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 및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 생활사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시험 방법에 관한 연구

        이승민,박경수,윤성진,강영실,오정환,Lee, Seung-Min,Park, Gyung-Soo,Yoon, Sung-Jin,Kang, Young-Shil,Oh, Jeong-Hwang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2

        Marine ecotoxicological standard method was applicated using marine rotifer and benthic copepod as primary consumer of marine ecosystem. Marin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were designated as standard test species with the endpoints of 24hr neonate mortality (24hr $LC_{50}$) and 48hr population growth (48hr $EC_{50}$) for rotifer, and 48hr nauplius mortality (48hr $LC_{50}$) for benthic copepod. Tests method was referred to those of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with the replacement of test species which are widely distributed in Korean waters. The two species showed a wide tolerance on salinity ($5{\sim}35\;psu$) and can be easily cultured in small space even they were not as sensitive as in the mortality test using the nauplius of marine invertebrates. However, these species revealed the significant "concentrationresponse relationship" tested with ocean disposal wastes, and reproducibility using cadmium as standard reference material between laboratories. Accordingly, these two species have good potential as test species for marine ecotoxicological test species. Also, we strongly recommend that at least one of these species be included in the test species of "battery test" in marine bioassay.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위한 표준시험방법 개발을 위하여 해양생태계의 1차 소비자인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를 이용한 시험방법을 정립하였다. 표준시험생물로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를 선정하였으며, endpoint는 윤충류 신생개체의 사망률(24 hr $LC_{50}$) 및 개체군성장률(48 hr $EC_{50}$)과 저서 요각류 유생($100{\sim}200\;{\mu}m$)의 사망률(48 hr $LC_{50}$)로 설정하였다. 표준시험방법은 미국재료시험협회 (ASTM)의 독성시험법을 참고하였으며, 표준시험생물은 국내 해양생태계의 특성 및 종의 유용성 등을 고려하여 재설정하였다. 윤충류 B. plicatilis와 저서 요각류 T. japonicus는 광염성으로 $5{\sim}35\;psu$ 구간에서 실험이 가능하고, 또한 배양이 용이한 점이 고려되었다. 상기 두 종을 이용한 독성시험은 시험생물 확보 및 배양이 쉽고 시험기간이 짧고 간단한 장점이 있는 반면 독성시험의 민감도가 무척추동물의 유생을 이용한 시험법보다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두 종 모두 해양유입 유해물질을 이용한 독성실험결과, 농도-반응의 선형관계가 뚜렷하였다. 카드뮴을 이용한 윤충류 개체군성장에 대한 실험실간 교차분석결과 $EC_{50}$이 각각 39.3 mg/L와 33.7 mg/L로 유사한 값을 보였다. 따라서 윤충류 및 저서 요각류는 독성시험생물로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며, 위의 두 종중 최소 1종은 해양생태 독성실험의 "battery test"에 포함할 것을 권장한다.

      • 정상아동과 청각장애아동의 전정기능과 동적균형수행력 비교

        이승민,김진상,최진호,Lee Seung-Min,Kim Jin-Sang,Choi Jin-ho 대한물리치료학회 2000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1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relation between vestibular function and balance skills in normal with heating-impaired children. The subjects were 20 normal children (8-10 years) and 20 hearing-impaired children (8-10 years). The SCPNT was used to assess vestibular function, then, functional reach test and backward walking test were usee to compare dynamic balance skills of normal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existence of visual inp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SCPNT, normal and hearing-impaired children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 left-sided and right-sided rotations(p<.01), and the vestibular function responses of healing-impaired children were normal $20\%$, abnormal $45\%$, absent $35\%$. 2, To compare dynamic balance skills between normal and healing-impaired according to eye open and eye close, functional reach test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ye open situation(p>.05), bu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ye close situation(p<.05). 3. Backward walking tes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eye open and eye close situation(p<.01).

      • KCI등재

        티타늄 스크랩을 이용한 분말제조 및 소결 성형체의 특성평가

        이승민,최정철,박현국,우기도,오익현,Lee, Seung-Min,Choi, Jung-Chul,Park, Hyun-Kuk,Woo, Kee-Do,Oh, Ik-Hyun 한국재료학회 2010 한국재료학회지 Vol.20 No.3

        In this study, Ti powders were fabricated from Ti scrap by the Hydrogenation-Dehydrogenation (HDH) method. The Ti powders were prepared from the spark plasma sintering (SPS) and their microstructure was investigated. Hydrogenation reactions of Ti scrap occurred at near $450^{\circ}C$ with a sudden increase in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decreasing pressure of hydrogen gas during the hydrogenation process in the furnace. The dehydrogenation process was also carried out at $750^{\circ}C$ for 2 hrs in a vacuum of $10^{-4}$ torr. After the HDH process, deoxidation treatment was carried out with the Ca (purity: 99.5%) at $700^{\circ}C$ for 2 hrs in the vacuum system. It was found that the oxidation content of Ti powder that was deoxidized with Ca showed noticeably lower values, compared to the content obtained by the HDH process. In order to fabricate the Ti compacts, Ti powder was sintered under an applied uniaxial punch pressure of 40 MPa in the range of $900-1200^{\circ}C$ for 5 min under a vacuum of $10^{-4}$ torr. The relative density of the compact was 99.5% at $1100^{\circ}C$ and the tensile str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sintering temperature. After sintering, all of the Ti compacts showed brittle fracture behavior, which occurred in an elastic range with short plastic yielding up to a peak stress. Ti improved the corrosion resistance of the Ti compacts, and the Pd powders were mixed with the HDH Ti powders.

