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학협력 코디네이터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홍은영,최종인,Hong, Eunyoung,Choi, Jong-I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1

        산학협력의 성공요인 중의 하나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를 통하여 기업은 대학 연구기관과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지속적인 성장을 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수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공요인 분석을 통해 산학연관 각 주체간에 산학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학협력 코디네이터의 개인역량으로서 업무적극성은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와 기술DB 발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기관의 지원의지로서 센터직원 수의 확보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코디네이터 과제도출,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기업 교류 정도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인 과제규모, 기술DB 발굴, 신임교수 참여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개인적인 역량 중 조직유지와 센터장의 리더십, 지자체의 지원의지는 산학협력코디네이터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관심과 확대를 통하여 더 적극적인 지원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enterprise to strengthen growth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rough close cooperation with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to seek more participation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rom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and Government (I-U-R-G) using success factor analysis of "Excellent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Coordinator".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ndicated that Coordinator' business aggressiveness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and technology DB excavation. Second, it is indicated that the number of agency staff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the number of Project derived by Coordinator and new professors participation rate. Third, it is indicated that the Fellowship of the Enterprises positively affect the volume of business, technology DB excavation and new professors participation rate. Lastly, it is indicated that organization maintains, center chapter leadership, and local government'commitment don't have positiv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I-U Cooperation of SME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ooperation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s that affect th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f SMEs, I-U cooperation coordinator needs more continuous attention and support from Industry, University, Research institution, and Government.

      • KCI등재

        조기 항생제 치료에도 불구하고 신농양으로 진행한 영아 요로감염 1례

        홍은영,이지현,정아영,이정원,Hong, Eun-Young,Lee, Ji-Hyun,Jung, Ah-Young,Lee, Jung-Won 대한소아신장학회 2012 Childhood kidney diseases Vol.16 No.1

        방광요관역류(5등급)가 동반된 요로감염영아(4개월)에서 발열 초기(15시간)에 민감한 항생제로 치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신농양으로 진행되었고 장기 항생제 치료(6주)와 초음파 감시하 세침 흡인으로 경도의 신반흔을 남기고 호전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Urinary tract infection (UTI) is most commonly diagnosed bacterial infection in febrile infants. Renal abscess is a very rare complication of UTI in children.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are important because renal scar correlates positively with the time of treatment. Renal ultrasonography and abdominal computerized tomography facilitates an earlier diagnosis and is also useful in establishing percutaneous drainage. Extended broad spectrum antibiotics therapy alone can be effective in most types of renal abscesses in infant, but some antibiotics-resistant cases need surgical drainage or nephrectomy. We report a case of a infant UTI, that progressed to renal abscess despite early antibiotic treatment and was treated with US guided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 KCI등재

        대전시 ICT산업 일자리 창출 전략에 관한 연구 - 해외클러스터 일자리 창출 요인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

        홍은영,양승호,성을현,Hong, Eun-Young,Yang, Seung-Ho,Sung, Eul-Hyun 대한경영정보학회 2020 경영과 정보연구 Vol.39 No.3

