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 구조 교육 내용 분석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

        홍인영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5

        Story structure is treated as an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 in that it is a basic element of text understanding and a basis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story gen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aspects of story structure education, and the subjects of analysis were limited to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Activity'. This study focuses on the educational material texts(works) and th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 unit of elementary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at includes key words such as 'flow of text', 'summarizing contents', 'components of story', and 'story structure' in the learning goals and unit names. As a result, story structure education was conducted in the 3rd to 6th grade, and it was conducted in the reading area and the literature area. A number of reading theories are used to understand story texts, and this phenomenon is natural when considering the advantages about comprehension of story texts in elementary reading education. The hierarchization by grade of story structure education was appropriate in terms of learner's language development and sequentiality of activities. A total of 12 texts contained in the story structure unit had a structure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flow of events. However, in the case of learning activities, detailed guidance and elaborated question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could limit learner's subjective thinking. In this regard, first, it was suggested to expand active intervention of learners in grasping the story structure, and secondly, to move beyond the learning of the basic structure and to give an opportunity for creative structure design. 이야기 구조는 텍스트 이해의 기본이 되는 요소이자 이야기 장르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내용으로 다루어진다. 이 연구는 이야기 구조 교육의 구체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분석 대상은 초등학교 『국어』 및 『국어활동』 교과서로 한정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등 국어 교과서 중에서 학습목표 및 단원명에 ‘글의 흐름’, ‘내용 간추리기’, ‘이야기의 구성 요소’, ‘이야기 구조’ 등의 핵심어가 포함된 단원을 중심으로 수록 제재(작품)와 학습활동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이야기 구조 교육은 3학년부터 6학년에 걸쳐 실시되고 있었으며 읽기 영역과 문학 영역에 걸쳐 이루어졌다. 이야기 텍스트의 이해에 다수의 읽기 이론이 활용되고 있으며 초등학교 읽기 교육에서 이야기 텍스트가 갖는 이해도 측면에서의 장점을 고려했을 때 이 현상은 자연스럽다. 이야기 구조 교육의 학년별 위계화는 학습자의 언어발달과 활동의 순차성 측면에서 적합하게 이루어졌으며, 이야기 구조 관련 단원에 수록된 총 12편의 제재들은 초등학생 학습자가 사건의 흐름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학습활동의 경우 상세한 안내와 정교화된 질문이 오히려 학습자의 주체적인 사고를 제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이와 관련하여 이야기 구조 교육을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이야기 구조 파악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개입을 확대하고, 둘째, 기본 구조의 학습을 넘어 독자 중심의 독창적인 설계의 기회를 주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공감을 통한 소설 읽기 교육 연구: 「영영, 여름」을 중심으로

        홍인영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ympathy that works in reading fiction through Summer forever and to suggest educational methods for sympathetic read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cussed the theory of sympathy centered on D. Hume and A. Smith, reviewed fiction education research dealing with sympathy, and analyzed the work.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sympa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work are sympathy that occurs between characters, and narrative strategy to reinforce reader’s sympathy. This study found that the sympathy felt by characters in text could be transferred to the reader.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narrative strategy that considers readers is to emphasize sympathy due to internal narrative in first person view, to defer the judgment of the reader through the use of dry and indifferent styles and terms, and the inducement of sympathy and concentration on character emotion through analogy and enumeration. Based on this, the suggested educational method is ‘writing from the character’s perspective.’ The process of activities is, first, preparation for character selection, second, selection of character, third, writing from the character’s perspective, and fourth, reflection on one’s sympathy.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 plan will be continued in subsequent studies. 이 논문의 목적은 소설 읽기에서 작용하는 공감의 특성을 「영영, 여름」을 통해 살펴보고 공감적 읽기를 위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흄과 스미스를 중심으로 한 공감 이론을 논의하고 공감을 다룬 소설교육 연구를 살펴본 후 작품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영, 여름」이 지닌 공감적 특성으로 인물 사이에서 일어나는 공감과 독자의 공감을 강화하는 서술전략의 측면을 밝혔다. 텍스트 내에서는 인물이 느끼는 공감이 독자에게 전이될 수 있음을 말했고, 독자를 고려하는 서술전략으로는 1인칭 시점에서의 내면 서술로 인한 공감의 강조, 건조하고 냉담한 문체와 용어의 사용을 통한 독자의 판단 유보, 비유와 열거를 통한 인물 감정에의 집중과 공감의 유발을 논구하였다. 이를 토대로 ‘인물 입장에서 글쓰기’를 교육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활동의 과정은 첫째, 인물 선택을 위한 준비, 둘째, 인물 선택하기, 셋째, 인물의 입장이 되어 글쓰기, 넷째, 자신의 공감에 대한 성찰이며, 교육방안의 구체적인 실행을 살피는 작업은 후속 연구에서 이어가겠다.

