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승준 全北行政學會 2003 全北行政學報 Vol.17 No.1
급속한 노령화추세는 핵가족화로 인한 가족구조와 기능 및 의식의 변화와 함께 노인수발을 가중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 치매노인인구의 급증은 수발부담이라고 하는 새로운 가족문제 및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수발형태는 전통적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효 사상에 근거하여 사회부양보다는 가족부양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 노인수발의 주책임자는 며느리나 부인 등 여성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최근 여성의 고학력화, 여성지위의 향상 등으로 여성의 취업이나 사회참여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보호를 요하는 의존적 노인의 간호와 수발에 있어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사회생활을 하고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노인수발의 주수발자로서의 역할과 함께 또 다른 가족원으로서의 역할과 같은 다중적인 역할요구는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이승준,윤강섭 대한고관절학회 2019 Hip and Pelvis Vol.31 No.1
Purpose: Short stems have recently become widely used; however, concerns about the initial secure fixation of a short stem in osteoporotic bone rem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using a short cementless metaphyseal stabilizing tapered stem for senile osteoporotic femoral neck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eight arthroplasties (31 bipolar hemiarthroplasties and 7 total hip arthroplasties) were performed for osteoporotic femoral neck fractures in patients older than 65 years (10 males and 28 females). The mean age was 76.1 years and the mean follow-up was 2.9 year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clinical results, focusing on walking performance, thigh pain, and radiologic results, with special regard to signs of stem stability and osteointegration. Results: Mean Harris hip score was 84.3 points and 68.4% of patients regained their preoperative walking performance. No patients complained about thigh pain. No osteolysis or loosening was observed during the follow-up, and all but 1 stem showed signs of stable bone ingrowth. Conclusion: Short, metaphyseal stabilizing tapered stems could be a reliable treatment option for osteoporotic femoral neck fractures.
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 기후변화 리스크를 중심으로
이승준,김영욱 한국환경연구원 2019 환경포럼 Vol.235 No.-
미세먼지, 가습기 살균제, 폭염,미세플라스틱 등 최근 사회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환경 관련 변화로 인해 우리는 다양한 환경 리스크가 일상화된 삶을 살아가고 있다. 사회구조의 발달로 환경문제는 더욱 복잡해지고 정보 습득의 경로가 다양해짐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일반인들의 환경 리스크 인식은 주관적이며 개인마다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리스크의 주관적 특성을 바탕으로 할 때, 리스크 대웅 정책의 수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일반인들의 인식을 제고하고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리스크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정책과정의 일부가 되었다. 이를 위해 최근에 수행된 기후변화 리스크에 관한 인식 기반 커뮤니케이션 전략 연구 두 사례를 바탕으로, 인식 분석 연구 강화, 불확실성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 제고, 심리적 거리감 축소, 개인 효능감 향상, 정보의 정확성 향상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환경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정책의 주요 과제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