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Overexpress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e Death Domain Complex between TRADD and FADD
황은영,정미숙,성민경,장세복 대한화학회 2013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34 No.4
The tumor necrosis factor-receptor 1 (TNFR1)-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TRADD) contains an Nterminal TRAF binding domain and a C-terminal death domain. TRADD is known to interact directly with TNF receptor 2 (TNFR2) and the Fas-associated death domain protein (FADD), which are signal transducers that activate NF-kB and induce apoptosis, respectively. To date, there has been no structural information on the TRADD and FADD death domain (DDs) complex. In this study, the death domains of TRADD and FADD were co-expressed and purified from Escherichia coli for structural characterization. We found that human TRADD (hTRADD) interacted strongly with mouse FADD (mFADD) via their DDs and interacted weakly with human FADD (hFADD)-DD. Moreover, the structures of the TRADD-DD:FADD-DD complexes were separately modeled from predicted structures in the protein data bank (PDB).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ave important applications in human diseases such as cancer, AIDS, degenerative and autoimmune diseases, and infectious diseases.
황은영,박소연 한국음악치료학회 2012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4 No.1
이 연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을 조사ㆍ분석하여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ㆍ박사 학위논문 총 961편이며, 연구자의 학위와 배경,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박사학위논문은 33편, 석사학위논문은 928편이었고, 음악치료 전공자의 논문은 545편, 기타 전공자의 논문은 416편이었다. 둘째, 연구된 대상은 장애대상은 374편, 비장애대상 465편, 환자대상 60편, 기타 62편이었다. 셋째, 연구방법은 양적연구가 786편으로 가장 많았고, 문헌연구 102편, 질적연구 14편, 양적ㆍ질적 병행연구 59편이었다. 넷째, 연구내용에 있어서는 정서영역(40.8%)이 가장 많았다. 이를 중심으로 음악치료 발전을 위한 방향이 토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in music therapy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s from 2001 to 2010, and to make some direc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music therapy research in Korea. The theses used in this study include theses of master’s and doctora’s degree, total of 961 and were divided by degree, major,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ers, subjects of the theses, methods and contents of the research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sted as follows. First, degree of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33 doctoral’s degrees and 928 master’s degrees. Those of all, there were 545 music therapy major’s theses and 416 of others. Second, subjects used in the theses were divided as follows; 374 disabilities, 465 non-disabilities, 60 patients and 62 others. Third, targeted research methods were divided as follows; 786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102 literature research methods, 14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nd 59 quantitative-qualitative mixed research methods. Fourth, the field of emotion was the highest(40.8%) in the research contents.
황은영 한국음악치료교육학회 2012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ata regarding the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with adolescents. 27 master's, doctorial theses and published articles between 2000 and 2012 were selected for meta analysis. Subject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number of session were us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group music therapy program. 49 effect sizes using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from 27 studie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overall mean effect size was -0.14, which is small size effect, according to Cohen’s ES interpretation criteria. The mean ES was influenced by the subjects(adolescents/maladjustment students/addictive students/students in facility), the ES of adolescents was the bigges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ubjects. During the independent variables(active music therapy/receptive music therapy/combined music therapy), combined music therapy showed the biggest efficacy. When results were sorted by the dependent variables (social/emotional/behavior/cognitive category), the ES of behavioral category was the biggest.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m. The ES of 11∼15 session was the most effective. 이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그룹 음악치료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음악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논문은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27편으로 연구대상, 독립변인, 종속변인 그리고 치료회기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7편으로부터 총 49개의 효과크기가 도출되었다. 그 크기는 -0.14로 약한 정도의 크기이며 연구자 배경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상은 일반청소년, 비행/부적응 청소년, 중독 청소년, 시설거주 청소년 등으로 구분하였는데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표본수는 31 이상인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컸지만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다. 셋째, 독립변인에 대해서는 수용적, 적극적, 수용적+적극적 방법사이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수용적+적극적 방법을 적용한 경우 효과크기가 가장 컸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인에 따라서는 정서, 사회성, 인지, 행동영역으로 구분하였는데 행동영역에서의 효과크기가 가장 컸으며 치료횟수는 1∼15 이하인 경우 가장 효과크기가 컸다.
