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토양세척 후 발생하는 비소오염 탈수미세토의 불용화 및 재활용 평가

        오민아(Minah Oh),문소영(SoYoung Moon),현민(Hyun Min),채희훈(HeeHoon Chae),이재영(Jai-Young Lee) 한국지반신소재학회 2012 한국지반신소재학회 논문집 Vol.11 No.4

        비소는 음이온적인 거동을 가지고 Eh-pH의 조건에 따라 특성이 변화하여 비소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법이 확립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최근 입경분리 식 토양세척을 통하여 비소를 미세토 내로 농축시켜 반출, 처리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때 발생된 미세토는 지정폐기물로 간주,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양세척 후 발생되는 탈수미세토 내 비소를 불용화하고, 이를 매립지 차수재로 재이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비소를 불용화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으로 50% 이상의 함수율과 탈수미세토의 건조중량을 기준으로 8%에 해당하는 FeS가 요구되었고 건조된 탈수미세토 10g 당 0.2ml의 H2O2가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안정적인 반응을 위하여 24시간 이상의 반응시간이 요구되었다. 또한 매립지 차수재로서의 재활용을 위한 실험에서 100% 탈수미세토 기준, 시멘트 3%와 벤토나이트 13%의 배합비로 혼합하여 28일 동안 재령한 공시체가 강도와 투수계수 값이 매립지 차수층의 법적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andardized remediation process for the soil contaminated with arsenic is insufficient due to characteristics of its anionmobility and speciation changed by Eh-pH of soil. One of the well-known efficient remediation processes is the modified soil washing that particle separation process by only water. However, it is required that the treatment plan for the fine soil what was discharged after modified soil washing. Therefore, this research suggests the treatment plan that the recycling method using arsenic immobilization by FeS-H<sub>2</sub>O<sub>2</sub>. The batch experiments results for the arsenic immobilization showed that the water content was at least 50%, the injection of FeS and H<sub>2</sub>O<sub>2</sub> (assay-35%) were 8% (w/watdrybase) and 0.2 mL/10 g of fine soil respectively. Arsenic concentration with KSLT was decreased about 95.4%.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ixing of FeS-H<sub>2</sub>O<sub>2</sub> was highly efficient on the immobilization of As-contaminated soil. The mixing ratio as 13% of bentonite with 3% of cement (at based on 100% of immobilized fine soil) was satisfied with standard of liner for landfill construction.

      • KCI등재

        경상남도 구급대원의 코로나19에 대한 재난대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채여주 ( Yeojoo Chae ),강민아 ( Minah K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에 관한 재난대비 인식도, 감염노출 예방행위, 자기효능감 정도를 알아보고, 재난대비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구급대원 직무교육 참석자 중 1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재난대비 역량은 재난대비 인식도, 감염노출 예방행위, 자기효능감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대비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재난대비 인식도, 재난관련 교육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재난대비 역량에 대한 설명력은 26.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구급대원의 코로나19와 같은 신종감염병 관련 재난대비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구급대원 직무교육 시 재난대응 관련 수업의 체계화된 커리큘럼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수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COVID-19 disaster preparation of paramedics in Gyeongsangnam-do. This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from 138 paramedics who participated in job training for paramedics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BM SPSS statistics 24.0 program.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is related to disaster preparedness awareness, prevention practice against infection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actors affecting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 on disaster preparedness awareness and disaster-related education experience. It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23.6%.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paramedics’s preparation for COVID-19 disaster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curriculum of classes for improve disaster preparedness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ICT 기반 환경모니터링 센서 데이터 검증을 위한 원스탑 플랫폼

        채민아,조재혁,Chae, Minah,Cho, Jae Hyuk ICT플랫폼학회 2021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Vol.9 No.1

        기존 환경측정기기는 전자파 및 친환경 제품 인증, 내구성 시험 위주이며, 센서 신뢰성 검증 및 측정 데이터에 대한 검증은 형식 승인 및 등록, 인수시험, 초기교정, 주기시험 등을 통해 센서 성능평가 위주로 수행된다. 본 플랫폼은 각 타겟 센서별 성능평가 뿐만 아니라 센서의 데이터 신뢰성에 대한 검증체계 지원 ICT 기반 환경 모니터링 센서 신뢰성 검증 체계를 구축하였다. 환경 정보에 대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센서보드를 제작하였고 센서 및 데이터 신뢰성 평가 및 검증 서비스 체계를 규격화 하였다. 또한, ICT 기반 센서 데이터 신뢰성 평가 및 검증을 위해 LoRa 통신을 이용한 센서 데이터 플랫폼 모니터링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고 이를 스마트 시티 등에 실증 테스트하였다. 해당 시스템을 통해 받은 데이터 분석을 위해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신뢰성 검증을 위한 센서 빅데이터 분석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통합 평가 및 검증 시스템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Existing environmental measuring devices mainly focus on electromagnetic wave and eco-friendly product certification and durability test, and sens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measurement data are conducted mainly through sensor performance evaluation through type approval and registration, acceptance test, initial calibration, and periodic test. This platform has established an ICT-based environmental monitoring sensor reliability verification system that supports not only performance evaluation for each target sensor, but also a verification system for sensor data reliability. A sensor board to collect sensor data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was produced, and a sensor and data reliability evaluation and verification service system was standardized. In addition, to evaluate and verify the reliability of sensor data based on ICT, a sensor data platform monitoring prototype using LoRa communication was produced, and the test was conducted in smart cities. To analyze the data received through the system, an optimiz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using machine learning. Through this, a sensor big data analysis system is established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he foundation for an integrated evaluation and verification system is provide.

      • LTE 시스템의 handover 성능 분석

        송종섭(Jong Seob Song),정민아(Minah Jung),채은경(Eun Kyung Ch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5 No.1

        UE(User Equipment)의 이동성을 보장해주기 위해 전파 신호 레벨 및 품질에 따라 handover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설정해 놓은 handover event에 따라 handover의 threshold 가 바뀌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일랜드에서 측정한 전파 데이터의 LTE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사용하여 handover 성능을 분석한다. To ensure the mobility of the UE(User Equipment), the handover phenomenon occurs depending on the level and quality of the radio signal. According to the set of handover event, the threshold of handover is change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handover performance using LTE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of measurement mobile traffic data in Ire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