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기분만진통 임부와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의 정맥혈장내 산화 스트레스 지표

        김윤하 ( Yoon Ha Kim ),노은지 ( Eun Ji Noh ),백주아 ( Ju A Back ),김종운 ( Jong Woon Kim ),송태복 ( Tae Bok Song ) 대한주산의학회 2015 Perinatology Vol.26 No.4

        목적: 조기분만진통 및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의 정맥혈장내 산화능과 항산화능의 차이를 비교하고 산화 스트레스가 조기양막파열의 병태생리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방법: 75명의 임부를 대상으로 정맥혈을 채취하고 원심분리 후 혈장을 얻었다. (1) A군, 정상 임부 24명, (2) B군, 조기분만진통 임부 25명, (3) C군,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 임부 26명. thiobarbituric acid 반응을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물 농도를 측정하였고, 2,4-dinitrophenylhydrazine 방법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carbonyl 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ORAC)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Mann-Whitney U test, Kruskal 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B군과 C군의 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 치는 A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며(B군: 4.59±0.30, C군: 5.40±0.22 vs. A군: 3.90±0.26 nmol/mg protein, P<0.05), C군의 정맥혈장내 지질과산화 치는 B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C군의 정맥혈장내 carbonyl기 함량은 A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으며(C군: 5.68±0.42 vs. A군: 5.43±0.41 nmol/mg protein, P<0.05), A군과 B군간의 carbonyl기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능에 있어서는 B군과 C군이 A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으며(B군: 117.91±0.48, C군: 111.68±1.23 vs. A군: 119.14±1.12 mM/mL, P<0.05), C군이 B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5). 결론: 만삭 전 조기양막파열시 조기분만진통에 비해 정맥혈장에서 산화적 변화가 증가되어 있었으며 항산화능은 감소되어 있었다. 이는 조기양막파열시 산화적 스트레스가 증가되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xidation and antioxidation capacity in the maternalvenous plasma of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and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PPROM), andalso to evaluate their roles in the pathophysiology of PPROM. Methods: Seventy five women in the following categories had venous blood retrieved: (1) Group A, normal pregnancy (n=24). (2) Group B,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n=25). (3) Group C,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n=26). Malondialdehyde (MDA) levels as a marker of lipid peroxidation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protein carbonyl content by 2,4-dinitrophenylhydrazine reaction,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ORAC) were measured. Mann-Whitney U test, Kruskal-Wallis test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B and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group B: 4.59±0.30, group C: 5.40±0.22 vs. group A: 3.90±0.26 nmol/mg protein, P<0.05). Lipid peroxide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B (P<0.05). Protein carbonyl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A (group C: 5.68±0.42 vs. group A: 5.43±0.41 nmol/mg protein,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rotein carbonyl levels in the venous plasma between group A and B. ORAC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B and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A (group B: 117.90±0.48, group C: 111.68±1.23 vs. group A: 119.14±1.12 mM/mL, P<0.05). ORAC levels in the venous plasma of group C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group B (P<0.05). Conclusion: In the blood of the women with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the lipid peroxidation was increased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was decreased compared to women with normal pregnancy and 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xidative stress was increased in 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s.

      • SCIESCOPUSKCI등재

        OGLE-2017-BLG-1049: ANOTHER GIANT PLANET MICROLENSING EVENT

        Kim, Yun Hak,Chung, Sun-Ju,Udalski, A.,Bond, Ian A.,Jung, Youn Kil,Gould, Andrew,Albrow, Michael D.,Han, Cheongho,Hwang, Kyu-Ha,Ryu, Yoon-Hyun,Shin, In-Gu,Shvartzvald, Yossi,Yee, Jennifer C.,Zang, Wei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2020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53 No.6

        We report the discovery of a giant exoplanet in the microlensing event OGLE-2017-BLG-1049, with a planet-host star mass ratio of q = 9.53 ± 0.39 × 10-3 and a caustic crossing feature in Korea Microlensing Telescope Network (KMTNet) observations. The caustic crossing feature yields an angular Einstein radius of θE = 0.52 ± 0.11 mas. However, the microlens parallax is not measured because the time scale of the event, tE ≃ 29 days, is too short. Thus, we perform a Bayesian analysis to estimate physical quantities of the lens system. We find that the lens system has a star with mass Mh = 0.55+0.36-0.29 M⊙ hosting a giant planet with Mp = 5.53+3.62-2.87 MJup, at a distance of DL = 5.67+1.11-1.52 kpc. The projected star-planet separation is a⊥ = 3.92+1.10-1.32 au. This means that the planet is located beyond the snow line of the host. The relative lens-source proper motion is μrel ~ 7 mas yr-1, thus the lens and source will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in 10 years. After this, it will be possible to measure the flux of the host star with 30 meter class telescopes and to determine its mass.