        대전광역시는 4차산업에 필요한 최고의 혁신역량 인프라(ICT)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업생태계를 저해하는 요인들이 산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4차산업혁명시대에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일자리 창출 요인을 조직생태학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즉, 해외 ICT기반의 클러스터(또는 도시)를 통한 일자리창출 사례를 살펴보고, 조직생태학의 '적소', '변이', '선택', '보존'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대전광역시를 둘러싼 환경과, 기존 해외 클러스터사례의 교훈을 벤치마킹하여 ICT기반 일자리창출의 '적소'를 발견하고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변이'과정에 필요한 전략과 생태계에서 '선택' 및 '보존'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4차산업혁명도시, 혁신도시 지정, SW의 우수한 역량확보 등 대전시가 가진 강점과 명실상부한 '혁신 허브'로서의 특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조직생태학적 접근의 전략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또한, 대전시가 가진 강점과 '혁신 허브'의 특별시로 명백히 자리매김하려면 실질적이며 생태계의 지속성을 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최근 대전시가 추진하고 있는 '대전형 뉴딜정책', '대전 스타트업파크' 사업 등에 시도 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는 ICT기반 일자리 창출 연구의 희소성, 일자리 창출에 있어 지역의 중요성 인식, 지속가능한 클러스터의 조직생태학적 접근 제시 등 독창성 있는 연구로 그 동안 부족했던 선행연구에 이론적 기여가 있기를 기대한다. Daejeon Metropolitan City has the best innovation capability infrastructure (ICT) required for the 4th industry. Nevertheless, there are scattered factors that hinder the industrial ecosystem. In this study, the factor of job creation was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organizational ecology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That is, the case of job creation through overseas ICT-based clusters (or cities) was examined. Then, the factors of organizational ecology, 'niche', 'variation', 'selection', and 'retention' were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we explore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Daejeon Metropolitan City and benchmarked lessons from existing overseas cluster cases. As a result, we discover the 'niche' of ICT-based job creation and suggest strategies for the 'variation' process to survive in the ecosystem and how to be 'retention' in the ecosystem. n conclusion, the strategy of the organizational ecological approach to establish itself as a metropolitan city as the strength of Daejeon city and the 'innovation hub' that is evident, such as '4th Industrial Revolution City', 'Innovation City Designation', and 'Secure Excellent Capability of SW' Insist on ne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there will be a theoretical contribution to the prior research lacking from original research such as the scarcity of ICT-based job creation research in response to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region in job creation, and presentation of an organizational ecological approach of sustainable clusters.

      • Oh! Susanna와 Beautiful Dreamer를 중심으로 분석한 Stephen C. Foster의 가곡에 대한 고찰

        홍은영 ( Eun Young Hong ) 전남대학교 예술연구소 2014 藝術論集 Vol.15 No.-

        “미국 가곡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미국의 가곡 역사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한 스티븐 포스터(Stephen Collins Foster, 1826-1864)의 음악은 크게 두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200여곡이 넘는 가곡을 작곡한 포스터의 음악은 생전에 인기를 얻어 흥행에 성공한 곡들도 있지만, 많은 곡들이 곡이 작곡된 지 150년이 넘어서야 인기를 얻게 되었다. 1848년 포스터의 나이 22세에 “Oh! Susanna(오, 수재너)”가 출판되어 인기를 얻고, 이를 계기로 작곡가의 길을 선택한 포스터의 음악은 미국의 아마추어 음악가들과 애호가들이 모여 가정에서 혹은 작은 음악실에서 그들의 음악을 연주하고 감상하였던 Parlour Music(팔로 음악) 혹은 Household Song으로 분류할 수 있다. “Oh! Susanna(오 수재너),” “Camptowon Races(시골의 경마),” “Old Folks at Home(고향 사람들),” “My Old Kentucky Home(컨터키 옛집),” “Jeanie with the Light Brown Hair(금발의 제니),” “Old Black Joe(올드 블랙 조),” 와 “Beautiful Dreamer(꿈길에서).” 등의 대표작을 작곡한 스티븐 포스터의 음악은 뛰어난 직관력을 지닌 선율과 스티븐 포스터만의 독창성이 드러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유럽풍의 민요의 영향을 받은 곡들도 있지만 어린 시절의 영향으로 흑인들의 정서와 생활에서 소재를 얻은 것이 많으며 그의 곡들 중 다수는 미국의 민요로 자리 잡았다. Stephen Foster, known as the "Father of American music", wrote over 200 songs and became a leading composer m America music history. Most of his compositions were well-liked during his lifetime, but many of them remain popular more than 150 years after he wrote them. His music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enres such as minstrel music and parlour music. He was the first professional songwriter as well as well-known composer in America. In 1848, at the age 22, Foster published "Oh! Susanna", and decided to be a professional composer. He composed songs for Minstrel Show, America``s own musical type, and wrote Parlour Music for amateur musicians that they have their own concert in Parlour. "Oh! Susanna," "Camptown Races," "Old Folks at Home," "My Old Kentucky Home," "Jeanie with the Light Brown Hair," "Old Black Joe," and "Beautiful Dreamer" were his major works in his time, and they include originality and excellent intuition in music styles. Some of his works were influenced by European Folk Tunes, but he got ideas from the life of African-American people, later many of his songs became American Folk Songs.

