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지능적인 웹서비스를 위한 강건한 계획 생성과 동적 실행 방법

        황경순,이승희,이건명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7 No.1

        웹 서비스와 같은 분산된 환경에서, 특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원격의 컴퓨터나 사이트상에서 다중 에이전트들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서비스는 여러 에이전트들의 복잡한 행위들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지능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에이전트들의 상태정보, 목적정보, 그리고 계획정보 등을 이용한다. 특히 계획정보는 에이전트들이 일련의 행위들로 구성된다. 하지만 계획수립을 위한, 기존 연구들 대부분은 정적으로 기술된 서비스 명세와 초기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목표를 만족시키는 단일 계획 생성 방법을 연구해왔다. 따라서 계획수립이 실행 도중에 기대하지 않은 네트워크 장애나 방해 등으로 서비스 수행을 실패하는 경우, 그 계획은 무효가 되고 다시 계획을 생성 해야만 한다. 그러나 다시 계획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될 뿐만 아니라 태스크 중복이 불가피하므로 매우 비효율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강건한 계획수립과 그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즉, 계획수립의 재생성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단일 계획수립 대신에 실행 가능한 다중 계획들로 표현된 강건한 계획을 생성하는 것이다. 강건한 계획의 행위들이 실행되는 동안, 각 단계마다 실행 가능한 행위를 선택한 후, 그 행위를 실행한다. 그러나 선택된 행위가 실행결과를 낼 수 없을 경우, 대체 가능한 서브 계획 경로를 선택하여 실행한다. 강건한 계획을 표현하기 위해 페트리 넷 기반의 방법을 제안한다. 강건한 계획 생성 방법에서는 이용 가능한 모든 계획들을 입력으로 사용한다. 그 계획수립 방법은 HTN 계획수립기로 잘 알려진 JSHOP2 계획수립기내에 구현하였다. 계획 실행 방법으로는 주어진 강건한 계획에 대하여 행위들이 직접 실행하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김장문화’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등재를 통해 본 무형유산 보호의 패러다임 변화

        황경순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3 민족문화논총 Vol.55 No.-

        Since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declared by UNESCO in 2003, Korea has been acknowledged as a leading country in the protec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ving already listed 15 items in th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Such items account for 30% of Asia-Pacific countries’ items. Note, however, tha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Korea’s protection system for intangible cultural assets, which has been implemented since 1962, and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an international convention. Although the convention defined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to be protected by humanity as those a community sets high value on, Korean law stipulates that only valuable heritages in terms of historical, artistic, and intellectual significance can be lis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h led to relatively insufficient consensus on acknowledging value and necessity for the protection of cultural heritages transmitted among almost all Korean people, such as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Since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ok effect in 2006, and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was implemented in 2008, the Korean government kept listing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by priority i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fixed its hierarchy. Considering this, efforts to add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resentative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paradigm shift regarding the protection of Kore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s follows;First, by recommending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for the Representative List, these efforts let the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realize the significance of no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ccepting the definition and boundary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s set by the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econd, all community members took part in enlisting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which reminded them of their role of protecting cultural heritage. To date, discussions regarding the protection method after listing have yet to be held, whereas more efforts were made to list more items in the Representative List. A reflective review is deemed needed at present given the abovementioned negative trend noted when “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was recommended for the Representative List, since misusing the listing in the Representative List to flaunt Korea’s cultural superiority defeats the fundamental aims of the Representative List. 2003년에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이 제정된 이래로, 우리나라는 아태지역의 30%에 해당되는 16건의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을 보유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선도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1962년부터 시행한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보호제도와 국제규범으로서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은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범주, 보호 주체의 역할 등에 있어 근본적으로 큰 차이를 지닌다. 협약에서는 공동체가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야말로 인류가 보호해야 할 무형문화유산이라고 규정하는 반면, 국내법은 역사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 것을 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수 있기 때문에 ‘김장문화’와 같이 국민 모두가 전승하는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가치와 보호인식은 미흡했다. 또한 국가차원의 보호정책에 의해 인정된 보존회를 비롯한 특정 단체와 개인의 역할만을 강조해 왔다. 2006년에 협약이 발효되고 2008년부터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제도가 시행된 이후로도 우리나라는 미지정 무형유산보다는 중요무형문화재 중에서 대표목록을 우선적으로 신청하는 서열화를 지속시켰다. 이러한 측면에서 김장문화의 등재 추진은 다음과 같이 국내 무형문화유산 보호의 패러다임을 전환시켰다는 의의를 지닌다. 첫째, 중요무형문화재와 시도지정 무형문화재가 아닌 미지정 무형문화유산을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신청함으로써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에서 규정한 무형문화유산의 정의와 범위를 수용하여 국가와 국민이 미지정 무형유산의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등재 신청 과정에서 무형문화유산의 전승 주체로서 특정 개인과 보존회뿐만 아니라 공동체 전체로 참여의 폭을 넓혔으며, 이들에게 무형문화유산 보호주체로서의 역할을 인식시켰다는 점이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그간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의 등재 건수 늘리기에 급급했던 나머지 등재 이후의 보호방안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선행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는 김장문화의 등재 신청 과정에서도 여전히 되풀이 되었기에 반성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대표목록 등재가 문화적 우월성을 과시하는 데 활용됨으로써 무형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대표목록 등재 제도의 근본적인 취지가 희석될 수 있기 때문이다.

