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집중도 구성요인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이동진,이영면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2

        The world is shifting from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knowledge society, where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In order to explicate the management systems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this paper find empirically a theoretical structure of knowledge intensiveness, which knowledge intensity scales of works in organizations.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claim to produce qualified products and/or services, and even generate new and unique knowledge. Organizations as diverse as law and accounting firms, management consultancy companies, engineering consultancy companies, advertising agencies, research and development units, pharmaceuticals, and high tech companies as typical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But the notion of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and related concepts such as knowledge intensive work is, of course, not unproblematic. Since all organizations and work involve knowledge, what qualifies as a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or non-(or less)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 and non-knowledge intensive work, is rarely self evident. We regard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s units performing knowledge intensive work, and then refer to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intensive work are as follows. First, works of knowledge based organization are required on the expertise. Second, the core part of works are performed by experts having expertise. Last, as expertises are consisted of formalized and informal knowledge, knowledge works are required on dialogues, consensuses, persuasions and negotiations based on human and social relationship. Thus, works in knowledge based organizations are going on through manipulating and orchestrating of individual thoughts and languages, and these works are referred to knowledge intensive work. Using these conceptual definition, we refer to the knowledge intensity of work as essential characteristics to works it self and work performing are needed on expertises, and then classify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to knowledge ambiguity required on work, client connectivity and collaboration of work, and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 follows 'input→throughput→out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This classification of concepts in knowledge intensive work are focused on level of work units, thus in order to fit between level of theory, level of measurement, and level of analysis, we measure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s based on performers, and go to the statistical analysis at work level.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mpirically not supported to concept based model, which ar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ponents of knowledge intensiveness in frame of 'input→through→output' paradigm. Rather, empirically supported that the best fitting structural model and the second best one have each exogenous(predictor) variables, which one is work collaboration and the other is client connectivity, these are throughput in knowledge intensive work. Of course, endogenous(criteria) variables are knowledge ambiguity and results ambiguity of work, which orderly input and out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Throughput of knowledge intensive work were stronger factors than input, output components from the Lee(2008)'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in path analysis results, regressional relationship between result and knowledge ambiguity is weak relatively to others. This may reveal that how a strong culture based on an acceptance of ambiguity(e.g., in roles, power relations, organizational routines and practices etc.) promote(moderate) development of relationship between result and knowledge ambiguity of work, which insisted by Kӓrreman et al.(2004), Robertson et al.(2003) and Willmott(1993). Last, exogenous variable of the best fitting model is work collaboration in multi-industry, but in contrast exogenous one is client connectivity in just professional service sectors.... 지식사회의 형성과정에서 전문지식서비스산업이 급속하게 확대됨에 따라 무형자산을 강조하는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러나 지식기반조직은 대량생산체계를 갖춘 전통적 산업조직과 상호배타적 산업에 속하는 전통적 전문인력조직과 혼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조직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 우선 산업범주를 초월하여 지식기반조직 여부를 판가름하는 조직 내 작업의 지식집중성에 대한 척도로서 지식집중도에 대한 개발과 탐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그에 대한 이론구조를 밝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진(2008, 2009a)에서 작업의 지식집중성을 작업자가 개별적으로 인식하는 개인속성으로 개념화하고, 측정 및 분석한 요인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분석결과, 첫째, 지식집중도 구성요인의 구조적 관계는 지식작업의 '투입→과정→결과요소' 순으로 연역적으로 추론하였으나 실증적으로는 과정요소에 해당되는 협력성과 고객연계성을 예측(외생)변수로 하는 구조모형이 가장 양호한 모형적합도를 보였다. 둘째, 결과모호성과 지식모호성 간 인과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는 있으나 영향력이 다른 구성요인들 사이의 관계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미미하였다. 이 결과들은, 첫째, 지식집중작업에서는 과정요소의 지식집중성이 결과 및 투입요소를 예측하는 본질적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작업자들이 모호성에 대해 느끼는 불편함으로 인해 결과모호성과 지식모호성 간 인과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본다면, 지식집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인수준에서의 태도와 조직수준에서의 문화, 구조 그리고 HR체계가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사이의 인과관계에 각각 예측변수효과와 상황효과를 미칠 것으로 추론된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중 협력성과 고객연계성에 초점을 둔 보다 간명한 지식집중성 척도 개발과 함께, 개인수준의 지식집중도와 태도변수, 그리고 조직수준의 구조, 문화 그리고 HR체계 특성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여러 수준으로 이루어진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체계적인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인적자원체계 특성이 지식집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분석