      • KCI등재

        사서교사 직무 역량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이승민,임정훈,강봉숙,이병기,Lee, Seung-Min,Lim, Jeong-Hoon,Kang, Bong-Suk,Lee, Byeong-K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역량을 재정의하고, 역량 우선순위를 분석하여 사서교사 양성 및 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사서교사 238명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IPA, Borich 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서교사들은 교사와 경영자 영역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으나 정보 전문가, 협력적 리더 영역에 대해서는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정보전문가 영역에서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데이터 사이언스, 코딩, 사물인터넷 영역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 영역에서 정보윤리와 저작권 교육, 디지털 및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경영자 영역에서 미래교육을 위한 시설 디자인,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마케팅, 메이커스페이스 및 러닝커먼스 구축 등에 대해 요구하고 있었다. 다섯째, 협력적 리더 영역에서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대한 실행 평가 역량, 교과 연계 정보자료 컬렉션 구축 역량 등을 요구하고 있었다. 여섯 번째, 이러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사서교사에게 요구되는 최우선 요구 역량을 각 직무 영역별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iorities of competencies and to fi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eacher librarian training and retraining program. A total of 238 subjec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y were analayzed using IPA,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s a result, First, teacher librarians perceived that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er and manager competency were higher than information specialist and cooperative leader. Second, they needed competencies of data-science, coding, Internet of Thing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pecialist as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Third, they needed competencies of information ethics, copyright instruction, and digital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in the field of teacher. Fourth, they needed competencies of facility designing for future education, online and offline school library marketing skills, and establishment of makerspaces and learning commons in the field of ibrary manager. Fifth, they needed competencies of library based instruction, library cooperative instruction, and building a collection related to subject in the field of cooperative leader. Sixth, the highest required competency for teacher librarians was suggested for teacher librarians' role area.

      • KCI등재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Brief Fruit and Vegetab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High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이승민,Lee, Seung-Min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2008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8 No.5

        본 연구는 초등 고학년 아동의 과일과 채소 섭취 수준 측정을 위한 간단한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를 개발 및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2001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가한 만 $9{\sim}11$세 아동의 24-시간 회상 자료에 기초하여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항목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를 하였다. 각 과일과 채소 식품의 일일 평균 섭취량을 전체 아동 및 섭취량의 4분위 집단 별로 산출한 후, 이 자료를 바탕으로 전체 인구 집단의 섭취량을 대변할 수 있을 뿐만 아내라 고 섭취군과 저 섭취군 간의 차이도 나타낼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였다. 총 9개의 과일 항목과 11개의 채소 항목이 식품 섭취 빈도지에 포함되도록 선정되었으며, 섭취 빈도에 대한 응답 항목은 지난 7일 간의 섭취에 대하여 1개의 선택 범주가 제시되었다. 개발된 조사지의 신뢰도와 상대적 타당도에 대한 평가는 서울에 위치한 한 공립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53명의 $4{\sim}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한 달간의 간격을 두고 2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한 자료를 이용하여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평가하였으며, 두 번째 방문 시에 28개의 과일 및 채소 항목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더불어 실시한 자료를 바탕으로 상대적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상관 분석과 항목 별 빈도 응답 및 섭취 수준에 따른 집단내 순위 분류의 일관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된 20개 항목의 과일 채소 식품 섭취빈도 조사지의 신뢰도와 상대적 타당도가 적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다.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한 개별 항목 및 과일, 채소, 과일+채소 섭취 빈도에 대한 상관계수는 $0.22{\sim}0.64$(p<0.001)이었으며, 항목별 빈도 응답의 일관도는 평균 69.3%(<=1 빈도 응답차이)와 81.3%(<=2 빈도 응답 차이)로 나타났다. 상대적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한 과일, 채소, 과일+채소 섭취 빈도에 대한 상관계수는 $0.91{\sim}0.93$(p<0.0001)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초등고학년 아동의 과일채소 섭취 수준을 간단히 심사하거나 평가하는 도구로서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KCI등재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 탐색

