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diographic and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emphysematous pyometra with endometrial pneumatosis in a dog

        Soyon An(Soyon An),Jongbong Lee(Jongbong Lee),Gunha Hwang(Gunha Hwang),Jeongmin Ryu(Jeongmin Ryu),Jiwon Yoon(Jiwon Yoon),Minji Kim(Minji Kim),Hee Chun Lee(Hee Chun Lee),Tae Sung Hwang(Tae Sung Hwang) 한국예방수의학회 2023 예방수의학회지 Vol.47 No.1

        A 9-year-old, intact female, Pungsan dog was referred for purulent vaginal discharge and depression. Abdominal radiographs revealed gas-filled and soft tissue opacity tubular structures in the mid to caudal abdomen. On ultrasonography, fluid-filled uterus and cervix accompanied by hyperechoic foci and reverberation artifacts were identified. Multiple hyperechoic foci were found within the uterine wall, indicating gas content. Escherichia coli was isolated from aerobic and anaerobic bacterial cultures. Radiological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ular shaped, dilated gas-filled structure, and gas in the wall of the structure should consider emphysematous pyometra with endometrial pneumatosis in intact female dogs with vulvar discharge.

      • KCI등재

        Comparison of Bone Subtraction CT Angiography with Standard CT Angiography for Evaluating Circle of Willis in Normal Dogs

        Soyon An,Gunha Hwang,Rakhoon Kim,Tae Sung Hwang,Hee-Chun Lee 대한수의학회 2023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24 No.5

        Background: Bone subtracti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BSCTA) is a useful alternative technique for improving visualization of vessels surrounded by skull bone. However, no studies have compared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CTA) and BSCTA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anine cerebral blood vessels. Objectives: To evaluate the potential benefit of BSCTA for better delineation of brain arteries of the circle of Willis (CoW) in dogs by comparing BSCTA with non-subtraction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NSCTA). Methods: Brain CTA was performed for nine healthy beagle dogs using a bolus tracking method with saline flushing. A total dose of 600 mgI/kg of contrast agent with an iodine content of 370 mgI/mL was injected at a rate of 4 ml/s. Bone removal was achieved automatically by subtracting non-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data from contrast CT data. Five main intracranial arteries of the CoW were analyzed and graded on a scale of five for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Scores of basilar artery, middle cerebral artery, and rostral cerebral artery in the BSCTA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NSCTA group (p = 0.001, p = 0.020, and p < 0.0001, respectively). Scores of rostral cerebellar artery (RcA) and caudal cerebral artery (CC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scores of RcA and CCA in the BSCTA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SCTA group. Conclusions: BSCTA improved visualization of intracranial arteries of the CoW with close contact to bone. Thus, it should be recommended as a routine scan method in dogs suspected of having brain vessel disease.

      • KCI등재
      • KCI등재

        햅틱 디바이스를 활용한 문화유산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 - 금산사 콘텐츠 중심으로 -

        박소연 ( Soyon Park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디지털 기술과 정보미디어의 지속적 발전과 연구로 훼손된 문화유산의 원형을 복원하는 기술도 꾸준히 개발되어 왔으며 가상현실 공간 안에서 오감 특히, 눈과 귀를 통한 다양한 문화유산의 체험이 가능해졌다. 최근 들어 시각, 청각에 의존했던 가상현실 체험에서 더 나아가 촉감까지 체험 할 수 있는 촉감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햅틱 디바이스라는 촉감 관련 기술을 문화유산 체험에 적용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촉감 인터페이스를 개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김제시에 소재한 금산사를 대상으로 정하고, 일반인이 사찰을 방문하여 체험할 수 없는 사물 (법고, 범종, 목어, 운판)에 대한 촉감 데이터를 추출하여 디지털 복원에 적용하고 체험 할 수 있는 햅틱 인터페이스를 개발하였다. 이와 더불어 금산사 사찰 내부와 외부의 정경을 체험할 수 있는 가상현실 환경을 구축하였다. Having the technology of digital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advanced, it is possible to explore cultural heritage in virtual environment with vivid graphic images and rich stereo sound. For more realistic virtual environment, touching the virtual objects is important event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building a virtual world of cultural heritag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use of a haptic feedback device to interact with virtual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called Sa-mool, in Buddhist temple and provide the user with tactile cues during playing the instruments and touching the objects. In the research, the data of degree of smoothness, friction, and hardness from Korean traditional building material-stone, wood, and leather have been collected and normalized as Korean cultural heritage haptic interface. Those data are presented as an application of playing 4 percussion Korean Buddhist temple instruments, Sa-mool(temple drum, Buddhist temple bell, wooden fish, cloud shaped gong), and users can play the instruments, which are usually not open to public, with haptic device while walking through the virtual Keum-san-sa, old Korean Buddhist temple in Gimje-city, Jeonbuk, Korea.

