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이병근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이병근.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성에 따른 건강상태 비교. 운동과학 제 12권 제 4호. 735-746,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건강상태의 관계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근무하는 여자교사 151명이다(36.3±9.1세, 158.O±4.8cm, 53.2±6.1kg). 직무 스트레스는 7가지 세부변인으로 구분하였고, 건강상태는 연령, 신장, 혈압, 혈당, T-C 등 13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여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의 경우, 학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교사대우 및 근무여건, 학급경영, 수업부담, 일반업무는 높게 나타났다. 세부 직무스트레스 변인은 상호간에는 0.17~0.54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상태 변인간 관계의 경우, 연령은 신장, 심리증상과는 부적 상관이, 체중, BMI, 혈압, T-C, SGOT와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체중, BMI, 수축기압, 이완기압, 평균혈압, 혈압등급은 상호간에 0.19~0.96의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건강상태 항목에서 연령, 체중, BMI는 신체증상이나 심리증상과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연령, 신장, 체중, BMI, 수축기압은 1~5개 세부 스트레스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신체증상과 심리증상은 모든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완기혈압, 평균혈압, 혈당, T-C, SGOT는 직무 스트레스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 스트레스 수준에 따른 건강상태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건강상태 변인은 심리증상, 신체증상, 체중, BMl, 연령이며, SGOT, 신장, 혈당, T-C는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Lee, B.K.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Job Stress Characteristics of Female Teacher. Exercise Science. 12(4): 735-746,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ios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and to compare the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level of lob stress of female teachers. The subjects was 151 female teacher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on Seoul and Gyunggi-Do(36.3±9.1yrs, 158.0±4.8cm, 53.2±6.1kg). The job stress were divided 7 variables. The health status data were included 13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systolic blood pressure(SBP),diastolic blood pressure(DBP), total cholesterol(T-C), body mass index(BMI), etc. The low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relationship with principal, colleagues, and students' parents. The high level variables of stress were treatment and working environment, class management, leaching load, general affair.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ach stress variables(0.17∼0.54). In healthstatus, the ag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ight and psycho symptom,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weight, BMI, blood pressure and sugar, T-C, and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0.19∼0.96) among weight,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mean pressure, blood pressure level. The 3 variables(age, weight, BMI) of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hysical or psycho symptom on the questionnaire. The 5 variables(age, height, weight, BMI, SBP)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1∼5 stress variables, but psychoand physical symptom variables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d of job stress variabl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DBP, mean pressure, blood sugar, T-C, SGOT. As a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ress level, the level of 4 variables(psycho and physical symptom, weight, BMI, age) were effected by the stress level, but the level of 4 variables(SGOT, height, blood sugar, T-C)were effected partially by the stress level.

      • KCI등재

        남자 중학생의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비교

        이병근,임재형 한국운동과학회 1999 운동과학 Vol.8 No.3

        남자 중학생의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비교. 운동과학, 제8권 제3호. 335-344, 1999.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산출 결과를 비교하여 추정식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여 현장에서 운동처방이나 트레이닝 강도 설정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다. 피검자는 서울 시내 A 중학교 남학생 155명이었다(연령 13.75±0.89세; 신장 163.3±8.3㎝; 체중 54.8㎏) 최대산소섭취량 추정식 비교를 위해 선정한 연구는 신호수(1994), IAR(1994), 전태원 등(1992), 이병근 등(1993), Boner 등(1979), Cureton 등(1995)의 6가지였다. 추정식간에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방법은 신호수(1994), IAR(1994), Bonen 등(1979), 이병근 등(1973), Cureton 등(1995)의 방법이고, 추정식 전체의 평균과 유사하며 서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방법은 신호수(1994), 전태원 등(1992), Cureton 등(1995)의 방법이었다. 추정식간에 상관관계가 높으며, 등질집단으로 나타난 방법은 신호수(1994), Cureton 등(1995)의 방법이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 가능한 추정 회귀방정식으로 선정한 방법의 평균은 46.6±4.5 ㎖/㎏/min이었으며, 키는 Cooper(1968)의 최대산소섭취량 기준표에 의해서는 6등급 중 3등급인 Good 등급에 해당하였다. Comparison among the prediction of maximal oxygen consumption on middle school boys. Exercise Science, 8(3): 335-344,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gression equation of VO₂ max prediction on male middle students and to verif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the equation. The subjects were 155 male middle students In Seoul city(13.75±0.89yrs; 163.3±8.3㎝; 54.8㎏). The studies for comparison of VO₂ max prediction were Shin(1994), IAR(1994), Jun et al.(1992), Lee et al.(1993), Bonen et al.(1979), Cureton et al.(1995). The average of 6 studies were 44.1±6.5 ㎖/㎏/min. The result of IAR(1994) was lowest, 35.9±6.5 ㎖/㎏/min, but the values of others equations were 42.4∼46.4 ㎖/㎏/min. The studies had high correlation among the other equations were Shin(1994), IAR(1994), Lee et al.(1993), Bonen et al.(1979), Cureton et al.(1995). The homogeneous studies were similar with the average of the other equations were Shin(1994), Jun et al.(1992), Cureton et al.(1995). The studies of Shin(1994). Cureton et al.(1995) had the high correlation and the homogeneous means. The means of two studies, 46.6±4.5 ㎖/㎏/min, was to come under the third grade(Good) of six on Cooper's norm(1968).

