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대학에서의 오픈북 시험의 의의와 난점 탐색

        양미경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2

        In an era of unprecedented change to the learning environment, we are obliged to reflect on the ecological validity and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the traditional closedbook examin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an alternative method of evaluation in the university. This method, the ‘openbook examination’ is considered to be a simple but powerful way to meet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under the premise that students’ perceptions about assessment methods significantly influence their approaches to learning. For this purpose, 182 professors and 494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expectation effects and the limitations of the openbook exam.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various variables such as the major, status, career or academic achievement, perspective on the contents of the instruction, opinion on the human competence, and the advanced experience of the openbook ex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the openbook exam was acknowledged by most professors and students, while the opinion that the effects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rea and the level of the subject matters was also widely suggest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applying this openbook exam which is worthy of emphasizing in the age of ‘memory outsourcing’. 본 연구는 급변하는 학습환경의 변화에 부응하는 작지만 강력한 방편의 하나로 오픈북 시험을 제안하고, 대학교의 맥락을 중심으로 오픈북 시험에 대한 교수와 학생들의 인식과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오픈북 시험의 의의와 난점을 분석하였다. 인문학, 사회과학, 사범, 자연과학 및 공학 계열의 교수 182명과 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바람직한 학습평가 방식에 대한 입장, 오픈북 시험이 지닌 기대 효과와 난점에 대한 견해 등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그러한 인식이 응답자의 주요 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으로 교수와 학생들은 오픈북 시험의 의의와 효과에 상당히 우호적인 반응을 보였고, 특히 사범계열 교수와 학생들의 지지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계열 및 교과목의 수준 등에 따라 차별적인 효과를 지닌다는 견해가 많았다. 주요 연구 문제에 있어서 교수와 학생의 견해는 매우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공 계열, 수업내용관, 능력관, 오픈북 시험 경험 유무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향후 학습평가 방식이 지향해야 할 방향에 대한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양미경 한국교육학회 2011 敎育學硏究 Vol.4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of Education based on citation analysis. Citation analysis i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references in published documents. In this study it is used mainly to identify citer characteristics and citation practices, and evaluate journal impact. 12,465 references of 305 articles in 8 representative journals published in 2010 a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citation analysis results, the cognitive and social communication of academic association members is considerably restricted. There are very few citations between the articles of different journals. This study reveals that the root of the problem lies in the fact that the conventional studies of education heavily relied upon confused and distorted concept of education, which is the so-calle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schooling. It is emphasized that we should stop borrowing concepts and theories from other disciplines such as philosophy, psychology, sociology, administration, and technology, etc., and we shall make a surer and faster progress when we devote ourselves to finding out the endogenous conceptual framework of education. 본 연구는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한국교육학회와 그 산하 분과 학회 중 7개의 학회를 선정하여 총 8개의 학회에서 발간하는 공식 학회지의 2010년 발간 논문들의 인용 문헌이 분석되었다.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한 주요 연구 문제는 첫째, 국내 문헌 활용도, 둘째, 논문당 인용 문헌 수, 셋째, 교육학 분과학회 간 관심의 공유 및 소통 정도, 넷째, 교육학 분과학회 내의 소통의 긴밀성 및 연구 의존도 등이다. 분석결과, 첫째, 8개 학회지의 국내 문헌 인용 비율은 평균 42.6%이며, 『교육행정학연구』,『교육과정연구』,『교육사회학연구』등 우리나라의 학교 정책이나 쟁점을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많은 학회지의 경우 국내 문헌 활용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교육학 연구 논문당 인용 문헌 수는 평균 41.3편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러한 인용 문헌 수는 잠재적 인용치에 대한 의미있는 예측치로서, 학문 간 인용지수를 정당하게 비교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자체 학회지를 인용한 회수가 타 분과 학회지를 인용한 회수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타 분과의 학회지는 거의 인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각 학회지는 자체 학회지의 연구자에 의해서 주로 활용이 되고 다른 학회지의 연구자에 의해서는 지극히 제한적으로 활용되지만, 정작 각 학회지의 연구자들은 자체 학술지로부터 큰 도움을 얻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는 세분화된 분과학회들 상호 간에는 물론, 분과학회 내에서조차 관심의 공유와 소통, 상호 인정 등이 충분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학문 중심의 학회 조직 방식 및 학회지 발간의 한계를 인식하고 교육학의 새로운 학문적 구조를 모색할 필요가 있음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후보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적 관계 형성의 가능성과 한계

