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oxel-based Investigations of Phase Mask Effects on Susceptibility Weighted Images

        황어진,김민지,김혁기,류창우,장건호,Hwang, Eo-Jin,Kim, Min-Ji,Kim, Hyug-Gi,Ryu, Chang-Woo,Jahng, Geon-Ho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3 의학물리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영상의 화소 간 분석(voxel-based analysis)을 이용하여 자화율 가중 영상(SWI)에 나타난 위상 마스킹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20명의 정상 노인에서 SWI 영상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3차원 경사자장 에코 시퀀스를 이용하여 영상을 얻었다. SWI 영상에서의 위상 마스킹의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원래의 경사자장 크기(magnitude) 영상에 위상 영상을 2번 곱한 SWI2 영상, 4번 곱한 SWI4 영상, 영상 내 정맥 혈관을 강조한 양의 위상 마스크 SWI 영상 (PSWI), 그리고 조직 부분을 강조한 음의 위상 마스크 SWI 영상(NSWI)을 만들었다. paired t-test를 이용한 PSWI와 NSWI간 신호강도의 차이, SWI2와 SWI4간의 신호강도의 차이, 그리고 경사자장 크기영상 영상과 위상 마스킹에서 얻은 SWI 영상의 신호강도의 차이를 voxel-based 분석으로 수행하였다. 신호 강도 차이는 magnitude과 SWI4 영상 간의 차이가 magnitude과 SWI2 영상 간의 차이보다 더 크게 나왔다. 또한, 신호강도 차이는 magnitude과 PSWI 영상 간의 차이가 magnitude과 NSWI보다 더 많았다. 그리고 NSWI2와 NSWI4간의 신호강도 차이가 PSWI2와 PSWI4간의 신호강도 차이 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그리고 NSWI4와 PSWI4간의 신호강도 차이가 NSWI2와 PSWI2간의 신호강도 차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위 실험은 화소 간 분석을 통한 SWI 영상 연구가 뇌 전체의 자화율 효과를 볼 때 매우 유용할 것이라는 사실뿐만 아니라, 각기 다른 위상 마스킹 방법을 응용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정맥 혈관 대비, 혹은 뇌 조직 대비를 강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그러므로, 자화율 가중 영상의 화소 간 분석은 많은 임상 예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phase mask on susceptibility-weighted images (SWI) using voxel-based analyses in normal elderly subjects. A three-dimensional (3D) gradient echo sequence ran to obtain SWIs in 20 healthy elderly subjects. SWIs with two (SWI2) and four (SWI4) phase multiplications were achieved with positive (PSWI) and negative (NSWI) phase masks to investigate phase mask effects. The voxel-based comparisons were performed using paired t-tests between PSWI and NSWI and between SWI2 and SWI4.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SWI4 were larger than those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SWI2s.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PSWIs were larger than those between magnitude images and NSWIs. Moreover, the signal intensities from NSWI2s and NSWI4s were greater than those from PSWI2s and PSWI4s, respectively. More differences of signal intensities between NSWI4 and PSWI4s were found than those between NSWI2s and PSWI2s in the whole brain images. The voxel-based analyses of SWI could be beneficial to investigate susceptibility differences on the entire brain areas. The phase masking method could be chosen to enhance brain tissue contrast rather than to enhance venous blood vessel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apply voxel-based analyses of SWI to investigate clinical applications.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아버지 관련 국외 연구 동향

        황어진(Hwang, Eo-jin),김혜리(Kim, Hye-r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저소득가정 아버지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을 위해 41편의 국외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고, 연구방법 및 연구결과에 따른 국외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 결과, 양적 연구방법이 질적 및 문헌 연구방법보다 많이 사용되었으나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저소득과 아버지라는 대상 특성으로 인해 패널 자료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 다음으로 연구결과에 따른 연구 동향 분석을 위해 저소득 아버지; 저소득 아버지-영유아기 자녀; 저소득 아버지-인적환경의 세 가지 주제 범주별로 연구결과를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세분화된 저소득 아버지 참여 지원 및 후속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편견과 기회차별에 놓여있던 저소득 아버지에 대한 현장 교사 및 전문가들의 이해를 넓히고, 더 나아가 저소득 맥락에서 아버지들의 부모 역할인식 및 실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구축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기대된다. To analyz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on low-income fathers with young children, we selected 41 international papers and analyzed them according to research methods and findings. Analysis based on research method shows that while quantitative research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other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they were fairly evenly distributed. Further,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low-income fathers, panel data was often utilized. Subsequently,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based on research findings, we studied the findings according to three main research topic categories (low-income fathers; low-income fathers and young children; low-income fathers and human environment) and discussed low-income father support and subsequent research directions. This study hope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low-income fathers who have been the victim of prejudice and unequal opportunity in Korean society among educators and experts, and to further serve as a foundational material that may help create a program fostering fathers’ acknowledgement of parental roles and implementation among low-income fathers.

