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두적출자의 의사소통 태도

        강수균,박선희,백은아,이현혜,최경희,강은희,박은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후두적출자의 주된 발성방법과 후두적출 경과 시기에 따른 의사소통 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성인 남자 55명으로 후두암으로 인한 후두적출자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에게 실시한 의사소통 태도 설문지는 Erickson의 의사소통 태도 척도-수정판(Modified Erickson Scale of Communication Attitudes: S-24)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주된 발성방법에 따라서는 인공후두기 사용자와 식도발성자간의 의사소통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후두적출 경과 시기에 따라 10년 초과된 후두적출자들과 10년 이하의 후두 적출자들 간의 의사소통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의사소통 태도의 긍정적 태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습득하여 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빠르게 재습득 하여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laryngectomee's communication attitude. 55 laryngectomees, who were in the range of 40 years old to 8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Communication attitude measurements were taken by S-24(Modified Erickson Scale of Communication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score of laryngectomees with artificial larynx and esophageal speakers were no significant. Second, score of laryngectomees with over 10 years after latyngectomy and 10 years after latyngectomy were no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靜坐要訣과 老人의 心理治療

        강수균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1 동서정신과학 Vol.4 No.1

        현대의 산업사회는 인간을 사회조직의 한 부분으로 종속시킴으로써 인간소외의 현상을 유발시켰으며 이러한 인간성 상실은 인간의 주체성 회복을 심각하게 제기하게 되었다. 이러한 서구의 제 문제들은 근대화를 형성시킨 서구적 세계관에 기초한 현상으로서 현대의 세계 문명을 지배하고 있다. 그러한 서구의 물질중심의 과학문명은 인간의 탐욕과 무절제한 욕망으로 비롯되는 것으로 서구사상에 기초한 사회복지는 현대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고 복지를 이룩하는데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그 가운데에서도 인구의 노령화에 따른 노인문제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 나라에서도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노인들이 가장 극복하기 힘든 문제는 고독과 질병과 궁핍이다. 현대의 산업사회에서 인간성 상실의 치유책에 대한 극복 대안으로 불교의 선 수행이 바람직하다. 불교 사회복지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인 불교적 인간관계의 상호성 관점에서 불교의 노인복지 사상을 생각하여야 한다. 특히 불교의 정좌요결의 선 수행은 다른 책과는 달리 논의가 투철하고 단계가 정연해서 수행하는데 아주 편리하다. 정좌요결의 수행단계는 전 6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각 단계는 변지편, 예행편, 수증편, 조식편, 견욕편, 광애편인데 최종적인 도착점은 불교의 자비의 실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불자들이 수행하는 여러 가지 수행 가운데 비교적 수행법의 단계를 세밀하게 기술된 천태의 정좌요결을 노인의 심리치료에 적용하여 그들의 효과적인 수행으로 문제 해결을 돕는 방법을 탐색하고 노인의 행복과 성취감을 얻는데는 심오한 철학을 가지고 있는 불교의 정좌요결을 통해서 노인의 삶의 질 제고의 가능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Modern industrial society has created an alienation phonomenon in human beings by subordinating mankind into a part of the social system.The loss of humanity in this has raised a question of the restoration of a human being's identity. The problems that the Western society faces are brought about by the Western outlook on the world, which now dominates the entire modern civilization. The western social welfare system, based on the materialistic scientific civilization driven by insatiable greed and desire, is now revealing its limits in resolving modern society's problems and therefore achieving a welfare society. Among other issues, problems of the elderly as a result of the aging population begin to surface as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s in Korea.Some of the most difficult hardships for the elderly to overcome is solitude, disease, and poverty. Zen meditation is recommended as an alternative for coping with the loss of humanity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Considering human being live in an incomplete reality, Buddhism puts a great emphasis on the matter of morality and ethics. Because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is the completion of human character, it begins with self-denial and aims to reach universal respect for mankind. Therefore, Buddhism-based social welfare must view its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in light of Buddhist interpersonal mutuality, one of its most important principles. Particularly, unlike the ones in other books, Jeong-jwa-yo-gyeol Zen meditation includes an extensive discussion and distinctive stages for easy performance. The six stages of Jeong-jwa-yo-gyeol are: Byen-ji, Yehaeng, Sujeung, Josik, Yoyok, and Gwang-ae. This study applied Chon-Tae Jeong-jwa-yo-gyeol, which describes the stages of meditation in relative detail compared to other varieties of meditation conducted by Buddhists for the psychoterapy of the elderly in order to search for better ways of resolving their problems.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efficacy of the Jeong-jwa-yo-gyeol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elderly's lives through its profound philosophy of happiness and sense of accomplishment.

