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SNS의 뉴스 콘텐츠 이용동기가 뉴스 콘텐츠 유형별 이용량에 미치는 영향 : 참여행위의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장지연(Ji Yeon Chang),전가영(Ka Young Jeon),유세경(Sae Kyung Yu)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4 No.-

        본 연구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사람들이 어떠한 목적을 가지고 소셜미디어에서 뉴스를 이용하는지 이용 동기를 알아보고, 대표적 콘텐츠 유형별 이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이용자 참여행위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유튜브 뉴스 콘텐츠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다양성을 충족 받고자 하고, 자신과 유사한 견해를 가진 뉴스를 추구한다는 동기가 강했고, ‘좋아요’표시나 댓글 쓰기, 공유 행위 등 참여행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유튜브 뉴스 콘텐츠 이용량에 유사견해의 추구 동기는 매개효과가 없는 직접효과만이 유의하고, 다양성 추구의 동기는 참여행위가 매개되지 않으면 이용량을 예측할 수 없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드뉴스 콘텐츠에서는 편리성 및 맞춤제공의 동기와 습관적 소비 동기가 요인으로 추출되었지만 이용자 참여행위는 이용량에 대해 유의한 효과 없이 이용 동기가 이용량에 모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소셜미디어에 원문 그대로 재매개되는 언론사 뉴스 콘텐츠의 경우 다른 유형과는 차별적으로 시의성 충족의 동기가 가장 중요했다. 최근에 일어난 이슈를 실시간으로 소비하고자 하는 욕구와 더불어 의견 교환 및 견해의 비교 동기 역시 유의하게 나타나 기성 매체의 콘텐츠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에서 새로운 의미로 재가공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재매개된 언론사 뉴스 이용량에 시의성 충족의 동기는 매개효과가 없는 직접효과만 유의했고, 의견교환 및 견해의 비교 동기는 이용자 참여행위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이 연구는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뉴스 콘텐츠 생산과 유통, 소비과정에서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와 참여행위를 고려한 전략을 모색할 수 있도록 돕고, 소셜미디어 뉴스의 균형과 조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motivations for using 3 different news content types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user participatory behaviors that affect the usage of each news content type. Studies have shown that those who use YouTube news content have strong motivation to ‘seek for diversity’ and to ‘pursue news with similar views’. In addition, participatory actions: such as ‘like’, ‘writing comments‘ and ‘sharing‘ mediated ‘seeking for diversity’ motivation and the usage of YouTube news. However motivation for ‘pursuing news with similar views’ had no mediating effect. Card news usage showed that the motivation for ‘convenience and curation’ and ‘habitual consumption’ found to have strong positive relation, but the user participatory behavior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amount of use. Unlike other news contents, original news that are re-mediated via social media show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ivation for ‘timeliness’ and ‘exchanging opinions and comparing views’. This result confirmed that as original news content transported into social media, even if the content do not change the meaning for the usage change. The motivation for meeting ‘timeliness’ was only noted to have direct effects towards the usage without any mediated effects, but the motivation for ‘exchanging opinions and comparing views’ confirmed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user particip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helped to explore strategies that took into account users’ motives and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distributing and consuming news content using social media.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설치류 뇌에서 c-Fos를 이용하여 삼투조절과 관련된 신경회로의 규명

