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산국립공원의 계류수질 보전 전략(I)

        박재현,우보명,김우룡,안현철,조현서,추갑철,김춘식,최형태,Park, Jae-Hyeon,Woo, Bo-Myeong,Kim, Oue-Ryong,Ahn, Hyun-Chul,Cho, Hyun-Seo,Choo, Gab-Chul,Kim, Choon-Sig,Choi, Hyung-Tae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01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4 No.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y changes from July 1998 to August 2001 in Mt. Bukhansan National Park. Four water sampling point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quality of stream wate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Mt. Bukhansan National Park.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In spring, the average pH of stream water was below the first class of the river water quality standard, while it was normal level in summer. The average electrical conductivity was about 2.3~3.3 times higher in downstream water than in upstream water during spring and summer. The contents of anions($Cl^-$, $NO{_3}^-$, $SO{_4}^{2-}$) were about 1.1~7.4 and 0.4~11.4 times higher in downstream than in upstream water,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ter quality was poorer in downstream than in upstream water. We suggest that stream water in the Mt. Bukhansan National Park should be protected from impacts of snow melting mineral particles in spring season and human impacts like wastewater of point source in summer season.

      • KCI등재

        Distribution of the Fairy Pitta (Pitta nympha) in the South Korea: A focus on protected areas

        Gil-Pyo Hong(홍길표),Jae-Hoon Kim(김재훈),Seul-Gi Seo(서슬기),So-Yeon Cho(조소연),Bo-Yeon Hwang(황보연),Jong-Hyun Park(박종현),Seung-Yeon Lee(이승연),Ga-Young Kim(김가영),Wan-Hee Nam(남완희),Ha-Cheol Sung(성하철) 한국조류학회 2021 한국조류학회지 Vol.28 No.2

        국내 팔색조(Pitta nympha) 분포 현황을 알아보고자 전국 국립공원 등 보호지역 중심으로 총 19개 지역을 조사하였고,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자료를 보강하였다. 전국 19개 지역을 조사한 결과 북한산, 지리산 등 내륙지역 7개 국립공원에서는 팔색조가 확인되지 않았고, 경남 거제, 남해, 해남, 장흥 고흥 등 남해안과 인접한 12개 지역에서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문가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한 팔색조 출현 위치 정보 82건을 분석한 결과, 전국 8개 광역지자체 모두 팔색조 서식이 확인되었고, 내륙지역(26.8%)보다 해안지역(73.2%)에서 더 많이 출현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우리나라의 팔색조는 주로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많이 분포하며, 그 보다 적은 개체수가 내륙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of Fairy Pitta (Pitta nympha) in South Korea. A total of 19 study areas, including protected areas such as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in South Korea were surveyed, and additional data obtained from an expert network. According to the results, Fairy Pitta was absent in seven inland national parks, including Mt. Bukhan and Chiri parks. Fairy Pitta inhabited 12 areas near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including Geoje, Namhae, Haenam, Jangheung, Goheung, and Gyeongnam Province. The analysis results of 82 datasets obtained from experts with regard to the locations where Fairy Pitta have been spotted showed that the bird inhabits all the eight metropolitan regions in South Korea, and is more frequently spotted in coastal areas (73.2%) than in inland areas (26.8%).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Fairy Pitta is mainly distributed in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 of South Korea, and is distributed in inland areas at relatively lower numbers.

      • 서초동(서울시 서초구)의 거미상

        김주필(Joo Pil Kim),정혜리(Hye ri Jeong),김대희(Dae Hee Kim),박동우(Dong Woo Park),서재웅(Jae Woong Seo),이현우(Hyun wo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7 한국거미 Vol.33 No.1

        2016년 3월 31일부터 7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서울고등학교 교정 일대를 서울고등학교 환경생물부 부원들이 채집 조사한 결과 20과 43속 53종의 거미가 조사 연구되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From March 31st to July 31st in 2016, members of an environmental biology club at Seoul High School located in Seocho-gu, Seoul, Dae-Hee Kim, Dong-Woo Park, Jae-Woong Seo and Hyun-woo Lee, collected 20 families 43 genera 53 species of spiders and report the result of the study here.

