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수균,박선희,백은아,이현혜,최경희,강은희,박은실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44 No.3
본 연구는 후두적출자의 주된 발성방법과 후두적출 경과 시기에 따른 의사소통 태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성인 남자 55명으로 후두암으로 인한 후두적출자들로 구성되었다. 이들에게 실시한 의사소통 태도 설문지는 Erickson의 의사소통 태도 척도-수정판(Modified Erickson Scale of Communication Attitudes: S-24)을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주된 발성방법에 따라서는 인공후두기 사용자와 식도발성자간의 의사소통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후두적출 경과 시기에 따라 10년 초과된 후두적출자들과 10년 이하의 후두 적출자들 간의 의사소통 태도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의사소통 태도의 긍정적 태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습득하여 이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빠르게 재습득 하여 긍정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laryngectomee's communication attitude. 55 laryngectomees, who were in the range of 40 years old to 8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tudy. Communication attitude measurements were taken by S-24(Modified Erickson Scale of Communication Attitude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score of laryngectomees with artificial larynx and esophageal speakers were no significant. Second, score of laryngectomees with over 10 years after latyngectomy and 10 years after latyngectomy were no significant.
XML Signature를 이용한 XML 문서의 암호화와 전자서명 모듈 설계
박수범,강흥식,김상균 인제대학교 2002 仁濟論叢 Vol.17 No.1
In this paper, We propose XML Signature based Encryption and Digital Signature Module for XML Document. Structural method of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Documents take a good deal of advantage that application use both of content and meta-data. Many Vendors and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are going to take a effort that progress XML application. however, during transmitting XML document on Internet, it is viewable by anyone like as general HTML document. If we would keep XML contents from invasion of privacy, then must protect XML document from intrusion. So, we make good use of encryption technique for concealing text node of XML element, and the support of digital signature is XML Signature of W3C.
박상균,강중신,손수상 啓明大學校 醫科大學 1993 계명의대학술지 Vol.12 No.2
저자들은 1985 년부터 만 6년간 계명의대 외과학교실에서 체험한 외상성 십이지장 손상 환자 20례를 중심으로 임상적으로 관찰 분석한 결과 다음가 같은 결론을 얻었다. 21~40세가 11례(55%)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35.5세 남녀비는 19:1이었다. 손상의 원인으로는 둔상이 18례(90%)였으며 관통상이 2례였고 둔상의 원인으로는 교통사고, 추락 및 폭력사고 순이었다. 손상부위는 제 2부가 15례로 가장 많았고 제3부, 제1부, 제4부 순이었다. 진단 방법으로는 단순 X-선 검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gastrografin을 사용한 상부소화관 촬영이 도움이 되었다. Lucas 분류법에 의한 손상분류시 II형이 9례(45%)로 가장 많았다. 17례(85%)에서 총 34가지의 복강내 장기의 동반 수상이 있었으며 췌장, 신장이나 요관, 간장 및 후복막강내 혈종순이었다. 19례에서 개복하여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단순봉합술이 12례(60%)로 가장 많았다. 8례(42%)에서 13가지의 술후 합병증이 발생했으며 폐장합병증이 4례로 가장 많았다. 사망은 2예(10%)였으며 사망원인은 다발성 장기손상에 의한 출혈성 쇼크 1례와 패혈증 및 다발성 장기부전 1례였다. Traumatic duodenal injury is a relatively rare surgical condition and remains as one of the most challenging problems to treat until now because of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A retrospective analysis of 20 consecutive patients who sustained traumatic duodenal injury diagnosed by operation of radiologic examination during the 6 years from January, 1985 to Decomber, 1991 at department of surgery, Keim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was reviewed. ·The age incidence was variable but it occurred most frequntly 3th & 4th decades and the sex incidence was 19:1 in favor of male. ·The majority of injury(90%) was blunt abdominal trauma ·Nineteen patients(95%) underwent celiotomy and only 3 case(15%) had an isolated duodenal injury. ·In terms of location of injured duodenum, 2nd portion was injured most frequently and followed by 3rd, 1st and 4th in order of frequency. ·The severity of injury was classified to the Lucas classification, and their surgical managements varied from simple drainage to combined pancreaticoduodenectomy.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pulmonary complications (4), wound infection (3), duodenal fistula (2), intraabdominal abscess (2), wound disruption (1) and stress ulcer bleeding (1), in order of frequency. ·2 cases were died because of massive bleeding and sepsis with multiple organ failure.
