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신치료 집단 Supervision 경험

        임효덕,강석헌,김승업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0 신경정신의학 Vol.29 No.4

        The author reviewed the 32 tape recordings of successive series of psychotherapy group supervision sessions, and studied the reaction of supervisee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group supervision sessions were conducted by a psychotherapy supervisor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February 1988 to July 1989. Twenty-one psychiatric residents and one co-supervisor participated. Each session ran 90 minutes once every other week. A supervisee's psychotherapy case was reported and it was followed by group discussion, supervisor's interventions and summary remarks. The tape recordings were analyzed in terms of most frequent mistakes and shortcomings of psychotherapy practice. The author distributed a questionnaire to find the reactions of the participants to the supervision sessions. The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frequent mistake and the lack of therapeutic ability indicated by the supervisor were therapeutic interchange without clear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nuclear emotions or central dynamics, the therapist's inability for empathic understanding and the therapist's lack of genuine interest in the patient. In terms of the technical shortcomings of the resident therapists, insufficient clarifications of the important issues, the tendency to neglect the formal history taking, frequent changes of the topic by the therapists because of their own needs and anxiety, premature interpretations and closed question methods. In the answer of the questionnaire composed of 18 items, all 21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supervision experience wa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oretical as well as practical aspects of psychotherapy, but some reported that the experience was perceived as provoking undue anxiety and even hostility.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group psychotherapy supervision model is suitable for the resident training in psychotherapy and the competence of the supervisor is the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group supervision.

      • KCI등재

        정신과 환자가족의 스트레스지각 및 대응전략

        임효덕,김영환,배성일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0 신경정신의학 Vol.29 No.4

        For the study of coping strategy of the family members of psychiatric patients, the Ways of Coping was administered to 50 individuals of the family members of psychiatric patients and 70 individuals of control group. The instrument is a 30-item questionnaire which measures six forms of coping : confronting, self controlling, seeking social support, accepting responsibility, escape-avoidance, planned problem-solv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rents of psychiatric patients used self controlling and accepting responsibility more commonly than other members of famil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ir use of coping strategies according to types of psychiatric illness of patients. Self controlling was more commonly used by the family members of psychiatric patient with more than 2 years of duration of illness.

      • KCI등재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이양현,임효덕,이종영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4

        최근 감정표현불능증은 정서조절의 장애(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또는 정신생물학적 조절이상(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으로 재개00념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측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러한 장애를 검사할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도구가 없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TAS가 개발되고 뒤이어 TAS-R이 개발되었으며, 새로이 TAS-20이 개발되어 여러 나라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를 인정받았다. 그리하여 저자는 TAS-20을 문화와 언어가 다른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역을 하여 한국에서의 타당도를 검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판 20항목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특징적인 세가지 요인에 따른 감정표현 불능증의 전반적 차원을 확정적 요인 분석으로 검사하였다. 대상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의학과와 간호학과 학생 388명(남자 216명, 여자 1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확정적 요인 분석에서 TAS-20K의 타당도가 독일, 미국, 캐나다에서의 연구 결과보다 더욱 높게 나왔다. 다만 #5 항목은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할 때 “나는 어떤 문제를 단순히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보다는 그 문제의 이유를 이해할려고 노력하는 편이다.”라는 내용으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검사가 더욱 다양한 연령군이나 사회경제적 배경 및 다양한 종류의 질환군을 표본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한국형 척도의 개발을 위해서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 또는 우리 나라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하여 강조되었다. Alexithymia has been reconceptualized as a disorder of emotion regulation or psychobiological dysregulation in humans, and various measur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these measures have been found to lack adequate reliability and /or validity. So, Taylor and others initially developed the TAS, and later developed an improved version of the TAS(the TAS-R). More recent studies led to further refinement of the TAS-R,and to the introduction of a 20-item version(the TAS-20), which has demonstrated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in several countries. The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translate the English questionnaire of the TAS-20 into Korean, so that it will be applicable to Korean society. Next,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the TAS-20K. This study tested a general dimension of alexithymia with a three factor-model in the TAS-20K,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ubject were 388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216 males and 172 females in the medical and nursing school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this study, we found the Korean version of the TAS-20 to be replicable and valid. By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revealed more valid results than the ones obtained in Germany,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Finally, this research should also assess samples of various age groups or various kind of patients The author stres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culture in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foreign scales.