        이동진(Dong-Jin Lee) 한국인사관리학회 2011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5 No.4

        As the industrial society moves to the post industrial society, and then to the knowledge society, people pay attention to organizations with intangible assets. Therefore, in order to explicate a management system of organizations based on intangible assets, we pursue to HR system of knowledge intensive organizations, which is measured by empirically developed knowledge intensiveness of work in organizations.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LM analysis shows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mean of knowledge intensiveness, and in the slopes of collaboration of work across organizations when regressed on gender, age, education and career in each organization. Second, the next step in the HLM analysis shows that the impact of human resource system characteristics on the levels of work collaboration was stronger in organizations with flexible work system, organic compensation system and activity based development sytem. These results imply,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work collaboration in knowledge intensive work, in order to more parsimonious scale of knowledge intensity. Second, it must be supported by compensation strategy based Burns & Stalker(1961)’s organic theory, and organic compensation system must be supported by culture, HRM systems included on employee selection system, career development, and so on, in order to elevate knowledge intensiveness in organization.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cessary to multi-level analysis of relationship among knowledge intensiveness, employee attitudes at individual focus and HR systems at organizational focus. 산업사회에서 지식중심사회로 바뀜에 따라 지식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증대되고, 이와 동시에 조직과 작업수행에서도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지식기반조직에 대한 관심도 본격화되었다. 본 연구는 작업자가 인식하는 작업의 지식집중성의 측정모형인 지식집중도(perceived knowledge intensiveness)와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에서 작업체계, 보상체계 그리고 개발체계 특성에 관해 검정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조직내 작업의 지식집중도 구성요인 중 이동진(2008, 2009), 이동진ㆍ이영면(2010)에서 강한 요인으로, 또는 외생변수(예측 변수)로 검정되고 있는 작업협동성이 유연한 작업체계, 유기적 보상체계 그리고 활동중심 개발체계 특성을 갖는 조직일수록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선행연구들에서 주장되고 있는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 특성이 본 연구의 표본을 토대로 실증적으로 발견됨으로써 지식집중도의 법칙론적 타당도 (nomological validity) 검정의 의의를 가지며, 따라서 지식집중도에 대한 타당도가 더 한 층확보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검토된 지식기반조직의 HR체계 특성에 준거할 때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식기반조직의 경영체계는 구조적 상황이론가 Burns & Stalker(1961)가 제시하고 있는 유기적 조직이론(organic model)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확인해주고 있다. 따라서 향후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실증결과와 연계하여 보다 간명한 지식집중도 개발과 함께, 본 연구에서 고려되고 있지 않은 지식기반조직의 문화 및 구성원 태도를 고려하는 선발, 유기적 상호작용과 협동에 기초하는 충원, 경력개발, 인사고과 등이 포함되는 HR체계 특성과 지식집중도에 관해 다층분석함으로써 지식기반조직의 경영체계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심도 있고 포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정보 프라이버시와 심리적 임파워먼트에 관한 실증연구