      • KCI등재후보

        노화에 대한 인식연구(Ⅰ) : 대구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강수균,조홍중 한국동서정신과학회 2002 동서정신과학 Vol.5 No.1

        현대사회는 인간을 사회조직의 일부분으로 종속시킴으로써 인간소외의 현상을 초래하게 되고 노인이 대가족 속에서 존경을 받고 있는 전통은 오늘날 핵가족 형태로 변화하면서 사라져 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시화와 산업화가 헐연관계의 중요성을 약화시켰다. 노인은 현대사회에 있어서 재산이나, 개인적 성공 등에 너무 높은 가치를 두고 있는 이익 지향적인 사회에서 노인은 사회체제 기능 유지에 있어서 중요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노인은 존경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수입과 재원이 빈약하기 때에 경제적으로도 의존적으로 되고 있다. 노인의 육체적, 정신적 질병률은 나이가 들수록 증가하고 있고, 노인들의 육체적 능력의 감소는 정신적인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이 와 같이 노인들은 경제적 육체적 한계 때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고, 이 때 가족이 1차적인 지원자가 된다. 그러나 한국사회에 있어서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종적 가부장적 가족제도가 변화하게 되었고 이러한 가부장적 가족제도의 변화는 전통적 노인부양의식의 약화로 이어 졌다. 한국 사회에 있어서 전통적으로 노인은 가정 내에서 경제적이나 의사결정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사회, 경제, 문화적 여건의 변화와 여건에 노인의 지위는 점차 약화되고 있다. 본 조사에서도 노인의 가정에서의 역할은 축소되고 소외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y subordinating the human to a part of social organization, the modern society brings about human alienation. The tradition in which the aged are held in respect in the system of extended family is disappearing with the change into nuclear family now. This situation, weakens the importance of blood relation. As the modern society becomes materialized where wealth and personal success are greatly valued, the aged are treated as unimportant in maintaining the function of social system. Thus, they cannot be held in respect any more and become economically dependent because of their decreased financial income. As the aged age, their chances to suffer from physical and mental diseases become increased. The weaker they become physically, the stronger their tendency to mentally dependent. Their physical and economical limitation causes them to depend greatly on their families as a primary supporters. However, the urbanization and the industrialization in Korea have been accelerated since 1960s and this resulted in the change in the vertical patriarchy. Finally it led to the weakened traditional idea of supporting the aged.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ged in Korea us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traditional society with their economic power and the decision-making roles at home, while their status is getting weaker with the societal, economical, and cultural changes. Further more, their roles are reduced and they are alienated at home.

      • XML Signature를 이용한 XML 문서의 암호화와 전자서명 모듈 설계

        박수범,강흥식,김상균 인제대학교 2002 仁濟論叢 Vol.17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XML Signature based Encryption and Digital Signature Module for XML Document. Structural method of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s take a good deal of advantage that application use both of content and meta-data. Many Vendors and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are going to take a effort that progress XML application. however, during transmitting XML document on Internet, it is viewable by anyone like as general HTML document. If we would keep XML contents from invasion of privacy, then must protect XML document from intrusion. So, we make good use of encryption technique for concealing text node of XML element, and the support of digital signature is XML Signature of W3C.

