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택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

        류가연(Ga Yeon Ryu),손용석(Yong Seok Sohn)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6

        본 연구는 모바일 영화예매 시 선택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선택전략 유형과 조절모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실험 1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영화예매 시, 선택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선택의 어려움이 선택대안의 수와 선택연기의 매개역할을 하는가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영화예매 시, 선택전략 유형(연속 선택전략 vs. 동시 선택전략)에 따라 선택 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실험 3에서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영화예매 시, 개인적 성향인 조절모드(행동지향적 모드 vs. 평가지향적 모드)에 따라 선택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결과, 실험 1에서는 선택대안의 수가 증가할수록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은 감소하다가 증가하여 선택대안의 수가 늘어날수록 선택(선택연기)하는 비율은 역U자(U자)형태가 나타났다. 또한 선택의 어려움이 선택대안의 수와 선택연기의 매개역할을 하였다. 실험 2에서는 선택대안의 수가 적은 경우, 동시 선택전략을 제시한 경우가 연속 선택전략을 제시한 경우보다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은 높았다. 반면에 선택대안의 수가 많은 경우, 연속 선택전략을 제시한 경우가 동시 선택전략을 제시한 경우보다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실험 3에서는 소비자 성향이 행동지향적 모드인 경우, 선택대안의 수가 증가할수록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은 차이가 없었다. 반면에 소비자 성향이 평가지향적 모드인 경우, 선택대안의 수가 적거나 많은 경우에는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이 높고 보통(moderate)의 경우에는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이 낮았다. 결론에서는 향후 영화어플리케이션과 유사하게 상품구매나 예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개발 시, 기업에서는 선택전략의 유형을 고려하고 적절한 대안의 수를 제시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라고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기업에서 소비자들의 개인적인 성향을 고려하여 조절모드에 따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내 활용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an impact of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on choice deferral, when reserving movies via mobile devices, with respect to the choice strategic type and regulatory mode. First, Experiment 1 investigates an impact of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on choice deferral and explores whether the choice difficulty has the role of mediating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and the choice deferral. Next, Experiment 2 examines an impact of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on choice deferral depending on choice strategic types (sequential choice strategy vs. simultaneous choice strategy) when reserving movies on a mobile application software. Lastly Experiment 3 examines an impact of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on choice deferral depending on individual tendencies of the regulatory mode (locomotion mode vs. assessment mode) when reserving movies on a mobile application software. The result showed that in Experiment 1, as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choice deferral decreased at first and then increased in the next phase. The proportion of choice (choice deferral) showed the curve of inverted U shape (U shape) in the increase of choice alternatives. Furthermore, the choice difficulty playe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and choice deferral. In Experiment 2, in the case that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was small, consumers more likely deferred the choice in simultaneous choice strategy rather than in sequential choice strategy. On the contrary, in the case that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was large, consumers more likely deferred the choice in sequential choice strategy rather than in simultaneous choice strategy. Experiment 3 showed that, when consumers were in locomotion mode, the proportion of choice deferral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s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when consumers were in assessment mode, the proportion of choice deferral was higher in the cases with the large or small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and was lower in the case with the moderate number. As a conclusion, the study presents some implications for the corporation that when developing the application software on product purchasing or reservation, similar to the movie application software in the future, it would be useful to present the optimal number of alternatives depending upon choice strategic types.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 corporation to seek for useful applications in order to offer alternatives relying on the consumer`s regulatory mode. Finally, the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논문 : 무용수의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류가연 ( Ga Yeon Ryu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3 무용역사기록학 Vol.28 No.-

        본 연구는 무용수의 정서지능을 통하여 특수한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가의 직업관에 대한 실질적 인식을 제고하고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무용수의 정서지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정서지능요인 척도를 이용하여 5가지 요인(자기정서인식, 타인정서인식, 정서표현, 정서활용, 정서조절)으로 구분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지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직업무용단에서 근무하고 있는 무용수 및 공연경험이 있는 250명의 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부적절한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36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무용수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서지능 하위요인은 차이가 나타났다. 정서지능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인식, 정서표현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표현, 정서조절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정서표현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으며 조직몰입 또한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무용수가 조직에 몰입하고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용수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며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dancers and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ve abilities - self awareness, soci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 are used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The paper compares the results of thi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n, question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provided to study how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these elements. The surveys used for the scale were conducted to 250 dancers who are working as professional dancers in dance companies and/or are dance majors with stage performance experience. Except for the 14 questionnaires with insufficient responses, 23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abilities among the dancers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Meanwhile, job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self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regulation whil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ffected by emotional expression, emotional utiliz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In particular,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expression, the higher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and tha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s that enhancing dancers`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requires strategies to develop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This further notes the significance of developing emotional intelligence-based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무용공연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류가연 ( Ga Yeon Ryu ) 한국무용기록학회 2014 무용역사기록학 Vol.32 No.-

