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NN 모델 추론을 위한 Lookup Table 기반 PIM의 가능성

        홍정욱,이진호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정보처리학회 논문지 Vol.13 No.11

        Processing-in-memory (PIM) is an accelerator that enables data to be processed closer to the stored memory. Due to the nature ofPIM specialized in data movement, PI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accelerator in transformer-based generative model and recommendationsystem, which have recently garnered attention.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PIM that enhance therecommendtation system and generative language model, which are suitable applications for PIM usage. Additionally, we discuss theresearch direction of PIM based on previous studies. Lastly,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LUT in PIM systems through experiments.

      • SCIESCOPUSKCI등재

        The biological effects of fibronectin typeIII 7-10 to MC3T3-E1 osteoblast

        홍정욱,최상묵,한수부,정종평,류인철,이용무,구영,Hong, Jeong-Ug,Choi, Sang-Mook,Han, Soo-Boo,Chung, Chong-Pyoung,Rhyu, In-Chul,Lee, Yong-Moo,Ku, Young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2002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2 No.1

        타이태늄은 뛰어난 생체적합성과 적절한 물리적 성질을 바탕으로 치과 및 정형외과 영역의 매식재로 널리사용되어져 왔으며, 골과 매식재 사이의 골 융합 정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물리,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한 타이태늄의 표면처리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부착단백질 또는 성장인자를 이용한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을 통하여 조직적합성 및 치유 능의 개선을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Fibronectin(FN)은 주요 세포외기질중의 하나로 생체 내 널리 분포하여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증식에 관여하는 거대 당단백으로, RGD및 PHSRN 펩타이드 서열이 세포의 인테그린과 결합하여 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FN으로 처리된 타이태늄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따른 석회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부착분자를 이용한 타이태늄 표면개질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업용 순수 타이태늄을 gold thiol법을 이용하여 표면처리 후, 혈장 FN(plasma FN, pFN)과 유전자재조합법을 이용하여 얻은 FN조각(FN type III 7-10, FNIII 7-10)을 피복한 시편을 실험군으로,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은것(smooth surface, SS)과 산 부식(Sandblasted and acid etched, SLA)처리된것을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배양된 조골세포주(MC3T3-E1)를 사용하여 타이태늄 표면 처리에 따른 세포의 증식, 형태변화,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ALPase) 생산 및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한 분화정도를 시간 경과에 따라 관찰하였다. 조골세포증식의 경우 FNIII 7-10 처리군에서 pFN 처리군 및 대조군에 비해 시간경과에 따라 유의성있는 세포수의 증식이 관찰되었으며(p<0.05), ALPase 생성의 경우에도 FNIII 7-10 처리 군에서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은 효소의 생성이 관찰되었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세포의 형태관찰결과 아무 처리도 하지 않은 군에서는 마름모형태를 나타내었으며, 산 부식 처리된 군에서는 세포가 가시모양의 형태를 보인 반면 FN으로 처리된 두 군에서는 세포의 부착 및 펴짐이 매우 발달되어 있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세포의 분화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국소부착키나제(focal adhesion kinase, FAK), 및 actin stress fiber의 분포양상을 세포면역형광법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FN으로 표면처리된 두 군에서 아무런 처리도 하지않은 군 및 산 부식처리 한 군에 비해 프라크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잘 발달된 actin stress fiber의 소견을 나타내었다. 이 실험의 결과들은 gold thiol 법을 이용한 표면처리 후 FN부착을 통한 타이태늄의 표면개질이 조골세포의 부착, 증식 및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여 석회화 정도를 촉진시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런 결과들은 더 짧은 FN조각을 이용한 다른 생체재료의 표면개질에 폭 넓게 응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

        새로운 매체로서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장기적 협력 가능성 :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독제약의 산학 협력형 아트 콜라보레이션에 의거하여