      • KCI등재

        생성형 AI의 신뢰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소연 ( Soyon Kim ),조지연 ( Ji Yeon Cho ),이봉규 ( Bong Gyou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4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5 No.1

        본 연구는 대표적인 생성형 AI 기술인 ChatGPT의 이용자 신뢰를 중심으로 이용실태와 지속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신뢰의 영향력이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ChatGPT를 많이 이용하는 20대와 3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IBM SPSS 27과 SmartPLS 4.0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Bhattacherjee의 기대 충족모델(ECM)을 기반으로 구조방정식 모델을 구축하고, 경로분석과 다중그룹분석(MGA)를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ChatGPT 이용자들은 일상적인 도구로 사용하기보다 특정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가 ChatGPT의 환각효과(Hallucination)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은 아니었다. 둘째, 가설검정 결과 독립변수인 기대충족, 인지된 유용성, 사용자 만족 요인 모두가 종속변수인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이용자가 ChatGPT를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신뢰의 영향력이 달라짐이 확인되었다. 이용자가 정보 검색 목적으로 ChatGPT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신뢰가 사용자 만족에 영향을 미친 반면, 창작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사회와 기업에 있어 생성형 AI의 도입 과정에서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성공적인 도입을 위한 정책 수립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해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user trust in ChatGPT, a generative AI technology, and explored the factors that affect usage status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and whether the influence of trust varies depending on the purpos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use ChatGPT the most. The statistical analysis deploying IBM SPSS 27 and SmartPLS 4.0.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formulated on the foundation of Bhattacherjee’s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employing path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MGA) for hypothesis validation.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ChatGPT is mainly used for specific needs or objectives rather than as a daily tool. The majority of users are cognizant of its hallucination effects; however, this did not hinder its use. Secondly, the hypothesis testing indicated that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expectation-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all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tention for continuance intention. Thirdly, the influence of trust varied depending on the user’s purpose in utilizing ChatGPT. trust was significant when ChatGPT is used for information retrieval but not for creative purposes. This study will be used to solve reliability problem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generative AI in society and companies in the future and to establish policies and derive improvement measures for successful employmen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임파워먼트 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의 요인구조 검증 및 단축형 척도 개발

        정소연(Soyon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본 연구는 Koren, DeChillo와 Friesen(1992)이 장애아동 부모의 임파워먼트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가족임파워먼트척도(Family Empowerment Scale: FES)의 심리측정적 성격을 파악하고, 단축형 FES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장애인부모연대 소속 회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가 활용되었다. FES 원척도의 경우 내적일관성신뢰도는 높은 수준이었으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이 척도의 이론적 요인구조를 지지하지 않았으며 수정보완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등 기초적인 분석을 통해 척도 문항의 특성 및 원척도의 제한점을 파악하였다. 이론적 근거와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단축형 척도에 포함될 문항을 선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가 완성되었다. 이 단축형 척도는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모형적합도 지수에서 ‘양호’이상의 기준을 충족하였다. 본 연구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FES의 요인구조를 파악한 첫 번째 연구로서 의의를 가질 뿐 아니라 구성개념 타당도와 내적일관성 신뢰도가 좋은 단축형 FES를 개발함으로써 척도 콘텐츠 개발 및 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rimar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One i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Family Empowerment Scale(FES) developed by Koren, DeChillo and Frisen(1992). The other is to develope a short-form FES. Data collected from 337 members of Parents’ Solidarit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used. FES had good internal consistency, but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CFA) did not support the theoretical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Basic analyses such as correlation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items and identify the limitation of the orignal FES. In addition, a series of CFA were carried out to develop a short-form FES. Finally 15 items were selected based on theoretical rationale and the results of CFA. Cronbach’s α and the model fit indices for the short-form FES indicated that this measure has good construct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In discussion, usefulness and potenti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content development in the area of measuring instr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