      •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에 대한 퍼지 경계 지역 군집화

        황경순,이건명,이찬희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9 No.1

        군집화는 유사집단 추출 또는 추후 데이터 분석을 위한 데이터 선별을 위해 유사패턴을 갖는 객체들을 식별하는 것을 말한다. 지역 군집화는 마이크로어레이 데이터 군집화에서 유사한 발현 정도를 나타내는 블록을 구성하는 것이다. 유전자의 발현정도는 연속구간의 수치값이기 때문에, 지역 군집화할 때 군집내의 유사도를 특정 거리로 제한하는 것보다는 점진적으로 유사정도를 완화하면서 지역군집을 찾는 것이 추후 분석을 위한 후보 선정을 위해서는 더 바람직하다. 이 논문에서는 지역군집화할 때 군집의 경계에서 유사도의 정도값을 점진적으로 완화시키면서 지역군집을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 경주지역 세시풍속의 현재적 양상

        黃慶順 위덕대학교 박물관 2004 佛敎考古學 Vol.- No.4

        동시대 경주지역의 세시풍속은 다른 민속의 분야처럼 현대사회로 내려오면서 많은 변화를 수반하였다. 변화의 속도만큼이나 세시풍속이 전승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三國遺事》와《三國史記》,《東國歲時記》,《新增東國輿地勝覽》,《東京雜記》등 문헌에서는 일찍부터 경주의 세시풍속을 소개하고 있다. 문헌과 동시대 세시풍속의 전승양상을 통해 오래 전부터 행해오던 세시행사들이 동시대에는 어떻게 지속 변화되었으며, 변화를 수반한 원인은 무엇인지 고찰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불교와 세시풍속의 상관성을 가늠해 보고, 경주 지역 민속의 제 영역에 대한 일차 자료로서의 구실을 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비록 경주지역 일부 마을에 걸쳐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생생한 민속자료의 보고라는 면에서 의의가 있다. New Year customs of the same period in Gyeongju region has been concomitant with many changes to present society like other ethnic customs. It is therefore an important work to look into the aspect how New Year customs has been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Many literatures such as Samgukyusa, Samguksagi, Dongguksaeshigi, Shinzeng Donggukyeojisengram and Dongkyungjapgi have been introduced the customs of Gyeongju from early times. We therefore enable to study how the events of New Year customs, which has been held through literatures and transmission aspect of the same period from early times, has been continuously changed and what the reasons of changes are. This report has an object to study interrelationship between New Year customs and Buddhism and to play a role as a primary document for folk in Gyeongju region. Although it has been only done in part of villages in Gyeongju region, it has still a meaning as a live report of folk material.

