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종 물리검층을 통한 시트파일 근입 심도 추정 연구

        황성필,김우석,정재형,김기주,박병석,이철희 대한지질공학회 2022 지질공학 Vol.32 No.4

        This investigation used two different geophysical logging techniques to confirm the depth to which a sheet pile was driven. Depth was estimated through analysis of the movement speed and three-component movement directions of a P-wave transmitted through the ground. It was also estimated by pole-pole and pole-dipole methods using electrical data logging to measure apparent resistivity. The two methods’ respective results were 9.0 m (±1.5 m) and 7.5 m. As field ground conditions will include mixtures of various materials, electrical data logging is judged to be suitable for assessing depth due to its low signal-to-noise ratio. 지반 내부에 설치된 시트파일(sheet pile)의 근입 심도 확인을 위해 두 종류의 탐사기법을 활용하여 조사를 수행하였다. 탄성파탐사 원리를 활용하여 지반을 통해 전달되는 P파의 이동 속도 및 3성분 운동방향분석을 통해 근입 심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시추공내의 전극배열에 따른 겉보기 비저항을 측정하는 전기 검층의 원리를 활용하여 단극-단극(pole-pole) 방법과 단극-쌍극(pole-dipole) 방법으로 각각 분석하여 근입 심도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P파 검층에서 근입 심도는 9.0 m (±1.5 m), 전기검층에서 근입 심도는 7.5 m로 확인되었다. 다양한 물질들이 지반 내부에 존재하는 현장의 특성 상 전기탐사의 노이즈가 적어 탐사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진동필터가 설치된 그라우트 믹서의 시멘트 응집 저감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황성필,정재형,김창용,이우제 대한지질공학회 2018 지질공학 Vol.28 No.1

        Grouting is reinforcement or cutoff method which uses the hardening agent which is typically represented by portland cement and injected into the ground or the structure. When mixing the cement in powder form with water, the particles tend to cohere each other. Once they cohered, the particle size tends to become larger while injection efficiency becomes lower. This study, in a bid to reduce the cohesion of cement, the screen was set inside the grout mixer so that the cement particles are separated while vibrating them. To validate the effect of vibration screen, comparison test was conducted by using ordinary portland cement, slag cement and micro cement. Viscosity test, bleeding test and grain-siz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varied significantly after passing through the vibration filter. It is expected that the vibration filter installed inside the grout mixer will reduce the cement cohesion when mixing with water. 그라우팅 공법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 대표되는 경화재를 사용하여 지반 또는 구조물에 주입하여 보강 및 차수 등에 이용하는 공법이다. 분말 상태의 시멘트에 물을 혼합하여 교반 시키면 입자들이 응집하게 된다. 시멘트 입자들이 응집하게 되면 입자의 크기가 커져 미세한 균열에서 주입성이 낮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멘트 입자의 응집성을 저감시키기 위해 그라우트 믹서 내부에 거름망을 설치하고 진동 발생시켜 통과하는 시멘트 입자가 분리되도록 하였다. 설치된 진동필터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슬래그 시멘트, 마이크로 시멘트를 각각 사용하여 비교시험을 수행하였다. 점도, 블리딩, 입도분석, 압축강도 시험을 통해 진동망을 통과하는 경우 그 특성이 현저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라우트 믹서 내부에 진동필터를 설치하면 물과 교반 시 발생되는 응집현상을 감소시켜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임피던스 변환회로를 이용한 두께 모드 압전 진동자의 특성제어

        황성필,김무준,하강열 한국음향학회 2002 韓國音響學會誌 Vol.21 No.7

        본 연구에서는 두께 모드 압전 진동자의 특성제어 부임피던스 변환 (NIC) 회로를 적용하였다. 두 개의 두께 모드 압전 진동자를 적층한 후, NIC 회로를 적용하여 입력 어드미턴스와 전기기계 변환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NIC 회로에서 구현되는 부저항의 값에 따라 압전 진동자의 품질계수 및 전기음향 변환효율이 제어되었으며 NIC 회로를 적용한 경우에 품질계수는 약 20배, 전기음향 변환효율은 약 2.5배 정도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a Negative Impedance Converter (NIC) circuit was employed for the electro-mechanical characteristic control of a thickness mode piezoelectric vibrator. Two circular plane piezoelectric vibrators were bonded together and the NIC circuit was connected to one of the vibrators. The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hown that the quality factor and the electro-acoustic efficiency of the vibrator with the NIC circuit could be improved by 20 times and 2.5 times, respectively.