      • 시대에 따른 청소년 망상의 변화

        김양태,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1 신경정신의학 Vol.40 No.2

        연구목적: 저자들은 지난 30년 동안 입원한 청소년 정시병 환자 중 망상이 분명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시대적 변화와 청소년 문화의 변천에 따른 망상의 유형 및 내용의 변화를 알아보고, 청소년 환자에서의 망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경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하였던 청소년 정신병 환자 중 망상이 분명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77년 1월 1일부터 1978년 12월 31일 사이에 입원한 환자 39명, 1987년 1월 1일부터 1988년 12월 31일 사이에 입원한 환자 41명, 그리고 1997년 1월 1일부터 1998년 12월 31일 사이에 입원한 환자 44명에 대한 망상의 주제 및 내용을 비교하였다. 결과: 1) 망상을 나타낸 환자들은 70년대말, 80년대말, 90년대말 세 군 모두 남자의 비율이 여자보다 약간 높았고, 18∼21세 사이의 군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비종교군의 비율이 종교군보다 높았고, 부모가다 살아있는 군이 가장 많았다. 학력은 고등학교가 가장 많았으나, 90년대말이 되면서 대학교 학력을 가진 비용이 증가하였고, 출생순위는 70년대말과 80년대말에서는 중간이 가장 많았으나, 90년대말에서는 장자가 가장 많았다. 2) 망상의 유형은 시대에 따라 의미있게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은 없었고, 가장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것은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순이었다. 망상의 내용은 친구들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가장 많았고,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3) 남녀별 차이점은, 남자의 경우 관계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친구들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초능력을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여자의 경우 과대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초능력을 주제로 한 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4) 연령별로 보면, 18∼21세 경우는 피해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고, 친구를 주제로 한망상의 출현빈도가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12∼147세에서 15∼17세, 18∼21세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망상의 종류 및 내용에 다양해지고 있었다. 결론: 시대에 따른 청소년 문화의 변천은 청소년 정신병 환자의 망상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기관지천식 환자의 정신신체의학적 특성 : Focused on Alexithymia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이종명,김상헌,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적 성격 경향이 정신신체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고유한 성격적 특성인지를 알아보기위해, 단일 신체 질환인 기관지천식 환자군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여러 가지 도구들을 사용하여 감정표현 불능증을 중심으로 한 정신신체의학적 특성들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정상군(30명), 기관지천식 환자(30명), 정신분열증 환자(30명) 그리고 신경증 환자(33명)를 대상으로 하여 각 장애를 가진 환자들의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신의학적 면담과 BIQ, MMPI-A, TAS, 주제통각검사를 실시하였고, 각 군의 특징적인 성격 경향 그리고 내재하는 정신병리를 확인하기 위하여 MMPI와 SCL-90-R을 시행하였다. MMPI와 SCL-90-R에서 각 군은 정상 범위안에 있었는데, 신경증 환자군의 정신병리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정상군이 가장 낮았다.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 환자군은 양 극단 사이의 중간 수준을 보여주었다. BIQ 평균점수에서 기관지천식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다른 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PI-A 평균점수 및 TAS 전체 합산 점수 모두에서 각 군은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주제통각검사에서 신경증 환자군은 가장 많은 정동 어휘를 기록하였지만 정상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비해,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신분열증군 환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정동 어휘 수를 기록하였다(p<0.0001). 즉 기관지천식 환자군은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주제통각검사에서는 신경증 환자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고(p<0.001), BIQ에서는 정상군에 비해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TAS, MMPI-A 검사 상에서는 정상군을 포함한 다른 대조군들과 유의하게 구분되지 않았다. 이러한 소견에 따라 본 연구는 감정표현불능증이 기관지천식 환자군만의 특징적 성격 특성이라는 추정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BIQ는 정상군과 정신신체질환군을 변별하는 데, 그리고 주제통각검사는 신경증군과 정신신체질환군간의 관계를 변별하는 데에는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의 수가 적고 보다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을 대상으로 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4가지 연구 방향을 결론 내릴 수 있을 것이다. 첫째 향후 정신신체의학 연구에 있어서 다양한 집단 속에 존재하는 감정표현불능증을 감별해내는 데 있어서 각 도구들이 가진 특정한 변별 특이성을 고려하여 단일 도구가 아닌 각 도구들의 집합체를 종합적으로 이용해야 할 필요성, 둘째 향후의 연구로서 대규모 임상연구에 의한 정신신체질환과 정신병적 상태와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셋째 외국 검사 도구들의 국내 임상에의 적용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한국화에 대한 연구 그리고 국내 독창적인 도구의 개발, 넷째 감정표현불능증적 경향이 실재로 정신신체질환에만 특정적으로 존재하는 성격적 소인이 아닐 가능성과 이런 방향으로의 국내 정신신체의학 연구 등이 그것이다. 앞으로 다양한 정신신체질환에서 감정표현불능증과 다른 정신과적 질환과의 관계에 대한 다각도의 연구와 함께 한국적인 상황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을 평가하는 보다 신뢰성 있고 타당성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valuate psychosomatic characteristics, especially alexithymic tendency, of the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and to determine whether alexithymia is a uniqu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the patient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order, using various methods developed for measurement of alexithymia. Thirty normal healthy persons, thirty patients with extrinsic bronchial asthma, thirty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irty-three neurotic patients were studied to assess differences in alexithymic tendency using the methods of thirty minute psychiatric interview, BIQ, MMPI-A, TAS and TAT. They were also assessed by MMPI and SCL-90-R to evaluate general personality traits and underlying psychopathology. All the group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the scores of MMPI and SCL-90-R. The neurotic pati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psychopathology, and the normal group the lowest in both inventories. Bronchial asthma and schizophrenic patients, wer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extremes of the scores. The mean score of BIQ in the bronchial asthma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normal group(p<0.05) and no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other groups. The mean scores of MMPI_A and the total scores of TAS showed no difference among all the groups. In TAT the neurotic patients scored the highest in affect word counts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ounts than ther bronchial asthma patients and schizophrenic patients(p<0.0001), while the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persons. That is, in TAT the group of bronchial asthma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the neurotic patients(p<0.0001), and in BIQ it had more alexithymic tendency than that of normal(p<0.05). Bronchial asthma patients were found to express less emotional words than normal persons and neurotic patients, but were not differentiated any more from groups of the schizophrenic, neurotic, and normal by TAS and MMPI-A. The authors with the inconsisten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not confirm the assumption that alexithymia is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patients with classical psychosomatic disease. But we found that BIQ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ormal and psychosomatic disease, and TAT was useful in discriminating between the groups of neurosis and psychosomatic disease with alexithymia construct.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n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diversity of psychosomatic diseases, but in spite of those limit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ome considerations are need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study on the need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tool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 discriminating ability of each tool ; secondly,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ychosomatic diseases and the psychotic state in a large population ; thirdly, a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foreign tools in the Korean culture and on the problem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uch tools ; and a study is needed on the possibilities that alexithymic tendecy is not a specific predisposing factor of personalities with psychosomatic disorder. It is thought that more variegated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diverse psychosomatic diseases and alexithymia, and on the development of reliable tools with validity in the measurement of alexithymia in the context of the Korean culture should be taken in further investigation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자연살해세포 활성