        이승민,Lee, Seung-M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forming practical knowledge about library-based instruction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s. The study conducted interviews with six teacher librarian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ocused on the teachers' self-knowledge and instructional knowledge, which are in the areas of practical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knowledge of teacher librarians was a teacher with leadership, who led students and teachers to reading educa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Second, the self-knowledge of teacher librarians was most concretely formed in the process of pre-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e reflection on the teacher's image was taking place in the school field. Third, the knowledge of the instructional knowledge for library-based instruction was focused on library collaborative instruction,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being learned and applied in school field. Fourt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structional knowledge of library-based instruction among teacher librarians. Through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er training course and educational practicum activities should be chang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actual school field, and the analysis of library-based instruction should be continued.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교직 경력 3년 차 이하의 신규 사서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서 실천적 지식의 영역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을 중점을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학생과 교사를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십 있는 교사였다. 둘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예비교원양성과정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사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협력수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배우고 익히며 현장에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의 교·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과정과 교육실습활동이 학교 현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변화해야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수업 읽기와 수업 분석이 지속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수행평가 과제 해결에 있어 초·중학생의 매체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이승민,이병기,Lee, Seung-Min,Lee, Byu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3

        본 연구는 학생들이 수행평가 과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의 매체를 결정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매체풍부성, 매체유용성, 매체경험과 매체결정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 중학생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설정, 타당도 검증, 인과 모형을 설정한 구조방정식을 통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교도서관의 매체경험이 매체결정의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매체풍부성과 매체 경험이 매체유용성을 매개로 매체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교수-학습 과정 및 평가를 진행하는데 있어 학교도서관이 중심이 되어 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정보활용교육이 진행되어야 하며 학교도서관이 학교 교육의 중심으로서 학생들에게 매체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richness, media usefulness, media experience and media decision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that determine the media of school library in solving performance evaluation tasks. For this purpose, 132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ir structural equation was set up by hypothesis setting, validity test, and causal model.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dia experience of school library is a major factor in media decision. Also, media richness and media experience appeared to influence media decision through media usefulness. The analysis implies that school library is centered on teaching - 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so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library is required to provide students experience on media as the center of school education.

      • KCI등재

        Hybrid LED용 적색 유기형광체의 합성 및 특성 연구

        이승민,정연태,Lee, Seung Min,Jeong, Yeon T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

        We report the studies on the red organic phosphor by using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Even though perylene bisimide derivatives have excellent thermal stability and luminous efficiency, they have low solubility in organic solvents. In this research, modified perylene bisimide derivative, N,N'-Bis(4-bromo-2, 6-diisopropylphenyl)-1, 6, 7, 12-tetraphenoxyperylene-3, 4, 9, 10-tetracarboxyl bisimide (1C), has been prepared by the reaction of phenol with N,N'-Bis(4-bromo-2, 6-diisopropylphenyl)-1, 6, 7, 12-tetrachloroperylene-3, 4, 9, 10-tetracarboxyl bisimide (1B) in presence of DMF, at $70^{\circ}C$. The synthesized (1C) was characterized by using $^1H-NMR$, FT-IR, UV/V is spectroscopy, and TGA. The absorbtion and emission of (1C) was shown at 576 nm and 610 nm in UV/V is spectrum. In TGA thermogram, (1C) showed good thermal stability without significant weight loss to $220^{\circ}C$. And in the solubility analysis, (1C) with phenoxy group showed the good solubility in general organic solvents. The blended films of (1C) with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at different weight % concentration such as 10, 5, 1 weight % have been prepared. The blended film was shown at 616 nm when monitored at 450 nm in PL emission spectra.

      • KCI등재

        고온에서 무접합 및 반전모드 MuGFET의 문턱전압 이하에서 급격히 작은 기울기 특성

        이승민,박종태,Lee, Seung-Min,Park, Jong-Tae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9

        다중게이트 구조인 나노 와이어 n-채널 무접합(junctionless) 및 반전모드(inversion mode) MuGFET에서 문턱전압 이하의 급격히 작은 기울기 (subthreshold slope)가 온도에 따라 변하는 것을 비교 분석하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접합 및 반전모드 소자의 문턱전압 아래 기울기는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 되었다. 문턱전압 아래 기울기 증가는 반전모드 소자보다 무접합 소자에서 더 심함을 알 수 있었다. 소자의 핀 폭이 다른 소자의 문턱전압 아래 기울기의 온도 의존성은 비슷한 것으로 관측되었다. 그리고 기판 전압에 따른 문턱전압 아래 기울기의 온도 의존성 측정으로부터 기판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문턱전압 아래 기울기 변화는 심하지 않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기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므로 무접합 MuGFET 소자를 이용하여 400K 온도에서도 문턱전압 아래 기울기가 41mV/dec 이하인 소자를 구현할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variation of a steep subthreshold slope at elevated temperature in nanowire n-channel junctionless and inversion mode MuGFETs has been compared.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subthreshold slopes a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operation temperature in junctionless and inversio-mode transistors.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with operation temperature is more significant in junctionless transistor than inversion-mode transistor. The temperature dependence on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for different fin widths shows a similar behavior regardless of fin width. Fro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n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for different substrate biases,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variation of a subthreshold slope is less significant when the substrate bias was applied. It is worth noting that one can achieve a subthreshold slope of below 41mV/dec at elevated temperature of 400K using the junctionless MuGFETs with a positive substrate bi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