오종희,강수균,조흥중 광주보건대학 2001 論文集 Vol.26 No.-
Although Korean society believes that family has responsibility for supporting the aged traditionally, the changes in modern family system affect such tradition greatly. In other words, tradition that the aged are respected in a large family is disappearing because of change into a nuclear family centering on only parents and their children. However, it may not be a correct solution to the aged problem to attribute the reason of the aged problem to a nuclear family and shift all responsibilities to each old people or individual family. A state and society should be responsible for the aged problem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democracy of the obligation to be secured citizenship. Modern industrial society leads to increase the average span of the aged due to the development of health and medical science. Besides, a phenomenon of increase in the aged makes more non-production population in the light of economy, which brings about young generation's heavy burden to support the aged. Also, it contributes for forming a negative attitude to the ages that regards the aged as those who need support and protection owing to the aged's reduced status. Such negative attitude to the aged results in the aged's alienation from social activities. The negative outlook on the aged reflects an attitude that senescence is a declining period. That is, the aged decline in activity and will caused by the loss of social role as well as physiological function and intelligent ability and it leads to a negative attitude to the aged. The negative outlook on the aged may have an influence on a welfare policy for the aged.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college students' understanding of aging and attitude to the aged.
애니메이션 활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우진,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4 再活科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활용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대해서 수용 및 표현언어 능력 및 어휘다양도에 대한 반응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는 본 프로그램이 언어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사후설계를 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언어장애아동 4명이다. 치료프로그램은 총 8편의 애니메이션을 가지고 시청, 표현, 재구성 단계로 이루어졌다. 언어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애니메이션의 내용에 대한 수용 및 표현언어를 살펴보았고, 수집된 언어샘플을 통해서 어휘다양도를 살펴보았다. 실시결과 연구대상 아동 모두 사전 평가와 비교하여 사후 평가에 수용 및 표현언어가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어휘다양도의 변화는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품사가 차지하는 비율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명사의 빈도가 감소한 반면 동사의 빈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a animation for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was effective. The subjects were 4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The therapy was delivered 80 times for 10 weeks. This program consisted of 8 pieces of animations and re-consisted of watch and expression. This study was a pre-post design. A t-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pre-performances and post performa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animation application was assess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of pre-treatment with post-treatment in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The receptive language and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was increased. Second, the animation applic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mantic aspects of language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treatment and post-treatment in the Type-Token Ratio (TTR).
상위 범주화 훈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범주화 능력 개선에 미치는 효과
김정숙,강은희,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5 再活科學硏究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classification ability training to improve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through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train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3 Alzheimer's Disease patients. The examination tool was classification test of superordinate categorizationt, According to the study, The score of the classification test of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got better than before training. As a result, superordinate categorization training have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skill to a Alzheimer's Disease patients. 본 연구에서는 상위 범주화가 어려운 중등도의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상위범주화 훈련을 통하여 상위 범주 분류하기 능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상위 범주화 훈련은 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 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가도구로는 연구자가 제작한 상위 범주화 분류하기 과제수행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상위 범주화 분류하기 과제 점수가 사전․사후 비교 결과 개선효과가 있었음을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범주화 훈련이 중등도 알츠하이머형 치매환자의 범주 분류하기 개선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소그룹 놀이 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화용론적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송화,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再活科學硏究 Vol.25 No.2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s making use of small group playing activities on enhancing pragmatic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with autis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million children diagnosed as having autism by pediatric psychologist and expected to have a similar level of language ability and living age. The study was conducted for 4 months that consist of 36 sessions in total - three sessions a week. The AB scheme was used in this study and the assessment procedure was composed of three phases; three times of basic-line assessment of individual children, 6 times of mid-assessment in which 6 sessions consist of 1 unit and two times of assessment of maintenance after 10 days of cessation period in order to identify the maintenance effect after completion of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subject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s in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y after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s through small group playing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Second, all the subject children of this study showed improvements in 8 subordinates of speech abilities in their pragmatic language ability after language intervention programs through small group playing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m. however, the fact that the children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improvements in a speech ability of arousing other's attention is in the same vein that autistic children often have difficulty in attracting attention from people when they initiate conversation with them.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그룹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 중재 프로그램이 자폐성 아동의 화용론적 언어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소아 정신과에서 경도의 자폐로 진단된 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언어적인 수준과 생활연령이 비슷한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4개월간 일주일에 3회기씩 총 36회기가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AB설계로 실시하였으며 실험 절차는 각 아동별로 기초선 평가 3회, 중재단계에서 6회기를 1단위로 하여 총 6회의 중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의 종료 후 유지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0일 간의 휴지기를 거쳐 총 2회의 유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그룹 놀이 활동을 통한 언어 중재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대상 아동 모두 화용론적 언어 능력과 화용론적 언어 능력 하위 영역별 발화 능력에서 향상을 보였다. 화용론적 언어 능력 중에서 상대방을 환기시키거나 부르는 발화에서 향상 정도가 낮은 것은 자폐성 아동들이 대화를 시작할 때 상대방의 주의를 끄는 행동에 있어서 어려움을 나타내는 언어적 특성에 기인한 것이다.
