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gnitive Assessment Using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in Patients with Stroke

        Ku, Jeonghun,Lee, Jang Han,Han, Kiwan,Kim, Sun I.,Kang, Youn Joo,Park, Eun Sook Wolters Kluwer Health, Inc. All rights reserved. 2009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 Vol.88 No.9

        Ku J, Lee JH, Han K, Kim SI, Kang YJ, Park ES: Validity and reliability of cognitive assessment using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in patients with stroke. OBJECTIVES:: We asse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virtual environment technology (VET)-based cognitive assessment program that was developed as a measurement tool of cognitive abilities in patients after a stroke. DESIGN:: Twenty participants diagnosed with stroke caused by unilateral brain lesions were enrolled to assess the VET program’s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Participants underwent evaluation by paper-based neuropsychological tests including the Korean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the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Rey-Kim Memory Test, and Kim’s Frontal-Executive Neuropsychologic Test as well as the VET-based cognitive assessment. Major variables and indices of the VET program were calculated. The VET program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from the VET program and conventional paper-based neuropsychological measurements, and the reliability was evaluated by investigating the test-retest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Major variables and indices of the VET program in patients with strok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related scores of paper-based neuropsychological tests. In addition,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alysi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ranged from 0.528 to 0.926. CONCLUSION:: The VET-based cognitive assessment program showed adequate reliability and validity as a method of cognitive assessment in patients after stroke.

      • KCI등재

        한국인의 대일관에 관한 고찰

        김한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88 韓國學論集 Vol.13 No.-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plore the state of Korans Common feelings toward Japanese national character and its changes, in reference to the existing internaion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nan. The approaches to this stndy are based on the sociological and anthropological analyses of the published literatures pertinent to Japanese studies and the outcome of the attitudinal survey conducted during the 15th-24th of August, 1987, and designed to examine the Korean view of Japan as found among the selected students from both D and H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ir parents, and slao, the utillzatin of the important satistical data drawn from both sources-The Chung Ang Daily Press Survey of September 25, 1985 and The International Human Rights News Poll of March 15, 1987. This study includes 2.124 study samples or respondents which can be divided social-categorically into the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groups.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over the two-third of the above respondents who elong to the non-professional expressed very strongly their feelings of animosity toward Japanese whom they consider "Compulsive aggressors", while the approximately one-third of the above total respondents who might be identified with the professional, showed a mild admiraiton for Japanese national character, regarding the Japanese as the most Rind and detrmined people. He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se respondents as the professinal intellectuals in Korea, have had, at least in last ten years a much more experience in cultural contact with Japanese, compared with the non-professinal respondents. This seems to indicate that as more cultural contact he has, proportionately less ethnocentric he will be In short, this study shows that there is a clear-cur correlation between the cultural contact and cultural relativism. Next, this study demonstrater a generation gap between the selected colleg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value judgement against the politi-cal-economic alliance between Korea and Japan. That is to say, 31.4% out of 51 student respondents have showed a positive approval of this alliance, while only 13.5% out of 37 parental respondents have endorsed it perhaps, a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t can be stated that the public sentiment of Anti-Japanism in Korea is still deeply rooted there as a social heritage and so that most Koreans tend to view the Japanese ethnically as the most compulsive people in the world, who are preoccu-pied with "repressed unconscions feelings of aggression". Their uiews of the Japanese, according to this study, are quite similar to those perspectives on Japanese national character that were offered more than fourty years ago by some western scholars, notably the worldly-Known social anthropologists Geoffrey Gorer (Transaction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Series Ⅱ, Vol. V, PP.106~24, 1949) and Western Ja Barre ("Some Observations on Character Structure in the Orient: The Japanese", Psychiatry, Vol. 8, 1945, P.326).