      • KCI등재

        특허법에 ‘전문가 현장 사실조사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

        황성필,정차호 한국지식재산학회 2021 産業財産權 Vol.- No.67

        주지하는 바와 같이, 증거의 구조적 편재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 으로 2016년 특허법 개정을 통해 ‘자료제출명령제도’가 도입되었다. 그 러나 특허권 침해소송에서 원고는 피고가 보유한 증거를 입수할 수 없어서 침해 관련 사실 및/또는 손해배상액 산정에 필요한 사실을 증명 하지 못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즉, 애초 자료제출명령 제도를 도입하던 당시의 기대와는 다르게 실무에서 동 제도는 외면당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상황에서 2020년 9월 24일 이수진 국회의원이 특허권 침해소송에서 침해자 측에 증거가 편재되어 있는 문제를 해소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문가 현장 사실조사 제도’를 도입하는 특허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였다. 그 개정안에 따르면 ① 당사자의 신청 또는 법원의 직권으로 법원이 전문가를 지명할 수 있고, ② 그 지명된 전문가 가 피고의 공장, 사무실 등을 방문하여 조사할 수 있으며, ③ 피고는 그 조사에 협조하여야 하고, ④ 현장조사를 수행한 전문가에 의해 작성 된 보고서는 법정에서 증거로 채택될 수 있다. 그러나 전문가 현장 사실 조사 제도는 우리나라의 다른 법령에 의해 전혀 운용된 바 없는 새로운 제도이어서 신중한 검토가 요망된다. 그런 견지에서, 이 글은 이수진 국회의원의 특허법 개정안과 유사한 제도를 이미 운용하여 온 영국, 프랑스, 독일 및 일본의 사례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이수진 국회의원의 개정 안은 대상 4개국의 제도 중 일본의 사증제도(査証制度)와 가장 유사한 것이다. 둘째, 이수진 국회의원의 개정안은 일본의 사증제도보다 피고 에게 더 엄격한 것이다. 셋째, 영국에서는 현장 사실조사 제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이 늘어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수진 국회의원의 개정안 은 전문가에 의한 현장 사실조사 ‘개시’를 위한 요건의 강화, 신청인의 비용부담, 피고의 영업비밀의 보호 등 여러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a plaintiff of a patent infringement suit cannot obtain a defendant’s evidence, and therefore cannot prove facts of the infringement assertion, and/or of damages calculation. To solve such a problem, Congress woman LEE, Sujin, in late 2019, introduced a Patent Act amendment (“LEE proposal”), which suggests a brand-new “expert on-site fact inspection system”. The system allows (1) upon a party’s request or ex officio, the court may appoint an expert, (2) the expert can visit the other party’s office, factory, etc., (3) the other party shall be cooperative to the expert and (4) a report written by the expert can be submitted to the court as evidence. Such a system is a new one, which has never been applied before in Korea. Therefore, a careful approach is necessary. In this context, this paper has comparatively analyzed four different (on-site inspection) systems of the U.K., France, Germany and Japan. As a result of such an analysis, this paper has arrived at these conclusions. Firstly, LEE proposal is the most similar to Japanese inspection system among those four systems that has been analyzed. Secondly, LEE proposal is more disadvantageous to the non-applicant than the Japanese inspection system. Thirdly, in the U.K., there has been increased criticism regarding operation of the on-site inspection. Fourthly, LEE proposal should be streamlined in several aspects, such as enhancement of initiative requirement, fee shifting to the applicant, protection of confidential information of the defendant, etc.

      • 단결정을 사용한 압전변압기의 개발

        황성필,김무준,하강렬,강갑중 한국센서학회 2002 센서학회지 Vol.11 No.3

        The single crystal of has very stable thermal characteristics in a piezoelectric transformer. In this paper, a piezoelectric transformer made of the crystal is newly designed and its operating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The length of the transformer is determined as twice as its width for Lame'-mode because the single crystal of has low electro-acoustic efficiency. The electric and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er is simulated by the PSpice program, and its results are compared to experimental ones. As the results, the ratio of output voltage to input shows large than 10 at 290.83[㎑], which is the frequency coupled the 2nd harmonic for length and the fundamental for width of the Lame'-mode transformer.

      • KCI등재

        옹벽에 보강되는 보강재의 효율적 설치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황성필,임종철,홍수관,송윤석,Hwang. Sungpil,Im. Jongchul,Hong. Sugwan,Song. Yoonseok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는 옹벽에 보강되는 보강재의 효율적 설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옹벽 배면에 설치되는 보강재는 흙의 인장 저항력을 증가시켜 안정성을 높이게 된다. 보강재의 최적 설치위치 및 최적 설치길이를 찾기 위해 실내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보강재의 최적설치 위치는 토압 합력의 작용점이다. 보강재의 최적설치 길이는 옹벽 높이에 대한 길이의 비 500/700이다. 또한 보강재를 옹벽에 고정시킬 경우, 하중이 증가하여 변위가 커질수록 고정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aper proposes the efficient installation method of reinforcement reinforced retaining wall. Stability of retaining wall is increased by installing reinforcement between soil. Optimal height and optimal length of reinforcement were determined by the laboratory model test. Optimal height of reinforcement is a point of application of total force on the retaining wall. Optimal length of reinforcement is 500/700(reinforcement length / height of retaining wall). Effect of fixing reinforcement to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by increasing lateral displac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