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증강현실 기반 농업용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

        이성근,김민지,김종호,고진광,이재학,이성근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18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3 No.2

        본 논문은 농지에 구축된 LoRa기반 무선통신망으로부터 수집되는 다양한 환경 센싱 데이터를 스마트폰의 스크린에 증강시켜 시각화하는 증강현실 기반의 농업용 환경 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카메라로 농지를 비추면 그곳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를 스마트폰 스크린의 영상에 증강시켜 시각화한다. 따라서 기존 시스템이 농업 시설물을 검색한 후 센서를 선택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친 후 나열식으로 환경 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비해 제안하는 시스템은 이러한 과정 없이 스마트폰의 카메라 영상에 증강되어 나타난다. 원하는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이 그림이나 영상인 특징 때문에

      • 지속가능한 혁신경북의 발전전략 : 지속가능성과 혁신성, 그리고 실천성 개념을 중심으로 With a focus on Sustainablelity, Innovation, and Feasibility

        이성근,이관률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2 社會科學硏究 Vol.22 No.1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혁신경북의 발전전략을 지속가능성과 혁신성, 그리고 실천성 개념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첫째, 지속가능한 경북을 위해서는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살기좋은 환경경북, 지역간·계층간 조화로운 균형경북, 그리고 개별 지역의 정체성을 발현하는 문화경북이 이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경북은 기본적으로 개발과 보전, 도시와 농촌, 사회적 강자와 약자, 그리고 지역정체성의 확립차원에서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혁신경북을 위해서는 지역의 혁신력에 바탕을 둔 차별화된 지역혁신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고, 이와 더불어 5T산업이 전략적으로 선택·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혁신과 지역발전의 국제적 나들목이 될 외국인투자자유지역을 신산업정책에 부합토록 추진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편 '지속가능한 혁신경북'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실천전략의 강구 또한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협력적 지역개발사업의 추진, 투자재원의 확보, 성과지향적 행정체제, 계획고권의 확립과 지역정보체제의 기반구축, 그리고 정책기능의 강화와 지방공무원의 역량제고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지역혁신거점의 구축과 지방자치단체간 협력방안

        이성근 嶺南大學校社會科學硏究所 2003 社會科學硏究 Vol.22 No.2

        본 연구는 새로운 지역발전의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는 지역혁신거점 구축에 있어서 지방자치단체간 협력의 필요성과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지역혁신거점 구축의 의의 및 지자체간의 협력의 필요성과 국내외 지자체간 협력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자체간 지역혁신거점 구축의 추진원리와 접근방법, 발전모형과 추진방안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지역혁신거점 구축을 위한 지자체간 협력모형의 추진원리로는 민주성, 효율성, 대응성, 파급성, 그리고 형평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접근방법은 공리주의적 접근, 기능적 접근, 공동체적 접근을 취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자체간 협력적인 지역혁신거점이 지향하는 목표는 지역중소기업의 기술력 향상, 기존 산업의 구조고도화, 지역특화산업의 기술개발, 성장유망산업의 신산업화를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에 있다. 그러므로 지자체간 협력적 지역혁신거점은 첫째, 다양한 기술혁신 단위들이 결합되어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되는 클러스터모형, 둘째, 지자체별 기술혁신주체와 환경요소들간에 긴밀한 상호작용관계가 있는 기술혁신창출형의 상호 적응모형, 셋째, 국가혁신거점, 지역혁신거점, 분야별 산업혁신거점체제가 연계된 네트워크 모형, 그리고 거점지역과 하위지역간에 기능분담이 체계화되어 있는 계층적 무형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Generalization of Quantification for PLS Correlation

        이성근,허명회 한국통계학회 2012 응용통계연구 Vol.25 No.1

        This study proposes a quantification algorithm for a PLS method with several sets of variables. We called the quantification method for PLS with more than 2 sets of data a generalization. The basis of the quantification for PLS method is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To derive the form of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n the data with more than 2 sets more easily, we used the constraint, {a^t} a+ {b^t} {b}+{c^t} {c}=3 not a ^{t} a=1, b ^{t} b=1, and c ^{t} c=1, for instance, in the case of 3 data sets. However, to prove that there is no difference, we showed it by the use of 2 data sets case because it is very complicate to prove with 3 data sets. The keys of the study are how to form th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and how to get the coordinates for the plots of variables and observations.

      • 분산 구조의 적응성 경로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이순흠,조현준,이성근 순천향대학교 1993 논문집 Vol.16 No.3

        In this paper, the adaptive and distributed routing algorism which immediately reflects the variation of the communication network topology and traffic flow is proposed to determine the optimum path between the nodes with mutually independent and equal relationship. The algorism can be applied to the packet network or telephone network, especially to the military network with the frequent variation of the network topology or to the private communication network with high traffic concentration.

