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병 · 수술별 진료비 정보공개에 대한 의료소비자와 공급자의 견해

        감신(Kam, Sin),홍남수(Hong, Nam-Soo),이경수(Lee, Kyeong-Soo),이중정(Lee, Jung-Jeong),황태윤(Hwang, Tae-Yoon),김건엽(Kim, Keon-Yeop),류동희(Ryu, Dong-Hee),이선화(Lee, Seon-Hwa),두영택(Doo, Young-Taek),서강석(Seo, Kang-Suk)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6 비판사회정책 Vol.- No.51

        이 연구는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상병 · 수술별 비급여를 포함한 진료비 정보공개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진료비 정보공개에 대한 의료소비자와 공급자의 견해를 파악하여 공개의 필요성과 방법, 항목 등 구체적인 정보공개 관리체계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의료소비자의 인식과 견해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국의 일반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대구시의 3개 시민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인터뷰와 서면조사를 진행하였다. 의료공급자의 의견은 병의원경영 관련자(의사) 인터뷰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전화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5.1%가 비급여를 포함한 진료비 정보제공에 대해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공개해야 할 우선순위 질환은 암, 치과질환, 뇌혈관질환 순이었다.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의료기관별 진료비 공개를 제도화해야 하고, 진료비 공개는 궁극적으로 의료기관 경영의 투명성과 합리성을 제고하고 의료서비스 질을 개선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고 하였다. 반면에 의료공급자는 의료소비자가 진료비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진료비 공개는 의료소비자의 공급자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며, 의료서비스의 하향평준화, 특정병원 환자쏠림 등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의료소비자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의료기관 선택에 도움이 되며, 병원 이용 전에 진료비를 예측 가능하게 하고 이용 후에 진료비 내역의 적정성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위해서는 비급여를 포함한 진료비를 공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지만 진료비 공개제도에 따른 파급효과, 부작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검토를 거친 후에 진료비 정보공개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pinions of consumers and providers on an establishment of a public access system to medical costs including payment for uncovered services which would help consumers make wiser decisions on medical service utilization.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specifying contents and determining means to go on public regarding the system. Method: A total of 500 general population underwent telephone interviews. Document investigations as well as in-person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ree activists from civil organizations. The opinions of physicians on an establishment of a public access system to medical cost were also examined. Results: The telephone survey results revealed 85.1% of respondents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 information access system. Cancers, odontopathies,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were selected as ones whose total medical costs should be revealed with priority. The civil organization activists addressed that an establishment of a legal policy enforcing each medical facility to reveal their total medical costs is required, and it would, therefore, be an opportunity to examine transparency and rationality of hospital managements and to improve service quality. The medical service providers, on the other hands, worried that the information access system would deteriorate the relationship in between consumers and physicians since medical consumers are not capable of fully understanding provided information regarding medical costs due to difficult medical terms and lack of related knowledge. Moreover, they also mentioned that the system would have negative influences on the market by causing problems such as downward equalization of medical services and patient- flock to certain hospitals. Conclusion: It is required to reveal information regarding total medical costs including out-of-pocket expenses since it would satisfy consumers" right to know and help them to make right decisions when choosing hospitals and to predict medical costs in advance. They could also make appropriate judgements about medical costs afterwards. However, as pointed out by the physicians, there could be unexpected negative effects regarding the system. Therefore, relevant investigations and sufficient discussions with involved must precede the system establishment.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개 시지역 저소득 골관절염 환자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 및 비용

        감신(Sin Kam),박기수(Ki-Soo Park)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08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3 No.2