      • 염기분포와 대치 비교를 이용한 염기서열 집단의 고유 시그너쳐 추출

        황경순,이혜리,이건명,김성수,이찬희,이성덕,윤형우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7 No.2

        유전자 변이가 쉽게 일어나는 바이러스 등은 변이 계통에 따라 집단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집단들에 대한 분석은 해당 바이러스 집단에 대한 추적, 백신 및 치료약 개발에서 필수적이다. 어떤 집단의 염기 서열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패턴을 시그너쳐라 하며, 이러한 시그너쳐는 특정 염기서열 집단의 고유한 특성을 나타내면서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논문에서는 가능한 후보 시그너쳐들을 염기분포를 이용하여 생성해가면서, 시그너쳐 해당부위의 염기를 상대 서열집단의 공통 서열의 염기로 변환하여 집단간의 상대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후보 시그너쳐에 의한 집단의 고유성질 표현능력과 집단간 차별화 능력을 고려하여 시그너쳐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매사냥’ 공동등재의 특성과 의의

        황경순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4

        This paper focuses on strategies and issues involving a joint inscription of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lement to UNESCO through multinational cooperation and conclusive characteristic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ultinational filing. The case of “Falconry”, which was jointly filed by 18 State Parties including ROK and inscribed on the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of UNESCO on 2010, was analyzed as the main object of discussion The issu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ate Parties that participated at the joint nomination process got to grasp the purpose of the multinational nomination mechanism a lot better than before through drawing up the nomination forms. Especially, we learned that the inscription of the falconry eventually has to contribute to the perception of ICH in general and applying that knowledge at the submission of the multinational file was the major aspect for the inscription on the list in 2010 and the extension of the inscription 2012. Second; the very nature of prosecution of the multinational nomination, State Parties are given opportunities to communicate and cooperate over their shared ICH element, through which a mutual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of other countries – which means implementing the very ideology of UNESCO- to contribute to cooperation and peace among nations through multinational nominations. Third, the falconry, according to the Operational Directives of the <<Convention for Safeguarding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a chance to be deemed a Best Practice case, since it continuously extends through more and more State Parties participating to the multinational file. Extension of a Representative List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element can help defusing the tension caused by identifying the owner of the intangible heritage and can mean more awareness of the purpose of the convention. 이 글에서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공동등재제도가 다 국가 협력을 통해 현장에서 어떠한 전략과 쟁점을 통해 실현되는지에 주목하고, 이로써 공동등재제도의 특성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논의 대상으로 한국을 포함한 18개 국가가 2010년에 인류 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공동등재한 ‘매사냥’ 사례를 분석하였다. 논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매사냥의 인류무형유산 공동등재 참가국들은 등재신청서 작성을 통해 무형유산보호를 위한 등재제도의 취지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게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매사냥의 등재가 결과적으로 무형유산 전체의 가시성 확보에 기여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고, 이를 등재신청서에 반영한 것이 2010년 공동등재와 2012년 등재 확대에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동등재 추진의 특성상 참가국들은 공유유산을 매개로 협력과 소통의 기회를 가짐으로써 상호간의 문화와 민족성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었다. 이것은 공동등재를 통해 국가의 협력과 평화에 기여하고자 하는 유네스코 이념의 실천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셋째, 인류무형유산 매사냥은 <무형문화유산보호협약>의 이행지침에 의거하여 지속적으로 참여국가가 확대됨으로써 공동 등재에 있어 모범적 사례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공동등재의 확대는 특정 무형유산의 소유자를 규정하는 문제를 두고 발생하는 국제 간 긴장을 해결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으며, 협약의 취지에 대한 당사국의 이해가 높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면에서도 의의가 있기 때문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