      • 직업적 연폭로에서 혈중 연량 수준에 따른 선별검사로서의 혈중 ZPP 검사의 타당도

        한구석,안현철,김용배,리갑수,김화성,황규윤,장봉기,이성수,안규동,이병국 순천향대학교 산업의학연구소 1999 순천향산업의학 Vol.5 No.1

        In order to evaluate the validity of current screening criteria of lead exposure and to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the better health management of lead workers, author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blood lead and blood zinc protoporphyrin(ZPP) and evaluate the validity of blood zinc protoporphyrin as the screening test and blood lead as gold standard of diagnostic test. The total of 2245 lead workers (male workers: 1982, female workers : 263) from 12 lead using industries were studied. Blood lead, ZPP,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selected as lead exposure variables. Personal information on sex, age and work duration were also checked. Blood lead was measured with flameless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model: Hitachi 8100) using standard addition method. Blood ZPP was measured with portable hematoflurometer (model: Aviv 206).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ean blood lead of all lead workers were 0.7±14.3㎍/㎗(Male: 31.0±14.4㎍/㎗, Female: 28.2±12.9㎍/㎗), whereas the mean blood ZPP of those were 68.1±47.5㎍/㎗(Male: 63.9±43.7㎍/㎗, Female: 100.1±61.0㎍/㎗). The mean value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of all lead workers were 14.5±1.5g/㎗(Male: 14.7±1.3g/㎗, Female: 12.3±1.2g/㎗) and 45.4±3.6(Male: 46.2±2.8, Female: 39.5±3.1) respectively. 2. Validity of test using blood zinc protoporphyrin as screening test for blood lead levels of 30㎍/㎗ as gold standard of diagnostic test revealed that the highest validity value for male and female lead workers were 50 and 90 ㎍/㎗ of ZPP respectively, showing 50 and 60 ㎍/㎗ of ZPP for all lead workers. While those test for blood lead levels of 40㎍/㎗ as gold standard of diagnostic test revealed that the highest validity value for male and female lead workers were 60 and 90 ㎍/㎗ of ZPP respectively, showing 60 ㎍/㎗ of ZPP for all lead workers, those test for blood lead levels of 50 and 60㎍/㎗ as gold standard of diagnostic test revealed that the highest validity value for male and female lead workers were 60 or 70 and 100 ㎍/㎗ ZPP respectively, showing 60and 70 or 80 ㎍/㎗ of ZPP for all lead workers. 3. Predictive value of test using blood zinc protoporphyrin as the screening test for different blood lead levels of 30, 40, 50 and 60㎍/㎗ as gold standard of diagnostic test revealed that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screening test were decreased by the increase of blood lead level regardless of csreening criteria value ZPP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screening test were increased accordingly regardless of screening criteria value of ZPP. On the other hand, within same blood lead level as a gold standard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inceased by the increase of screening criteria value of ZPP, whereas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decreased accordingly by the the increase of screening criteria value of ZPP. 4. The correlation analysis of all lead workers among study variables revealed that CPbB and natural log transformation ZPP(LZPP) were better correlated with other variables and found to be better estimate than PbB and ZPP themselves. The age was correlated with all other variables, but the work duration was no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ale and female workers among study variables revealed the same results with all lead workers. 5. The slope of simple linear regression of CPbB (independent variable) with ZPP in female workers(3.223)was steeper than in male workers(2.144). That of lead workers with work duration of less than 1 year was steeper than that of lead workers whose work duration was more than 1 year. But there was no slop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their work duration of 2 years less and more. The slope of simple linear regression of CPbB lead (independent variable)with ZPP in lead workers whose blood lead were higher than 30㎍/㎗and 40㎍/㎗ were steeper than those whose blood lead were less than 30㎍/㎗ and 40㎍/㎗. 6. The slope of simple linear regression of CPbB (independent variable) with ZPP in lead industries with low mean blood lead were less steeper than those with high mean blood lead. 7. The slope of simple linear regression of CPbB (independent variable) with LZPP in female workers(0.0308was steeper than in male workers(0.0253). That of lead workers with work duration of less than 1 year was steeper than that of lead workers whose work duration was more than 1 year. But where was no slop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their work duration of 2 years less and more. While the slope of simple linear regression of CPbB lead (independent variable) with LZPP in lead workers whose blood lead were hogher than 30㎍/㎗ was not steeper than those whose blood lead were less than 30㎍/㎗, there was no slop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hose blood lead were less than 40㎍/㎗ and more than 40㎍/㎗. 8. The slope of simple linear regression of CPbB (independent variable) with LZPP in lead industries with low mean blood lead were less steeper than those with high mean blood lead,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n that of CPbB and ZPP. With above results, it is recommended that the screening criteria value of ZPP should be down to 60-70㎍/㎗ from 100㎍/㎗ for male lead workers and screening criteria of ZPP for female lead workers was all right with current value of 100㎍/㎗. So it is recommended to make different screening criteria of ZPP for male and female workers like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screening criteria. It is also preferable to use CPbB and LZPP rather than uncorrected PbB and ZPP in the evaluation of lead exposure for lead workers.

