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SI(Socio-Scientific Issues)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경희 ( Kang¸ Kyung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이 연구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의 SSI 관련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J대학교 사범대학 생물교육전공 예비교사 28명을 대상으로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인성적 태도의 하위 영역으로 생태학적 세계관, 사회·도덕적 공감, 사회적 책임감에 대한 응답 분석 결과 모든 영역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성적 태도를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SSI 글쓰기 프로그램 적용 전후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서 사전 사후 검사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SSI 글쓰기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예비 교사들의 인성적 태도와 SSI 교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SSI 글쓰기프로그램을 교사교육과정에 도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SI writing program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 for SSI-related ‘character and values’ and ‘SSI teach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28 pre-service biology teachers at J University's College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aracter and valu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In addition, the ecological worldview, social and moral empathy, and social responsi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SI writ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character and values of proe-service biology teacher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was any change in perception of SSI teaching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SSI writing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perception of SSI teach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SI writ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erceptions for ‘character and value’ and SSI teaching. Therefore, efforts to introduce the SSI writing program into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re needed to cultivate character and values, and to raise perception of SSI teaching.

      • KCI등재

        Development of Storytelling Program for Science Learning Utilizing Local Myths as Contents

        Kang, Kyunghee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10 No.3

        Existing science education that excludes narrative thinking impedes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workbook content.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based on narrative thinking to elevate learners' interest in science and expand their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Following an analysis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eight types of storytelling materials that utilize local content were developed for grades 7-9. The learning program used quest storytelling and was designed such that learning activities such as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experimentation were included in the process of solving each quest. Learners experienced an interest in storytelling learning resulting from participation in this storytelling-learning program. Moreover, learners demonstrated inven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stories.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torytelling materials, the students interacted with enthusiasm and generated ideas. The teachers indicated a positive feedback to the storytelling program as a new attempt to stimulate learners' interests. In the future, with continuou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orytelling-science-learning programs that base science learning on narrative thinking are expected to be successful.

      • KCI등재

        수치심의 건설적 역할에 관한 고찰

        KANG KYUNGHEE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4 No.1

        수치심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논의가 팽배한 현상은 상대적으로 수치심의 도덕적 역할에 대한 인식을 약화시킨다. 수치심은 자신이 수치를 느끼는 감정소지자이면서 자신에 대한 가치평가를 반영하는 자의식적 감정인 동시에 타자의 시선을 매개로 한다는 점에서 타율적인 감정이기도 하다. 이러한 이중적 인지구조는 수치심의 도덕적 역할에 대한 논란의 원인이 된다. 이 글은 수치심은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평가판단을 구성요소로 하는 감정이며, 건설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마사 누스바움의 수치심 분석을 도구로 이를 위한 방법을 탐구한다. 누스바움은 수치심을 원초적 수치심과 건설적 수치심으로 구분한다. 원초적 수치심은 완전성을 지향하는 욕구와 외접해 있으며 나르시시즘적 좌절에서 유래한다. 이런 이유로 완벽주의는 원초적 수치심을 강화하는 기제로 작용한다. 반면에 건설적 수치심은 자신들이 지닌 삶의 방식과 책임에 대한 비판적 성찰의 결과로 갖게 된다. 수치심이 건설적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원초적 수치심이 우리에게 배경감정으로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완전성에 대한 욕구를 자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글은 원초적 수치심을 지양하면서 수치심이 건설적 역할을 할 수 있는 토대로 자존감과 자기 인식의 확장을 제시함으로써 수치심의 도덕적 역할에 대한 환기를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assessment Accur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in Microteaching

        Kang, Kyunghee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This study is to analyze correspondence between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of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the microteaching process and how the trend is associated with science teaching efficacy. During microteaching, pre-service teachers reflected well on technical aspects in self-assessment. Evaluators in peer assessment during microteaching pointed out class demonstration in very detail. The number of those whose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nalysis results corresponded with each other was 6. The number of those with an underestimation tendency whose self-assessment scores were lower than peer assessment scores was 2. The number of those with an overestimation tendency whose self-assessment scores were higher than peer assessment scores was 2.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self-assessment accur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result was tha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hose who had a corresponding result and of those who had an underestimation tendency did not notably differ. Also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correspondence group and overestimation group did not notably diff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 framework to analyze accuracy of pre-service teachers’ self-assessment by comparing peer assessment and self-assessment in teacher training courses. This study also may be utilized in verifying the effects of self-assessment and peer assessment as a factor that can influence science teaching efficacy. 이 연구는 마이크로티칭 과정에서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일치도를 분석하고, 그 경향성이 과학교수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마이크로티칭 동안 예비교사들은 자기평가에서 수업 기술적 측면에 대해 반성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크로티칭 과정 중 동료평가에서 평가자들은 동료예비교사의 수업 시연에 대해 세부적인 내용까지 지적했다. 자기평가와 동료평가 분석 결과 평가 일치 경향을 나타낸 예비교사는 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 보다 낮게 나타난 과소 경향의 예비교사는 2명,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평가 점수보다 높은 과대경향의 예비교사는 2명이었다. 자기평가 정확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을 비교한 결과 일치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들과 과소 경향을 보인 예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일치 경향 집단과 과대 경향 집단의 과학교수 효능감도 차이가 없었다. 이 연구는 교원 양성 교육과정에서 동료평가와 자기평가 등 다면적 평가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자기평가의 정확도를 근거로 과학교수효능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 KCI등재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 기초 연구 - 누스바움 감정론을 중심으로 -

