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청소년의 음악생활 및 음악선호도, 그리고 일상 스트레스와 음악사용전략 조사 연구: Pilot Study

        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6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2 No.4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일상에서의 음악생활을 알아보기 위해 일상에서 경험하는 음악활동과 음악선호, 지각된 스트레스, 그리고 음악을 사용한 정서조절 전략에 대해 조사한 것이다. 총 180명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음악활동, 음악선호, 지각된 스트레스, 그리고 음악사용 전략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동의서를 작성하고 성실하게 응답한 총 99명의 자료를 빈도분석, 교차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은 음악감상을 가장 많이 하고 또한 가장 선호하였으며 음악장르로는 대중음악을 가장 선호하였다. 둘째, 청소년들은 학업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외모스트레스의 경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청소년들은 음악을 사용하여 정서를 조절하는 전략 중 ‘회복’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고등학생들을 중학생들 보다 ‘강한 감각’ 과 ‘위안’ 전략을 많이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청소년들은 일상에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음악을 ‘방출’과 ‘정신작업’ 전략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보고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group of adolescents’ daily musical activities, musical preferences, stress-level, and mood regulation strategi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180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ata of 99 students were analys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cross-tabl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usic listening was the most preferred musical activities, and K-pop was the most preferred music genre among the adolescents. Second, for the adolescents, academic stress was the most stressful one. And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 statistically different levels of stress regarding their physical appearance. Third, “revival strategy” is the most commonly used strategy among adolescents. And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s on “strong sensation” and “solace strategy” betwee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Also, students experiencing the higher stress showed that they used more “discharge” and “mental work” strategies than other strategies.

      • KCI등재

        성폭행 피해아동과 함께 하는 음악심리치료 상황에서 음악치료사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성폭행 피해아동과 함께 하는 음악심리치료 과정중에서 음악치료사들이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것이 어떠한 것인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현상학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성폭행 피해아동을 위한 음악심리치료에 참여했던 8명의 음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경험한 것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기 위해 Moustakas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개방형 설문을 통해 질문을 구성하고 이후 심층면접을 통해 치료사들의 경험을 다시 자세하게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주제별로 범주화 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3개의 연구문제와 관련되어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음악심리치료과정에서의 경험으로 ‘개인으로서의 경험’과 ‘전문가로서의 경험’이 도출되었다. 두 번째 주제는 ‘대처와 성장’으로 ‘적극적 대처’와 ‘치료사로서 성장’이 도출되었다. 마지막 주제는 ‘음악은 치유’로서 치료과정에서 ‘안전과 신뢰의 공간’, ‘표현과 투사의 공간’, ‘공감과 지지의 공간’, ‘연결의 공간’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성폭행 피해아동과의 음악심리치료 과정에서 치료사들의 경험을 이해함으로 음악의 치유적 역할을 확인하고 또한 이들을 위한 향후 훈련과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rapists' experiences in music psychotherapy with sexual abused children. For this purpose, Moustakas’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applied to 8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psychotherapy for sexual abused children. The research process first constructs questions through open questionnaires and then in depth interviews to describe therapists' experiences in detail and categorizes them by subjec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ub-themes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ree research questions in total. First, ‘experience as an individual’ and ‘experience as a professional’ were derived from experiences in the music therapy process. The second 'coping and growth' led to 'active coping' and 'growth as a therapist'. Finally, 'music is healing', it has a healing role by providing 'space of safety and trust', 'space of expression and projection', 'space of empathy and support', 'space of conn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for training and education for therapist in psychotherapy process with the victimized child.

      • KCI등재

        국내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 동향 분석

        황은영,박소연 한국음악치료학회 2012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조사ㆍ분석하여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ㆍ박사 학위논문 총 961편이며, 연구자의 학위와 배경,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박사학위논문은 33편, 석사학위논문은 928편이었고, 음악치료 전공자의 논문은 545편, 기타 전공자의 논문은 416편이었다. 둘째, 연구된 대상은 장애대상은 374편, 비장애대상 465편, 환자대상 60편, 기타 62편이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786편으로 가장 많았고, 문헌연구 102편, 질적연구 14편, 양적ㆍ질적 병행연구 59편이었다. 넷째, 연구내용에 있어서는 정서영역(40.8%)이 가장 많았다. 이를 중심으로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 방향이 토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in music therap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from 2001 to 2010, and to make some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Korea. The thes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ses of master’s and doctora’s degree, total of 961 and were divided by degree, major,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subjects of the theses, method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sted as follows. First, degree of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33 doctoral’s degrees and 928 master’s degrees. Those of all, there were 545 music therapy major’s theses and 416 of others. Second, subjects used in the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374 disabilities, 465 non-disabilities, 60 patients and 62 others. Third, targeted research methods were divided as follows; 786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102 literature research methods, 14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59 quantitative-qualitative mixed research methods. Fourth, the field of emotion was the highest(40.8%) in the research contents.