      • KCI등재

        단섬유 인장시험을 이용한 상용 탄소섬유의 기계적 물성

        조한익 ( Han Ik Joh ),송해경 ( Hae Kyung Song ),김기영 ( Ki Young Kim ),구본철 ( Bon Cheol Ku1 ),강필현 ( Phil Hyun Kang ),이성호 ( Sung Ho Lee ) 대한금속재료학회(구 대한금속학회) 201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51 No.12

        Abstract: In this study, mechanical properties of commercial carbon fibers were evaluated using a single filament tensile test with various fiber gauge lengths. Tensile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 decreasing length of the test specimens possibly due to small defect sites. The compliance method provided more accurate moduli of the carbon fibers, removing system errors during the single filament tensile test. The Weibull modulus revealed that shorter specimens had an inhomogeneous defect distribution, leading to a higher tensile strength and its standard deviation. X-ray diffractograms of carbon fibers showed a similar crystallinity and orientation in spit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iber modulus and strength, indicating that crystalline structure of the commercial carbon fibers used in the study was not attributable to the difference in their tensile properties.

      • 한우에 있어서 GnRH와 PGF_2α에 의한 발정동기화 연구

        강한석,김선구 밀양대학교 농업기술개발연구소 2000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4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some information for the timed insemination program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ows. Korean native cows that didn't show estrus behavior up to 60days after calving were used. Estrus synchtonization was induced by injection of PGF2α and GnRH. The estrus synchronization rate was 40.0% in treatment of PGF2α- PGF2α and 93.3% in treatment of GnRH- PGF2α -GnRH. All synchronization cows ovulated between 26 and 32hrs after the 2nd injection of GnRH and the highest ovulation rate was shown at 28hrs after the 2nd injection of GnRH. The highest pregnancy rate was shown in case of artificial insemination at 24hrs after the 2nd injection of GnRH. The pregnancy rate was 50.7% in treatment of PGF2α - PGF2α and 76.9% in treatment of GnRH- PGF2α -GnRH.

      • 교육대학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柳漢九,金良賢,宋光鏞 서울 敎育大學校 1994 論文集 Vol.27 No.-