      • KCI등재

        黒本本ㆍ易林本節用集에 나타나는 唐音의 性格에 대하여

        이성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7 No.-

        古本節用集에 나타나는 唐音의 특징을 日本語의 吳漢音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鼻音聲母의 非鼻音化와 관련하여 泥母와 明母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볼 수가 없으며, 疑母 에서만 鼻音性喪失의 예가 보인다. 2)舌上音은 예외 없이 サ・ザ行으로 나타나 正齒音化한것으로 보인다. 3)匣母는 吳音ガ・ワ行, 漢音カ行이었는데, 節用集唐音에서는 ア・ワ行音으로반영되어 있다. 4)廣韻에서 1等韻 가운데 開合을 모두 가지고 있는 歌・戈韻, 咍・灰韻, 寒・ 桓韻의 경우 a・ua>o音化가 보여 진다. 다만 灰韻은 聲母가 脣音系의 경우에는 ai(e:吳音一 部)>oi音으로 변화가 보이지만, 舌音系의 경우에는 ai(e:吳音一部)>ui音으로 나타난다. 5)之 韻・脂韻은 吳漢音의 i音에서 u音으로 변화를 보이고 있다. 6)模韻1等은 漢音의 o音에서 u音 으로 변화를 보이고 있다. 7)喉內鼻音韻尾는 節用集唐音에서 通攝 ン・ウ, 梗攝 ン, 曾攝 ン 으로 나타난다. 8)入聲韻尾 -p, -t, -k는 無表記로 나타나 中國原音의 入聲韻尾의 消失된 형태를 잘 반영하고 있다. The features of Tōin(唐音) in Kohon-Setsüyōsyū(古本節用集) by comparison with Go(吳)・Kanon(漢音) are as follows. 1) There are examples of the disappearance of nasal sound only in Üimo(疑母). The non-nasal consonant phenomena from nasal consonant are not found in Nimo(泥母) and Mjəŋmo(明母). 2) All lingual sounds(2・3等) become dentalization. 3) Gabmo(匣母) transited from Goon(吳音) Ga・ɯa Step(ガ・ワ行), Kanon(漢音) Ka Step(カ行) to A・ɯa Step(ア・ワ行). 4) In case of Ka(歌)・Kɯaun(戈韻), Hai(咍)・Hoiun(灰韻), Han(寒)・Hɯanun(桓韻), [a][ua] sounds turn into [o] sound. However [ai(e)] sound transits to [oi] sound in case of labial consonants and [ai(e)] sound transits to [ui] sound in case of lingual consonants in Hoiun(灰韻). 5) Jiun(之韻) and Jiun(脂韻) transits from [i] sound of Go・Kanon to [u] sound. 6) Moun(模韻1等) transits from [o] sound of Kanon to [u] sound. 7)Final consonant [ŋ] is shown as ン・ウ in Tonsəp(通攝), ン in Kjəŋsəp(梗攝) and ン in Jüŋsəp(曾攝). 8) Final consonants such as [-p], [-t], [-k] are not used. it reflects the extinct from of the Chinese original sound.