        KANG KYUNGHEE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1 No.-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guidance to improve one's life by observing and exploring the emotional experience. The disjunction between thought and emotion not only gives one a narrow understanding of one's actions, but also hinders one's journey to human flourishing. Emotion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offers us the opportunity to face what we value, to change our thoughts and actions, and consequently takes us a step closer to human flourishing. I selected the emotional theory of Nussbaum as the basis for ‘Philosophical Counseling through Self-Comprehension and Emotional Experience’ to deline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as a means of developing philosophical counseling. To do so, I first describe the outline of Stoic emotional theory and of Nussbaum's emotional theory, and then expo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in section two. Emotional theory of Nussbaum, largely based on that of Stoic’s, stems from the position of cognitivism. But Nussbaum argues that something emerging from the attachment to external things does not always imply that such emotion is unreasonable, and realization of the holistic life needs to embrace human's imperfection and not exclude emotional life. Section three depicts how emotional experience can act as the passage of self-comprehension referred to in the statement in section two. Emotion informs what is valuable to us; the intensity of the felt emotion depends on the eudaimonistic evaluation. In section four, I propose how to deal with such emotional experience in philosophical counseling, explicating how to apply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comprehension to the steps of counseling by capturing one scene from the novel “Kim Jiyoung born in 1982”. 이 글은 사고와 감정을 분리시키는 것은 행위에 대한 이해를 편협하게 할 뿐만 아니라 행복한 삶을 향한 여정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염려에서 출발하여 감정경험을 관찰하고 탐색함으로써 삶을 개선시키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정경험은 우리에게 자신이 귀중하게 여기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우리로 하여금 사고와 행위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행복한 삶을 향해 한걸음 더 다가가도록 하는 계기가 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논자는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 기반 철학상담’의 이론적 근거로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채택하고, 철학상담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감정경험과 자기이해의 상관관계를 해명한다. 이를 위해 제2절에서는 스토아학파의 감정론과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소개하고, 이 둘이 갈라지는 지점을 지적한다. 누스바움은 스토아학파의 감정론을 기초로 하여 감정이란 믿음과 판단을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하며 지향적 대상을 갖는다는 인지주의적 입장을 취한다. 그러나 누스바움의 감정론은 외적인 것에 대한 애착으로 생겨난다는 사실이 감정이 반드시 비합리적이라는 결론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고, 온전한 삶은 인간의 불완전함을 인정하고 감정적 삶을 배제하지 않을 때 실현된다고 보는 점에서 스토아학파의 감정론과 차이를 보인다. 제3절에서는 제2절에서 지적한 내용을 토대로 감정경험이 어떠한 방식으로 자기이해의 통로가 될 수 있는지를 보인다. 감정이 자기이해의 통로가 되는 근거는 자신이 중요하다고 가치를 두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는 점과 감정적 반응의 강렬한 정도의 차이는 행복주의적 가치평가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제4절에서는 소설 『82년생 김지영』의 한 장면을 포착하여 감정경험을 통한 자기이해가 철학상담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임으로써 상담에서 감정경험이 다루어져야 하는 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시 도시재생 공공디자인 사업 키워드 분석 방법에 대한 연구 : 텍스트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강경희 ( Kang Kyunghee ),지용규 ( Chi Yong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정책의 문제 극복을 위해 서울시에서는 도시재생 공공디자인 사업을 시행 중이다. 디자인 컨셉 설정 단계에서는 앞선 사업의 현황 파악과 키워드 도출을 위해 문헌조사, 인터뷰 등의 방법을 이용해 조사하는데, 이러한 방법은 일부 자료만을 다루며, 방향 설정과 작업 시간을 연장시켜 디자인 결과물에 영향을 미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텍스트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키워드를 추출하고, 특성을 알아봄으로써 기존 조사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도시재생 공공디자인 사업의 과업내용서와 제안요청서를 연구의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대상지는 근린재생일반형인 장위, 신촌, 창3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시재생의 의미와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서울형 도시재생과 공공디자인 사업에 대해 파악하였다. 대상지에 따른 공공디자인 핵심 키워드를 알아보기 위해 데이터 전처리를 하고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해 텍스트마이닝 단계에서 빈출 단어를 추출하였다. 이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하여 키워드의 중심성을 계산하고 시각화하여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도시정비 사업은 지역 불균형을 초래하였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도시재생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지의 공공디자인 사업의 지원사업 유형은 가로환경과 기반시설이 가장 많았다. 셋째, 각 대상지의 물리·환경적 기반에 따라 공공디자인 사업의 유형은 차이가 있었다. 넷째, 분석을 통해 대상지에 따른 키워드와 단어의 군집을 도출하였으며, 특징을 유추했다. 선정 대상지에 따라 사업의 방향과 특징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연구 대상지에 따라 주민의 의견을 반영한 공동체 역량 강화, 활동 공간 연계, 지역 적용 등을 공공디자인의 중심 방향으로 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디자인 컨셉 설정 및 작업 단계에서의 기존 조사 방법의 한계를 텍스트마이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 해소할 수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단시간에 객관적이고 거시적 관점의 키워드와 특성을 파악하였다는 데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urban polic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is implementing an urban regeneration public design project. In the design concept setting stage, research is conducted using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search and interview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preceding project and derive keywords. These methods only deal with some data, and their limitation is that they affect the design results by extending the orientation and working time.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solve the issues faced in the existing investigation methods by extracting keywords using text min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Method) In this study, the task contents and proposals of the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public design project were used as research materials, and the target sites were set as Jangwi, Sinchon, and Chang3, representing general type of neighborhood regeneration. In addition, the meaning and changes in urban regeneration were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Seoul-type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projects were identified. To identify important keywords of public design by the target locations, data was preprocessed and the infrequent words were extracted at the text mining stage using a statistical program.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we calculated and visualized the centrality of keywords to derive keywor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urban reorganization project brought about regional imbalance, and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emerged to resolve this. Second, the most frequent types of support projects for public design projects in the study sites were street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projects. Third, the types of public design projects differ according to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nature of each target site. Fourth, clusters of keywords and words by the target location were drawn through analysis, and characteristics were inferr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roject in the selected destinations.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community capacity enhancement, activity space linkage, and regional application must be the core focus of public design, reflect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in each research sit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keywords and characteristics of an objective and macroscopic viewpoint in a shorter time by checking whether the methods of text min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can be resolved b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rvey methods in setting design concept and working stage.