        1) 교육대학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은 이상적 초등 교사상의 정립 과정으로 파악될 수 있다. 즉, 교육과정의 변천 과정에서 두가지 서로 다른 교사상을 추출해낼 수 있다. 그 하나는 교사로서의 직무 수행능력이 탁월한 교사이고 다른 하나는 폭넓은 학문적 이해를 갖춘 교사이다. 교육과정의 개정은 항상 이중 어느 하나가 지나치게 소홀히 취급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추진되곤 하였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교육과정 변천 과정이 분명히 보여주고 있는 것은, 이상적 초등교사는 직무수행능력과 학문적 이해를 겸비한 교사라는 점이다. 이 이상적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데 있어서 교대 교육과정은 심각한 난점을 가지고 있다. 교대 교육과정은, 비록 이상적 초등 교사상을 보여주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을 매우 불완전한 형태로 구현하고 있다. 그렇게 말할 수 밖에 없는 가장 중요한 원인은 그동안의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서 직무수행 능력과 학문적 이해를 이상적 교사의 두 측면으로 파악하지 않고 별개의 실체로 파악한 데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지금까지의 개정에서는 직무수행 능력을 함양하는 과목과 학문적 이해를 제공하는 과목이 따고 있다는 가정하에 주어진 학점수 범위내에서 그것들 사이의 상대적 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그 주된 과제이었다. 그 당연한 결과로, 과목 한자하나가(적어도 그 과목이 전공영역에 속하는 것이라면)직무수행 능력을 길러주면서 동시에 그 직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높여주는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는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초등교육에 대한 전문적 능력과 학문적 이해는 각각 서로 다른 과목에 의하여 길러지는 서로 다른 능력이 아니다. 이 사실은, 초등 교육학 및 초등 교사 교육학의 발전과 더불어, 교육과정상의 각 과목의 성격에 대한 보다 심층적 분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2) 교육대학 교수진의 주요특징은 고령화와 고경력화, 그리고 상위교수직급의 과다 등으로 요약된다. 이것은 교육대학이 사범학교에서 4년제 대학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학생증원이 거의 없어, 교육대학 초기에 화보되었던 교수규모를 계속 유지해오면서 정년퇴임에 따른 교수증원 외에는 교수의 추가충원이 적었기 때문이다. 교수진의 이와같은 특징은 교수들간에 친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안정적인 학교분위기를 조성하기는 하나, 학교가 침체되기 쉽게한다. 교육대학 교수들의 주요과업은 수업, 생활지도, 연구 사회봉사 및 행정참여 등이다. 그리고 교육대학의 교수정원은 학급당 교수정원 산정방식에 의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학생정원의 변동에 따른 신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편으로 법정정원상의 교수충원조차도 기피한 결과 교육대학의 현 교수확보율은 매우 낮은 형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간강사 의존율은 다른 국립대학보다 오히려 낮아 전임교원의 수업부담은 과중한 편이다. 교육대학은 대부분이 소규모의 단과대학이고, 사범학교 시절의 학급담임교사제의 전통이 남아 있는 반(과)지도교수제를 실시함으로써 교수와 학생간에 긴밀한 유대관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학생생활지도에 있어 큰 장점으로 작용하나, 교수들에게는 과중한 지도부담이 된다. 