        이동진,김정식 한국인사관리학회 2010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2

        지식정보화 시대에 조직은 외부환경의 불확실성에 반하여 조직자산의 안정성을 위협할지도 모르는 구성원들에 대한 감시와 통제의 필요성이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조직내 근로자들은 그들 자신의 정보 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 침해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커지고 있고 볼 수 있다. 물론 조직의 입장에서는 이와 같이 조직과 개인 간 갈등관계를 보여주고 있는 연구들에서 조직에 의한 구성원들의 엄격한 통제는 개인차원에서의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를 약화시킬 수 있으며 조직에게 혜택을 안겨다 주는 종업원들의 재량적 행위를 제약할지 모른다고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의 자유와 프라이버시가 강조되고 있는 서구권 상황에서 검정되고 제시되고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를 국내 상황에서 타당화한 이동진·김정식(2010)에서의 측정모형을 이용하여 조직 내 구성원들이 느끼고 있는 내재적 동기와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고찰하며, 따라서 정보 프라이버시 척도의 법칙론적 타당도(nomological validity)를 검정해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와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선행연구에서의 이론적 틀과 분석결과에 준거할 때 이동진.김정식(2010)의 척도의 타당도를 지지하고 있는 결과로 볼 수 있다. 정보를 둘러싼 조직의 효율성과 종업원들의 절차적 공정성 지각 간에 문제제기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었던 가운데 집단주의 정서가 강했던 기존의 한국적 상황이 이미 개인화 성향으로 되어 가는 추세로 접어듦에 따라 조직 내 정보프라이버시에 관한 실증 연구의 필요성을 점칠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검정되고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간 관계를 토대로 실무적 차원에서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 내 정보 프라이버시의 결과변수(organizational outcome)와의 관계를 검정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月給에 포함된 退職金 지급의 효력과 賃金債權 相計制限의 範圍

        이동진 민사판례연구회 2011 民事判例硏究 Vol.- No.33

        In principle, the retirement allowance (RA) should be paid after the employment relations end. Some employment contracts, however, have clauses providing the severance pay in the form of installment (installment severance pay) in the course of employment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se clauses, the employer pays the "RA" accrued for each month of service at the payday of the corresponding month even although the employment relations continue. This is a sort of an RA-prepayment but has not been regarded as meeting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im retirement system of the Labor Standards Acts. Until recently, the practice of lower instances has shown a tendency to regard the total payment of each month, i.e. the aggregate of the "RA" severance pay of each month and the agreed "monthly wage" as the monthly wage defined in the Labor Standards Act, which gives a basis of the calculation of the average wage. The average wage base, in turn, provides a basis of computing the obliged RA defined in the Labor Standards Act. Accordingly, the employer had to pay the obliged RA instead of receiving the return of the invalid installment severance pay. In that case, the employer suffers unexpected disadvantage while the employee enjoys windfall gain. The Supreme Court of Korea put an end to this practice by an en-banc-decision on May 10, 2010 (2007DA90760). The court decided that, in those cases, the installment severance pay accrued for and paid in each month does not constitute the monthly wage defined in the Labor Standards Act even though it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interim retirement system. Thus, it is merely overpayment that should be returned to the employer as unjust enrichment. This change in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will allow more room for private autonomy in employment contracts and thus, should be appreciated. It should be careful, however, not to entrust everything to the formal freedom of contract, especially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employer and employee. The same decision also decided that the set-off of the employer's claim to restitute overpayment against the counterclaim to pay the obliged RA does not violate the principle of full payment of wage in the Labor Standards Act. This set-off is, however, under the set-off restriction posed by the Judgment Enforcement Act and the Civil Code. Thus, the set-off is void to that extent. While the result of some parts of this decision may be endorsed, the validity of the argumentation or the reasoning seems to be questionable. 사용자가 매월 「월급」 명목으로 일정한 금원을 지급하면서 이에 「퇴직금」 명목으로 일정한 금원을 가산 지급하였는데, 근로자가 퇴직 후 「월급」이 아닌 「월급」과 「퇴직금」의 합산액이 퇴직금 산정의 기초가 되는 평균임금이라면서 이를 기초로 산정된 퇴직금의 지급을 구하는 분쟁이 이전부터 있어왔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이에 관하여 종래의 하급심 실무의 주류적 경향과는 달리, ⑴ 「퇴직금」으로 지급된 금원은 평균임금에 산입되지 아니하고, ⑵ 따라서 같은 금액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이 발생하지만, ⑶ 그 중 퇴직금 지급의무와 상계할 수 있는 것은 민사집행법 제246조 제1항 제5호, 민법 제497조에 따라 퇴직금의 2분의 1로 제한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상판결 중 ⑴, ⑵는 근로자 보호와 함께 개별적 근로관계법 내지 근로계약법 영역에서 사적 자치의 여지를 확보하고, 양자를 조화시키고자 한 것으로 타당하다고 본다. 다만, 「임금」 항목과 「퇴직금」 항목이 구분되어 있다는 이유만으로 곧바로 「임금」 항목만을 퇴직금 산정의 기초로 삼을 것은 아니고, 실질적 자기결정이 보장되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대상판결 중 ⑶은 그 결과에 있어 채권자 보호와 근로자 보호를 적절히 조화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임금전액지급의 원칙에서 상계 제한을 도출할 것이 아니고, 민사집행법상 상계제한에도 이른바 조정적 상계의 법리는 적용될 수 있는 것이나, 이 사건의 경우 법 제34조 제3항의 중간정산제 및 퇴직금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조정적 상계에 해당하지 아니한다는 이유에서 같은 결론을 도출하므로, 이유는 달리한다.

