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Genetic Variations of ABCC2 Gene Associated with Adverse Drug Reactions to Valproic Acid in Korean Epileptic Patients

        이지현,조양제,김원주,이민구,이지현 한국유전체학회 2013 Genomics & informatics Vol.11 No.4

        The multidrug resistance protein 2 (MRP2, ABCC2) gene may determine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adverse drug reactions(ADR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CNS) by limiting brain access of antiepileptic drugs, especially valproic acid (VPA). Ourobjective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BCC2 polymorphisms on ADRs caused by VPA in Korean epileptic patients. Weexamined the association of ABCC2 single-nucleotide polymorphisms and haplotype frequencies with VPA related to adversereactions. In addition, the association of the polymorphisms with the risk of VPA related to adverse reactions was estimated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 total of 41 (24.4%) patients had shown VPA-related adverse reactions in CNS, and the mostfrequent symptom was tremor (78.0%). The patients with CNS ADRs were more likely to have the G allele (79.3% vs. 62.7%,p = 0.0057) and the GG genotype (61.0% vs. 39.7%, p = 0.019) at the g.‒1774delG locus. The frequency of the haplotypecontaining g.‒1774Gdel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s with CNS ADRs than without CNS ADRs (15.8% vs. 32.3%, p= 0.0039). Lastly, in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sence of the GG genotype at the g.‒1774delG locuswas identified as a stronger risk factor for VPA related to ADRs (odds ratio, 8.53; 95% confidence interval, 1.04 to 70.17). Wedemonstrated that ABCC2 polymorphisms may influence VPA-related ADRs. The results above suggest the possible usefulnessof ABCC2 gene polymorphisms as a marker for predicting response to VPA-related ADRs.

      • KCI등재후보

        신경인지재활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지현, 강보라

        이지현,강보라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2019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Vol.11 No.2

        목적: 본 연구는 손 기능이 손상된 급성기 편마비환자에게신경인지재활치료를 적용하여 손 기능과 과제를 수행하는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대상자는 고양시 Y재활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받고있는 환자로 뇌졸중 진단을 받았으며, 실험의 내용을 이해하고 참여 의사를 밝힌 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49세 여성으로 2019년 2월 24일 발병되어 우측 뇌기저핵 부위의 뇌내출혈로 인한 좌측 편마비를 진단받았다. 연구 기간은 2019년3월 18일부터 5월 1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8주 동안 주 5회30분씩 총 40회기의 신경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뇌졸중 상지 기능 검사에서 치료 전 오른쪽32점, 왼쪽 23점, 치료 후 오른쪽 32점, 왼쪽 29점으로 왼쪽상지의 기능변화가 나타났다. 그루브드 막대 검사 결과 치료전 오른손 57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0개)에서 치료후 62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0개)였으며, 왼손은323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2개)에서 126초(수행 개수 25개, 떨어진 개수 0개)로 왼손의 시간 단축과 수행도의증가가 나타났다.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는 오른손 80개에서 81개, 왼손 25개에서 48개로 오른손 1개, 왼손 23개로향상되었다. 결론: 신경인지재활치료가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손 기능및 과제수행의 질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 of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hand function for hemiplegic pati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female patient aged 49 with left hemiplegia caused by intracranial hemorrhage, and the cognitive-therapeutic exercise was applied to her for 30minutes once a day from March 18, 2018 to May 10, 2019. In this study, after neurocognitive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MFT found no change found in the right hand. The left hand improved from 23 to 29 scores. The results of the grooved pegboard test, which evaluated the hand function, were as follows. The right hand performed from 57 seconds (25 performed, 0 dropped) to 62 seconds (25 performed, 0 dropped) after treatment, and the left hand improved from 323 seconds (25 performed, dropped 2) to 126 seconds (25 performed, dropped 0)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BBT, the right hand performed from 81 to 80, The left hand improved from 25 to 48. Neuro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on hand function and task performance in acute stroke patients.

      • KCI등재후보

        A case of Large Left Atrial Myxoma Presenting as Atrial Flutter

        이지현,이규원,김오길,허정호,최병주,최강주,차태준,이재우,김현수 한국심초음파학회 2008 Journal of Cardiovascular Imaging (J Cardiovasc Im Vol.16 No.2

        Cardiac myxoma is the most common benign cardiac tumor and it presents various clinical symptoms and signs. Although two-thirds of patients have abnormal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atrial flutter or conduction abnormalities are known to be rare. We report on a case of a large left atrial myxoma which was diagnosed by trans-thoracic,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chest computerized tomography, and histological examination. The myxoma was presented as atrial flutter in a 41-year old man who was complaining palpitation and dyspnea on exertion. After surgical excision of the mass, atrial flutter converted to normal sinus rhythm. We report this case with review of literatures on left atrial myxoma associated with arrhythmia.