      • KCI등재
      • 국가 에너지절약 및 효율향상 추진체계 개선 방안 연구 : 산업부문의 에너지효율 평가

        이성근,안영환,나인강 에너지경제연구원 2007 연구보고서 Vol.2007 No.12

        1. 연구필요성 및 목적 에너지효율정책에 있어 가장 큰 관심은 시행되는 정책의 효과이다. 그것이 에너지효율 개선이든 에너지절약의 형태이든, 실시 노력이 얼마나 성과를 거두었는지, 또한 프로그램에 투입된 자금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되었는지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분석결과를 원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 국가내의 에너지절약정책 수단에 대한 개별 효과분석이나 국가 전체의 파급효과를 계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를 위해 미시적, 거시적, 통계적, 계량경제학적 접근방법 등 다양한 분석이 시도되었지만 아직도 모두가 동의하는 도구를 만들어 내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선진국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들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결과는 미흡한 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에너지절약정책의 추진체계를 살펴보고 요인분해를 통하여 제조업부문의 에너지원단위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요인분해의 한계로 지적된 각종 경제변수들의 역할을 계량경제적 방법을 통하여 규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아울러 제조업부문의 반등효과를 규명할 수 있는 반등효과 모형설정과 이를 통한 반등효과도 분석하였다. 그러나 국가의 에너지절약 추진체계 개선을 위한 연구는 적어도 3년 이상의 장기적 목표를 가지고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년도에는 전체적인 효율을 평가하고 나아가 관련통계의 구축을 통하여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 이어져야 추진체계 개선방안의 도출이 가능하고 나아가 국제적 흐름에 동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의 에너지절약 및 효율향상 추진체계의 개선보다는 부문별 효율평가에 중점을 두고 수행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2. 내용요약 우리나라의 에너지절약정책은 에너지이용합리화법과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을 근간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책의 추진체계와 다양성 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크게 손색이 없으나 정책시행에 대한 사후적 분석이 부족한 상태에서 해외사례에 의존하여 정책을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에너지절약정책의 추진체계 상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되어야 할 분야는 정책평가 기능의 확대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은 독립기구는 아니더라도 전문성과 중립성을 갖춘 전문기관에 에너지이용효율화 정책평가를 전담하는 부서를 설립할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평가결과를 통해서만 정책수단의 우선순위, 효율투자에 대한 예산의 균형, 수요부문별 정책의 중복성, 정책수단간 상호유기성 등이 고려된 체계적인 정책추진이 가능하다. 아울러 홍보와 교육의 확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증대도 건의하고자 한다. 에너지절약은 기술진보와 사용주체의 행태에 의해 효과가 좌우되는 바, 사용주체의 의식도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한편 우리나라 제조업부문의 에너지효율을 평가한 결과, 총 에너지원 단위지수는 1990년을 기준년도(1.0)로 하였을 때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따라 판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외환위기가 발생한 1998년까지는 1.03~1.16의 범주에 있어 각종 에너지절약정책에도 불구하고 국내 산업의 급속한 성장으로 에너지원단위는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제조업이 중화학공업 등 에너지다소비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한데 기인한다.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의 에너지원단위(1990=1.0)는 0.91~0.65로 급속히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전자 · 통신, 자동차 퉁 에너지 저소비형 산업의 급격한 신장에 기인하며, 고유가로 인한 에너지절약정책 강화와 국민들의 관심증대가 에너지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요인들에 대한 실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0년~2005년 기간 중 제조업부문의 에너지소비 변화에 대한 요인별 분석결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1990/2005년 2기간에 대한 단순요인분해는 생산의 증가에 따라 약 41.1백만TOE의 에너지소비 증가요인이 있었으나, 산업구조개선에서 11.4백만TOE 효율개선에서 4.8백만TOE가 감소에 기여하였다. 업종별로는 관련 산업이 위축된 섬유, 인쇄, 비철금속 등의 업종에서 악화된 반면 대부분의 산 1. Research Purpose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nergy efficiency polic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x ante or ex post evaluation on the effects of the policies. It, however, is not an easy task to assess the net quantitative effects of the policies correctly on the micro and macro levels. Although several methods, including microeconomic, statistical, econometric analysis,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we do not have an universally accepted methodology to evaluate the policies yet. This research aims at improving quantitative evaluation on energy efficiency for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To the aim, we conduct two main works. First, we try to combine the decomposition method and econometric analysis for the extension of the decomposition method. Since two approaches approach the energy efficiency problem in the different perspectives, it is believed that it is hard to reconcile the results of two approaches. We believe that it is a time to perform the econometric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energy intensity effect, and tried to compare the result of decomposition method and that of econometric analysis. Second, we estimate the rebound effect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One of the most common criticisms of energy efficiency policies and programmes is that they overstate energy savings by ignoring the direct rebound effect or takeback effect. Rebound effects refers to the increase in the demand for energy services when the cost of the service declines as a result of technical improvements in energy efficiency. 2. Summary In the results of energy intensity effect analysis with the econometric method, it is found that the increase in the energy price results in the improvement of energy intensity effect. In enconometric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the coefficient of a time trend measured as a proxy of energy efficiency is significant and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energy consumption. The semi-elasticity of a time trend is -0.02 in a short-term period and -0.04 in a long term period. This finding implies the energy efficiency improves very slowly over time. In addition, the directions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in the decomposition method are consistent with those in the econometric analysis in four industries.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wo methods may be in complementary cooperation for the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The rebound effect has been estimated for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using time series data covering the period 1981-2005. The model used for the analysis is the static logit cost share function where nonlinear iterative seemingly unrelated estimation procedure is applied. Additionally, asymmetric price effects are allowed for in the model estimation in order to extract an estimate of the rebound effect which is found to be approximately 51% at most. This result may represent an upper bound for rebound effects as the estimate is probably upward biased due to factors like the fast growth of output in the sector, the use of aggregate data, and the nature of the covered period when the energy price lasted very low. Therefore, the true size of the rebound effect is likely to be much less than 51 % for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3. Research Results & Policy Suggestions The experimental attempt to combine the decomposition method with the econometric method gives us a encouraging outcome, even not satisfactory one. Especially, the complementary approach will give us a new clue for the energy efficiency analysis. As seen in the comparison of results of two methods, it is confirmed that two approaches are not incompatible in the analysis of energy efficiency study. Therefore, it is needed the efforts to seek the complementarity between two methods for the enhancement of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We have seen the existence of the rebound effec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When the objective is to lower or stabilize energy c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