        홍정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6

        본 연구는 기존의 기업과 함께하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업에서 예술이 단발적으로 홍보 이미지로 사용되는 사실과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역시 마케팅적인 측면에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을 진단하고, 이에순수예술이 장기적으로 기업과 협력적으로 콜라보레이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아트 콜라보레이션의 역사적인 흐름을 팝아트에서 시작하며, 기존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업의 사례들을 한계와 함께 분석한다. 기존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산업과 마케팅이 중심으로 진행된 것과 다르게, 순수예술이 중심으로 있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으로는 유니레버와 테이트 모던과 현대자동차의 문화예술산업을 사례로 들고 있다. 사례로 둔 두 사업은 지속적으로 콜라보레이션을 유지하고 있고, 산업적 생산이나 홍보의 차원을 넘어 아티스트뿐만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들에게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로절린드 크라우스가 동시대 예술에서 현재적 상황을 진단하면서 포스트 매체의 조건으로 “매체를 재창안하기”를 선언한 것을 기반으로 한다면, 아트 콜라보레이션의이러한 과정은 ‘아트 콜라보레이션’이라는 새로운 매체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역시 보여준다. 그리고 이러한 대규보 자본을 바탕으로 한 사례들의 초석에는 산학협력형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위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연구자가 진행했던 홍익대학교 회화과와 한독제약의 산학협력 사례를 그 근거를 두고, 교육의 측면 외에도 미학적 가치도 도출할 수 있음을 밝힌다. 이를 바탕으로 순수예술과 협력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이 장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이것의 미학적 함의를 재고하고, 산학협력의 과정이 이것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아닐까 제시한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fact that art is used as a temporary promotional image in the art collaboration business with existing companies, and that research on art collaboration is also tilted in the marketing aspect, and thus the potential that pure art can collaborate with companies in the long term. For this, above all setting Pop-art on the start point of the history of art collaboration, then the cases of the art collaboration these days are analyzed with their problem. Unlike the previous art collaboration centered on industry and marketing, the art collaboration centered on fine art researched in this paper cites the culture and art industries of Unilever at Tate Modern and Hyundai Motor. These two cases maintain their cooperation continuously, and beyond industrial production or marketing, they open up new potential not only for artists but also for enterprises and consumers. Considering the “re-inventing medium” mentioned after diagnosing a situation of contemporary art scene by Rosalind Krauss, this process of art collaboration could be possibilities for ‘art collaboration’ regarded as a new-medium. And the cornerstone of these large-scale capital-based cases could be the industry-academic art collaboration. Based on the cas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between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Painting and Korean-German Pharmaceuticals, this paper will derive aesthetic values in addition to the aspect of education. For long-term art collaboration with fine art, this paper suggests considering its aesthetic implication. And Industrial-University process could be a way to expand its foundation.

      • KCI등재
      • KCI등재

        DNN 모델 추론을 위한 Lookup Table 기반 PIM의 가능성

        홍정욱,이진호,Junguk Hong,Jinho L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24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3 No.11

        Processing-in-memory (PIM)은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근처에서의 연산을 통해 데이터를 더 가까운 곳에서 연산할 수 있게 하는 가속기이다. 데이터 이동에 특화된 PIM의 특성상 최근 주목받고 있는 생성형 언어모델과 추천 시스템에서는 PIM이 효율적인 가속기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IM을 사용하기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인 추천시스템과 생성형 언어모델을 PIM으로 가속화한 최신 연구 동향을 살핀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PIM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토의한다. 마지막으로, PIM 시스템에서의 LUT의 효용성을 실험으로 성능을 확인하고 검증한다. Processing-in-memory (PIM) is an accelerator that enables data to be processed closer to the stored memory. Due to the nature of PIM specialized in data movement, PIM can be used as an efficient accelerator in transformer-based generative model and recommendation system, which have recently garnered attention.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atest research trends of PIM that enhance the recommendtation system and generative language model, which are suitable applications for PIM usage. Additionally, we discuss the research direction of PIM based on previous studies. Lastly,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LUT in PIM systems through experiments.

      • 부산시 초등학생의 환경교육장 활용실태에 대한 연구

        홍정욱,박원혁 부산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2003 科學敎育硏究報 Vol.30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onditions, the utilizations and awareness of eco-educational spots that are the fittest to children. The findings of survey carried out to 648 of children(the 4th grade 262, the 6th grade 386) are as follows: The 4th graders(96%) and 6th graders(97%) replied that the environment has been polluted or seriously polluted. and that water pollution has been the highest, TV has been selected as the most common means to get various environmental informations. The 4th graders were taugh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thics, society, science in order. while the 6th graders ethics, science, society in order The 4th graders, expect to get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thics, optional time (or special activity time) and society in order. For the 6th graders, 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ethics, optional time (or special activity time), science in order. The survey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at field had been more effective than that in classroom The students have selected a pond, a flower bed, a garden, a zoo and a vegetable garden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Main inconveniences that respondents undergo in utilizing eco- educational spots have been a long-time round trip and strict control by persons in charge. Besides, the 4th graders have complained of lack in various lives, the 6th graders of lack in sufficient learning opportunities due to a lot of participants. The respondents(81.4%) have revealed their will to put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practice, and the 6th graders have been more positive in searching for concrete way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than the 4th graders. And they have preferred eco-educational spots that living thing inhabit to no-life spo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