      • 소비자가 향유적인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

        이지현,서주환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22 한국마케팅관리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04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국내의 커피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수요가 많은 만큼 과 잉공급으로 인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커피 업계에서는 고, 중, 저 가격대로 분류하 여 그에 맞는 고객의 니즈와 원츠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커피 시장은 여러 프랜차이즈 커피숍부터 특색 있는 개인 카페들이 각각의 고객을 확보하고 있다. 2010년 무렵부터는 일정 지역에 커피숍의 점포가 밀집되어 있으면서 소비자들에게 단순히 커피 를 제공하는 것 이외에도 소비자들이 원하는 긍정적인 감정과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향유적인 형태의 커피숍 환경을 제공해주는 곳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Labbe et al. 2015). 기존의 선행연구에 서는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이 단순히 접근성, 가격, 편리성 등으로 측정하거나 실용적인 카페와 향유적인 카페 중 선택하는 이유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중화된 커피 문화 속에 서 커피를 선택하는 기준이 고급화되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같은 향유적인 카페의 범주 안에서도 소비자들의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다양한 원인이 무엇인지를 해석수준이론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같은 향유적인 환경에서도 소비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연구하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 질 수 있고 향후 카페 업계 이해도와 전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내 관광도시인 부산의 도시 중심부와 외곽 주변부의 다른 향유적인 환경을 비교하였다. 도시 중심부는 비교적 접근성이 좋으며 유동인구의 활동이 많은 장소이고, 이 에 반해 외곽 주변부는 모두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자연적 특징과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좋은 편 은 아닌 곳에 위치해 있다. 부산에서 대표적으로 꼽히는 향유적인 카페 거리는 해운대, 광안리, 영도, 기장, 전포 지역이며, 각 지역의 카페거리는 특색 있는 이미지를 가진 고유한 카페거리를 형성하였다 (박은경, 김신원 2017). 해운대와 광안리는 오래 전부터 유명한 관광지였고 여러 유흥 문화가 많은 곳으로서 오로지 카페 방문만의 목적으로 고려했던 본 연구의 취지와는 맞지 않아 제외하였다. 그리하여, 크게 같은 특징의 지역으로 영도와 기장을 묶고 전포를 다른 특징의 지역 으로 나누어서 2개의 지역적 특성을 가진 향유적인 카페로 비교 분석하였다. 우선, 영도와 기장은 원도심에서 벗어나 접근성이 떨어짐에도 불구하고, 해안가를 따라 바다의 자연적 경관을 살린 고 급스러운 카페촌이 생겨나서 최근 들어 소비자들이 카페를 목적으로 방문하는 곳이다. 두 지역은 자연적, 지리적, 문화적인 특징과 함께 고급스러운 서비스스케이프 카페 공간이 결합되어진 곳이 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도는 섬으로서 한국전쟁 당시의 많은 피난민들이 정착하였던 곳이라 과거의 역사적 흔적은 있지만, 현재는 고급스러운 카페 지역으로 재탄생하였다. 도심에서 이어지 는 다리로만 영도를 들어갈 수 있고 산과 비슷한 지역적 특성 때문에 운전이 쉽지 않고 접근하는데 제약이 있다. 기장은 동해바다를 배경으로한 화려한 구조물의 카페 50여개가 20km가량 이어 져있다. 이 곳은 부산의 주거 지역과 다소 거리가 떨어졌고 대중교통의 제약이 있어 대부분의 사 람들이 자동차를 이용하여 방문한다. 반면, 도시 중심의 전포 지역은 바다와 같은 자연적 환경은 없지만,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독 특한 소품 등이 트렌디한 감성을 이끌어낸다. 전포는 2013년 약 30여개의 카페들이 모이면서 최 초의 카페거리, ‘전리단길’이 형성되었다 (이숙희 2019). 커피를 주제로 매개한 특화거리가 형성되 어 (박수옥, 이웅규 2019), 현재는 대략 300개 이상의 카페가 모여 있다. 이 곳은 미국커피협회에 서 결점두가 적고 테이스팅 점수가 높다고 인정한 스페셜티 커피를 제공하는 커피 전문점이 많다. 앞서 언급한 두 지역의 카페와 가장 큰 차이점은 어느 지역에서도 접근성이 뛰어나고 영도와 기 장에는 없는 지하철이 카페 근처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그렇다면, 명확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기장과 영도 그리고 전포의 향유적인 카페지역을 소비자 들이 선택하는 기준이 무엇인지를 해석수준이론(Construal Level Theory; CLT)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해석수준이론에 의하면 (Trope, Liberman 2010) 거리가 멀수록 일상에서 벗어나 자유 및 휴 식 등 추상적인 상위 수준으로 해석하여 판단한다. 반면, 거리가 가까울수록 기능 및 수단 등 구 체적이고 목적성 있는 하위 수준으로 해석하여 판단한다 (Kim et al. 2014). 즉, 거리가 먼 외곽 지 역의 카페를 선택하면 복잡한 곳에서 벗어나 자유와 휴식과 같은 감성적 동기에 의한 선택을 한 다. 반면, 거리가 가까운 시내 중심의 카페를 선택하면 커피 그 자체의 기능적, 수단적 측면에 주 목할 것으로 본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각 수준별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크게 세대, 정보원천, 지출, 성별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스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기장과 영도 그리고 전포 지역으로 나누어서 각 지역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들의 요인이 어 떤 것이 있는지 해석수준이론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하는 카페를 통해 세대의 소비 행동을 이해하고 소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브랜드 타겟팅과 가격 전략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게다가, 향 유적 카페를 선택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앞으로 생겨나게 될 카페 거리에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고, 카페거리는 지역의 문화적, 경제적 부가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시각 이미지에 있어서 청각적 표현에 관한 연구 -서양의그래픽디자인사를 중심으로-