      • KCI등재

        파레시아(parrêsia)의 주체로서의 인물과 소설교육적 가능성-학교소설을 중심으로-

        홍인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20 새국어교육 Vol.0 No.122

        Purpose: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s as the subjects of parrêsia by applying the concept of parrêsia to the power relations of school story, an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novel education through characters. Methods:After examining Foucault’s theory of subjectivation and the discussion of parrêsia, I selected “For my younger brother” and “Old Road to Gangneung” as an analysis object. The analysis categories were set to ‘resistance to power and subjectivation as self-creation’, ‘support of facilitators for the practice of parrêsia’, and ‘parrêsia to advance into self-care’. Results:The practice shown by the character as a parrêsiast was manifested as active utterances and acts of resistance without utterances, and I identified the minor characters who were facilitators and practitioners, and confirmed the pattern of self-care from parrêsia to reflection. The analysis can be proposed as a novel education model, firstly, to confirm the composition of the characters and to understand whether or not parrêsia is practiced, secondly, to self-reflection on practice of parrêsia, and third, to reread through criticism of parrêsia. Conclusion:This study discussed that learned readers can read novels critically and reflectively through attention to the character who practice parrêsia in school story. 목적:이 연구는 학교소설의 권력관계에 대해 파레시아 개념을 적용하여 파레시아의 주체로서의 인물을 분석하고, 인물을 통한 소설교육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방법:푸코의 주체화 이론 및 파레시아 논의를 살피고, 분석대상으로 「아우를 위하여」와 「강릉 가는 옛길」을 선정하였다. 분석범주는 ‘권력에의 저항과 자기생성으로서의 주체화’, ‘파레시아의 실천을 위한 조력자의 지원’, ‘자기 배려로 나아가는 파레시아’로 설정하였다. 결과:파레시아스트로서의 인물이 보인 실천은 적극적 발화행위와 발화 없는 저항행동으로 나타났으며, 조력자이자 파레시아의 실천가인 주변인물을 파악하였고, 파레시아에서 성찰로 나아가는 자기배려의 양상을 확인하였다. 소설교육의 단계로 구체화시키면 첫째, 인물 구도의 확인 및 파레시아의 실천 여부 파악, 둘째, 파레시아 실천에 대한 자기 성찰, 셋째, 파레시아 비판을 통한 다시 읽기로 제안할 수 있다. 결론:이 연구는 학교소설에서 파레시아를 실천하는 인물에 대한 주목을 통해 학습독자의 비판적․성찰적 소설 읽기가 가능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이렉트 시네마의 ‘발견’과 ‘재구성’을 통한 매체 교육 연구