      • KCI등재
      • KCI등재

        아도르노(Adorno)의 ‘절반의 교육’에 대한 비판을 통해 본 교양교육

        홍은영(Hong, Eun-Young)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3

        이 논문은 ‘창의성’과 ‘상상력’ 등이 화두가 되고 있는 현 교육적 상황에서, 인류의 보편적 가치 및 이념을 추구하는 교양교육의 의미를 되새기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도르노의 절반의 교육에 대한 비판을 통해 교양교육의 사회적 제반조건을 고려함으로써 교양교육의 자기성찰을 자극하고자 한다. 이 때 교양교육이 추구하는 보편적 이념을 비판의 척도로 삼기보다, 오히려 교양교육 이념 자체가 자신의 의도와는 반대로 자본주의 체제의 재생산에 관련하고 있는 측면, 즉 교양교육의 내적 모순에 주목해야 하는 것을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사회와의 관련 없이 단지 순수교양 이념을 강조하는 교양교육은 이데올로기로 변질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교양교육은 비판적 자기성찰을 부단히 수행할 필요가 있지만 그러나 동시에 그러한 비판적 교양교육 조차도 절반의 교육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여 각 주체로 하여금 자신이 내면화한 절반의 교육을 검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교양 교육의 이념 및 목표의 실현 가능성이 찾아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자 한다. Diese Arbeit geht davon aus, dass Allgemeinbildung die gesellschaftlichen Bedingungen beachten und dadurch ihre eigenen Brüche reflektieren sollte. Dieser Aspekt ist deswegen wichtig zu betonen, weil angesichts der derzeitigen pädaogogischen Situation, in der Kreativität und Phantasie überall betont werden, der Bedeutung der universalen Ideen der Allgemeinbildung nachzugehen ist. Daher zielt diese Arbeit darauf, durch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r Theorie der Halbbildung Adornos die Selbstreflexion von Allgemeinbildung anzuregen. Dabei bilden sich die universalen Ideen von Bildung nicht als Maßstäbe für Kritik, eher macht diese Arbeit darauf aufmerksam, die inneren Widersprüche von Bildung, nämlich das Beteiligtsein von Allgemeinbildung an der Reproduktion des bestehenden kapitalisitischen Systems zu reflektieren. Dafür beschäftigt sich diese Arbeit zuerst mit dem Begriff von Allgemeinbildung unter der historischen Perspektive. Anschließend setze ich mich mit der Theorie der Halbbildung Adornos auseinander und versuche dabei das Kennzeichen der Halbbildung auf der verschiedenen Ebenen herauszuarbeiten. Zum Schluss gehe ich der Frage nach, was die Kritik Adornos an der Halbbildung für die Allgemeinbildung bedeutet. Es ist zu erkennen, dass Allgemeinbildung, die universale Ideen beansprucht, vom kritisierten gesellschaftlichen System nicht frei sein kann und daher die ständige Selbstreflexion erfordert wird, wobei Bildung an den universalen Ideen festhält. Genau an dieser Revision der eigenen Halbbildung von Subjekten liegt die Möglichkeit von Allgemeinbildung, ihr Ziel zu verwirklichen.

      • KCI등재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성숙(Mündigkeit) 개념 연구 - 아도르노와 하이돈의 개념과 푸코의 권력담론을 중심으로 -