      • KCI등재

        유아기 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의 심리내적 갈등과 성장에 대한 탐색

        황어진(Hwang, Eo Jin),김낙흥(Kim, Nak-He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6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장애 자녀를 둔 아버지가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심리내적 갈등과 성장의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자녀가 발달지연이나 장애 판정을 받았으며 만 4~ 5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 3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각 3회기씩 심층개별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문서자료를 수집하여 자료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 범주화, 범주확인의 세 단계로 요약되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부호화하고 유형화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유아 아버지들이 경험한 심리내적 갈등은 충격, 부정, 혼란, 죄책감, 불안, 좌절로 나타났으 며, 심리내적 성장은 자아성찰을 통한 개인적 성장, 장애자녀에 대한 진정한 이해 그리고 찾아온 행복, 아버지로서의 반성과 책임감, 삶의 가치에 대한 진정한 깨달음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장애유아 아버지들에 대한 현장의 교사 및 전문가들의 이해를 넓히고, 더 나아가 유아기 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이 느끼는 심리내적 갈등과 부담의 경감 및 긍정적 경험의 강화를 통해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at exploring internal psychological conflicts and experiences of growth of fa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process of raising their children. The study conducted thre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three fathers whose children had been determined to have developmental delays or disabilities, and various documents were also collected and utilized in data analysis. Such gath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ant-comparative method, a method comprised of open-coding, categorization and confirmation of categories.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erience internal psychological conflicts including shock; denial; confusion; guilt; anxiety; and frustration. On the other hand, fathers also went through internal psychological growth comprised of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self-reflection; genuine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resulting joy;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father; and realization of the true value of life. Hopefully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mong educators and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may serve as a foundational work that can facilitate support programs that may lessen the burden and conflicts experienced by fa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the same time emphasizing their positive experiences so that their quality of life may be elevated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국외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 고찰: 2000년대 미국 연구를 중심으로

        황어진 ( Hwang Eojin ),김혜리 ( Kim Hyer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자녀를 둔 국외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국내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실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있다. 이에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국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저소득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대상 및 방법, 프로그램의 중재 목표, 결과, 내용, 방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외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은 경제력뿐만 아니라, 문화적 특수성, 가족형태 등 개별 참여자들의 다양한 맥락이 반영될 수 있도록 소규모 형태를 채택하고 있었다. 둘째, 국외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은 양적·질적 연구방법의 고른 활용을 통해 균형적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국외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은 긍정적인 정서 함양, 바람직한 양육기술 습득, 자녀 및 배우자와의 유대관계 형성, 학대 예방 등 복합적인 중재 목표를 설정하고 있었으며, 이는 참여자들에 의해 대체로 성취되었다. 넷째, 국외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하고 포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저소득 아버지들의 참여를 견인할 수 있는 흥미로운 전략들을 구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이 국내 저소득 아버지교육 프로그램 활성화에 의미 있는 도화선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e implications applicable to domestic settings and to establish foundational materials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by engaging in a literature review on international education programs for low-income fathers of young children. In furtherance of this, research subjects and methods, program’s intervention objectives, results, contents and strategies were analyzed based on international studies published post year 2000. First, findings show that international low-income father education programs were comprised of a small group of participants to reflect each father’s background by taking into account economic metrics as well as cultural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s and etc. Second, these programs were evenly balanced in the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ird, they set complex intervention objectives such as developing positive emotions, fostering desirable childcare skills, cultivating intimat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and partners, and preventing child abuse. These objectives were more or less achiev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Fourth, the programs provided multi-faceted and comprehensive services and applied interesting strategies to motivate the participation of low-income fathers. Hopefully, the above findings may have meaningful bearing on domestic education programs for low-income fathers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에 나타난 다문화가족의 사회적응 요인 탐색: 교류분석 관점에 근거하여