        이지현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5 조형미디어학 Vol.8 No.2

        The human history putting a major premise into a communication has developed the kind of pictorial language. It has been using as a tool of the communication to express messages through an image since the human had been created and then 'character' has been replaced it. The character itself had been created based on image which we found out some coexstent features in character and images.The way of expression through the letters has been carried conceptual message with an auditory sense such as sound concurrently. This study with that idea showing visual expressions variously in graphic design has been categorized 3 ways. The first, this is the way of having with rhythm, musical elements auditory sense. The rhythm with synesthesia elements having a rhythmic and movable is a way of expression through visual images. Second the way of expression with auditory sense through color having its own feature. We found out how to feel sound on images. The third is the expression of concept . The human has realized a kind of 'concept' as we see form or letters which showing on posters and advertising especially.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that sound in 2 dimensional design as a communicative means which should be investigated. 인류의 역사는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대전제를 놓고 언어의 일종인 그림언어를 개발하였다. 이는 ‘문자’라는 소통적 도구를 사용하기 먼 이전부터 ‘이미지’를 통하여 의사를 전달하기 위한 소통의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그 이후 ‘문자’가 탄생되면서 ‘이미지’는 ‘문자’가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자 역시 그 생성원리는 이미지를 기본으로 하여 발명되었으며 여기에 문자와 이미지가 내포하고 있는 공존적 특성을 찾아볼 수 있다. 타자(他者)에게 자기의 의사를 ‘소리’로써 표현하고자 하였던 ‘이미지’방식의 전달방식과 ‘문자’방식의 전달방식은 그것을 표현함에 있어서 동시적으로 공감각적인 요소인 ‘소리’ 즉, 청각적 감각을 매체로 하여 관념적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개념을 가지고 서양의 그래픽 디자인사에서 보여주는 다양한 시각적 표현방법을 3가지로 분류하였다. 첫째, 리듬에 의한 청각적 표현방법이다. 이는 ‘리듬’이라는 음악적이며 운동성을 지닌 공감각적 요소들이 시각적 이미지를 통하여 지각할 수 있는 표현방법이다. 둘째, 색에 의한 청각적 표현방법이다. 이는 색 고유의 특성상 이것이 가지고 있는 요소가 어떻게 소리로써 느껴질 수 있는가를 이미지에서 찾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관념에 의한 표현방법이다. 여기에는 인간이 ‘형(from)’ 혹은 ‘언어’ 자체만으로도 어떠한 ‘관념’을 지각할 수 있는데 우리는 이러한 것들을 특히 포스터와 광고에서 자주 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래픽 디자인이 표현하고 있는 평면적이고 2차원적인 세계에서 ‘소리’라는 공감각적 요소를 어떻게 도입하여 의미전달의 확장 도구로서 메시지를 표현하고 있는지 이미지와 관련된 문헌자료들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는 시·공감각적으로 동시에 표현될 수 있는 이미지의 표현방법적 측면을 분석하여 해석함으로서 이를 통한 확장된 의미전달의 표현방법을 연구하고자 함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