황은영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9 No.1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music therapy research related to COVID-19 in Korea during the pandemic period, copes with new changes in music therapy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nd proposes future directions thereafter. In particular, in a situation where quantitative research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e scoping review method was applied to exploratory research. To this,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2020 to the first half of 2022, when COVID-19 occurred, were targeted, and a total of 23 studies were selected. Twenty-three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hases of scoping review.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23 studies, 3 experimental studies, 16 descriptive studie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studies, and 4 qualitative studies were selected, showing a tendency to gradually increase. Second, experimental studies were conducted targeting vulnerable population in the pandemic situation, such as children with disability, job seekers in 20s, and COVID-19 self-isol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by content, it can be divided into the clinical status of music therapy, the use of music for emotional regulation, and the perception of tele-music therapy. As a result of this study, music therapis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change, but through these difficultie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grow further. 본 연구는 팬데믹 시기에 국내에서 발표된 COVID-19 관련 음악치료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음악치료 영역에서의 새로운 변화를 알아보고 이후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별히 양적연구가 충분히 수행되지 못한 상황에서 연구를 탐색적으로 고찰할 수 있는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2022년 상반기까지 국내에서 출판된 COVID-19 관련 음악치료 연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23편이 선정되었다. 23편의 연구를 주제범위 문헌고찰의 단계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3편의 연구 중 실험연구는 3편, 문헌연구를 포함한 조사연구는 16편, 질적연구는 4편이 선정되었으며 연구편수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둘째, 실험연구는 팬데믹 상황에서 취약한 대상인 장애아동, 취업준비생, 코로나-19 자가격리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셋째, 조사연구를 내용별로 분석한 결과 음악치료 임상 현황 조사, 정서변화를 위한 음악사용, 비대면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조사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들이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어려움을 경험하였지만 이러한 어려움을 통해 더욱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제시된 전략들을 현장에 적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V 오락 프로그램 아나운서 진행자에 대한 시청자 TV 오락 프로그램 아나운서 진행자에 대한 시청자
황은영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5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4 No.2
The recent controversy on the status and activity range of announcers has not yet been resolved. However, academic studies regarding such phenomenon hardly exist in the academic world. Hereupon, this research thesis has inspected the present situation of viewers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has executed survey on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First, what is the present viewers condition of entertainment programs? Second, what is the response of viewers regarding the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has presented an improved direction regarding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through the following 4 elements : first, the necessity of self-efforts of announcer, second, establishment of new status regarding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third, strengthening of professionalism of announcer, and fourth, improvement in problems of entertainment program announcer MC.
철학적 현대성 비판과 치유 신학의 가능성 - 존 밀뱅크의 아우구스티누스 전유를 넘어서
황은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4 기독교사회윤리 Vol.60 No.-
본 논문은 현대성에 대한 철학적 비판을 살펴보면서 존 밀뱅크의 아우구스티누스의 두 도성론 재해석이 어떻게 현대 세속 이성의 한계를 비판, 극복하면서 신학적 병리 분석과 치유 담론으로 발전하는지를 고찰한다. 현대적 상황에서 치유 신학은 현대성에 대한 비판적인 담론에 관련하면서 가치 판단, 욕망, 감정, 정동의 병리성과 치유를 분석한다. 앨레스터 매킨타이어와 미쉘 푸코, 악셀 호네트는 다원적 자유주의, 권력과 통치성, 자본주의의 병리성을 비판하지만, 그 대안으로 전통 의존적 합리성, 자기 배려, 이성의 현실화를 제시한다. 다원적 자유주의의 정치-경제적 체제와 실정적 지배, 역사 해방과 진보의 변증법에 대해서, 밀뱅크는 신적 선물성과 비폭력적, 비경쟁적 자기 줌의 대항적 존재론, 자유, 평등, 공동 감각의 대항적 윤리, 신적 구원사라는 대항적 역사를 제시한다. 