교육대학 교수들은 초등교사양성에 강한 사명감을 가지며, 초등교육학 및 교과교육학 연구에 탁월한 업적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당한 자부심을 느끼면서, 이들을 토대로 교육부, 교육청, 교육연구기관, 초등학교 등에 전문적인 봉사를 한다. 3) 1983년 부터 1992년 까지 10년간 H교육대학에서 H교육대학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리검사 및 실태조사 결과들을 종합 분석하여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지능지수는 110점 정도로서 중상에 속한다고 볼 수 있고, 평균 지능지수에 있어서 남녀간에 현격한 차이는 없으나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약간 높은 편이며, 지능지수에 있어서의 개인차는 남학생 집단이 여학생 집단보다 약간 큰 편이다. 적성검사 결과 교육계열에서 과반수 이상이 높은 적성을 보이고 있으며 인문사회계열 보다는 자연계열에서 더 높은 적성을 보였고, 예체능 계열에서는 '86년도 '87년도'91년도의 미술계열만을 제외하고는 과반수 이상이 높은 적성을 보이고 있으며, 예체능 계열중 미술계열에서 비교적 작은 적성을 보이고 있다. 조사된 7개년도 모두에서 그리고 교육계열, 예체능계열 모두에서 적성이 높다고 판정된 학생의 비율은 남학생 보다 여핵생이 더 많았다. 인성검사 결과를 집단의 평균점수로만 해석한다면 사회성 Ⅰ, Ⅱ, 대응성, 적응성, 명랑성, 정서적 안정성, 지도성 모두에서 원만하다고 말할 수 있으나 75 이상의 극단적인 점수를 보이는 학생이 매년 10%∼20% 정도 있어 이들에 대한 성격 교정 프로그램의 운영을 필요로 한다. 성별로 비교해 보면 7개의 인성 하위용인 모두에서 대체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에 입학한 동기로서 교육내적인 요인(예 : 교원이 되고 싶어서)보다는 교육외적인 요인 (예 : 취직이 보장되기 때문에, 학비가 적게 들어서)을 더 많이 저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런 경향은 남학생 집단 보다는 여학생 집단에서 더 심하다. 교직은 보람있고 해볼만한 직업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의 비율이 80%이상 된다. 여학생 집단보다는 남학생 집단이 교직에 대하여 보다 더 적극성을 띄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교직에 대한 견해가 입학할 당시에는 회의적이었으나 현재는 긍정적으로 변한 학생의 비율이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4개 학년의 평균비율이 40.2%에 이른다. 이는 교육대학에서 실시중인 교직관에 대한 교육의 효과가 긍정적이라고 해석될 수 있으나, 교직에 대한 견해가 입학할 당시에는 긍정적이었으나 현재는 부정적으로 변한 학생도 16%에 이르고 있어 관심을 두고 그 원인을 밝혀 예방을 위한 program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교대생으로서의 긍지는 입학년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50.4%에서 53.6%의 학생이 자랑스럽다고 반응했다. 성별 차이를 보면 여학생 보다는 남학생 쪽에서 더 긍정적이었다. 불만이라고 반응한 학생은 42%에서 11.8%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남학생 보다는 여학생 쪽에서 더 많은 부정적 반을을 나타냈다. 교대생으로서의 만족도도 입학년도에 따라 다소의 차이가 있으나 64.7% 에서 73.1%의 학생이 만족한다고 반응했다. 교대생으로서의 긍지와 만족도를 조사한 년도가 다르므로 단정적인 해석은 내릴 수 없지만 위의 현상으로 보아 교육대학 학생은 교육대학 학생이 된 것에 대한 긍지보다는 만족도에서 더많은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다. 이와같은 현상은 성별에 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4) 초등교육의 양적팽창에 따른 양적 충원 위주의 초등교원양성정책은 교육대학에 대한 행정이나 재정지원에 있어서도 질높은 우수한 교사의 양성보다는 계획된 인원의 교원 배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짐으로써 교육대학 교육과정의 정상적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인 교육여건을 충분하게 마련애 주지 못하고 있다. 대학 행정에서의 의사결정과정은 대체적으로 민주적이나, 사회전반에 보편화된 권위주의적 풍토로 인해 교수들의 참여가 저조하고, 회의 운영방식의 미숙으로 효율성이 떨어지며, 교수 직선에 의해 선출된 총학장들은 민주적 지도성을 발휘하고자 노력하나 반면에 과감한 결단력과 추진력이 미흡한 경향이 있다. 