        홍인영 대중서사학회 2023 대중서사연구 Vol.29 No.3

        이 논문은 매체 교육을 위한 교육 자료로서 다이렉트 시네마에 주목하여 영화 <뉴욕 라이브러리에서>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매체교육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작품의 분석과 교육내용의 설계에는 프레더릭 와이즈먼 감독의 ‘발견’과 ‘재구성’이라는 창작론을 적용하였다. 작품 분석은 세 범주로 나뉜다. 첫째, ‘발견’이라는 형식을 사용해서 도서관의 생태계를 관찰한 양상은 강연 및 회의, 도서관 내부와 외부의 일상 풍경 등 각각의 성격을 지닌 시퀀스와 신이 제시되고 이들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역할이 관찰자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는 점으로 나타났다. 등장하는 인물이나 진행되는 행사에 대한 정보가 제시되지 않고, 청중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비추며, 영화음악이 삽입되지 않는 점 등이 다이렉트 시네마가 지니는 ‘발견’의 특성을 보여준다. 둘째, 감독의 의도를 표현하기 위한 ‘재구성’의 양상으로 도서관을 관객에게 어떤 모습으로 보여주는지에 대해서는 긴 러닝 타임, 선형적 시간 구성, 앞서 언급한 세 종류의 시퀀스들의 교차 편집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구성’의 측면에서 이 영화가 드러내는 주제의식은 현대사회에서 도서관의 역할이다. 회의 장면과 각종 행사를 통해 도서관이 시민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디지털 허브의 기능을 하며 청소년, 노숙자,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무성을 지니고 있음을 드러낸다. 작품 분석을 바탕으로 한 매체교육 방안은 관찰과 기록의 태도 함양, 영상언어 익히기와 다이렉트 시네마 창작, 주제의식의 도출이다. 관찰과 기록의 태도는 매체자료를 감상할 때와 창작할 때 모두 적용되며, 학습자는 영상 문법을 학습하여 다이렉트 시네마를 직접 창작하는 데 적용할 수 있고, 사회적 주제를 강조하는 다이렉트 시네마의 특성을 이해하고 주제의식을 도출해볼 수 있다. This paper focuses on direct cinema as an educational material for media education, analyzes the film <Ex Libris - The New York Public Library> and proposes a plan for media education based on it. Frederick Wiseman's creative theory of 'discovery' and 'reconstruction' was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film and the desig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analysis of the work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 observation of the library ecosystem using the form of 'discovery' showed that sequences and scenes with their own characteristics, such as lectures and meetings, and daily scenes inside and outside the library, are presented, and the camera's role in filming them fulfills the task of an observer. No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or events is presented, the audience is shown naturally, and no movie music is inserted, which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discovery' in direct cinema. Second, in terms of 'reconstruction' to express the director's intention, the long running time, linear time organization, and cross-editing of the three aforementioned types of sequences show how the library is presented to the audience. Finally, in terms of 'reconstruction', the film's main theme is the role of libraries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 meeting scenes and various events, the film reveals that libraries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citizens, function as digital hubs, and are responsible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such as the youth, homeless, and disabl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ork, the media education plan is to cultivate the attitude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learn video language, create direct cinema, and derive a sense of theme. The attitude of observation and recording is applied to both viewing and creating media materials, and learners can learn video grammar and apply it to creating direct cinema,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 cinema that emphasizes social themes and derive thematic awareness.

      • KCI등재후보

        아동문학의 공간에 나타난 환상성과 상상력 교육 - 송미경의 단편 동화를 중심으로 -

        홍인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0 국어교육연구 Vol.45 No.-

        This study discusses imagination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and proposes an imagination education through a focus on the fantasy of space in children's literature. We examined spatial theory and fantasy theory in children's literature, and analyzed the work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presented by K. Hume who discussed fantasy as an approach to reality. The bag of “Father comes out of the bag”, the house of “Some kid”, and the universe of “The earth is round” each have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of vision, literature of revision, and literature of disillusion, and contribute to imagination education. The strong emotional reaction that the fantasy of ‘the bag’ causes the reader to evoke is the vision, and ‘the house’ where ‘some kid’ hides arouse reader's will of revision in that it addresses the problems of alienation and indifference experienced by the family through the fantasy. Lastly, ‘the universe’ as a deviant space that exists at a distance from reality, sparks imagination. Through this analysis I suggested education of participatory imagination and negative imagination. Subsequent studies can further clarify the connection between imagination and the space of fantasy refine the concept of imagination. 이 연구는 문학을 통한 상상력 교육을 전제하고 아동문학에 나타난 공간의 환상성에 주목하여 상상력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문학에서의 공간론과환상이론을 살펴보았으며 환상을 현실과의 관련성 속에서 논의한 캐서린 흄의구분에 따라 작품을 분석하였다. 「아버지 가방에서 나오신다」의 가방, 「어떤아이가」의 집, 「지구는 동그랗고」의 우주는 각각 성찰문학, 교훈문학, 탈환영문학의 특징을 지닌 공간이다. ‘가방’의 환상성이 독자로 하여금 불러일으키는 강한 정서적 반응은 성찰을 핵심으로 하며, ‘어떤 아이’가 숨는 ‘집’이라는 공간은환상을 경유하여 가족이 겪는 소외와 무관심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독자의 행동변화를 촉구한다는 점에서 교훈적이다. 끝으로 현실과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우주’는 일탈적 공간으로서 상상력을 촉발한다. 이들을 통한 상상력 교육으로는 참여적 상상력 그리고 부정적 상상력에 초점을 둔 교육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를통해 상상력과 환상공간과의 연계성을 보다 뚜렷하게 하고 상상력의 개념을 정교화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 KCI등재