      • KCI등재

        순발력과 지구력 복합 육상훈련이 초등학생의 임계속도와 임계속도 운동의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이병근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이병근. 순발력과 지구력 복합 육상훈련이 초등학생의 임계속도와 임계속도 운동의 지속시간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제 12권 제3호, 431-443,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순발력과 지구력 복합 육상훈련이 초등학생의 임계속도, 임계속도 운동의 지속시간 및 지속거리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임계속도를 트레이닝 강도 설정이나 육상훈련의 효과검증 지표로 활용하는데 있다. 피검자는 초등학생 남자 20명(11.4±0.5세), 여자 19명(11.5±0.3세), 총 39명이었다. 이들은 3개월 동안 순발력과 지구력 복합 훈련을 주당 4~5회씩 참여하였다. 임계속도는 4가지 거리와 기록의 관계를 회귀분석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산출된 임계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임계속도 지속시간 및 지속거리를 육상훈련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훈련 전ㆍ후의 임계속도를 비교해 보면, 2.84±0.33에서 3.07±0.27 m/sec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계속도 지속시간은 훈련 전의 24.3±6.8분에서 훈련 후에 48.0±6.2분으로, 지속거리는 4.10±1.15km에서 훈련 후에 8.11±2.82km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임계속도 능력집단에따른 훈련 전ㆍ후 임계속도, 임계속도 지속시간, 및 지속거리는 우수, 보통, 열등의 3집단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훈련 후 임계속도는 약 8.1% 증가하였으나, 증가된 속도에서의 지속시간과 지속거리는 매우 높은 비율로 증가하였다. Lee B.K. Effects on the critical velocity and exercise time at critical velocity of mixed athletic train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ercise Science, 12(3): 431-443,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critical speed and exercise time at critical speed of mixed athletic training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utilize critical velocity for the determination of training intensity and for the verification of athletic training effects. The subjects was consisted of 20 boys(11.4±0.5yrs) and 19girls(11.5±0.3yrs). They were participated mixed athletic training for 3 months, 4~5 times a week. Critical velocity was calculated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4 running distance and records. Critical velocity, exercise time and distance at critical velocity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mixed training. Critical veloc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84±0.33m/sec to 3.07±0.27m/sec after training. Exercise time and distance at critical veloc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4.3±6.8min to 48.0± 16.2min, and from 4.10±1.15km to 8.11±2.82km. Critical velocity, exercise time and distance at critical veloc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critical veloc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all of 3 groups. Although critical velocity was increased 8.1% after training, exercise time and distance at increased critical velocity highly increased after training.

      • 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목재 섬유 복합재에 혼합이론의 적용에 관한 연구 (3) : 유황 화합물을 사용한 목재 섬유 복합재에 수정된 혼합이론의 상수 결정 Determination of Constant " a " and "b " for Modified Rule of Mixtures Applied to Fiber - Reinforced , Sulfure - Based Composites

        이병근 한국목재공학회 1984 목재공학 Vol.12 No.3

        It is shown that Paul and Jones' Rule of Mixtures modified by Smith and Cox's theory can be used far the fiber-reinforced, sulfur-based composites, when the constant far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 is given. The computation results, programmed by Hewlett Packard 75C (HP 75C) using math rom pack for the linear regression form, expressed as Ec = 1/3aE_(f)V_(f)+bE_(m)V_m, turn out to be a =3.27-3.54 b=-2.47∼2.80.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factors such as density of fiber mat and the amount of matrix used have nothing for affecting the numerical value of the constants a and b of the linear regression form. Conclusively this results also show that the Paul and Jones' Rule of Mixtures which has been used far the composites made by randomly-oriented long fiber can also be used for the composites made by short fiber with the same fiber orientation such as wood and lignocellulosic fiber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