      • 17세기 후반 ~ 18세기 중반 통신사행 회화자료의 특성 연구

        황은영 조선통신사학회 2020 조선통신사연구 Vol.30 No.-

        본 연구는 17 세기 맡기에서 18 세기 전반기에 파견된 7 차 1682 년, 8 차 1711 년, 9 차 1719년 통신사행을 대상으로 관련 회화 및 기록을 검토하여 통신사를 통한 조일 양국 회화교류의 역사적인 의의를 찾아보고자 한다. 외교사절이었던 통신사행 관련 회화는 단순한 미술작품이 아니 라 외교적 수단이기도 하고, 상호 감성의 교류 수단이기도 하며, 기 록화로서의 기능과 정보 수집, 문물제도 수용을 위한 기초 작업의 수단이가도 하여 사료(史料)로서의 다양한 가지를 지넌다. 통신사 관련 회화는 사행의 목적과 일정한 유기적 상호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사행 당시 남겨진 기록들과 함께 조선의 사행단과 일본의 사행 접대 인사들의 교유를 살펴볼 수 사료로서의 가치도 높다. 조선후기 통신사행과 관련된 회화 자료와 관련 기록을 주요 사 료로 활용하여 미술사적인 분석이 아닌 문화교류사적인 측면에서 조명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시기적 대상이 되 는 통신사행은 문화교류의 전담자로서 제술관(製述官)이 새롭게 편성되어 파견되고, 일본에서 펼담창화집이 본격적으로 간행된 7 차 1682 년 임술 통신사행, 대규모 육해상 행렬도가 제작된 8차 1711 년 신묘통신사행 통신사 외교 절차에 있어 1682년의 구례(舊 例)를 회복한 9차 1719년 기해 통신사행 3회의 통신사행이다. 이라한 분위기에서 40년이 채 되지 않은 기간동안에 제작된 통 신사행 관련 회화는 18 건이 파악되었다. 이 가운데 기록화는 11 점 으로 세부적으로 육상행렬도가 4 점, 수상행렬도가 4 점, 기록을 위 한 인물화가 3 점이다. 교류 회화는 고사인물화 2 점, 화조영모 1 점, 산수화 3 점, 사군자 1 점이 있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기록화는 모두 일본측에서 그린 것이어서 이 시기 통신사 행렬과 조선에 대 한 많은 내용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교류회화 가운데 고사인물화인 조태억의 〈기마도〉와 산수화, 화 조영모화, 사군자는 성리학에 기초한 화목이다. 특히 산수와 은일 을 주제로 한 그림은 앞선 사행에서는 볼 수 없었던 것으로 성리 학이 회화교류에 있어서도 중요하게 작용하기 시작한 점을 파악하 였다. 또한 가노 히데노부의 〈전제이 하치로[鎭西八郞]병풍〉은 일 본 역사 인물 미나모토 다메토모[源寫朝]의 전투장면을 담은 그림 으로 일본에서 조선에 선물하기 위해 제작한 그럼에 일본의 역사 내용을 주제로 한 점도 간과해서는 안 될 시사점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some historical meanings of the paintings exchange between Joseon and Japan through Tongsinsa, by exammmg the paintings and records about 7th(1 682) , 8th(l 71 1) and 9th(1719) Tongsinsa(the Korean envoy) dispatched from the late 17th to the early 18th century. Such paintings regarding Tongsinsa-Haeng, a foreign envoy, were not only mere art works, but also diplomatic measures. They also served as instruments of basic works for collecting data and accommodating civilized systems, with their functions as recording paintings and have a variety of values as historical materials( 밍料). The paintings have an organic correlation with envoy trips and they, as well as the remammg records about the envoy trips are also highly valued as historical materials with which th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Joseon envoys and Japanese personnel who welcome them. This study aUempted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s of such painting materials and related records , about Tongsinsa-Haeng during the 1ate Joseon. dynasty, by using them as main historica1 materia1s and high1ighting them in terms of the history of cll1tura1 exchanges, rather than conducting an ana1ysis of the art history. For the Tongsinsa-Haeng, Jesu1gwan( 製述官) responsib1e for cu1tura1 exchange was new1y appointed and dispatched, and there were three Tongsinsa-Haengs: the 7th (Imsu1, 1682) envoy trip in which Pi1damchanghwajip were activ1y issued in Japan; the 8th (Sinmyo , 1711) in which 1arge paintings about parades on 1and and sea were created; and the 9th CGihae‘ 1719) in which the old custom of 1682 in the procedures for Tongsinsa dip10macy was recovered. In this climate, 18 pieces of paintings about Tongsinsa-Haeng have been created for 1ess than 40 years. Among them 11 pieces of recording paintings can be sub-divided into 4 paintings about parades on 1and, 4 paintings abollt parades on sea and 3 portraits for recording; 7 pieces of exchanging paintings into 2 Gosa portraits, 1 Hwajoyeongmo, 3 1andscape paintings and 1 Four Gracious P1ants. A11 of the recording paintings, which accounts for the highest ratio among a11 paintings can be found to document a 10t of contents regarding the parades of Tongsinsa and Joseon at that time , as they were created by Japan. Among the exchanging paintings, Jo Taeeok’s <Horse Riding Painting>, a Gosa portrait, 1andscape paintings, Hwajoyeongmo and Four Gracious P1ants are gardening p1ants based on Sung Confucianism. In particular, the paintings with the themes of landscapes and reclusion could not be discovered in previous cnvoy trips , indicating that Sung Confucianism began to have an important effect on even the exchange of paintings. In addition, it is also valuable to note that the paintings created by Japan as presents for Joseon, such as Gano Hidebu’s <Jinjei Hachiro [鎭西八郞] Folding Screen>, which describes the battle scene experienced by Minamoto Dametomo [源寫朝], a Japanese historic figure , have the themes of Japanese historic contents.