        문학교육의 독자 역할 설정을 위한 작가의 독자 인식 분석

        홍인영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80

        이 논문은 문학교육에서 독자의 역할을 설정하기 위해 작가가 지닌 독자 인식을 분석하였다. 문예지 <Axt(악스트)>의 ‘커버스토리’에 수록된 작가 인터뷰를 대상으로 하여 ‘작가가 독자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문학교육의 학습자가 독자로서 역할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제안한다. 이론적 토대로는 사르트르의 독자이론을 참고했으며 작가와 독자가 협력 관계에 놓인다는 것을 전제로 인터뷰 분석과 독자 역할 설정의 논의를 전개하였다. 작가의 독자 인식은 독자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독자의 작품 해석에 대한 인식, 독자에 대한 기대의 세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첫째, 독자 인식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는 학습자인 독자, 동시대의 사회 문제, 새로운 매체의 등장, 작가이자 독자로서의 정체성이 있다. 둘째, 독자의 작품 해석에 대한 작가의 인식은 실제 작가와 작중 인물/서술자를 겹쳐서 보는 독자에 대한 인식, 해석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 작가의 의도에 대한 인식의 세 가지로 나뉜다. 셋째, 작가가 지닌 독자에 대한 기대와 관련해서는 ‘요즘 독자’의 성향에 대한 인식과 독자의 책무성을 요청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문학교육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자의 역할을 작가의 호소에 대한 경청, 작가 인식의 이중성 및 의도의 오해 가능성 인정, 작가 및 사회와 ‘관용의 협약’ 체결로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독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문학교육의 흐름에 부합하여 독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근거로 작가의 인식 양상을 들었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This paper analyzes writers’ perceptions of readers in order to establish the role of readers in literary education. By analyzing the interviews of writers in the ‘cover story’ of the literary magazine <Axt>, this paper identifies how writers perceive readers and suggests how learners in literary education should establish their roles as readers. The theoretical foundation is Sartre’s reader theory, and the premise that writers and readers are 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is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s and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reader’s roles. Writers’ perceptions of readers were examined in three ways: factors affecting reader perceptions, perceptions of readers’ interpretation of works, and expectations of readers. First, factors that influence reader perception include readers as learners, contemporary social issues,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identity as writers and readers. Second, writers’ perceptions of readers’ interpretations of their work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readers’ perceptions of the actual author and the character/narrator of the work, perceptions of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of the author’s intentions. Third, with regard to writers’ expectations of readers, we identified their perceptions of today’s readers and their requests for readers’ accountability. Based on the above analyses, this study proposes the r signineader’s role in literary education as listening to writers’ appeals, recognizing the duality of writers’ perceptions and the possibility of misunderstanding their intentions, andg a “pact of tolerance” with writers and society. This study is unique in that it proposes a specific role for readers in line with the current trend of literary education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readers and cites the author’s perception as the basis.

