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유러닝교실’에서 교수학습실천의 변화와 문제점

        임병노,박인우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4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classroom’(a classroom enhanced by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o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Currently, ‘u-classroom’ projects are being done by MOE and Provincial Educational Bureau, which purposes are to understand the future classroom and to develop the prototype of technology-enhanced classroom environments. Up to now, many studies focus on the satisfaction degree and academic achievement, but researchers hardly inquire the actual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what is really going on in this ‘adventurous’ classrooms. This study compares the ‘u-classroom’ with traditional classrooms in terms of teaching practices, learning process, classroom's soci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 survey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students in six classrooms(3 u-classrooms, 3 traditional classrooms). The T-test was used to ident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ifferen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ing practices and learning processes of u-classroom were more constructivist than traditional classrooms, but students' learning skills and SDL were not meaningful compared to those of the traditional classrooms.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그동안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교육청에 의해 활발하게 진행되어 온 미래형 교실(‘유러닝교실’) 구축 사업과 관련하여 과연 이들 교실에서 기대한 바와 같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교수-학습활동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유러닝교실’ 사업은 ICT기술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의 혁신을 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현재 교과부,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유러닝교실’이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교실에서의 교수-학습 실천이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며 일반 교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학교 보고서나 단편적인 연구에서 엿볼 수 있을 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러닝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실천방식이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학습능력에서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유러닝교실’ 활동이 활발한 3개 초등학교와 그렇지 않은 3개 초등학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유러닝교실’은 교수-학습행위 실천과 교실 분위기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일반교실에 비해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특히 교실에서 교수자의 행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이 일반교실에 비해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실 분위기 면에서 협력적, 안정적, 허용적 분위기가 조성되는 것으로 학습자들이 인식하였다. 그렇지만, 학습자 자신에 대한 성찰 면에서 목표지향성이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등은 ‘유러닝교실’에 의해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결과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유러닝교실’에서 교수-학습 실천양식의 변화와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학습정서’ 척도 개발 연구

        임병노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4

        기존 자기주도학습 관련 연구에서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은 학습에서의 성공을 예측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인정되어왔다. 그러나 이들 각각은 별개의 척도를 통하여 측정되었으며 상호관련이 없이 운영되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예측 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런데 이들 척도들을 살펴보면 서로간에 공통되거나 중복된 문항들이 많고, 어떤 경우는 자기주도성을 재고자 하는 것인지, 자기효능감을 재고자 하는 것인지 애매한 문항도 많았다. 본 연구는 자기주도성과 자기효능감을 자기주도학습에서의 정의적 영역이라는 관점 하에서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학습정서’(Learning affection)라고 정의한 후 자기주도학습자의 ‘학습정서’를 재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자기주도학습에서 ‘학습정서’의 하위요인들을 규명하고 이 요인들의 특성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6차에 걸친 요인분석 결과 43개 항목, 8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55.586%를 설명하였다. 추출된 8개 요인은 학습기술에 대한 자신감,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지, 학습에 대한 도전감, 적극적 자기표현욕구, 시험불안, 학습 용이성 지향, 학습가치 지향성, 학습상황에서의 독창성 등이다. 최종 도출된 요인의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추출된 요인들을 기존 연구에서 확인한 요인들과 비교하면 기존의 자기주도성의 하위요인인 ‘학습자로서의 자기확신’, ‘자기이해’가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의 일부 문항과 함께 ‘학습기술에 대한 자신감’이라는 요인으로 통합되었고 그 밖의 요인들은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의지’, ‘학습가치 지향성’, ‘학습상황에서의 독창성’으로 재정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요인들은 ‘학습기술에 대한 자신감’, ‘학습에 대한 도전감’, ‘적극적 자기표현욕구’, ‘시험불안’, ‘학습용이성 추구’ 등으로 세분화되었다. Many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made on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and the self-efficacy scale in a separate way. But these scales just check the same phenomenon(i.e., self-directedness of learners) from the different point of view. Closely examining the items of the scales, we can find out many overlapped and ambiguous ones. Actually these scales can be integrated in terms of the affective domain of self-directed learning(SDL). In this study the affective domain is defined as ‘learning aff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of ‘learning affection’ of SDL and develop the scale of ‘learning affec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varimax rotation) was used and repeated six times. As a result, 43 items and 8 factors were identified and explained 55.586% of the variance: Self-confidence on self-learning skills, love to learning, challenging mind, anxiety in a classroom, anxiety in a test, easy-going attitude, respecting learning value, and creativity in learning. Each of these factors are explained in detail and compared with the existing scales.

      • KCI등재

        World Wide Wep(Web)을 이용한 역사 수업의 특징과 유형

        임병노 한국사회과교육연구회 1997 사회과교육 Vol.- No.30

        Since World Wide Web(Web), one of the Internet Network, is easy to use, its potentiality in education is great. In history classroom, web will play a great role. By using web in history classroo., many types of instruction which can not be performed in traditional teaching are possible. Web enable the student to do creative activities. Practice of interpreting the material like a historian and discussion with someone on the web who has different opinions all over the world are possible. Using web in history teaching makes it possible to teach the student in many ways. The types of instruction of using web in history teaching are 'Doing research type', 'On-line discussion type', 'Virtual field-trip type'. 'On-line working type'. On-line instruction'. These types are applicable to history classroom in many ways, sometimes combining serveral types. Basically the speciality of instruction on the web is in the new style-project style. Students will design the project in some specific content and go on the project, lastly complete one project. Now the teacher no longer delivers the knowledge of history to their students one-sidedly, In the near future, many teachers will make some project with their students and interact with them. Students will be no longer passive in their class. Now many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ir class and eventually will organize their class spontaneously with their teachers.