      • KCI우수등재

        아파트 외장색채의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아파트 외장색채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

        하주아,이청웅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11

        Considering Gwangju City, the spatial sphere of this study(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apartment exterior color), has beautiful natural scenery, surrounded by background mountains like folding screens, as well as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such as Confucian Academy, old houses, etc., it is thought from researcher's view that the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studded throughout the cit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in the aspect of the local sentiment and scenery color of the South more than other cities. Thus this study recognizes the need of research on a color palette which will be used as a design material of apartment exterior color in Gwangju. For the first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apartment exterior color and the changes in distribution after considering problems of apartment exterior color by period. The study on the apartment exterior color in Gwangju consists of five stages as shown Fig.1. Chapter 1 and 2 of this study will be focused on the analysis and under standing of the changes in color by period of Stage 1. First, Chapter 1 of Stage I will examine the characteristics(H V/C) and the present state of the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constructed during the 1990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s. Second, Chapter 2 will analyze the exterior color of apartments constructed in 2003 in the aspect of the colorimetry and analysis by the present state and the changes in color by period.

      • 건축물 색채 디자인에 관한 연구(Ⅰ) : 광주직할시 아파트 외장색채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Exterior Decoration Color of Apartment in the KwangJu City

        이청웅,하주아 조선대학교 국토개발연구소 1994 국토개발연구 Vol.14 No.2

        Since the aspects of the colors of exterior decoration for our buildings have been considered as the area carried out by the sense and institution of a designer, it has resulted in a visual chaos and mostly painted with monotonous and dim colors such as gray and pale yellow for their exterior decorations. The primary color roofs we can easily see in the improved village struture of our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nd the improvement of house and other low leveled environment of our country. And the apartments which will be extended to our local areas without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colors should not repeat many evils on the urban beauty and so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scientific and systematic color planning and design.

      • <i>SlPMEI</i>, a pollen-specific gene in tomato

        Kim, Woong Bom,Lim, Chan Ju,Jang, Hyun A.,Yi, So Young,Oh, Sang-Keun,Lee, Ha Yeon,Kim, Hyun A.,Park, Youn-Il,Kwon, Suk-Yoon Canadian Science Publishing 2014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Revue canadienn Vol.94 No.1

        <P> Kim, W. B., Lim, C. J., Jang, H. A., Yi, S. Y., Oh, S.-K., Lee, H. Y., Kim, H. A., Park, Y.-I. and Kwon, S.-Y. 2014. SlPMEI, a pollen-specific gene in tomato. Can. J. Plant Sci. 94: 73-83. Pectin i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plant cell walls, and its biosynthesis is controlled by pectin methylesterase (PME). Pectin methylesterase inhibitors (PMEIs) are key regulators of PME. We report here the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Solanum lycopersicum L. PMEI gene, SlPMEI. RT-PCR studies of leaf, seed, fruit, flower, and flower organs confirmed that SlPMEI is expressed specifically in pollen. Promoter analysis of SlPMEI revealed pollen-specific cis-acting elements (pollen lat52 and g10). In addition, SlPMEI is expressed independently of abiotic stress, pathogen exposure, and growth stage in tomato, and a histochemical analysis of promoter activity revealed pollen-specific expression in both Arabidopsis and tomato. Under the microscope, we observed pollen-specific GUS expression in the stamen of transgenic tomato pl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moter of SlPMEI has strong pollen-specific activity, and could therefore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industrially and agronomically important transgenic plants. </P>

      • KCI등재후보

        일 지역 흡연자들의 금연클리닉에 인식 및 기대정도

        민순 ( Soon Min ),김혜숙 ( Hye Sook Kim ),김경미 ( Kyoung Mi Kim ),하윤주 ( Yun Ju Ha ),김은아 ( Eun A Kim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9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5 No.2

