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 재원 만 3, 4, 5세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비교

        유세영,조윤경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2019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3 No.3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recognition on the child's challenging behavior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s first solution to challenging behaviors. The child's behavioral checklist for parents(K-CBCL, 1.5-5), the child's behavior evaluation scale for the teachers(C-TRF) were used to rate the behavior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60 teachers and 160 parents of children of 3, 4, 5 years old at the public child care and education centers located in Incheon and Gyeonggi-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at the challenging behaviors of the children except the physical symptom subcategory. Secon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withdrawal subcategory only in the in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rated higher than the parents group, too. Third, the parents and teachers group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t attention problem and aggressive behavior subcategory in the externalized challenging behaviors. The teachers group also rated higher than the parent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acknowledge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on recognizing the challenging behaviors, for intervening appropriately on preschoolers' challenging behaviors. And needs of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for lesse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의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보고,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연계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부모와 교사의 협력적 접근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32개 국공립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부모와 담당교사 각 160명, 총 320명을 대상으로, 유아행동평가척도 부모용(K-CBCL. 1.5-5)과 한국판 유아행동 평가척도 교사용(C-TRF) 도구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전체 문제행동 인식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내재화의 신체증상을 제외하고 전 하위 영역에서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둘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내재화된 문제행동 인식에서는 위축에서 부모와 교사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셋째, 동일한 유아에 대한 외현화 문제행동 인식 차이에서 주의 집중 문제와 공격행동에서 부모와 교사 집단은 차이를 보였으며, 부모집단에 비해 교사집단이 높게 평정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적합한 조기 중재를 위해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교사 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부모와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행동의 차이를 줄여나가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되었다.

      • KCI등재

        Performance of NVMe and NVMe-over-Fabrics in NUMA System with High-Performance Network

        유세영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2021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논문지 Vol.16 No.6

        To find a common bottleneck in Data Transfer Nodes using modern NUMA systems, we need to investigate many components in the system. Even efficient modern data transfer systems suffer from performance degradation when used in high-speed data transfer because of the large amount of process load on the system, especially on the CPU and the storage devices. Many efficient storage systems provide a particular benefit in a specific situation. However, there is no comprehensive study of these protocols. There are proposed techniques to optimize CPU load on data transfer and configure storage systems, such as using different CPU core affinity bindings in their Non-Uniform Memory Access (NUMA) system NVMe-over-Fabrics to avoid CPU bottleneck in high-speed data transfer. Such techniques limit the user processes to specific NUMA nodes to reduce foreign memory access overhead. However, this results from a smaller number of available CPU cores in the NUMA system, which is counter-intuitive to run a large workload accessing multiple storage device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local file systems in high-speed data transfer and CPU affinity binding in a high-speed data transfer system, we performed an analysis of storage and CPU affinity binding in a 100 Gbps network. We achieved the maximum SSD performance threshold using 32 transfer processes with traditional file transfer while using one process per NVMe with NVMe-over-Fabrics and reduced CPU utilization. We could not find significant evidence that binding processes to the local processor or cores improve the file transfer performance with NVMe-over-Fabrics.

      • 흰 쥐 적출 심장에서 비작업성 관류 회로를 이용한 인삼 성분 Ginsenoside Rg1 Mixture의 심근 보호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범식,조규석,김동원,이재영,신원선,유세영 WHO COLLABORATING CENTRE FOR TRADITIONAL MEDICINE 1998 東西醫學硏究所 論文集 Vol.1998 No.-

        최근 심장 분야 수술의 발달로 여러 가지 고난도의 심장 수술과 심장 이식술의 시행이 증가하고 있으며, 술 후 예후에 크게 영향을 주는 심장의 심근 손상 방지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행해지고 있는데, 수술 및 이식 전후의 허혈기와 재관류시 발생할 수 있는 심근 손상을 최소화하고, 술 후 심근 기능의 조속한 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여러 약제 및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오래 전 부터 만병 통치의 영약으로 전해져 오고 있는 인삼을 이용한 동물 실험 및 임상 경험을 통해 성분 효과에 대한 여러 결과가 보고되고 있고, 심장 기능에 대한 효과도 약리학적 측면에서 많은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런데 여러 분획 추출물 중 ginsenoside Rg1 mixtures에 대해서는 그 결과가 다소 미비한 상태이고 ginsenoside Rg1을 이용하여 심근의 허혈 후 재관류 시행 10분 및 지속적 관류 상태에서의 심근 손상에 대한 심근 보호 정도를 혈역학적 지표 및 관상 혈류를 통한 관류액의 효소치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과 심근 허혈 및 재관류 후 심근 손상 방지와 심근 기능 회복에 효과가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약제의 투여 용량에 따른 심근 보호 정도에 관한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인삼 성분 각 분획의 복합 투여에 의한 결과도 재차 확인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Panax Ginseng C.A. Meyer has been known for hundreds of years as the most valuable drug having mysterious effects among all the herbal medicines and plants in Korea. Also, many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performed recently that the various effects were identified and applied clinically. So we attempted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ginsenoside Rgl mixtures in an isolated rat heart with the use of the Langendorff mode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is ginsenoside Rgl mixtures would protect the myocardial injury after ischemic arrest and reperfusion. Isolated rat hearts were allowed to equilibrate for 20 minutes and were then subjected to 15 minutes of normothermic ischemia. After this ischemic period, isolated rat hearts were allowed to reperfusion for 10minutes(Ischemic Group). In other group, isolated rat hearts were perfused for 60 minutes continuously with normothermia (Normothermic Group). Hemodynamic and b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heart rate, left ventricular pressure +dp/dt max, coronary blood flow and cardiac enzymes were measured during initial perfusion, ischemia, reperfusion period (Ischemic group) and 20, 40 and 60 minutes after continuous perfusion(Normothermic group). After completion of the experiment, this data was evaluat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Heart rates showered an increase in both ischemic and normothermic experimental groups,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identified. 2. LVP(Left Ventricular Press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ischemic and normothermic experimental groups(p<0.005, p<0.01). 3. +dp/dt ma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ischemic and normothermic experimental groups(p<0.01, p<0.01). 4.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ronary blood flow and cardiac cenzymes in all groups, but experimental groups seemed to have better protection and recover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oside Rgl mixture has a protective effect on the myocardial injury after ischemia and reper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