교육대학에는 기획과 평가업무를 전담할 수 있는 기획실이 없어서 교육대학의 장·단기 종합발전계획이나 행정전반에 대한 종합적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대학의 기능수행을 위한 조직으로서의 학생조직, 교수조직, 행정조직이 아직까지도 사범학교나 2년제 교육대학시절의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교육대학의 재정은 국고지원이 전체예산의 7할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나, 정부의 고등교육예산에서 교육대학에 대한 지워비율이 점차로 줄어들고 있으며, 일반대학에 상응하는 재정지원을 받지 못해 그 지원규모가 빈약하고, 그나마도 예산총액 중 인건비 비율이 매우 높아 장기적인 대학발전이나 학생복지증긴을 위한 투자는 극히 제한되어 있다. 5) 국민하교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태도, 교사의 교수수행에 대한 자신감, 교육대학 심화과정 운영의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생활지도 및 학급경영에 대한 교대 교육의 효과 등에 관해 질문지의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직자발성, 교직만족도, 교직전문성에 대한 교사의 태도는 중간수준이기는 하나 교직에 대한 전문성, 즉, 초등교육 교사직이 전문성을 띄고 있는 직업이라는 인식이 낮으며, 전문성에 따르는 활동에 참여하려는 의식이 낮다. 교과지도에 대한 지신감은 교사의 성, 교과명, 지도활동 영역 사이에 상화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예체능 과목 중 남자교사는 체육교과의 전 지도 활동영역에서, 여자교사는 음악, 미술교과의 전 지도 활동영역에서의 유의미하게 더 높은 자신감을 보였으며, 남자교사는 도덕, 산수, 사회, 실과교과에서, 여자교사는 저학년 과목인 통합교과에서 더 높은 지신감을 보였고 상기 교과에서 남자교사는 교수방법과 평가방법에서, 여자교사는 내용이해와 자료제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교육경력 그 자체는 교사의 교과지도(음악, 미술교과 제외)에 대한 자신감을 넣어 주는데 효과가 있는 것 같으며, 주로 교수방법과 평가방법의 지도 활동영역에 영향을 미치는것 같다. 심화과정 이수가 그에 관련된 교과지도 혹은 교육활동에 도움을 주었다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백분위 점수로 75.21점). 이 반응은 심화과정에 ㄸ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서 체육교육, 미술교육, 음악교육, 과학교육, 수학교육 심화과정 출신자들이 보다더 높은 긍정적 반응을 보였으나, 윤리교육, 초등교육, 심화과정 이수자들의 긍정적 반응은 매우 낮았다. 심화과정 이수가 특히 자신감을 가져다 주는 영역은 내용이해라고 반응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그 다음이 교수방법이었고 자료제작은 가장 적었다. 특별활동 지도에 더 높은 자신감을 지닌 교사는 여교사 보다는 남교사, 2년제 교육대학 출신교사보다는 4년제 교육대학 출신 교사였다. 또한 예체능 교과와 관련이 있는 심화과정 운영의 효과는 특별활동의 기능영역에 자신감을 주는데 효과적이었다. 교육경력, 출신대학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교사들이 높은 자신감을 나타낸 교과는 주지교과에서 산수교과, 예체능 교과에서 음악 쳬육교과, 통합교과에서는 슬기로운 생활이었고, 낮은 자신감을 보인 교과는 주지교과에서 도덕교과, 예체능교과에서 미술과, 통합교과에서 바른생활이었다. 국민학교에서의 아동 생활지도와 관련된 교육대학 교육의 효과에 대하여는 대부분의 교사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백분위 점수로 36.3점), 교사들의 리더쉽 유형은 허용적 유형의 교사가 가장 많았고(50.9%), 그 다음이 권위적(민주적) 교사(36.8%)였다. 즉, 교사들은 아동에게 애정은 있지만 통제적이거나 요구적이지 않은 교사가 가장 많았다. 고경력 교사(교직경력 25년 이상의 교사)들은 4년제 교대출신교사(신입교사)들의 교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에 대하여 긍정적인 평가(반응자의 64.8%)를 하고 있는 편이었으나, 교사양성과 관련하여 교육대학에서 역점을 두어야 할 점에 대하여는 인간교육 그리고 교직사명감을 기르는 교육을 가장 많이 강조하였고, 각기의 교사가 특기와 전공을 지닐 수 있는 교육을 그 다음으로 많이 강조했다.