      • KCI등재

        서사의 이미지화를 통한 상상력 교육 연구

        홍인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9

        이 논문은 소설을 만화로 각색하는 과정에서 작용하는 상상력의 양상을 고찰하고 상상력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문자와 이미지가 결합하여 의미를 구성하는 만화는 이미지를 활용한 소통이 활발해진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복합양식 문식성을 논의하기에 적절하다. 만화와 원작 소설의 관계 파악을 통해 상호매체성을 확인할 수 있고, 서로 다른 양식 간 교섭에서 발견되는 의미의 심화와 독창성은 재생산적 상상력 및 창조적 상상력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서사의 이미지화 과정에서 재생산적 상상력이 작용한 양상으로는 시공간의 현실적 재현, 말풍선의 활용과 문자의 시각화, 서사의 요약 및 재배치를 들 수 있으며, 창조적 상상력은 인물의 창조적 재현, 함축 및 과장을 통한 변형, 칸의 활용을 통한 서사 전개를 통해 확인하였다. 재생산적 상상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원작 소설에 대한 이해를 점검하고, 만화의 매체적 특성을 파악하며, 상상력 발현 과정을 성찰해야 한다. 창조적 상상력의 함양을 위해서는 확산적 사고를 장려하고, 동료 학습자 및 교사와 결과물을 공유하며, 정서적 반응에 초점을 맞추어 각색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상력을 중심으로 한 서사의 이미지화에 대한 이 논문의 고찰은 융합 담론에서의 상상력 교육 내용 마련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갈등’의 교육적 구현 양상 검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국어,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홍인영 겨레어문학회 2019 겨레어문학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conflicts" as core of narrative are dealt with in fictio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literary materials and learning activiti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The reason for selecting the subject of analysis as a high school grade is to confirm the status of conflict in the general aspect of fiction education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concept of conflict is not specifi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high school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sis, 11 kind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6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showed the conflicts in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as educational content, confirming the role of the concept of conflict as core in understanding fictions. And it is positive aspects that each textbook deals with the conflict through various works beside selection of case materials at the middle school. In addition, in most textbooks, the conflicts were not only treated from the viewpoint of solution but also with lack of closur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bove aspec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a need to set up a scaffold to help learners understand the fiction configured with unsolved conflicts. Possible examples include a comparison with other works with clear resolution of conflicts, and by exploring the context surrounding the work through texts such as author essays. Through this method, the learning readers can more effectively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lack of closure. Next, it is necessary to bring a novel into the field of literary education because it including complex conflicts. In fact, the current textbooks focus on short stories when teaching conflicts because of various educational conditions but this situation needs to be changed. In teaching of conflicts, the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in the short story. 이 연구는 서사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는 ‘갈등’이 소설교육에서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고등학교 국어 와 문학 교과서의 수록 작품 및 학습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을 고등학교 교과서로 선정한 이유는 교육과정 성취기준상 갈등 개념이 명시되지 않은 학교급이라는 점에서, 일반적인 소설교육의 측면에서 ‘갈등’의 위상을 확인하고 ‘갈등’이 다른 개념들과 어떤 연관 아래 학습내용으로 다루어지는지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 결과 11종의 국어 교과서와 6종의 문학 교과서에서 다양한 성취기준의 구현 시 갈등을 교육내용으로 제시하고 있어 갈등 개념이 소설 이해에서 중핵이 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각 교과서마다 다른 작품을 통해 갈등을 다루고 있어 중학교의 예전화(例典化)된 작품 선정보다 긍정적이라고 보았다. 또한 갈등을 해결의 관점에서만 보는 것에서 나아가 열린 결말을 지닌 작품을 통해 다층적인 갈등 양상을 보여주는 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양상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보완할 점으로는 먼저 해결되지 않은 갈등, 즉 열린 결말로 끝나는 소설을 가르칠 때 학습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비계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했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갈등의 해결이 명확하게 나오는 다른 작품과의 비교, 또는 소설을 쓴 작가의 수필이나 ‘작가의 말’ 등의 텍스트를 통한 창작 맥락의 탐색 등이 있다. 이를 통해 독자는 열린 결말이 지니는 함의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현행 교과서에서는 단편소설을 통한 갈등 교육에 치중해 있는데, 복합적인 갈등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편소설을 교육의 장에 들여오는 것이 필요하며 이때의 교육내용은 단편에서의 방식과 차이를 두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