        본 연구는 G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지역주민 중 흡연자를 보건소에서 운영하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실태 및 인식과 기대정도를 조사하여 금연클리닉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파악하여 금연 실천율을 높이고 국민건강증진에 가여 하고자 연구되었다. 그라나 흡연자의 급연클리닉 인식과 기대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비교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본 연구결과만을 중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지의 금연클리닉 이용관련특성을 빈도별로 파악한 결과, 금연클리닉을 다녀 볼 생각이 전혀 없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67.5%였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금연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이미 인지된 상태라고 간주함 때 이러한 결과는 금연 필요성의 부족의 문제가 아니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부족이 원인이라 생각하고 홍보가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금연클리닉에 다니는 어떤 혜택을 응답한 경우가 71.7%였고, 금연클리닉을 주도적으로 국가가 예산을 들여 이 사업을 하는 줄 알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에 모른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전체의 54.7%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국가적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금연클리닉의 정보를 제공하고 홍보할 수 있는 대중매체 등과 같은 구체적 방법들을 마련하여 금연 클리닉의 적극적인 홍보와 정보를 제공해야 할 젓으로 생각된다. 금연에 실패한 흡연자도 다시 등록시켜 금연실천 성과와 관련된 결과들로 도출되어야 하며, 재등록 횟수가 높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낮다고 보고한 Song,Ju와 Kyung (2008)의 연구 결 과에서처럼 활용실태를 파악하여 신규등록자뿐만 아니라 재등록 자에 대한 관리방안도 같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 한 조사들이 선행됨으로 금연클리닉의 높은 성공률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본다. 금연클리닉의 가장 적합한 장소로는 직장 근처 47.4%, 보건소 20.3%, 공공기관 15.5% 정도로 나타났는데, 이는 Ha (2008) 의 연구에서 군대 내 외부 보건소에 의한 이동 금연클리닉이 효율적인 군병원 금연정책 및 금연교육의 종류 중의 하나로 선정 한 결과와도 비슷한 결과이다. 사회에서 직장은 흡연 전파의 장소일 뿐 아니라 금연 확산의 요지이기도 하므로 직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금연교육도 중요한데, 국내외 연구 중 직장근로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7-10% 정도(Hyun & Jung, 2002)로 저조한 편이다. Lee (2004)의 연구에서도 학교 내 금연상담실 설치하여 금연을 유도하기 위한 실천프로그램을 제시한 결과와 비슷한 결과로써 대상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과 근접 성을 고려하여 장소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보건소 같은 한정된 장소 보다는 대상자 중심의 운영방식으로 대상자가 있는 곳(산업장, 대학교 등)으로 직접 방문하여 홍보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여겨진다. 금연클리닉을 처음 접하게 해준 매체로는 방송이 36.8%, 친 구와 이웃이 20.1% 순으로 나타나 대중매체를 통한 홍보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대중매체를 통해 금연클리닉에 대한 메시지를 전혀 접한 적이 없거나 모른다고 응답한 경우가 61.6% 정도로 높은 결과로 나타나 적극적인 홍보 방안이 간구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Cho와 Song (2006)은 금연동기 에 따른 금연성공률이 TV, 라디오, 인터넷 등 광고를 통해 금연클리닉 등록동기를 갖은 경우에 금연성공률이 가장 높았다는 결과를 고려할 때 다른 무엇 보다 대중 매체를 통한 홍보의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 중 먼저 연령에서는 다른 연령에 비해 60대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Kim Kim, Park, Kim과 Koo (2007)는 큰로자 건강증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건강증진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난 것을 볼 때 나이가 들수록 자신의 건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되는 경향과 함께 60대가 상대적으로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어 대중매체를 접할 수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 판단하였다. 따라서 직장 생활을 주로 하는 30대,40대,50대의 인식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직장 출퇴근이 잦은 교통의 요 지에 현수막이나 대중교통 수단에 홍보 문구를 삽입하는 방안을 적용해 보는 방법도 효과적 일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직장 단위의 이동클리닉에서 직장 내 함께하는 금연문화 조성과 동시에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자가 금연클리닉에 대한 인식정도가 가장 높았다. Choi와 Lee (1994)의 연구에서 근로자의 가정과 연계한 가정통선문, 전화상담, 유인물 제공 등의 지지기반 구축 방법이 금연프로그램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볼 때, 이는 가족 은 각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강한 유대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족성원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정보전달이 다른 곳 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 졌으리라 사료된다. 따라서 가족성원의 인구 분포가 가장 많은 학교에서 보건소 금연클리닌에 대한교육 과 함께 유인물 등이 배포된다면 가족성원으로의 전달력과 그 효과도 더 할 수 있을 것이다. 