        이 연구에서는 무용공연 선택속성을 마케팅믹스(4P) 요인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이 어떠한 속성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공연을 관람하는가를 알아보고, 각 요인별 만족도를 파악하여 무용공연 대중화를 통한 관객의 증대와 공연제작 실무자에게 효과적인 마케팅믹스전략을 설정함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무용공연을 한번이라도 관람한 관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13년 10월부터 12월까지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 중 응답내용이 부적절한 33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무용공연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속성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중요도가 만족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IPA 결과, 제1사분면에는 제품(작품)요인, 제2사분면에는 프로모션요인, 제3사분면에는 가격요인, 제4사분면에는 장소요인이 나타났다. 무용공연 선택만족요인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제품(작품)요인, 장소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IPA를 통한 무용공연 기획에 있어 효과적인 마케팅전략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공연기획 및 공연실무자들은 IPA를 활용함으로써 공연예술분야의 경쟁적 위치파악, 개선기회의 포착, 전략적 기획의 가이드라인 도출 등 다양한 마케팅믹스전략에 있어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받을 수 있을 것이다. Focusing on marketing mix factors(4Ps) of choice attributes for dance performances, this study explores the attributes that consumers consider importantly when going to performances. The study also determines satisfaction for each factor to suggest useful implications for setting effective marketing mix strategies of performance production staff and increasing audiences through popularization of performances.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conducted survey of audiences who have gone to dance performances at least once. Totally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October to December 2013. Among them 21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33 questionnaires which were incomplete or unsuitabl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dance performance choice attributes showed differences in all attributes, with importance being higher than satisfaction. The result of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Product factor in Quadrant 1, Promotion factor in Quadrant 2, Price factor in Quadrant 3 and Place factor in Quadrant 4. Among factors having impact on overall satisfaction of dance performance choice attributes, Product factor and Place factor had significant influence. In conclusion, in planning a dance performance through IP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utilizing IPA, performance, planners and performance staff can be provided with useful implications of various marketing mix strategies such as determining competitive position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seizing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and drawing out guidelines for effective planning.