      • KCI등재후보

        외상성 십이지장 손상

        박상균,강중신,손수상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2

        저자들은 1985 년부터 만 6년간 계명의대 외과학교실에서 체험한 외상성 십이지장 손상 환자 20례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관찰 분석한 결과 다음가 같은 결론을 얻었다. 21~40세가 11례(55%)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35.5세 남녀비는 19:1이었다. 손상의 원인으로는 둔상이 18례(90%)였으며 관통상이 2례였고 둔상의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추락 및 폭력사고 순이었다. 손상부위는 제 2부가 15례로 가장 많았고 제3부, 제1부, 제4부 순이었다. 진단 방법으로는 단순 X-선 검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gastrografin을 사용한 상부소화관 촬영이 도움이 되었다. Lucas 분류법에 의한 손상분류시 II형이 9례(45%)로 가장 많았다. 17례(85%)에서 총 34가지의 복강내 장기의 동반 수상이 있었으며 췌장, 신장이나 요관, 간장 및 후복막강내 혈종순이었다. 19례에서 개복하여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단순봉합술이 12례(60%)로 가장 많았다. 8례(42%)에서 13가지의 술후 합병증이 발생했으며 폐장합병증이 4례로 가장 많았다. 사망은 2예(10%)였으며 사망원인은 다발성 장기손상에 의한 출혈성 쇼크 1례와 패혈증 및 다발성 장기부전 1례였다. Traumatic duodenal injury is a relatively rare surgical condition and remains a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roblems to treat until now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0 consecutive patients who sustained traumatic duodenal injury diagnosed by operation of radiologic examination during the 6 years from January, 1985 to Decomber, 1991 at department of surgery, Keim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 reviewed. ·The age incidence was variable but it occurred most frequntly 3th & 4th decades and the sex incidence was 19:1 in favor of male. ·The majority of injury(90%) was blunt abdominal trauma ·Nineteen patients(95%) underwent celiotomy and only 3 case(15%) had an isolated duodenal injury. ·In terms of location of injured duodenum, 2nd portion was injured most frequently and followed by 3rd, 1st and 4th in order of frequency. ·The severity of injury was classified to the Lucas classification, and their surgical managements varied from simple drainage to combined pancreaticoduodenectomy.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pulmonary complications (4), wound infection (3), duodenal fistula (2), intraabdominal abscess (2), wound disruption (1) and stress ulcer bleeding (1), in order of frequency. ·2 cases were died because of massive bleeding and sepsis with multiple organ failure.

      • KCI등재

        "요구하기" 사회적 언어중재가 언어장애 유아의 사회적 언어 자발 표현에 미치는 효과

        황보명,강수균 한국언어치료학회 1997 言語治療硏究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Language Intervention affect the spontaneous social language of language disordered children in the language tharapy room. For this purpose, three preschool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 were selected in the integrated preschool and nonintegrated preschool settings. Social Language Intervention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Request' among the categories of the pragmatic funtion of the social language. Using multiple baseline design accross subjects,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 s 'Reguest' in response to the examiner's mand was measured.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s 'Request' during free-play in the integrated and nonintegrated preschool settings was analyzed to see generalization of newly acquired social language.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s social language was increased through Social Language Intervention for children both in integrated and nonintegrated set tings. However, the generalization effect occurred significantly more often in children treated in the integrated setting. Secondly, Social Language Interven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s speech in 'Suggestion' and 'Action Request' among the subcategories of ' Request.' The other subcategories(i.e., 'Question' and 'Approval Request') stayed almost the same. In addition, children treated in the integrated setting showed better improvement in terms of frequency of spontaneous 'Suggestion' and 'Action Request.' Thirdly, Social Language Interven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 s 'Assertion' social language in children treated in the integrated setting than nonintegrated setting. Finally, Social Language Interven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the spontaneou s 'Response' in children treated in the integrated setting than nonintegrated setting.