추론과제 훈련이 우반구 손상 성인의 추론적 통합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이금생,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再活科學硏究 Vol.24 No.1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inferential tasks training for right-hemisphere- damaged adults and to determine its effects on improving their inference- integration and generation abilities. The subjects were 3 adults without left-neglect who had brain damage due to a cerebrovascular accident that was restricted to the right hemisphere. Moreover their scores on behavioral observation profile of RICE were within moderate to mild. This inferential tasks consisted of two parts; inferential integration tasks and generation tasks. Integration tasks included picture arrangement and recognizing commonalities and generation tasks had story continuations and comprehension of individual inferences as subtasks. This inferential tasks training was effective on improving inference- integration ability of right-hemisphere-damaged adults. All subjects performed the tasks better after than before the treatment. Additionally, in further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causal arrangement seemed to pose a greater challenge for them than procedural arrangement. 이 연구의 목적은 우반구 손상 성인의 저하된 추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반구 손상 성인을 위한 추론과제 훈련을 고안,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3명으로 모두 요양병원에 입원 중인 환자들로 우반구가 손상 된지 1년 이상이 되었으며, 우반구 손상에 의한 의사소통장애 평가 검사(RICE)의 행동관찰 프로파일에서 중등도∼경도로 확인되었다. 치료는 4개월 동안 일주일에 2회, 회기 당 40분으로 총 30회기를 실시하였으며, 사전 평가, 중재,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통합과제 훈련에서 공통점 인식하기, 그림 배열하기 하위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가 개안한 평가지로 각 하위과제별로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그 점수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추론과제 훈련이 우반구 손상 성인의 추론적 통합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공통점 인식하기와 그림 배열하기 하위과제에서 대상자들 모두 사전 평가보다는 사후 평가에서 수행도가 더 나아졌다. 그리고 과제에 따른 그림 배열하기 점수 변화에 대한 이차 분석에서는 대상자들 모두 순차적 순서를 묻는 과제보다는 인과적 순서를 묻는 과제를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신문을 활용한 회상훈련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언어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성호,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6 再活科學硏究 Vol.24 No.1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learn the effect of SRTP using a newspaper to influence old people who have Alzheimer's Disease(AD) dementia. The concentrate matter,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 the effect of language descriptive discourse by using news stories.We made an experiment that would check the effect, before and after testing. Subjects are considered dementia patients, so they were assessed every 5 sessions. We kept the experiment basic, and the rules regarding the subjects during treatment. We used the newspaper of part of the experiment. Newspaper was something that patients had experience with before their diagnosis. They read the paper again and again and could understand the main point of the article. The newspaper effected the treatment by stimulating the sense of sight and hea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we could see the improvement in their ability to express language. In the event, Story Recall Training Program using the newspaper is effective for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t improves their conversation ability of descriptive discourse, by improve in expression of language. 본 연구는 경도의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동사스크립트 활동이 경증치매 노인에게 동사 사용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바탕으로 경도의 치매 노인 4명을 선정하였고 동사스크립트 활동은 시장가기, 청소하기, 목욕하기, 농촌생활, 음식 만들기로 구성하였다. 경도 치매노인에게 동사스크립트 활동이 동사 사용 능력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 검사의 절차로 진행 되었고 모든 동사스크립트 활동이 종결 된 후에는 1주간의 휴지기 이후에 유지 검사로 진행되었다. 경도 치매노인에게 동사스크립트 활동을 실시한 결과 동사 사용 능력의 향상에서 대상 치매노인 모두 동사스크립트의 활동 전보다 동사스크립트의 활동 후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동사 사용 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동사스크립트를 통한 활동이 경도 치매 노인의 동사활용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크립트의 내용이 치매노인에게 친숙한 것을 사용하면 주제에 대한 치매 노인의 이해력이 더 좋아지는 결과를 가져오고 동사스트립트의 전반적인 활동의 이해력이 더 잘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페스트 맵핑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언어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추희영,강수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再活科學硏究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페스트 맵핑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가 단어 능력에 제한을 보이는 자폐아동의 수용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로 진단 받은 아동 3명을 대상으로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단계로 이루어진 AB 디자인을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은 목표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선 평가 단계와 어휘 노출 단계, 어휘 이해 단계, 어휘 산출 단계로 이루어졌다. 평가는 기초선 단계, 중재 단계, 유지단계에서 실시한 어휘력 평가지를 사용하여 수용어휘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상 아동 모두에게 수용어휘력이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페스트 맵핑 프로그램이 자폐아동의 언어습득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is thesis is going to study how the fast mapping program works when the autistic children with limited vocabulary acquire acceptance vocabulary. Three children diagnosed as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chosen as subjects to take AB design made up with baseline stage, intervention stage and follow up stage. The program consists of baseline assessment stage, vocabulary exposure stage, vocabulary comprehension stage, and vocabulary output stage. Vocabulary tests conducted on the baseline stage, the intervention stage and the follow up stage were used to analyze acceptance vocabul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ildren's acceptance vocabulary has been improved. The results show that the fast mapping program affected the autistic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by this study. Firstly, a follow-up study is requir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fast mapping program on semantical language ability as well as vocabulary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