거주 지역에서는 남구와 서구에서 금연클리닉 인식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나머지 지역인동구, 북구와 광산구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주택이 분산된 타 구역과는 달리 지역 특성상 남구가 아파트 밀집지역이 많아 정보공유가 더 쉽게 일어난 것으로 사료되며, 각 구별로 활동 중인 보건소 금연클리닉 에 대한 홍보사업이 얼마나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의 결과와 비교하여, 금연클리닉 인식정도와 금연 성과에서 얼마나 관련성이 있는지 추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직업과 관련한 금연클리닉의 인식 정도는 서비스직이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전문직 사무직 순이었는데, 이는 서비스직 같이 근무 장소가 자유로운 직업군에서는 금연클리닉에 대한 홍보 및 정보를 더 많이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았기 때문일 것이라 사료되고, 전문직 및 공무원, 사무직 같이 근 무 장소가 한정되고 유동성이 없는 작업일수록 금연클리닉에 대한 정보전달이 늦은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직업과 직종에 따라 차별화된 홍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가 운동과 등산과 걷기를 즐겨하는 군의 금연클리닉 인식 정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수영, 골프 순이었는데, 이는 Hwang (2008)이 대학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운동실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높아진다는 것과 비교할 때 몸을 많이 사용하며 운동 하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 유형별로는 등산과 걷기는 장시간 동행자들과 함께하거나 쉼터에서 무리 지어 운동하면서 서로 정보전달에 더 효과적이었으리라 사료된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금연클리닉 기대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로 볼 때 먼저 결혼 상태에서는 기혼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Kim 등(2007)의 연구결과에서 미혼보다 기혼 의 경우 건강증진 활동 실천율이 높은 것과 비교해 볼 수 있었고, 일반적으로 가족 내에서 흡연자의 위치가 가장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의 건강이 가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 이미 알려진 간접흡연 피해와 함께 가족성원들의 지지로 인하여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가 상승한 것으로 사료된다. 종교는 천주교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그 다음은 불교, 기독교, 종교가 없는 경우 순이었는데, 이는 종교의 유무에 따라 금연클리닉에 대한 기대와 관심 정도로 보이며, 종교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적극적으로 금연을 실천해야 하는 의무를 가짐으로 기대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2005년도 통계청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 종교를 가진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한다고 보고되었는데 어떤 종교이든 종교적 특성상 그 종교 안에서 신앙을 함께 하는 사람들끼리 신앙적 공동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공동제의 금연을 지지하는 분위기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각 종교단체 단위별로 금연클리닉에 대한 활용방안을 적극 홍보하여 인식정도를 높이는 것도 고려해야 할 방안으로 여겨진다. 여가 운동은 골프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등산, 수영, 걷기, 운동을 하지 않는 군 순이었는데, 이는Hwang (2008)의 여가 운동을 즐기고 있는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당연히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을 것이라 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로 고급 스포츠를 함으로 좀 더 얻어지는 것이 클 것이라는 기대와 관심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vel of expectancy, cognition, and work condition among smokers with respect to the smoking cessation clinic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ver 503 smokers aged 30 yr and in five districts of G city. The researcher and assistants personally visited homes and workplac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November 20 and November 30, 2008 for the survey. Results: The subjects learned to smoke from their friends and started smoking when they were 15 out of curiosity. They smoked more than one cigarette every day. With respect to cognition, 67.5% of the subjects had no intention to utilize smoking cessation clinics, and 71.7% were unaware of their benefits. Those with a high level of cognition regarding smoking cessation clinics were generally in their 60s, married, residents in the Southern and Western Districts, service or technical workers, and hikers. The expectancy for the clinic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married, Catholics, and golfer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cessation may be achieved by increase-ing the level of cognition and expectancy among smokers. In this regard, providing information and implementing positive publicity campaigns targeting families, places of worship, and workplaces may be beneficial.