      • KCI등재후보

        청소년 대상 그룹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황은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ata regarding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with adolescents. 27 master's, doctorial theses and published articles between 2000 and 2012 were selected for meta analysis. Subject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session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49 effect sizes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from 27 studi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0.14, which is small size effect, according to Cohen’s ES interpretation criteria. The mean ES was influenced by the subjects(adolescents/maladjustment students/addictive students/students in facility), the ES of adolescents was the bigges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bjects. During the independent variables(active music therapy/receptive music therapy/combined music therapy), combined music therapy showed the biggest efficacy. When results were sorted by the dependent variables (social/emotional/behavior/cognitive category), the ES of behavioral category was the bigges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The ES of 11∼15 session was the most effective.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그룹 음악치료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27편으로 연구대상, 독립변인, 종속변인 그리고 치료회기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7편으로부터 총 49개의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그 크기는 -0.14로 약한 정도의 크기이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상은 일반청소년, 비행/부적응 청소년, 중독 청소년, 시설거주 청소년 등으로 구분하였는데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표본수는 31 이상인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컸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독립변인에 대해서는 수용적, 적극적, 수용적+적극적 방법사이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수용적+적극적 방법을 적용한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정서, 사회성, 인지, 행동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행동영역에서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치료횟수는 1∼15 이하인 경우 가장 효과크기가 컸다.

      • TV 오락 프로그램 아나운서 진행자에 대한 시청자 TV 오락 프로그램 아나운서 진행자에 대한 시청자

        황은영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5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4 No.2

        The recent controversy on the status and activity range of announcers has not yet been resolved. However, academic studies regarding such phenomenon hardly exist in the academic world. Hereupon, this research thesis has inspected the present situation of viewers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has executed survey on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First, what is the present viewers condit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Second, what is the response of viewers regarding the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presented an improved direction regarding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through the following 4 elements : first, the necessity of self-efforts of announcer, second, establishment of new status regarding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third,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ism of announcer, and fourth, improvement in problems of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 KCI등재