        김혜리(Kim, Hyeree),황어진(Hwang, Eojin),어성연(Auh, Seongyeo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2

        본 연구는 교류분석 관점에 근거하여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화의 등장인물들 중, 다문화가정의 부모와 자녀로 대표되는 ‘잎싹’과 ‘초록머리’의 사회적응 관련 요인들을 개인ㆍ환경ㆍ가족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잎싹과 초록머리의 자유로운 아동 자아(FC: Free Child)와 자타긍정(I"m OK-You"re OK)의 인생태도는 건강한 사회적응의 원동력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사회 주류집단 구성원들의 자기긍정-타인부정(I’m OK-You’re not OK) 인생태도와 비판적 부모 자아상태(CP: Critical Parent)에 입각한 부정적 스트로크(Negative Stroke), 디스카운트(Discount)는 잎싹과 초록머리의 정체성 혼란과 좌절을 양산하게 하는 위험요인이었다. 셋째, 양육적 부모 자아(NP: Nurturing Parent)와 상보교류(Complementary Transaction), 긍정적 스트로크(Positive Stroke)를 중심으로 한 가족원과의 지지적인 상호작용은 잎싹과 초록머리로 하여금 승자 각본(Winner Script)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적응에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자율성을 회복하여 자아실현을 도모케 하는 보호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 주류집단 구성원의 선입견과 배타적 태도가 다문화가족 구성원의 사회 부적응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나 가족 구성원, 특히 부모-자녀 간의 건강한 교류가 이를 극복하게 하는 보호요인으로써 큰 영향력을 행사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a children’s book, The Hen Comes Out of the Yard , from a transactional analysis perspective to explore the social adjustment factors of members of a multicultural family. To do this, the study analyzed the social adjustment factors of two characters, ‘Sprout’ and ‘Greenie,’ who represent the parent and child of a multicultural family respectively, by distinguishing personal, environmental, and family asp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rout and Greenie make an effort to adjust to the new environment by taking a more optimistic view towards life building upon their Free Child(FC) ego state and I’m OK-You’re OK life position. Second, the I’m OK-You’re not OK life position of the main-stream members of the society as well as the negative stroke and discounting attitude based on the Critical Parent(CP) ego state were risk factors that caused frustration for Sprout and Greenie. Third, encouraging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centered around the Nurturing Parent(NP) ego state, complementary transaction, and positive stroke acted as a protective factor helping Sprout and Greenie to overcome challenges and achieve self-realization through recovering autonomy by writing a winner script for themselves. The above findings demonstrate that exclusive attitudes of main-stream members are risk factors that lead to social maladapt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le healthy family interaction, especially between a parent and a child, work as protective factors that help overcome such difficulties.

      • KCI등재

        가족관계 중심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김낙흥(Kim, Nak-Heung),차상진(Cha, Sang-Jin),황어진(Hwang, Eojin),방효국(Bang, Hyo-K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2

        본 연구는 아버지의 자녀 양육 및 역할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원부모 및 배우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가족관계 중심 예비아버지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2016년 10월부터 2017년 5월까지 문헌연구, 인식 및 요구도 조사, 프로그램 1차 시안 구성, 전문가 협의, 예비 연구, 프로그램 최종안 구성을 진행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건강한 가정을 세우기 위해 예비아버지들이 아버지 역할을 인식하고 좋은 아버지 됨을 준비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총 5회기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아버지 됨의 의미와 아버지 역할에 대해 이해하기, 바람직한 자녀양육방식 이해하기, 원가족 아버지와의 관계 재정립하기, 건강한 부부관계 정립하기, 아버지 자신에 대해 성찰하기를 목표로 하여 가족관계에 기반을 둔 아버지가 됨의 의미, 좋은 아빠로서의 역할, 아버지와의 관계, 부부관계의 중요성 그리고 예비아버지로서의 자기성찰이라는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create an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fathers focusing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of origin and with their spouse. It also intends to document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awareness of prospective fathers on the role as a father and on family relationships through the program. To develop the program,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implemented from October 2016 through May 2017: literature research, awareness and needs analysis, preparation of the first draft of the program, consultation with experts, pilot study with prospective fathers, and confirmation of the final program. Themes of the program included: meaning of being a father, role as a good father, relationship with one’s father,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 and self-reflection as a prospective fa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