        홍은영(Eunyoung Hong)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3

        이 논문은 국내의 교육학 연구 내에서 지금까지 ‘성숙’ 개념과 관련하여 연구영역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것을 연구영역으로 삼는다. 연구의 목적은 비판적 교육학의 핵심 개념으로서 성숙 개념의 의미를 아도르노와 하이돈의 교육철학을 통해 탐색하고 성숙의 모순을 신자유주의 시대적 맥락에서 고찰하는데있다. 이를 통해 오늘날 변화된 사회적 조건 하에서 자유롭고 성숙한 주체 형성을 위해 교육(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성숙 개념은 개별 인간이 자기의 이성을 사용하여 기존의 것에 대한 근거를 묻는 비판 의식과 이를 통해 자유를 자기의 본질로서 간주하여 그것을 실현하기로 결심한 것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아도르노와 하이돈은 각자 독자적인 이론을 정립하였지만, 그들의 교육철학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그것은 성숙 개념을 옹호하면서 동시에 성숙 개념의 의미를 항상 구체적 현실과의 관계에서 파악해야 함을 강조하는 데 있다. 푸코에 의하면, 오늘날 지배 상황은 개개인을 강제와 억압에 의해 권력에 종속시키기보다 자유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 각 개인은 끊임없이 스스로 측정하고 계발함으로써 신자유주의의 지배에 편입되어간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오늘날 신자유주의 질서 하에서 성숙한 주체 형성을 구현하고자 하는 교육(학)은 스스로의 주장과 반대로 기업가적 자아를 양성하고 있지 않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으로서 우리 모두는 권력체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비판적 주체 형성을 위한 교육은 권력구조 내에서 통치성의 효과에 자신과의 거리를 두고 사회가 요구하는 행위와 사유의 방식을 문제화하여 새로운 삶의 방식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dem Begriff‘Mündigkeit’als einem Schlüsselbegriff kritischer Pädagogik, der bisher innerhalb der koreanischen pädagogischen Forschung kaum untersucht wird. Dabei wird der Bildungsphilosophie von Adorno und Heydorn nachgegangen, und werden die Widersprüche von Mündigkeit im neoliberalen gesellschaftlichen Kontext reflektiert. Dadurch versuche ich die Perspektiven für eine Pädagogik, die auf freie und mündige Subjektbildung unter den heutigen gesellschaftlichen Bedingungen zielt, zu entwickeln. Der Mündigkeitsbegriff lässt sich als die Hinterfragung der Bestehenden verstehen und ist nach Koneffke “der Ausdruck dessen, der die Freiheit als sein eigenes Wesen begriffen hat und entschlossen ist, diese Freiheit in die Hand zu nehmen”. Adorno und Heydorn betonen, dass man die Widersprüche von Mündigkeit bezogen auf den konkreten gesellschaftlichen Kontext immer reflektiern sollte. In diesem Zusammenhang setzt sich diese Arbeit mit dem Begriff von Macht Foucaults auseinander. Nach ihm funktioniert Macht heute nicht durch die direkte Unterdrückung von Individuen, eher durch Freiheit. Subjekte werden in die Machtverhältnisse eingegliedert, indem sie freiwillig bereit sind, ständig sich messen und aktiv zu sein. So lässt sich die Pädagogik danach fragen, ob sie sich selbst an der Ausbildung des unternehmerischen Selbst beteiligt. Eine Pädagogik, die Kritik beansprucht, sollte erkennen, dass sie vom Machtsystem nicht frei sein kann und dass sie distanziert von den gesellschaftlichen Anforderungen gewohnte Denkweise in Frage stellt, wobei sie an der Suche nach neuen Veränderungsansätzen festhält.

      • KCI등재

        인종주의 비판과 백인성(白人性) 연구(whiteness studies) 고찰을 통한 세계화교육의 방향

        홍은영(Eunyoung Hong)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1

        본 이 논문은 교육학연구 내에서 간과하고 있는 인종주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인종주의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에 입각하여 반인종주의의 예로서 세계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을 고찰하였다. 인종주의와 세계화교육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기 위해 먼저 세계화교육의 개념과 목표를 탐색하였다. 그 다음으로 인종주의를 연구하는 관점에 의거하여 인종주의를 이루는 기본요소와 작동원리를 규명하고 인종주의 유형의 변화로서 ‘일상적 인종주의’라는 개념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인종주의 구조 내에서 끊임없는 자기성찰을 강조하는 인종주의 비판과 백인성 연구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 두 관점은 세계화교육이 사회적 제반조건으로서 인종주의를 파악함으로써 인종 담론의 생산과 유지에 개입하고 있는 측면을 인식하기를 요구하는 것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도 세계화교육의 연구자 및 실천가는 자기의 사회적 위치성을 드러내어 자기의 세계관과 타자관을 성찰하여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에서는 그러한 인종주의 비판과 백인성 연구 고찰을 통한 세계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Dieser Aufsatz geht davon aus, dass die Rassismusproblematik in der pädagogischen Forschung weitgehend ausgeblendet wird und daher der theoretischen Diskussion über Rassismus bedarf. In dieser Perspektive beschäftigt sich die Arbeit mit den Grenzen des globalen Lernens als ein Beispiel f r antirassistische Pädagogik. Dafür gehe ich zunächst dem Begriff und dem Ziel globalen Lernens nach. Basierend auf der deutschsprachigen pädagogischen Diskussion über Rassismus werden die Elemente und die Mechanismen von Rassismus reflektiert und auf den Alltagsrassismus eingegangen. Anschließend werden die Grenzen von Antirassimus und die Perspektiven von Rassismuskritik und Weißseinsforschung, die uns zur ständigen selbstkritischen Reflexion innerhalb des rassistischen Systems auffordern, reflektiert. Dies bedeutet f r das globale Lernen, Rassismus als gesellschaftliche Bedingungen zu erkennen und die Dimension der Beteiligung des globalen Lernens an der (Re)produktion und Stabilisierung von Rassismus innerhalb der rassistischen Strukturen wahrzunehmen. Dafür sollten die Forschenden und die pädagogisch Handelnden ihrerseits ihre eigene soziale Positionerung zum Ausgangspunkt ihrer kritischen Reflexion machen und eigene Selbst- und Fremdbilder reflektieren. Zum Schluss dieser Arbeit wird ein Vorschlag zur Richtungsbestimmung des globalen Lernens gemacht