      • KCI등재

        운동이 비만 여성의 심근산소소비량과 심전도 QTc 간격에 미치는 영향

        이혁종,박윤정,김용권,한구석,진영수 대한스포츠의학회 1999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ercise staining on MVO_2 and electrocardiogram QTc interval in obese woman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method for weight loss. Subjects were fifteen obese women for this study. 8 subjects were prolonged QTc interval group and 7 subjects were normal QTc interval. They participated in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exercise at A Medical Center. The body composition including Boyd Weight, BMI, WHR and % Body Fat was measured. The resting and exercise(Bruce protocol 7th min) rate-pressure product(RPP) could be measured with HR and systolic BP for MVO_2 measurement. The electrocardiogram QTc interval was calculated with Bazzett's formula using automated software program. The measured data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fter participating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exercise, Body Weight, BMI, WHR and % Body Fat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two groups. (p<.05). 2. After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exercise, the resting and exercise MVO_2 using RPP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two groups(p<.05). 3) After participating in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aerobic exercise and weight training exercise, the electrocardiogram QTc interval were decreased but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prolonged QTc interval group. (p<.29). However,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rolonged QTc interval(p<.00).

      • KCI등재

        이중혈류유발 심폐소생술이 심정지를 유발한 개의 단기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황성오,조준휘,강구현,김성환,문중범,이강현,이승환,윤정한,최경훈,홍은석 대한응급의학회 2000 대한응급의학회지 Vol.11 No.3

        Background and Objectives: We previously reported that, compared with standar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CPR), better hemodynamic effects could be achieved by simultaneous sterno-thoracic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SST-CPR) in which we compressed the sternum and constricted the thorax circumferentially during the systolic period by using a device.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whether SST-CPR, compared with S-CPR,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dogs with cardiac arrest. Subjects and methods: Twenty-five mongrel dogs(19∼31㎏)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fter four minutes of ventricular fibrillation induced by an AC current, animals were randomized to resuscitate with either S-CPR(n=13) or SST-CPR(n=12). Epinephrine(1 ㎎) was injected into the right atrium every three minutes after the beginning of CPR. Defibrillation was attempted after 6 minutes of CPR. Standard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was started if defibrillation was not successful. Results: SST-CPR resulted in significantly(p<0.001) higher systolic arterial pressure(91±47 vs 47±24 ㎜ Hg), diastolic pressure(43±24 vs 17±10 ㎜ Hg), coronary perfusion pressure(35±25 vs 13±9㎜ Hg), and end tidal CO2 tension(9±4 vs 3±2 ㎜ Hg). Two of 13 animals(15 %) resuscitated with S-CPR and six of 12 animals(50%) resuscitated with SST-CPR survived until 12 hours after cardiac arrest(p<0.05). Donclusion: SST-CPR, compared with S-CPR, improves the short-term survival rate in canine cardiac arrest.

      • Pooled nucleic acid testing to identify antiretroviral treatment failure during HIV infection in Seoul, South Korea

        Kim, Sun Bean,Kim, Hye Won,Kim, Hyon-Suk,Ann, Hea Won,Kim, Jae Kyoung,Choi, Heun,Kim, Min Hyung,Song, Je Eun,Ahn, Jin Young,Ku, Nam Su,Oh, Dong Hyun,Kim, Yong Chan,Jeong, Su Jin,Han, Sang Hoon,Kim, Ju Informa Healthcare 2014 Scandinavian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Vol.46 No.2

        <P><I>Background</I>: There have been various efforts to identify less costly but still accurate methods for monitoring the response to HIV treatment. We evaluated a pooling method to determine if this could improve screening efficiency and reduce costs while maintaining accuracy in Seoul, South Korea. <I>Methods</I>: We conducted the first prospective study of pooled nucleic acid testing (NAT) using a 5 minipool + algorithm strategy versus individual viral load testing for patients receiving antiretroviral therapy (ART) between November 2011 and August 2012 at an urban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The viral load assay used has a lower level of detection of 20 HIV RNA copies/ml, and the cost per assay is US$ 136. The 5 minipool +algorithm strategy was applied and 43 pooled samples were evaluated. The relative efficiency and accuracy of the pooled NAT were compared with those of individual testing. <I>Results</I>: Using the individual viral load assay, 15 of 215 (7%) plasma samples had more than 200 HIV RNA copies/ml. The pooled NAT using the 5 minipool + algorithm strategy was applied to 43 pooled samples; 111 tests were needed to test all samples when virologic failure was defined at HIV RNA ≥ 200 copies/ml. Therefore, 104 tests were saved over individual testing, with a relative efficiency of 0.48. When evaluating costs, a total of US$ 14,144 was saved for 215 individual samples during 10 months.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9.5% for all samples with HIV RNA ≥ 200 copies/ml. <I>Conclusions:</I> The pooled NAT with 5 minipool + algorithm strategy seems to be a very promising approach to effectively monitor patients receiving ART and to save resources.</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