      • KCI등재

        선택연기에 있어 가용성 및 확인편향의 조절역할

        류가연 ( Ga Yeon Ryu ),손용석 ( Yong Seok Sohn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선택연기에 있어 가용성편향(이상점의 가용성이 있는 소비자 vs. 이상점의 가용성이 없는 소비자)과 확인편향(확인편향이 있는 소비자 vs. 확인편향이 없는 소비자)의 조절역할을 분석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친숙하고 실생활에서 자주 경험하는 모바일 영화선택을 사례로 실증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모바일 영화예매 시 선택대안의 수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선택의 어려움의 매개역할과 가용성편향(이상 점의 가용성이 있는 소비자 vs. 이상점의 가용성이 없는 소비자)의 조절역할을 분석하였다. 실험 2에서는 모바일 영화예매 시 매력적 속성정보와 선택연기 간에 확인편향(확인편향이 있는 소비자 vs. 확인편향이 없는 소비자)의 조절역할뿐만 아니라 선호의 불확실성과 확인편향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실험 1에서 소비자는 선택대안이 증가함에 따라 구매할 확률을 높이다가, 어느 수준 이상의 선택대안 의 증가에 대해서는 선택의 어려움을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선택대안이 너무 증가하면 소비자는 그릇된 선택을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과 선택 후 경험하게 될 후회 등으로 오히려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선택의 어려움은 선택대안의 수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의 매개역할을 하였다. 선택대안의 수가 적은 경우는 이상점의 가용성이 있는 소비자가 이상점의 가용성이 없는 소비자보다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은 높았다. 반면에 선택대안의 수가 많은 경우는 이상점의 가용성이 없는 소비자가 이상점의 가용성이 있는 소비자보다 선택을 연기하는 비율은 높았다. 따라서 가용성편향은 선택대안의 수와 선택연기의 조절역할을 하였다. 실험 2에서 매력적 속성 정보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으며, 확인편향은 두 변수 간의 조절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선호의 불확실성과 확인편향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매력적 속성 정보와 확인편향의 상호작용으로 선호의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선택연기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실무자에게 개인적 성향을 고려하고 적절한 선택대안의 수를 제시하는 것이 유용하며 심리적 특성변수를 중심으로 시장을 세분화하여 마케팅활동을 하는 것이 기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마케터들은 소비자들에게 최적의 선택대안을 제시하고, 쉽게 이상점의 가용성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정보제공을 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연구의 한계와 더불어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We investigate a moderating role of availability bias (consumers with an ideal point availability vs. consumers without an ideal point availability) and confirmation bias (consumers with a confirmation bias vs. consumers without a confirmation bias) in choice deferral. To do that, we conduct experiments focusing on the mobile movie choice which consumers are familiar with and can be often experienced in the real life. In Experiment 1, we examine a mediating role of the choice difficulty between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and the choice deferral and a moderating role of the availability bias (consumers with an ideal point availability vs. consumers without an ideal point availability) in the situation where consumers reserve tickets for watching the movie selected via their mobile devices. In Experiment 2, we further investigate an impact of the attractive attribute information on the choice deferral and a moderating role of confirmation bias (consumers with a confirmation bias vs. consumers without a confirmation bias) in the situation where consumers reserve tickets for watching the movie selected via their mobile devices. We also examine the moderation effect mediated by the preference uncertainty and a confirmation bias. The result show that in Experiment 1 the more choice alternatives the more consumers may feel difficult to choose the alternative. The more choice alternatives rendered consumers unable to easily make decision due to anxieties such that they may have a wrong choice or they may experience regrets occurred after the choice. Therefore, choice difficulty has a mediation effect in the impact of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on choice deferral. On the other hand the less choice alternatives the more proportion of consumers with an ideal point availability defer choices than those without an ideal point availability. Therefore the availability bias had a moderating role in the impact of the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on choice deferral. In Experiment 2, the attractive attribute inform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hoice deferral and a confirmation bias had a moderating role. The result analyzing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the preference uncertainty and a confirmation bias shows that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ttractive attribute information and a confirmation bias reduces a proportion of the choice deferral due to a decrease in the preference uncertainty. Finally, we suggest some implications for marketers such that it is important to provide the proper number of choice alternatives considering consumers’individual dispositions and such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promotion strategies of the business to conduct marketing activities by segmenting markets based on psychological variables. In addition, we also discuss that it is necessary for marketers to provide proper information to easily build an ideal point availability.

      • 리눅스 기반 BusyBox를 사용하는 드론 포렌식 연구

        류가연 ( Ga-yeon Ryu ),홍득조 ( Deukjo H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드론 기술이 발전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해지면서 사용 범위와 시장을 더욱 넓혀가고 있다. 또한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포렌식 적용 대상의 범위가 스마트 워치, 스마트 TV 등 우리 생활에 다양하게 자리잡은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포렌식 아티팩트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Busybox 를 사용하는 드론에 대해 중요 데이터 증거를 수집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Key Recovery Attacks on HMAC with Reduced-Round AES

        Ga-Yeon Ryu(류가연),Deukjo Hong(홍득조)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3 No.1

        It is known that a single-key and a related-key attacks on AES-128 are possible for at most 7 and 8 rounds, respectively. The security of CMAC, a typical block-cipher-based MAC algorithm, has very high possibility of inheriting the security of the underlying block cipher. Since the attacks on the underlying block cipher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first block of CMAC, the current security margin is not sufficient compared to what the designers of AES claimed. In this paper, we consider HMAC-DM-AES-128 as an alternative to CMAC-AES-128 and analyze its security for reduced rounds of AES-128. For 2-round AES-128, HMAC-DM-AES-128 requires the precomputation phase time complexity of 2<SUP>97</SUP> AES, the online phase time complexity of 2<SUP>98.68</SUP> AES and the data complexity of 2<SUP>98</SUP> blocks. Our work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it is the first security analysis of MAC based on hash modes of AES.

      • KCI등재

        외래 관광객의 여행방문횟수와 여행결정시기가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류가연(Ryu, Ga Yeon),차재빈(Cha, Jae Bin)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18 서비스경영학회지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ravel related characteristics (i.e., travel frequency and point of time to travel decision to South Korea) on intention to revisit among inbound tourists from Japan and China. This study used a national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A total of 8,548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the hypotheses were tested by conducting Chi-square tests and thre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f tourists’ travel related characteristics and nationality on travel behavioral intention. It also provides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to develop effective strategies for increase intention to revisit among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which are key inbound travel markets to South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policy implications for attracting international touri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