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황성현,,연승준 대한산업공학회 2011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활성화의 주요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방송통신융합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는 4대 분야(교육, 의료, 교통, 공공행정)에 대해 각 분야별 방송통신 융합 준비도, 활용도, 만족도, 성과 등에 대한 우선순위를 측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분야별 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은 리스트에 의한 유의표본 추출(Purposive Sampling)과 Snowball Sampling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론으로 AHP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교육, 의료분야는 준비도, 활용도& 만족도, 성과의 순으로 교통분야에서는 활용도&만족도, 준비도, 성과의 순으로 공공행정 분야에서는 준비도, 활용도&만족도, 성과의 순으로 중요도가 산출되었다.
황성현,,연승준 한국경영과학회 2011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
본 연구에서는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활성화의 주요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현재 방송통신융합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는 4대 분야(교육, 의료, 교통, 공공행정)에 대해 각 분야별 방송통신 융합 준비도, 활용도, 만족도, 성과 등에 대한 우선순위를 측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각 분야별 전문가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추출방법은 리스트에 의한 유의표본 추출(Purposive Sampling)과 Snowball Sampling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론으로 AHP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교육, 의료분야는 준비도, 활용도& 만족도, 성과의 순으로 교통분야에서는 활용도&만족도, 준비도, 성과의 순으로 공공행정 분야에서는 준비도, 활용도&만족도, 성과의 순으로 중요도가 산출되었다.
황성현 한국청소년학회 2010 청소년학연구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well each of the theories do and how well they do compared to each other in explaining adolescents' status offenses using variables from Akers' social learning, Gottfredson and Hirschi's general theory of crime, and Hirschi's social bonding theories. The data for this investigation come from the Korean Youth Panel Data from a sample of 2,833 Korean adolesc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that differential peer association from social learning theory has the strongest effect on dependent variables. However, independent variables from general theory of crime are supported to some extent and variables from social bonding theory do not support adolescents' status offenses. Results indicate that variables from general theory of crime and social bonding theories add little explained variance beyond that accounted for by social learning variables. When social learning variables are excluded from the full equation, the change in R2 is great, indicating that it is the social learning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mpacts on adolescent's status offenses. 이 연구는 3 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의 원인을 파악하는데 그 주된 목적을 가진다.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지위비행은 청소년 약물사용과 이탈행위이며, 독립변인은 사회학습이론, 범죄일반이론, 사회유대이론에서 제안된 변인들이다. 다중회귀분석결과 사회학습 변인들의 설명력이 범죄일반이론이나 사회유대이론보다 훨씬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통합회귀방정식에서도 사회학습 변인들이 통합 회귀방정식에서 제외됐을 때, 결정계수 값이 상당히 떨어지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사회학습 변인들이 청소년 지위비행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범죄일반이론의 설명력은 높은 편이 아니지만, 충동성과 육체적 활동선호 변인들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청소년 지위비행을 잘 설명했다. 그러나 사회유대 변인들은 청소년 지위비행을 거의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 비행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었던 3가지 비행이론을 이용하여 청소년 지위비행에 관한 지난 6년간의 종단자료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