        한국의 음악치료 미래변화와 그 전망 : 음악치료 도입 20주년을 기념하며

        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델파이 조사방법을 통해 음악치료 영역에서의 미래변화를 예측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음악치료 관련 교수와 임상경력 7년 이상의 전문 음악치료사 15인으로 구성되었으며 3차까지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대상에 있어서는 호스피스 대상 치료가 가장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다음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일반인 대상 치료, 치매노인 대상 치료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음악치료 철학은 통합적인 이론을 가진 접근이 가장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접근방법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합한 중재, 테크놀로지 등의 기술을 통한 중재가 가장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뇌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치료사 없이 하는 중재는 약간 감소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다섯째, 교육과 제도에 있어서는 치료사의 전문성을 위한 교육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요성과 변화예측을 비교한 결과 자격증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기구가 음악치료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지만 향후 10년 이내에 통합 기구 설립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예측을 하지 않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ecast the future of music therapy and to offer ideas and suggestions to develop music therapy in Korea. For this research Delphi Method was used and 15 professionals and experienced practitioners in music therapy in Korea participated for three rounds of surveys.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respondents forecasted that music therapy in hospice setting will be the most activated in the future, followed by music therapy for persons with stress management and dementia. Second, experts predicted that music therapy philosophy will be based on the integrated theoretical orientation. Third, participants expected that interventions with combined various therapeutic methods and technologies will be the most commonly used. In research methods, brain science based research will be the most increased and practice without music therapist will be somewhat decreased. Fifth, in the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rea, education and training for music therapy professionals will be the most activated. Lastly, respondents rais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music therapy associations to operate licence system, but they anticipated that it would not be established within 10 years.

      • KCI등재

        음악치료사들이 지각하는 음악의 치료적 요인에 대한 고찰

        황은영,양은아 한국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9 No.2

        이 연구는 음악치료에서 중요한 변인 중 하나인 음악이 본질적으로 가지고 있는 치료적 요인에 대한 음악치료사의 지각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과정은 먼저 문항을 개발하였는데 문헌연구과 임상경력 5년 이상의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개발된 문항을 수정한 후 음악치료사 자격증을 소지한 한국음악치료학회 학회원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는 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일반인들의 인식도와 비교하였다.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의 치료적 요인을 요인분석한 결과 다섯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즉 즐거움/미적경험 요인, 인지/행동 요인, 정서/통찰 요인, 신체/감각 요인, 그리고 사회/그룹 요인이다. 둘째, 치료사의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각 요인에 대한 중요도 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음악전공 여부에 따라서는 차이가 있었다. 즉, 기타전공자들이 즐거움/미적경험 요인과 정서/통찰 요인에 대해 음악전공자들보다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일반인들은 음악치료사들보다 즐거움/미적경험 요인에 대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치료적 목적과 관련된 인지/행동 요인, 정서/통찰 요인, 그리고 사회/그룹 요인에 대해 음악치료사들의 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음악의 치료적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perceptions of music therapists towards therapeutic factors inherent in music. Those perceptions were then compared with those of non-experts. In order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items for the main survey,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an open questionnaire survey was implemented for music therapy experts with five years or more of clinical experience.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then modified by researchers and given in the main survey to members of the Korean Music Therapy Association and non-experts to evaluate the importance of the factor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ive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factor analysis to represent the therapeutic factors of music : pleasure/aesthetic experience factor, cognition/behavior factor, emotion/insight factor, physical/sensory factor, and social/group factor. Second, the evaluations of each factor among therapists were found to b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individual perspective but by the classification of music versus non-music major: non-music majors perceived the pleasure/aesthetic experience factor and emotion/insight factor as more important than music majors did. Third, non-experts perceived the pleasure/aesthetic experience factor as more important than music therapists did, and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cognition/behavior, emotion/insight, and social/group factors related to the therapeutic go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erimentally examined and confirmed the therapeutic factors of music.

      • KCI등재

        델파이 방법을 활용한 국내 음악치료 훈련에서의 변화와 발전방안 연구

        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2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음악치료 훈련과정에서의 변화와 함께 국내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요인들을 예측하고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미래예측방법인 델파이 방법을 적용하였으며전문가 패널로 음악치료 분야의 전문가 20인을 선정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3 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이론과목과 운영에서의 변화에서는온라인/오프라인 교육, 상담관련 수업이 추가될 것으로, 실습과목과 운영에서의 변화에서는 일반인 등 대상군 확대 등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둘째,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 요인으로는 전문성, 자격, 기관운영, 이론 및 프로그램, 기타 분야로 목록화 되었으며 세부적으로 치료사의 질적 성장을 위한 보수교육의 강화, 자격증 전문성에 대한 홍보, 센터와 연구소의 운영, 연구의 증대, 다양한 채널을 통한 음악치료 홍보 등을 발전을 위해 중요한 요인으로 예측하였다. 한편, 요인들의 변화에 대한 가능성과 중요도에서의 예측은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일반적으로 중요도에비해 변화의 가능성은 낮다고 예측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전문적이고 실천적인 음악치료 훈련을 제공하여 전문 음악치료사를 양성하고 또한 국내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