        이 연구는 일개시지역의 건강보험하위 20%에 해당하는 자들의 골관절염으로 인한 보완대체요법 이용실태를 조사한 것이다. 최근 6개월 동안 이용한 보완대체요법은 91.6%가 1개 이상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평균 2.5개의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92.3%, 2.7개로 유의하게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연령대별로는 6,70대가 유의하게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의료보장 유형별로는 건강보험대상자가 3.2개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교육수준에서는 초등학교이하 졸업자가 이용여부와 이용 갯수 모두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항목별로는 한증탕, 사우나, 핫팩, 찜질 등 이용이 34.7%로 가장 많았다. 보완대체요법 이용으로 인한 비용은 6개월 동안 1인당 12만원이 지출되었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수에 따른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항목별로는 한증탕, 자석 옥 매트 등에서 일인당 지출비용이 많았다. 또한 성별에 따른 항목별 비용은 침이용에 대한 비용이 여성에게서 유의하게 많았다. 골관절염으로 보완대체요법을 이용한 사람들의 만족점수는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을 경우 대부분 60-70점 사이에 분포하여 만족도가 보통수준으로 높지 않았다. 만족도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의미가 있는 것은 성별 간에는 여성에게서 침이용에서 남자에 비하여 높게 응답하였으며, 의료보장유형에서는 사골, 우족 등 이용이 급여 1종에서 유의하게 높게 응답하였다. 외국의 연구결과와 우리나라의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관절염에 대한 보완대체요법의 이용에 대한 과학적 근거 평가와 함께 이용에 대한 보건교육 등이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is common especially among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rate and expenditures of patients who use CAM. Method: Two hundred seventy four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were interviewed by a telephone survey. A structured questionnaire about sociodemographic features and type, cost, satisfaction and reason of CAM utilization was used Results: Among 274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251 patients(91.6%) had used at least one type of CAM during six month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female), age (70 years), medical security (insurance), educational level between the user and non-user of CAM. Hyperthermia was the most use. The average cost for CAM utilization was 120 thousands won/person during six month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features among the out-of-pocket cost of users. The scores of satisfaction for CAM use were ranged between 60-70. Conclusions: CAM became a popular source of health care because of elderly and lay referral system. And Korean spent a substantial amount of out-of-pocket money on CAM without benefit. Health care system and professional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AM, make a evidence for CA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勤勞者 健康診斷 一般疾患 有所見者의 醫療利用과 關聯要因

        감신,박재용,한창현 大韓産業醫學會 199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7 No.2

        1994년도 근로자건강진단 결과 일반질환자로 판정받은 근로자 246명 중 면담조사가 가능했던 163명(66.3%)에 대하여 의료이용 실태를 파악하고 Andersen의 의료서비스 행태모형을 적용하여 소인성 요인, 가능성 요인, 필요성 요인이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46.6%는 치료를 받지 않았고, 49.7%는 병의원을, 3.7%는 약국을 이용하였다. 의료기관 이용율은 남자(54.5%)가 여자(45.5%)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미혼자(48.0%)보다 기혼자(54.3%)에서 높았다. 사회구조적 특성에 따른 의료기관 이용율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사무직(45.1%)보다 생산직(55.3%)에서 높았고, 가족수는 4명(57.1%)인 경우가 높았다. 건강에 대한 믿음별로는 질병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질병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의료기관 이용율이 높았다. 이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질병에 대한 지식이었다.(p<0.01). 가능성 요인에 따른 의료기관 이용율은 빚은 지지 않으나 저축은 하지 못하는 경우(61.9%)와 조금 저축한다(53.9%)가 빚지고 있는 경우(16.9%)와 많이 저축하는 경우(38.5%)보다 높았다. 단골진료기관이 있는 경우(54.2%)와 건강진단결과지를 직접 받아본 경우(55.6%)가 의료기관 이용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없었다. 필요성 요인에 따른 의료기관 이용율은 질병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할수록, 요양지도를 받는 경우(71.4%)가, 질병의 증상으로 인해 결근한 적이 있는 경우(63.6%)가, 건강수준이 낮을수록, 아픈 증상이 있을 때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경우(54.2%)가 높았으며 요양지도 여부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p<0.05).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결과 의료이용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근무부서, 질병에 대한 지식, 질병에 대한 심각성과 요양지도 여부였다(p<0.05). 즉, 생산직에서, 질병에 대한 지식이 많을수록, 질병을 심각하게 생각할수록, 요양지도를 받을수록 의료기관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질환 유소견자의 미치료율은 46.6%로 높았으며, 주된 이유는 경미한 질환인 것 같아서(55.5%)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일반질환을 가진 근로자의 건강관리를 위해서는 건강검진시 충분한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질병이 확인될 경우 해당질환에 대한 홍보를 통해 의료기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근로자 건강검진 기관과 연계하여 계속적이고 적절한 요양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se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based on predisposing factors, enabling factors and need factors, and effect of these factors on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by applying Andersen's medical care service behavioral model as the most well known medical demand model to 163 available for interview among 246 workers who, as the result of health examination in 1994, were evaluated as the non occupational dis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variables of predisposing factors, knowledge for diseas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medical utilization, other variables of predisposing factors, such as sex,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number of family members, type of occupation, attitude toward the disease, were not related with variables of enabling factors. The medical utilization was not related with variables of enabling factors. Among variables of need factors, medical advice of health personnel was significant variable for medical utilization. With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variables having an effect on the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were the type of occupation and knowledge for the disease among predisposing factors, and seriousness for the disease and medical advice of health personnel among need factors. In case of the production job, the medical facilities utilization was higher for the persons with more knowledge for disease and experience of medical treatment guidance. The number of non-occupational diseases detected, but untreated person was 76(46.6%) of total subjects, mainly because the non-occupational diseases seemed to be a slight disease(55.3%). On consideration of above findings, health education for workers and adequate medical advice by health personnel would be needed for health management of workers with non-occupational diseas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