Jin Lim),허종수(Jong-Soo Heo),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3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6 No.1

        참깨 부산물의 중금속 흡착제로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600℃에서 1시간동안 열분해 한 참깨 부산물 biochar를 이용하여 중금속 오염폐수 중의 중금속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Biochar의 중금속 제거효율은 Pb>Cu>Cd>Zn 순으로 Pb의 흡착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깨 부산물 biochar를 이용한 흡착실험 결과를 Freundlich와 Langmuir 등온흡착식에 적용하여 각각의 중금속 인자를 산출한 결과 Langmuir와 Freundlich 등온흡착식 모두에서 Pb의 흡착능력이 Cu, Cd 및 Zn에 비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의 경우는 Langmuir 등온흡착식이 Freundlich 등온흡착식에 비해 더 적합하였으나 Cu, Cd 및 Zn의 경우 저농도에서 약간 차이는 있었으나 두 등온흡착식 모두 적합하였다. 전자현미경 (SEM)을 이용하여 중금속 흡착 전·후의 biochar 표면을 관찰한 결과 중금속 흡착 후에 각각의 중금속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FT-IR 분석결과 중금속은 주로 방향족 C=O ring stretching (1160 cm<sup>-1</sup>, 1384 cm<sup>-1</sup> 및 1621 cm<sup>-1</sup>)에서 흡착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참깨 부산물로 제조한 biochar는 중금속 흡착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the heavy metal removal potential of biochar.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by sesame waste biochar (pyrolysis at 600℃ for 1 hour) as heavy metal absorbent were investigated. The sesame waste biochar was characterized by SEM-EDS and FT-IR, and heavy metal removal was studied using Freundlich and Langmuir equations. The removal rates of heavy metal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Pb > Cu > Cd > Zn, showing that the adsorption efficiency of Pb was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heavy metals. Freundlich and Langmuir adsorption isotherms were used to model the equilibrium adsorption data obtained for adsorption of heavy metals on biochar produced from sesame waste. Pb, Cu, Cd and Zn equilibrium adsorption data were fitted well to the two models, but Pb gave a better fit to Langmuir model. Heavy metals were observed on the biochar surface after adsorption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Main functional groups were aromatic C=O ring ( at 1160 cm<sup>-1</sup>, 1384 cm<sup>-1</sup> and 1621 cm<sup>-1</sup>) by FT-IR analysis. Thus, biochar produced from sesame waste could be useful adsorbent for treating heavy metal wastewaters.

      • KCI등재

        톱밥 혼합비율이 랜더링 처리 가축사체의 퇴비화에 미치는 영향

        최익원(Ik-Won Choi),서동철(Dong-Cheol Seo),강세원(Se-Won Kang),서영진(Young-Jin Seo),이상규(Sang-Gyu Lee),성환후(Hwan-Hoo Sung),허종수(Jong-Soo Heo),강석진(Seog-Jin Kang),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3

        본 연구는 랜더링처리 가축사체 부산물의 농업적 재활용을 위한 퇴비화의 최적 톱밥 혼합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의 비율을 100 : 0, 50 : 50 및 30 : 70으로 혼합하여 퇴비화 초기의 물질변환과 퇴비화 완료 후 퇴비 품질을 조사하였다. 퇴비의 온도, pH, Ammonia 및 CO2의 발생은 시험개시 3일째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기물함량은 각각의 혼합비율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의 비율이 100 : 0 처리구에서는 퇴비화의 진행속도가 느리거나 온도가 적정수준까지 상승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30 : 70 처리구에서는 퇴비화 과정에서 유기물대 질소비가 부산물비료 공정규격 50이하를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의 혼합비율은 100 : 0과 30 : 70에 비해서 50 : 50이 가장 적합하였다. 랜더링처리 가축사체와 톱밥을 50 : 50으로 혼합하여 제조된 퇴비의 유기물 규격함량과 유해물질(As, Cd, Cu, Cr, Hg, Ni, Pb 및 Zn)의 함량 및 그 밖의 규격 (유기물대질소비, 염분함량 및 수분함량)을 조사한 결과 비료 공정규격을 충족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추후 퇴비의 상품화를 위해서는 병원성 미생물, 대장균, 살모넬라균 및 부숙도 조사를 통한 안전성 검토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obtain optimum mixing conditions with animal cadaver residue and sawdust for composting using rendering treatment method for agricultural recycling, changes of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mpost quality after composting were investigated. Initial mixing ratios with animal cadaver residue and sawdust were adjusted 100 : 0, 50 : 50 and 30 : 70. Temperature, pH, contents of ammonia and carbon dioxide were rapidly increased in 3 days and then decreased with time. Organic matter content was similar in all conditions. In mixing ratio of 50 : 50, the compost quality was satisfied with compost depending on official standard for product fertilizer. Thus, the optimum mixing ratio of animal cadaver residue and sawdust were 50 : 50.

      • KCI등재

        압수수색할 장소와 물건의 다양성에 따른 영장집행 방식에 관한 소고 - 영장원본 제시, 참여권 보장, 압수목록 교부의 현실과 한계 -

        서원익(Seo, Won Ik) 한국법학원 2021 저스티스 Vol.- No.182-1

        최근 압수수색은 혐의자의 주거나 사무실을 장소로, 혐의자가 소유, 점유하는 유체물에 대해 주로 이루어지던 기존의 압수수색과는 달리 디지털 환경에 따른 사회변화로 인해 집행 장소와 목적물이 다양해지는 추세이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압수수색영장은 정보 주체가 아닌 제3자가 관리, 점유하는 전자정보에 대한 집행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위와 같은 현실에 대비하여 특별법을 제정하여 통신정보나 금융거래정보에 대한 영장집행 절차를 규정하고 있고, 형사소송법에서도 공무소 등 기관에 대한 압수수색영장 집행에 있어 참여인에 관한 조문을 별도로 두고 있다. 피의자가 거주하거나 관리하는 현장에서의 유체물 압수수색집행 절차에 관한 형사소송법의 규정, 특히 ① 영장의 원본제시, ② 정보 주체에 대한 사전 집행통지 및 참여권 보장, ③ 압수목록의 피교부자 등에 관한 규정을 제3자 보관의 전자정보에 영장집행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에는 수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피압수수색자의 사생활 보호, 업무의 평온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구체적인 사안이나 압수수색 목적물의 성질에 따라 특별법이나 형사소송법의 다른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법체계상으로나 압수수색영장 집행의 현실에도 부합한다. 형사사법집행에 관한 외국의 법률도 타인의 정보를 보관하는 장소에 대한 압수수색이나, 비대면 원거리에 대한 압수수색에 대해 별도의 규정을 마련하여 피의자의 주거지에서의 단순한 유체물 압수와는 별도로 규율하고 있다. 한편, 타인의 전자정보에 대한 제3자 보관의 장소에 대한 압수수색과 관련하여, 영장의 제시방식, 정보 주체의 참여권 보장이나 압수물 목록 피교부자 특정과 관련한 일반적 규정을 입법화하여 피의자 주거지에 대한 현물 압수수색에 관한 절차규정을 대체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