      • 강화학습을 이용한 무인항공기 미사일 회피 전략

        이동진,방효충 한국항공우주학회 2012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2 No.4

        본 논문은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무인항공기의 교전 상황에서 미사일 회피 전략을 이끌어내는 방법에 관하여 제안하고 있다. 간략화된 점질량 모델을 이용하여 미사일과 항공기의 운동방정식을 모사하였으며 미사일은 무인항공기를 격추시키기 위해 순수비례항법(pure proportional navigation) 유도법칙을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강화학습 알고리듬의 한 종류인 Q-learning 기법을 채택하여 미사일 회피 전략을 무인항공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구조를 구성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통해 무인항공기가 bang-bang 타입의 측방향 가속도 입력을 이용해 미사일 회피 전략을 성공적으로 학습해 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the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 is suggested to implement evasive strategies for unmanned aircrafts during engagement. A simplified point-mass model is used to express the aircraft and the missile equations of motion. The missile follows the pure proportional navigation guidance law to attack the unmanned aircrafts. Q-learning algorithm which is a form of reinforcement learning is suggested to learn the evasive maneuver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pproach is evaluated with numerical simulations. It is shown that the unmanned aircraft evades against the attacking missile by reinforcement learning with bang-bang type action profiles.

      • KCI등재후보

        Necrotizing Sialometaplasia Accompanied by Adenoid Cystic Carcinoma on the Soft Palate

        이동진,안혜경,고은석,노영수,주형로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Otorhinolaryngology Vol.2 No.1

        Necrotizing Sialometaplasia (NS) is a benign, self-limiting inflammatory disease of the mucus-secreting glands, and this illness mainly involves the minor salivary glands. The significance of NS resides in its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resemblance to malignancy. We present here a case of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n the soft palate,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denoid cystic carcinoma. We report here on this case to draw attention to the difficulty for deciding the extent of resecting a malignancy, and especially when the malignancy is simultaneously accompanied by necrotizing sialometaplasia. Necrotizing Sialometaplasia (NS) is a benign, self-limiting inflammatory disease of the mucus-secreting glands, and this illness mainly involves the minor salivary glands. The significance of NS resides in its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resemblance to malignancy. We present here a case of necrotizing sialometaplasia on the soft palate, and this was accompanied by adenoid cystic carcinoma. We report here on this case to draw attention to the difficulty for deciding the extent of resecting a malignancy, and especially when the malignancy is simultaneously accompanied by necrotizing sialometaplasia.