      • 상위 범주화 훈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범주화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정숙,강은희,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再活科學硏究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classification ability training to improve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through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trai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 Alzheimer's Disease patients. The examination tool was classification test of superordinate categorizationt, According to the study, The score of the classification test of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got better than before training. As a result,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training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kill to a Alzheimer's Disease patients. 본 연구에서는 상위 범주화가 어려운 중등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상위범주화 훈련을 통하여 상위 범주 분류하기 능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상위 범주화 훈련은 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연구자가 제작한 상위 범주화 분류하기 과제수행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상위 범주화 분류하기 과제 점수가 사전․사후 비교 결과 개선효과가 있었음을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범주화 훈련이 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범주 분류하기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신문을 활용한 회상훈련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성호,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再活科學硏究 Vol.24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effect of SRTP using a newspaper to influence old people who have Alzheimer's Disease(AD) dementia. The concentrate matter,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the effect of language descriptive discourse by using news stories.We made an experiment that would check the effect, before and after testing. Subjects are considered dementia patients, so they were assessed every 5 sessions. We kept the experiment basic, and the rules regarding the subjects during treatment. We used the newspaper of part of the experiment. Newspaper was something that patients had experience with before their diagnosis. They read the paper again and again and could understand the main point of the article. The newspaper effected the treatment by stimulating the sense of sight and hea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we could see the improvement in their ability to express language. In the event, Story Recall Training Program using the newspaper is effective for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t improves their conversation ability of descriptive discourse, by improve in expression of language. 본 연구는 경도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동사스크립트 활동이 경증치매 노인에게 동사 사용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경도의 치매 노인 4명을 선정하였고 동사스크립트 활동은 시장가기, 청소하기, 목욕하기, 농촌생활, 음식 만들기로 구성하였다. 경도 치매노인에게 동사스크립트 활동이 동사 사용 능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 검사의 절차로 진행 되었고 모든 동사스크립트 활동이 종결 된 후에는 1주간의 휴지기 이후에 유지 검사로 진행되었다. 경도 치매노인에게 동사스크립트 활동을 실시한 결과 동사 사용 능력의 향상에서 대상 치매노인 모두 동사스크립트의 활동 전보다 동사스크립트의 활동 후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사 사용 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동사스크립트를 통한 활동이 경도 치매 노인의 동사활용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크립트의 내용이 치매노인에게 친숙한 것을 사용하면 주제에 대한 치매 노인의 이해력이 더 좋아지는 결과를 가져오고 동사스트립트의 전반적인 활동의 이해력이 더 잘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소그룹 놀이 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화용론적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송화,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再活科學硏究 Vol.25 No.2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s making use of small group playing activities on enhancing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million children diagnosed as having autism by pediatric psychologist and expected to have a similar level of language ability and living age. The study was conducted for 4 months that consist of 36 sessions in total - three sessions a week. The AB scheme was used in this study and the assessment procedure was composed of three phases; three times of basic-line assessment of individual children, 6 times of mid-assessment in which 6 sessions consist of 1 unit and two times of assessment of maintenance after 10 days of cessation period in order to identify the maintenance effect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subject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y after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s through small group playing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Second, all the subject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s in 8 subordinates of speech abilities in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y after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s through small group playing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however, the fact that the children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improvements in a speech ability of arousing other's attention is in the same vein that autistic children often have difficulty in attracting attention from people when they initiate conversation with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화용론적 언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소아 정신과에서 경도의 자폐로 진단된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언어적인 수준과 생활연령이 비슷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4개월간 일주일에 3회기씩 총 36회기가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AB설계로 실시하였으며 실험 절차는 각 아동별로 기초선 평가 3회, 중재단계에서 6회기를 1단위로 하여 총 6회의 중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종료 후 유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일 간의 휴지기를 거쳐 총 2회의 유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그룹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 화용론적 언어 능력과 화용론적 언어 능력 하위 영역별 발화 능력에서 향상을 보였다. 화용론적 언어 능력 중에서 상대방을 환기시키거나 부르는 발화에서 향상 정도가 낮은 것은 자폐성 아동들이 대화를 시작할 때 상대방의 주의를 끄는 행동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내는 언어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 추론과제 훈련이 우반구 손상 성인의 추론적 통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금생,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再活科學硏究 Vol.24 No.1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inferential tasks training for right-hemisphere- damaged adults and to determine its effects on improving their inference- integration and generation abilities. The subjects were 3 adults without left-neglect who had brain damage due to a cerebrovascular accident that was restricted to the right hemisphere. Moreover their scores on behavioral observation profile of RICE were within moderate to mild. This inferential tasks consisted of two parts; inferential integration tasks and generation tasks. Integration tasks included picture arrangement and recognizing commonalities and generation tasks had story continuations and comprehension of individual inferences as subtasks. This inferential tasks training was effective on improving inference- integration ability of right-hemisphere-damaged adults. All subjects performed the tasks better after than before the treatment. Additionally, in further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causal arrangement seemed to pose a greater challenge for them than procedural arrang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반구 손상 성인의 저하된 추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반구 손상 성인을 위한 추론과제 훈련을 고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3명으로 모두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들로 우반구가 손상 된지 1년 이상이 되었으며, 우반구 손상에 의한 의사소통장애 평가 검사(RICE)의 행동관찰 프로파일에서 중등도∼경도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4개월 동안 일주일에 2회, 회기 당 40분으로 총 3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평가, 중재,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합과제 훈련에서 공통점 인식하기, 그림 배열하기 하위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개안한 평가지로 각 하위과제별로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 점수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추론과제 훈련이 우반구 손상 성인의 추론적 통합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점 인식하기와 그림 배열하기 하위과제에서 대상자들 모두 사전 평가보다는 사후 평가에서 수행도가 더 나아졌다. 그리고 과제에 따른 그림 배열하기 점수 변화에 대한 이차 분석에서는 대상자들 모두 순차적 순서를 묻는 과제보다는 인과적 순서를 묻는 과제를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