      • KCI등재

        Soziale Verantwortung im Kantischen Begriff der Mündigkeit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Vernunftsbegriffs

        Hong, Eun-Young(홍은영)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3

        성숙함의 개념은 비판적 의식의 의미에서 여전히 오늘날의 교육의 목표로서 간주된다. 본 논문은 칸트의 의미에서 성숙함의 개념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왜냐하면 해방을 목표로 하고 비판적 사유와 행위를 요구하는 교육(학)은 칸트의 교육론에 이어 고찰되고 계속해서 발전되고 있기 때문이다. 칸트의 성숙함의 개념을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감각과 이성의 존재로서의 칸트의 인간에 대한 본질규정과 이에 입각한 칸트의 교육이론을 살펴본다. 칸트에 의하면 인간은 네가지 단계의 교육(훈련함, 교화, 문화화, 도덕화)을 통해서 개별성, 사회, 인류의 요구에 준비하여야 한다. 사회적 책임의 측면은 개별적인 인간이 자신의 이성을 사용하여 스스로 도덕적인 보 편타당한 법칙을 세우는 칸트의 정언명법에서 분명해진다. 그러나 오늘날의 다원화된 사회에 직면하여 칸트이론에서 이성의 종합함은 의심되어진다. 여기서 지젝의 입장에 의거해 본 논문은 이성의 사용이 인지한 세계의 잡다함을 통일할 뿐만 아니라 분석하고 해체하는 측면을 가지고있음을 제시한다. 이는 교육학에 있어서 자율적인 행위가 이제는 차이에 대한 존중에 따라서 입장을 취하고 동시에 교육이 이성을 포기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Der Mündigkeitsbegriff gilt heute noch als eine gültige pädagogische Zielvorstellung im Sinne des kritischen Bewusstseins. Diese Arbeit konzentriert sich auf den Mündigkeitsbegriff im Kantischen Sinne, weil eine Pädagogik, die kritisches Denken und Handeln beansprucht, sich im Anschluss an Kants Pädagogikvorstellung formuliert und weiterentwickelt. Dabei geht diese Arbeit der Wesensbestimmung des Menschen als Bürger der Sinnen- und Vernunftwesen bei Kant und der daraus abgeleiteten Pädagogikvorstellung Kants nach. Durch die Erziehung soll man in vier Schritten, Disziplinierung, Kultivierung, Zivilisierung und Moralisierung auf die Ansprüche der Individualität, der Öffentlichkeit und der Menschheit vorbereitet werden. Der Aspekt sozialer Verantwortung kommt im kategorischen Imperativ Kants zum Ausdruck, dass der einzelne Mensch durch seinen Vernunftsgebrauch selbst moralische Gesetze bildet. Angesichts der heutigen pluralistischen Gesellschaft wird das Synthetisierende der Kantischen Theorie jedoch in Zweifel gezogen. Anlehnend an der Position Zizeks diskutiert die Arbeit, dass der Vernunftgebrauch eben nicht nur einigend, sondern auch analysierend und damit zersetzend ist. Das bedeutet für die Pädagogik, dass das autonome Handeln sich nun eher an der Anerkennung der Differenz orientiert, wobei Bildung jedoch nicht auf Vernunft verzichten kan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