      • KCI등재후보

        전국 일반대학의 사이버교육 운영실태와 질관리 현황 분석: 2002년도를 중심으로

        임병노,임정훈,정인성 한국교육학회 2003 敎育學硏究 Vol.4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전국 일반대학에서의 사이버교육 운영 실태와 질 관리에 있어서으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 대학에서 사이버교육을 내실화하고 질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발전방향을 제안하려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일반 대학 사이버교육의 질적 수준을 결정하는 요소들로서 재도 및 정책적 지원, 사이버교육 인프라와 운영 플랫폼으 구축, 사이버강좌의 컨텐츠 배락, 사이버강좌의 운영: 개설, 운영 및 평가, 교수자 지운시스템, 학습자 지원시스템 여섯 가지를 설정하였고, ws국 373개 대학에서 설문에 응답한 132개교 중 4년제 국공립대학 15개교, 4년제 사립대학 36개교, 2년제 사립대학 22개교 등 초 73개 대학의 사이버교육 현황을 이 기준에 따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국 일반대학에서의 사이버교육은 인프라와 운영 플랫폼 구축 면에서는 안정적인 경향을 보였으나, 사이버교육 전담조직, 예산, 학점 인정정책, 컨텐츠 개발에 있어서의 전문성, 강좌 개설 및 운영, 교수자 및 학습자 지운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사이버교육의 효과성 향상 및 질적 개선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제안되었다. 목차

      • KCI등재

        가상대학 교수-학습 지원 체제로서의 디지털도서관의 역할 및 설계 모형 탐색

        임병노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4

        가상대학에서 디지털도서관은 단순히 정보자료을 수집하고 제공하는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정보자료의 창출과 연구, 학습 지원이라는 다양한 역할을 가진 중요한 교수-학습 지원 체제이다. 본 고에서는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개념적, 실제적 발달 과정을 분석하고 그로부터 디지털도서관을 교수- 학습 지원 체제로 확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4가지 주요 역할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4가지 주요 역할에는 1) 정보 자원의 수집과 제공, 2) 정보 자원의 창출 지원, 3) 학습 환경의 제공, 그리고 4) 교류와 협력의 공간 제공이 포함된다. 디지털도서관의 이 4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체제로의 설계원칙으로 첫째, 교수- 학습의 관점에서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둘째, 고객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온라인강좌와 연관된 상호작용적 시스템으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 넷째, 연구와 개발 활동의 지원 체제로 설계되어야 한다는 점 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설계 원칙을 바탕으로 디지털도서관을 가상대학의 교수- 학습 활동과 연구, 개발 활동을 지원하는 체제로서 설계하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A digitial library is an essential part of a teaching-learning support system of a virtual university. It is not only a place for digitized resources, but also a system for creating information resources and sharing those resources. This paper first analyzes four major functions of the digital library in the context of its conceptual development. Four functions of a digital library include : 1) a colle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of information resources , 2) a system for creating information resources, 3) a learning environment, and 4) a support system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design ㅈㅎㅇ principles to realize these functions are identified as follows : 1) it should be designed from the viewpoint of teaching and learning, 2) it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 3) it should be designed to be an interactive system with online courses, and 4) it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The paper concludes with the development of a visual design model of a digital library based on these principles.

      • KCI등재

        Issues and Possibilities of CHLS(Cyber Home Learning System): Implications on Language Education

        임병노,김세리 한국멀티미디어언어교육학회 2008 멀티미디어 언어교육 Vol.11 No.1

        Cyber home learning system (CHLS) in Korea was initiat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MOE & HRD) in order to enhance quality of K-12 education since March, 2005. It is obvious that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and issues since it started; problems with policies and system, service, online learning content,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LMSs). Basic concepts, principles, and the structure of CHLS model had to be modified to fulfill new learner needs and to overcome its limited traditional learning paradigm which assumes that learning occurs within regular curriculum and within classrooms. In order to collect and to analyze research data, literature review and document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with staffs from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KERIS), seminars and forums, and public hearings were conducted. As results of research, basic assumptions of CHLS and management principles were reconstructed. Also, jobs and tasks were concretized for main service areas such as policies and systems of CHLS, instructional services, learning content, and LMSs. In specific, traditional concept of schooling was replaced by a new one which focuses on organic education community emphasizing students’ everyday life, learning, and fun. For this new approach, four critical strateg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1) learner centered approach in instructional methods, 2) construction of teacher-parents-local learning community, 3) blended e- Learning, 4) a new curriculum for integration of learning and life. Considering that CHLS offers a great opportunity for students in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and educational needs, this new system has many implications on the holistic approach to language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