      • KCI등재

        포트폴리오 활용이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강경희 ( Kyunghee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6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6 No.2

        이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가 예비 과학교사의 반성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 과학교사들의 포트폴리오에 나타난 내러티브 탐구를 활용하였다. 또한 내러티브에 나타난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 차원과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기 초에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는 대부분 초점차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즉각적이고 기술적이었다. 학기 말에 실시된 분석 결과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가 질문 차원과 변화 차원으로 점차 확대되었다. 대부분대해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 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대화적이고 변혁적인 수준으로 높아졌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들은 포트폴리오 활용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높이기 위해 교사교육과정에서 포트폴리오 평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rtfolio application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For the purpose, we used narrative inquiry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ortfolios. We also analyzed the dimensions and level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was mostly centered on focu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In addition, they exhibited routine and technical levels of reflective thinking.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flective thinking showed it as gradually extending to the dimension of inquiry and dimension of change by the end of semester. Here, the level of reflective thinking was higher at the dialogic level and transformative level.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how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making portfolios. However, they answered positively about application of portfolio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introduce portfolio assessment in teacher education courses in order to increase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 KCI등재
      • KCI등재

        예비 생물교사의 교육실습 수업에 나타난 담화 구조 분석

        강경희 ( Kyunghee Kang ) 한국생물교육학회 2021 생물교육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course structure that presented in the practicum lesson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For this purpose, the class discourse was analyzed for the classes of 9 pre-service biology teachers. Question-answer relationship was classified into independent relationship, parallel relationship, insertion relationship, and reorganization relationship, and discourse types were classified into non-interactive/authoritative, non-interactive/dialogic, interactive/authoritative, and interactive/ dialogic typ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arallel relationship was the most used among the question-answer relationships, followed by the independence relationship, the insertion relationship, and the reorganization relationship. In the discourse type analysis, the interactive/authoritative discourse type was used the most, followed by the interactive/ dialogic discourse and the non-interactive/authoritative discourse type. I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discourse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 class discourse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was biased towards a specific form. This showed that pre-service biology teachers lack the ability to use various question-answer relationships and discourse types in clas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service biology teachers should be able to develop effective class discourse management skills through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trategies related to class discourse in the teacher education process in order to develop the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biology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