그의 반정립적 틀은 두 도성의 애매성과 혼합을 고려할 때, 기독교적 가치, 욕망, 감정, 정동 치료의 역동성을 포착할 수 있다. In examining various philosophical critiques of modernity, this paper analyzes how John Milbank’s reinterpretation of Augustine’s Two Cities can be developed into a theological pathological analysis and a therapeutic discourse that critiques and overcomes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modern secular reason. Therapeutic theology analyzes the pathological symptoms of individual and social values, judgments, desires, emotions, and affections, while promising its own vision of therapy. In our contemporary context, therapeutic theology must engage with a number of critical discourses of modernity. Alasdair MacIntyre, Michelle Foucault, and Axel Honneth respectively critique the pathologies of pluralistic liberalism, power and governmentality, and capitalism with different emphases, and offer alternatives of tradition-dependent rationality, the care of the self, and the actualization of reason through conflicts. Against contemporary pluralistic liberalism, its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their positive domination, and the dialectics of historical liberation and progress, John Milbank proposes a counter-ontology of divine giftedness and non-violent, non-competitive self-giving; a counter-ethic of freedom, equality, and a sense of community; and a counter-history embodying a divine redemptive history. This antithetical framework, if complemented by the ambiguity and inter-mixture of the Two Cities, can capture the dynamics of the therapeutic process of values, desires, emotions, and affections in the lives of Christians living amidst contemporary secularity.
한국의 음악치료 미래변화와 그 전망 : 음악치료 도입 20주년을 기념하며
황은영 한국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8 No.2
이 연구는 델파이 조사방법을 통해 음악치료 영역에서의 미래변화를 예측하고 향후 발전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은 음악치료 관련 교수와 임상경력 7년 이상의 전문 음악치료사 15인으로 구성되었으며 3차까지 델파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치료 대상에 있어서는 호스피스 대상 치료가 가장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다음으로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일반인 대상 치료, 치매노인 대상 치료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음악치료 철학은 통합적인 이론을 가진 접근이 가장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셋째, 접근방법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합한 중재, 테크놀로지 등의 기술을 통한 중재가 가장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에 있어서는 뇌과학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치료사 없이 하는 중재는 약간 감소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다섯째, 교육과 제도에 있어서는 치료사의 전문성을 위한 교육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요성과 변화예측을 비교한 결과 자격증을 관리하기 위한 통합기구가 음악치료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지만 향후 10년 이내에 통합 기구 설립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예측을 하지 않아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orecast the future of music therapy and to offer ideas and suggestions to develop music therapy in Korea. For this research Delphi Method was used and 15 professionals and experienced practitioners in music therapy in Korea participated for three rounds of surveys. Followings are the major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respondents forecasted that music therapy in hospice setting will be the most activated in the future, followed by music therapy for persons with stress management and dementia. Second, experts predicted that music therapy philosophy will be based on the integrated theoretical orientation. Third, participants expected that interventions with combined various therapeutic methods and technologies will be the most commonly used. In research methods, brain science based research will be the most increased and practice without music therapist will be somewhat decreased. Fifth, in the academic and administrative area, education and training for music therapy professionals will be the most activated. Lastly, respondents raised the necessity of integrated music therapy associations to operate licence system, but they anticipated that it would not be established within 10 years.
황은영,김화수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2024 국제다문화의사소통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2
본 연구는 발달장애 대학생이 설명문 쓰기에서 보이는 특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통해 이들의 대 학생활 적응과 학업 성취를 지원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경북 지역 D대학 의 발달장애 대학생 17명과 비장애 대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대학생활에 대해 설명하 는 글’이라는 주제로 설명문 작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대학생은 설명문 내용 측면에 서 ‘텍스트 구조의 적합성’, ‘문맥의 흐름’, ‘정확한 어휘 사용’이 유의미하게 낮게 나타났다. 또한, 텍 스트 구조 측면에서는 상위 개념과 하위 개념을 범주화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발달장애 대학생이 글쓰기에서 정보의 구조화와 범주화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들의 글쓰기 능력을 지원하기 위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중재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 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글쓰기 능력을 이해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적 접근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