        양미경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3

        최근 사이버 공간(cyber space)을 통한 정보의 교류와 습득의 비중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교육학 연구에도 많은 과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런데 교육학 분야에서는 주로 컴퓨터를 정보 제공의 매체로서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처방에만 주목해 왔을 뿐, 사이버 공간의 의미와 가능성, 한계 등을 교육의 구조나 본질에 비추어 해석하는 노력은 매우 부족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을 살펴 보고, 그러한 특성이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적인 관계 형성에 어떠한 가능성과 한계로 작용하는지를 논의해 보았다. 사이버 공간이 지닌 특성 중, 접속과 철회의 자유로움, 유연한 역할 기대, 관례적 신상 정보의 부재로 교육 중심 관계 형성 용이, 시공의 한계를 초월한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 등은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적 관계 형성의 가능성을 구성하는 측면이자, 학교를 중심으로 고착된 교육 및 교육적 관계에 대한 기존의 개념틀의 한계를 불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주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맥락의 탈각, 디지털화가 불가능한 측면의 소외, 익명성으로 인한 정서적 관여와 책임 미약, 교육적 가치에 대한 깊이있고 지속적인 헌신을 기대하기 어려움 등은 사이버 공간을 통한 교육적 관계 형성의 한계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끝으로 사이버 공간이 지닌 교육적 가능성을 확대하고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사이버 공간에 대한 교육적 기획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human beings is now far less subject to constraints of space and time. In principle, information is now instantly available all over the globe and may be stored and retrieved as long as electricity is available. Advances in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have greatly expanded the opportunities of forming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n a cyberspa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 a cyberspace, and analyse its functional impacts on forming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The meaning of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s often reduced to and distorted as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a school system. But,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s reconceptualized as one of the universal human relationships which intends to reduce a relative difference of experience level between `the more advanced' and `the less advanced'. The characteristics which expand the possibilities of forming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n a cyberspace are clarified as follows: a spontaneous accessibility and disconnection, a flexibility in a role-play according to one's relative level, an unrestrictedness of the inadequate influence from the conventional status, a free accessibility regardless of place and time. And the characteristics which induce the limitations of forming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in a cyberspace are clarified as follows: a decontextualization of knowledge, an exclusion of the undigitalized aspects, a weak commitment due to anonymous communication and so on. Lastly, it is emphasized that the great possibilities of the rich educational relationship which we can make in a cyberspace can be properly grasped and expanded, only through the newly suggested conceptual schem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학생 인성교육을 위한 코칭역량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

        양미경 한국코칭학회 2020 코칭연구 Vol.13 No.2

        미래사회의 인성교육은 고등직업교육 단계에서 더욱 중요하기에 대학에서 인성교육의 강화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주로 코칭의 대상으로서의 역할에 머물렀던 대학생들에게 코치로서의 코칭역량을 키워주는 것이 예비사회인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으로서 효과성이 있는지를 검증하여 대학 내 인성교육의 다양성을 보완하고 인성교육의 도구로서 코칭의 활용가능성을 확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칭역량과 인성덕목과의 연계성을 선행연구를 통해 제시하고 실험집단인 D대학의 인성교육 목표를 분석한 뒤 코칭역량프로그램을 시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사전, 사후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코칭역량프로그램을 수행한 학생들은 프로그램을 수강하기 전에 비해 자기인식 및 조절, 자기주도성, 창의성, 탁월성, 책임감, 경청, 질문, 피드백, 목표수립, 관계형성 등 10개 항목 모두 높은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코칭역량개발은 단지 코치로서의 마인드와 기술만을 발달시키는 것이 아니라 수강자의 다양한 인성역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대학생의 전반적인 인성발달을 가능하게 해줄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초로 대학 내 인성교육의 다양성을 보완하고 인성교육의 도구로서 코칭의 활용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제언을 하였다. Personality in the future is more important in the higher vocational education stage. Thus, personality enhancement education is inevitable in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diver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in universities by verifying that it is effective to increase coaching capacity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remained primarily as a coaching object, and to expand the use of coaching as a tool for personality enhancement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a coaching competency program was implemented and a pre- and post-program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students who carried out the coaching competency program showed a high improvement in all 10 ite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coaching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does not only develop mind and skill as a coach, but also positively affects the personality of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supplement the diver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o expand the applicability of coaching as a tool for personality enhancement education.

      • KCI등재
      • 세탁과 착용의 효과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DURABLE PRESS SHIRTS

        양미경 이화여자대학교 가정대학 의류직물학과 1974 의류직물연구 Vol.- No.4

        이 연구는 Durable press 가공된 남자 shirts가 반복되는 착용과 세탁에서 얼마나 잘 그 특성과 만족스런 외양을 보존하는가에 대해서 100% cotton shirts polyester와 cotton이 blend된 셔츠를 택해서 그들의 성능에 대한 실험실결과와 소비자만족도에 관해서 테이타를 내고자 한다.

      • 旣成服 利用者의 身體値數와 衣服號數 認識에 關한 硏究

        梁美耕 전주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86 敎育論叢 Vol.1 No.-

        As a basic study to analyze what contents on size label about parts is reasonable, the purpose of this surve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body measurements and clothing siz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factors. The subjects are 795 people, composed of 451 middle school girls and 314 their mothers in Jeon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e test shows that Height is the most cognitive part of body. (2) The result of the test shows that the person think their body is fatter than it is. (3) The result of the test shows that those who think that their body shape is average recognize the readymade clothing fits roughly for them. (4) The high ratio of responding reveals that they ignore clothing sizes. (5) The result of the test reveals that pants are the most cognitive type of clothing on sizes. There is almost no relation between the frequencies of responding on body measurements and that on clothing sizes, so the person who have the high cognitivity on body measurements cannot be said to have the high cognitivity on clothing siz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