      • KCI등재

        광원에 따른 수종의 치면열구전색제로부터 용리되는모노머에 관한 연구

        서현우,박호원 大韓小兒齒科學會 200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2 No.2

        본 연구에서는 치과용 복합레진의 중합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장원인 할로겐, 플라즈마, LED를 사용하여 임상에서 사용하는 여러 치면열구전색제들을 중합 시, 이로부터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들을 확인하고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5가지의 광중합형 치면열구전색제를 각각의 광원에 따라 중합한 시편을 제작하여 3차 증류수에 넣은 후 바로 용리시킨 액을 0시간으로 하고 37℃ 항온수조에서 10분, 1시간, 12시간, 24시간 보관한 후 각각의 용리액을 고성능 액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미반응 모노머의 정성 및 정량 분석을 시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표준 모노머들의 분리시간은 BPA 2.3분, TEGDMA 3.2분, UDMA 5.6분, Bis-GMA 6.5분, Bis-DMA 10.4분 이었다. 2. 모든 치면열구전색제에서 TEGDMA를 제외한 어떠한 모노머들도 용리되지 않았다. 3. 저장 12시간까지 대부분의 TEGDMA가 용리되었으며, 이후부터는 그 양이 현저히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4. 최소권장중합 시간인 할로겐 20초, 플라즈마 3초, LED 10초 중합 시 TEGDMA의 용리량은 할로겐, LED, 플라즈마 순으로 적었다. 5. 모든 중합기에서 Pit & Fissure Sealant™의 용리량이 가장 적었으며, 할로겐 중합시 Helioseal?가 플라즈마 아크 중합 시 Concise™가, LED 중합 시 Teethmate? F-1이 가장 많은 용리량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quantify the major or detectable monomers released from any of five commercially-available, light-cured pit and fissure sealants with three different light sources : conventional halogen light curing unit, plasma arc light curing unit and LED curing unit. After curing, specimens were immediately immersed in distilled water for different time intervals. The time related release of monomers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Identific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monomers were performed by the comparison of the elution time and the absorption peak height of the eluates with those of the authentic sampl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tandard solution peaks with retention times of 2.3, 3.2, 5.6, 6.5, 10.4 minutes were identified as BPA, TEGDMA, UDMA, Bis-GMA, Bis-DMA, respectively. 2. None of the chromatograms of the tested sealants displayed peaks with the same retention time as that of the standard solution, except for TEGDMA. 3. The highest release rate of TEGDMA was observed during the 12hr period for all samples and declined thereafter. 4. The elution of TEGDMA from curing with Halogen curing unit for 20 second and LED for 10 second was less than that resulting from curing with Plasma arc for 3 second. 5. TEGDMA was detected at much lower levels in eluates from the Pit & Fissure Sealant™ than other sealants. The elution of TEGDMA from the Helioseal? F cured with Halogen light curing unit, the Concise™ cured with Plasma arc curing unit and the Teethmate? F-1 cured with LED curing unit were higher than other sealants.

      • 거울형 자계 구조를 갖는 진공 여과 아크 증착법을 이용한 증착 변수에 따른 다이아몬드상 탄소 박막의 증착 및 물성 분석

        박창균,엄현석,서수형,박진석 漢陽大學校 工學技術硏究所 2000 工學技術論文集 Vol.9 No.1

        본 논문에서는 거울형 자계 구조를 갖는 진공 여과 아크법을 이용하여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을 증착하였다. 음극 근처에 영구자석과 자기요크를 사용하여 음극 표면에서의 아크 스팟의 이동도와 아크 플라즈마의 안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 증착압력과 기판전압을 변화시켜 증착 하였으며 이에 따른 물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증착압력 3×10-4 Torr와 기판전압 -50V에서 가장 높은 sp3/sp2 분율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500℃까지 열처리에 따른 박막의 열적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DLC films are deposited by using an FCVA deposition system with a mirror-type magnetic field configuration. Permanent magnets and magnetic yokes around the cathode have been observed to enhance the mobility of arc spots on the cathode and the stability of arc plasma. Effects of reactor pressures and substrate biases on structural properties of DLC films deposited a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est sp3/sp2 fraction is obtained when the films are deposited at a pressure of 3 × 10-4 Torr and a bias voltage of -50 V. The variation of the structural properties due to thermal stress up to 500 ℃ is also examined.