        이영기,박덕배,장가용 제주대학교 생명과학연구소 2000 제주생명과학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생쥐의 중추신경계통에서 고장액에 반응하여 c-Fos에 대한 면역양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Fos의 발현은 면역조직화적으로 검출하고 신경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표식자로 이용하였다. 고장액은 생쥐 뇌의 supraoptic nuclus, median preoptic nucleus organum vasculosum lamina terminalis, sufornical organ, locus coeluleus, nucleus of solitary tract, ventrolateral medulla, parabrachial nucleus 등에서 발현되었다. 특히 retrochiasmatic area의 배쪽 부분에서 많은 c-Fos면역양성의 세포가 관철되었으며, 시상하부의 paraventricular nucleus나 두뇌의 area postrema에서는 c-Fos면역양성세포가 거의 관철되지 않았는데 이들 지역들은 흰쥐에서는 다수의 c-Fos면역양성 세포가 나타나는 지역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생쥐에서 고장액이에 의해 c-Fos면역양성 세포가 나타나는 지역은 흰쥐에서와는 일부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dult mouse to investigate the regional localization of the cells inducing c-Fos immunoreactivity in central nervous system in response to hypertonic saline(HS). c-Fos induction, detected immunohistochemically, was regarded as a marker for neuronal activ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S resulted in dense c-Fos-like immunoreactivity (FLI) in several forebrain and brainstem area. These areas include the supraoptic nucleus(SON), median preoptic nucleus (MnPO), organum vasculosum lamina terminalis(OVLT), subfornical organ(SFO), locus coeruleus(LC), nucleus of solitary tract(NTS), ventrolateral medulla(VLM), and parabrachial nucleus(PBN). In particular, the ventral region of retrochiasmatic area showed numerous and very intensely labeled FLI cells. No FLI or few FLI cells were, however, detected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PVN) and the area postrema(AP) respectively, the regions which revealed very intensive FLI in rat after HS 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FLI induced in response to osmotic stimuli in the mouse brawn has a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 from that of rat brain.

      • KCI등재

        녹내장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한 황반부 신경절세포층의 진단력

        이응석(Eung Suk Lee),장지호(Jee Ho Chang),박태관(Tae Kwan Park),온영훈(Young Hoon Ohn),박가희(Ka Hee Park) 대한안과학회 2016 대한안과학회지 Vol.57 No.6

        목적: 녹내장 환자에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DRI OCT-1, Topcon 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황반부 신경절세포복합체 (macular ganglion cell complex, mGCC)와 황반 신경절세포 및 내망상층(macular ganglion cell inner plexiform layer, mGCIPL)의 두께를 분석해 보고 두 방법의 진단력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4년 8월부터 2015년 7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109명 109안을 대상으로 파장가변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mGCC와 mGCIPL의 두께를 측정하여 정상군, 초기, 진행된 녹내장군 간의 차이를 확인해 보고, 각각의 진단력, 민감도, 특이도를 구하여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circum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cpRNFL) 두께 분석 방법과 비교해 보았다. 결과: 초기와 진행된 녹내장에 대한 area under the curve를 비교해 보았을 때 mGCC는 0.78과 0.99 cpRNFL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GCIPL은 0.70으로 cpRNFL과 초기 녹내장을 진단하는 경우 cpRNFL의 진단력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18),녹내장 진단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mGCC가 0.95와 0.97, mGCIPL은 0.92와 0.97로 측정되었다. 결론: 두 가지 방법 모두 녹내장을 진단하는 데 있어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지닌 진단 방법이나, mGCC의 두께 분석 방법이 녹내장의 초기 변화를 감지하는 데 보다 나은 진단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대한안과학회지 2016;57(6):941-950> Purpose: To evaluate diagnostic ability of macular ganglion cell complex (mGCC), macular ganglion cell inner plexiform layer (mGCIPL) measurements in glaucoma using swept source deep range imag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RI OCT-1, Topcon Co., Tokyo, Japan). Methods: From August of 2014 to July of 2015, 109 eyes of 109 subjects were assessed for the average thickness and sectional thickness of both mGCC and mGCIPL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s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dvanced stage glaucoma group, early stage glaucoma group and normal group in Swept source OCT. Comparisons were also made between the above measurements and circum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cpRNFL) thickness measurements in their diagnostic accuracy,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The diagnostic ability of mGCC based-mean thickness value (area under the curve [AUC] = 0.78/ 0.99) in detecting early stage glaucoma group as well as advanced stage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cpRNFL thickness measurement.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ickness between mGCIPL (AUC = 0.70) and cpRNFL in early stage glaucoma groups (p = 0.018). The sensitivities and specificities of mGCC were 0.95/0.97, and those of mGCIPL were 0.92/0.97,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two swept source OCT based methods measuring retinal ganglion cell layer thickness appeared to have a good diagnostic accuracy,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in detecting glaucomatous eyes. Nevertheless, of the two methods, mGCC thickness measurement was more efficient in detecting early glaucomatous changes.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6):941-950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