      • 建築物 外觀의 造形的特性에 關한 基礎 硏究 : 大學圖書館의 形態分析을 中心으로 Focused on the Pattern Analysis of University Libraries

        李晴雄,하주아,朴佶雨 朝鮮大學校 建設技術硏究所 1998 建設技術硏究 Vol.18 No.2

        Visual and perceptual expression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area of sensory and psychological mysticism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o be treated in the type of building by today's scientific systems, perceptual researchers and architectural theorists and more positive and concrete research of it is requir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seeking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xterior of building through the pattern analysis of structure with the object of university libraries and suggesting the basic data and direction which can be a guide in planning university library in future by exami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erceptual and cognitive sides related to pattern property of building. This research seeks the orientation of research through the survey of literatures related and extracts the pattern components of building through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exterior of building. In addition, it extracts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amount of perceptual and cognitive dimension of pattern characteristics of building by means of meaning analysis measurement with the object of actual library users, reveals the correlation of related variables and makes it the standard of evaluating the exterior image of university library by users.

      • 建築物의 窓·戶 特性에 관한 調査 硏究(Ⅰ) : 寺刹建築物 窓·戶 文樣 體系를 中心으로(1) Focused on the patterns of Windows and Doors of Temple Architecture(1)

        이청웅,정원석,하주아 조선대학교 국토개발연구소 1995 국토개발연구 Vol.15 No.2

        This study refers to the materials of existing papers published, arranges them, examines systemat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of temple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s, collects the materials required through literatures, existing plans and field survey, makes the figures obtained based on the materials into the tables and then compares and reviews the results. All kinds of historical divisions of architectural buildings which were accep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only for reference. This study treats the comprehensive things from very primitive private houses to palace architecture and temple architecture from the view point of traditionality, examines their correlations and deals with centrally the temple architectures. Furthermore, the bibliographies which treat the division of external patterns and names of windows and doors and the basic materials of the artistic aspects deeply are very insuffient and further researches about these shall be carried out. So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windows and doors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from the artistic point of view, to pursue its value a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our traditional construction.

      • Poster Session : PS 0868 ; Lower GI Tract : Analysis of Mucosal TNFSF15/TL1A Expression in Korean IBD Patients

        ( Young Ouk Ro ),( Dong Soo Han ),( A Reum Lee ),( Chang Soo Eun ),( Ju Yeon Pyo ),( Young Ha Oh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Background: It has been well known that genetic mutations and the epidemiolog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differ between Asia and the West. However, TNF superfamily member 15 (TNFSF15) gene has been identified as a common susceptibility gene in Asian and Western IBD patients, suggesting that TNFSF15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IBD. TNFSF15/TNF-like cytokine 1A (TL1A) is a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a member of the TNFa superfamily, mainly expressed on activated T cells. We investigated mucosal TL1A expression by immunohistochemistry (IHC) in Korean IBD patients. Methods: TL1A expression was investigated in resected ileal specimens from 8 Crohn`s disease (CD) patients and 8 non-IBD controls by IHC using an affinity-purified monoclonal Antibody against TL1A. TL1A expression was also studied in endoscopically biopsied colonic specimens from 8 ulcerative colitis patients and 8 non-IBD controls. In addition, the mucosal expressions of CD3, CD4, and CD8, T cell markers, were examined in ileal and colonic specimens of IBD patients and non-IBD controls. Results: The expression of TL1A at the protein level was absent or minimal in ileal and colonic tissues from controls. On the contrary, intense expression of TL1A was identified in ileal and colonic specimens from IBD patients. Staining for TL1A was signifi - cantly increased in inflammed area of ileal tissues compared to non-inflammed area from CD patients. CD3, CD4, and CD8 expression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ileal and colonic specimens from IBD patients compared to those from controls. Conclusions: Mucosal TL1A is upregulated in IBD patients, suggesting an important role of TL1A in the pathogenesis of IBD. Further functional studies of TL1A will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athogenesis of IBD.

      • KCI등재

        증례 : 감염 ; 국내에서 발생한 중추신경계 합병증을 동반한 삼일열 말라리아 1예

        권순하 ( Soon Ha Kwon ),궁현정 ( Hyeon Jeong Goong ),이은정 ( Eun Jung Lee ),전민혁 ( Min Hyok Jeon ),김태형 ( Tae Hyong Kim ),박선아 ( Sun A Park ),추은주 ( Eun Ju Choo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3

        A 51-year-old man diagnosed with Plasmodium vivax malaria was transferred to our clinic with newly developed drowsy mentality and myoclonus after the initiation of hydroxychloroquine therapy. Following therapy to treat the vivax malaria and supportive care,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with no sequelae. Cerebral complications caused by vivax malaria are very rare worldwide, and only two cases have been reported in Korea. Here, we report the third published case of P. vivax infection with cerebral complications in Korea. (Korean J Med 2012;82:382-38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