        김병창,정성훈,임효덕,최종혁,전정희,전양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5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 association betwee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altered immunity m North Korean defectors who were more likely to develop medical conditions and other stress-related psychiatric disorders. Methods : Twenty-four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TSD and twenty-two controls without PTSD were recruited from the resettlement and training center for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Peripheral T lymphocyte subsets, natural killer(NK) cells, NK cell activity and plasma hormones (ACTH and cortisol) were obtained from all subjects. We also applied the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AM-D) and Hamilton Rating Scale for Anxiety (HAM-A) for all subjects. Results : We found NK cell activity was relatively lower than number of NK cells in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TSD. Subjects with PTSD had higher HAM-D and HAM-A scores than controls.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CTH. cortisol, CD3, CD4, CD8, CD4/CD8 ratio, CD19 and CD56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North Korean defectors with PTSD show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xiety and impaired or weak immune function in NK cells.

      • KCI등재

        부정적 정서자극에 대한 타액 알파-아밀라제의 반응 특성

        우정민,이상호,임효덕,김상헌,송경은,박정란,이승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8 신경정신의학 Vol.47 No.5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salivary a-amylase reactivity (sAA), as a biological maker of stress, by viewing negative affective pictures. Methods : Forty six normal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rior to the experiment, the participants completed baseline psychological assessment including trait-dependent anxiety scales. On experiment,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one time before and three times after exposure to 5-min stressor consisting 20 negative affective pictures. The state-related scales were measured before and just after exposure to stressor to assess the subjects' state anxiety. Results : Overall, sAA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with the increase of negative affect score and state-anxiety. The Anxiety Scale Inventory scor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baseline as well as the other following sAA levels (all ps<.05) while the scores of the state-related scales were related not with the baselin but with the other followings. The baseline level of sAA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r susceptible group (change of Negative Affect score ?2, N=19) then in the lower counterpart (<2, N=27) in comparison between them (mean : 46.6 vs. 76.5 U/mL, P=.024). After the exposure, the means of sAA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in the lower susceptible group, whereas did not in the higher one (mean : - 1.7 vs. -23.0U/mL, p=.031). Conclusion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baseline level of sAA and its reactivity depend on individual trait of anxiety as well as state of reactivity to affective stress.