      • 휴대 장치를 위한 Layered Transmission에 관한 연구

        박노경,서상진,진현준 湖西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2005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4 No.-

        Mobile multimedia services have rapidly evolved in the areas mainly including cell phones. Due to the increment of data traffic, processing load of server systems, network congestion and response time of clients also increase constantly. In this paper, a layered transmission technology is proposed of which the size of requested stream from clients has reduced and its performance is evaluated through the simulation. The layered transmission decreases data traffic to 78.5% averagely by converting format of data source in accordance with the playback performance of mobile devices. It is analyzed that decrement of streaming data size depends on EFS, resolution of LCD screen, and bytes per pixel. For real applications, layered transmission consists of modules based on filters using the Directshow considering portability, scalability, and reusability.

      • SCOPUSKCI등재

        유산균들의 콜레스테를 저하성, 내산성, 내담즙성, 항생제 내성 비교

        박소영,고영태,정후길,양진오,정현서,김영배,지근억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기능성 요구르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산균은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과 우수한 생존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유산균주의 산과 담즙 및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조사하였으며 in vitro에서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조사하였다. In vitro에서 콜레스테롤 저하능이 우수한 13균주를 선발하여 이들의 동결건조 분말을 고 콜레스테롤 식이의 실험쥐에 투여하였다. 그 결과 8균주는 비 투여구보다 유의적으로 18.3~27.3%의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나타냈다(P≤0.05). 이들 중에서 Bifidobacterium infantis AM-220, Lactobacillus AM-245, Streptococcus MA-1의 3균주를 이용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 동결건조 분말을 이용하여 급여실험을 수행한 결과, 총 콜레스테롤과 LDL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or a probiotic yoghurt it is desirable to utilize lactic acid bacteria with a high survival rate and beneficial function to human beings. We have examined a variety of lactic acid bacteria to assess the acid and bile tolerance and antibiotic resistance. In addition, an in vitro culture experimen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ir ability to reduce cholesterol levels in the growth medium. Thirteen strains were selected from in vitro cholesterol assays and fed to Sprague-Dawley rats with a high-cholesterol diet. Among the 13 strains tested, 8 strains were shown to reduce serum cholesterol levels significantly after 24 days of administration in vivo. Rats were fed lyophilized yoghurt powder fermented with a combination of 3 selected strains: Bifidobacterium infantis AM-220, Lactobacillus AM-245, and Streptococcus MA-1.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low density lipoprotein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in rats fed the yoghurt powder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ese studies suggest that yoghurt fermented with appropriately selected lactic acid bacteria may have a anticholesterolemic effect.

      • 인라인 스케이트 이용자들의 손상 유형과 위험 요인

        서혜경,문지영,성주욱,김말영,이준호,박정이,차성화,백나영,이재민,김수민,임현술,정해관,배근량,정철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2