      • KCI등재

        상속결격·상속권상실과 대습상속 ―민법 개정안 비판―

        이동진 한국가족법학회 2021 가족법연구 Vol.35 No.2

        In June 2021, the Korean government submitted a draft bill to revise the Korean Civil Code, the gist of which is to introduce a new institution of judicial deprivation of heirship on the account of his or her neglect of duty to support the deceased and to repeal disqualification as a cause of representation in heirship. The latter revision appears to aim at securing effectiveness of disqualification (as well as judicial deprivation of heirship) by preventing indirect benefit through the representing heir to the represented disqualified. The indirect benefit issue has been occasionally addressed in Korean literature as well as in other jurisdictions, while disqualification as well as judicial deprivation of heirship remains to be an established cause of representation in almost every jurisdiction. Though there were a few jurisdictions that denied representation in case of disqualification, most of them revised their codes so that now they also acknowledge disqualification (as well as judicial deprivation of heirship) as a cause of representation. It is not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indirect benefit problem but because that possibility alone cannot justify the restriction of the right of the representing heir and it would amount to punishing sons for their farther’s fault. The same holds true to Korea and this draft bill. Repealing disqualification as a cause of representation is believed to be unconstitutional. It is expected that this flaw in the draft bill shall be fixed during the deliber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2등 국민’으로서의 중국 농민: 정치적 시민권의 측면에서

        이동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0 아태연구 Vol.27 No.1

        This study examined the political citizenship of Chinese peasants, looking into the background and actuality of their citizenship and the government’s policy on it. Firstly, the background, from macroscopic aspects, can be found in the structure of ‘fragmented state’; from microscopic aspects, in the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element of the peasants’ vulnerable position in the ‘local governance.’ Then, the actual political citizenship of Chinese peasants can be looked at through their organization power and political rights respectively. The peasants are the only group among the nation’s major occupational ones that does not have a nationwide organization. They also have weak political rights with their suffrage being only one eighth or one fourth of that of urban residents. Due to this frail political citizenship of theirs, any rights protection law for peasants was not enacted while a series of ‘rights-protection’ acts for ‘vulnerable groups’ were legislated. Lastly, the Chinese government tries to appease their complaints and resistance, on one hand, by lightening ‘peasants’ burden’ through ‘village self-government’ and, on the other hand, by increasing their income through ‘rural development’ policy. This study pointed out that above all else, institutional change of breaking down the ‘fragmented state,’ that is, ‘dual urban-rural structure’ is needed to invest peasants with political citizenship. 이 논문은 중국 농민의 정치적 시민권에 대해서 그것의 배경과 실제, 그리고 이에 대한 중국 정부의 정책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먼저 농민의 정치적 시민권 배제의 배경을 거시적으로는 ‘분절된 국가’ 구조, 미시적으로는 ‘향촌 거버넌스’에서의 농민의 취약한 지위라고 하는 구조적, 제도적 요소로 설명할 수 있다. 농민의 정치적 시민권의 실제는 농민의 이익을 대변하는 조직화와 농민의 참정권으로 구분해서 살펴볼 수 있다. 농민은 주요한 계층 또는 직업 중에서 유일하게 전국적인 조직을 가지고 있지 못한 유일한 집단이다. 그리고 농민은 인민대표대회의 선거권과 피선거권이라는 참정권의 측면에서도 도시 주민보다 취약하였는데 이전에는 중국 농민의 선거권은 도시 주민의 8분의 1 또는 4분의 1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농민의 정치적 시민권의 취약성으로 인해서 ‘취약 집단’에 대해서 제정된 일련의 ‘권리 보호’ 입법에서도 제외되었다. 중국 정부는 한편으로는 ‘촌민 자치’를 통해 ‘농민 부담’을 경감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농촌 진흥’ 정책을 통해 농민의 수입을 증대시킴으로써 농민의 불만과 저항을 누그러뜨리려 한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 농민의 정치적 시민권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농 이원구조’라는 ‘분절된 국가’를 타파하는 제도적 변화가 필요함을 지적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