      • KCI등재

        한국판 상호애착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Ⅰ)

        김휘중,원승희,임효덕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9 신경정신의학 Vol.38 No.6

        연구목적: 저자들은 West와 Sheldon-Keller가 성인애착을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상호애착척도(Reciprocal Attachment Questionnaire 이하 RAQ)를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적용가능한 척도로 표준화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8년 4월 29일부터 1998년 6월1일까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의학과 및 간호학과 학생 총 483명(남자: 234명, 여자:2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국판 상호애착척도(RAQ-K)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였고 이를 원 저자의 연구결과와 비교하였다. 결 과: 상호애착척도는 `애착 차원 척도`와 `애착유형 척도`로 나누어지는데, `애착차원 척도`는 5개의 하위척도로 이루어지고, `애착유형 척도`는 4개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각 척도별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애착차원 척도`의 경우 높은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하위척도간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하위척도의 내적일치도는 `유용성`과 `이용` 하위척도를 제외하고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유용성` 하위척도는 13번 문항, `이용` 하위척도는 34번 문항이 문항-하위척도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낮았다. `애착유형 척도`의 경우 높은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RAQ-K의 요인분석 결과 `애착차원 척도`와 애착유형 척도` 모두 이론적 구성처럼 두 개의 요인이 전체의 73.9%, 74.8%를 설명하여 높은 구성타당도를 보였다. 결 론: RAQ-K는 `유용성`·`이용` 하위척도를 제외하고 West와 Sheldon-Keller의 결과와 유사한 정도의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보여 주었다. 향후 일부 문항의 재검정과 다양한 연령과 사회경제적 배경을 가진 집단에 대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Reciprocal Attachment Questionnaire-Korean version(RAQ-K). Methods: The authors tested the reliability of dimensional and pattern scales of RAQ-K with Crohnbach`s alpha,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scale correlation, and construct validity with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were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234 males and 249 females in the medical and nursing school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sults; The dimensional scale of RAQ-K proved to be reliable in terms of Crohnbach`s alpha coefficient except Availability and Use subscales,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scale correlation. The pattern scales of RAQ-K were reliable. Both dimensional and pattern scales were valid with two factor orthogonal rotation. Conclusion: The authors found RAQ-K retained available psychometric properties. But further study with some consideration to develop RAQ-K is expected. This research should assess samples of various age groups or various kinds of patients after considering two subscales. The authors stress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n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foreign scales.

      • Clozapine과 Haloperidol이 흰쥐의 미상피각과 측좌핵에서 Proenkephalin, Protachykinin 및 Proneurotensin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이종범,조희중,임효덕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995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 No.1

        Clozapine의 약리장용기전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혀보기 위하여, in situ hybridization의 방법을 이용하여 clozapine과 전형적 항정신병약물인 haloperidol의 장기 투여(28일간)가 흰쥐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 pTAK, pNT의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EN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 많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가 관찰되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들이 유의한 숫적증가를 보였으며(P<0.05). 측좌핵에서는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증가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EN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EN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2. pTAK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가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관찰되었으며 미상피각에서는 외측부에서 내측부보다 더 많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었다. Haloperidol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에서는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 (P<0.05). 측좌핵에서도 대조군에 비하여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유의한 숫적감소(P<0.05) 및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유의한 숫적감소가 관찰되었다(P<0.05).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TAK-mRNA 함유신경세포의 수 혹은 pTAK-mRNA 함유신경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pNT 유전자 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조군의 경우 pNT-mRNA 함유신경세포는 미상피각에서는 매우 드물게 관찰되었으며 측좌핵의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미상피각 및 측좌핵에서 pNT-mRNA 함유신경세포 및 이들 세포상의 은입자수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고, clozapine 투여군의 경우도 대조군에 비하여 아무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clozapine을 장기투여할 경우, ENK, TAK 및 NT의 합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clozapine은 dopamine계나 dopamine계와 관련이 많은 GABA계, acethylcholine계와는 무관한 기전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extra-dopaminergic system과의 관련성이 보다 중요한 기전임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phar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atypical antipsychotics) compared with haloperidol(typical antipsychotics). The author observed the level of proenkephalin(pENK) mRNA, protachykinin(pTAK) mRNA and proneurotensin(pNT) mRNA in the caudate putamen(CP) and nucleus accumbens(NA) of the rat with in situ hybridization histochemistry after chronic treatment for 28 days with haloperido(1mg/kg) and clozapine(20mg/k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aloperidol induced the elevated level of pEN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ENK-mRNA in both areas. 2) Haloperidol decreased the level of pTAK-mRNA in CP and NA, but clozapine mad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vel of pTAK-mRNA in both areas 3) The level of mRNA was not changed in CP and NA after chronic administration of haloperidol or clozapi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ongterm phamacological action mechanisms of clozapine were not related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and might also be unrelated with GABA system and Ach system, which have close connections with the dopaminergic system. So, clozapine is suspected to have a more important effect on the extradopaminergic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