        지난 몇 년 사이 인라인 스케이트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기있는 스포츠가 되었으며 이러한 대중화와 더불어 인라인 스케이트와 관련된 사고 빈도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라인 스케이트 이용에 따른 사고율과 이용습관 형태, 손상 유형 및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3년 9월 14일부터 9월 24일까지 경주시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1학년, ○○여자고등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학생, 경주황성·포항 해맞이 공원의 성인을 포함한 총설문 대상자 1,305명 중 인라인 스케이트 이용자 392명을 대상으로 단면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에 앞서 병원 방문과 사전 조사를 시행 하였으며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였다. 초, 중, 고 인라인 스케이트 전체 이용률은 28.1% 사고율은 30.1%로 나왔으며 주로 젊은층에서 사고가 많았으며 나이가 증가할수록 빈도가 증가하였다. 보호 장비 착용률은 44.4%로 조사되었다. 손상 부위로는 무릎과 상지 부위가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손상 유형은 찰과상과 타박상이 많았다.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한지 1개월 이내에서 사고를 가장 많이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부상자의 20%가 후유증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인라인 스케이트 이용자들의 사고율이 비교적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손상 부위의 무릎 및 상지 집중 현상으로 인해 무릎과 상지 부위의 보호대 착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사고를 줄이기 위해 초기 기술 습득 단계부터 전문가를 통한 체계적 교육과 안전 의식 고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In the past several years, Inline skating has become a popular sport among young people. With popularization of Inline skating, the number of injuries has increased proportion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valence of injuries, the behaviors of skating, the nature and risk factors of injurie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an 1,305 subjects from Sep. 14 to 24, 2003. The Inline skaters were 392. These participation were mainly students from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women's high school, ○○high school, Dongguk medical school, and adult skaters in several parks. The prevalence of injuries were 30.1%. Injuries were predominant from younger age and frequenci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age. The most common location of injuries were both knee and the upper extremities. Most of injury type were skin abrasion and contusion. Injuries were highest within one month after First skating. 20% of injuries experienced a sequel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severity of Inline skating-related injuries. We expect that the knee and the upper extrimities protectors should be used adequatly. Also to reduce injuries, when the skills are obtainded, the specilized learning programs and safety awareness are needed.

      • KCI등재

        Pilomatricoma 환아에 대한 증례 보고

        서현우,김지혁,박호원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1

        Pilomatricoma(Calcifying epithelioma of Malherbe)는 모낭 세포 기원의 양성 연조직 종양으로, 보통 머리와 목 부위에 나타나며, 20세 이전의 여성들에게서 호발하고, 악성으로의 전이가 보고되기도 하나, 이는 극히 드물다. 임상적으로, 무통성, 표재성, 고형성이며 종종 적청색을 나타내고, 크기는 보통 0.5~3.Ocm 정도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조직학적으로, 세포기질 내에 상피조직이 존재하는 형태이며, 상피조직에서는 기저제포(basaloid cell)와 유령세포(ghost cell)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세포내와 기질내 석회화가 종종 관찰되기도 한다. 진단은, 초진시 고형 물질의 촉진으로 병소를 의심해볼 수 있고, 조직병리학적 검사로 확진할 수 있다. 감별진단으로는 아가미낭(branchial cyst), 혈관종(hemangioma), 횡문근육종(rhabdomyosarcolna), 표피포함낭(epidermal inclusion cyst), 모낭(pilar cyst), 이하선 종양(parotid gland tumor), 피부의 골종(osteomas of the skin) 림프절의 석회화(calcified lymph nodes), 죽종(atheromas) 등이 있다. 치료로는 외과적 절제술이 추천되며 재발은 드물다. 본 증례는 우측 하악각 부위에 결절이 촉진되는 6세 여자 환아에게서 임상 검사와 방사선 검사 후 병소의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통해 pilomatricoma로 확진되었고,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Pilomatricoma is a benign soft tissue tumor of hair follicle origin. They occur most commonly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nd are usually found in girls during the first two decades of life. Although malignant transformation has been described, it is exceedingly rare. The clinical presentation is typically that of an asymptomatic, superficial, solitary, firm mass that is often accompanied by a reddish-blue discoloration of the overlying skin. Histopathologically pilomatricoma are seen as epithelial islands embedded in a cellular stroma. The epithelial component consist of two main cell types : basaloid cells and ghost cells. Intracellular and stromal calcification is reported in many cases. Diagnosis is usually suspected based on palpation of a superficial, rock-hard mass and confirmed by histopathologic examination. Surgical excision is both curative and the treatment of choice. Recurrence is rare. In this case, the radiographs showed a dense calcification, measuring about 1cm diameter. So simple excision was performed intraorally, and resultantly the lesion was proved to be a pilomatricoma by histological exa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