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교육목적으로서 "아레테"(arete)의 개념 연구

        홍윤경 ( Yun Kyung Hong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4 No.-

        본 논문의 목적은 고대 그리이스의 교육이론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온 `아레테`(arete)의 의미를 밝히고, 그것이 현대에도 여전히 교육목적으로서 유의미한 것인가를 밝히는 것에 있다. 이 점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아레테의 두 가지 의미가 구분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아레테의 한가지 의미는 어떤 특수한 종류의 일에서 능력을 발휘하는 탁월성이고, 다른 한가지 의미는 종사하는 일의 종류와 상관없이 가지는 `태도`나 `방식`으로서의 `마음의 아레테`이다. 마음의 아레테는 특수한 아레테와 별도로 존재하는 또다른 종류의 아레테도 아니요 감각경험을 초월한 모종의 신비스러운 능력도 아니다. 그것은 인간이 발휘하는 일상적인 능력에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는 인식의 조건이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은 마음의 아레테가 전달되고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소크라테스는 논박의 과정을 통해서 대화상대방의 `의견`을 옳은 것으로 확립시키는 인식의 조건을 전달한다. 마음의 아레테를 획득하고 전달하는 일은 플라톤의 철인왕 교육과정으로 체계화된다. 자연세계에 관한 지식으로서의 과학을 배우는 것은 사물에 관한 우리의 지각, 의견, 신념 등을 옳고 가치로운 것으로 만들어 주는 인식의 조건을 획득하는 것이다. 과학으로 대표되는 교과학습의 최정점에 해당하는 최상의 교과인 변증법은 사물을 정확하게 볼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어떤 종류의 일을 하든지 간에 그 일을 훌륭하고 정의롭고 아름답게 할 수 있는 태도와 방식을 획득하도록 해준다. 이러한 보편적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마음의 아레테는 현대에도 여전히 교육의 목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arete, which has a vital importance in the theory of education in ancient Greece, so as to bring about whether it has a significance as an aim of education in a modern sense as well. What is remarkable concerning the idea of arete, is that it has double meanings. One is the special ability in a limited area, such as cookery or martial art. The other is the art of living which everyone desires to acquire. It is called the arete of mind or "seeing the Idea of many aretes". The arete of mind is neither any specific arete nor some kind of mysterious experience which goes beyond ordinary experience. It is the condition of knowledge which makes any specific ability valuable and meaningful. Socratic conversation is a typical example to show that the arete of mind can be communicated.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arete embodied in the Socratic conversation is systemized as the "curriculum for philosopher-king" in Plato`s theory of education. The acquisition of arete of mind is to get a condition of knowledge which makes possible the comprehensive view connecting many different perceptions, opinions, and beliefs. This comprehensive view produces an attitude or manners which is indispensible in exhibiting a special arete. Arete of mind in this general sense is still significant as an aim of education in a modern sense.

      • KCI등재

        ‘이성’과 ‘마음의 발달’의 관계

        홍윤경(Hong, Yun-K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3

        플라톤의 ‘동굴의 비유’는 교육을 통한 마음의 발달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비유이다. 블룸(A. Bloom)은 동굴의 비유를 해석하는 계몽주의자와 소크라테스의 차이점을 부각시킴으로써 교육받은 마음이 어떤 것인지의 질문을 제기한다. 계몽주의자에 의하면 지식의 획득은 이성이라는 횃불을 동굴 안에 비춤으로써 권위와 맹목을 벗어나는 것이다. 계몽주의자가 신뢰하는 이성은 데카르트로 대표되는 근대적 이성과 동일시될 수 있다. 그러나 근대적 이성은 수학에서의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는 인식 주체와 그 방법이 적용되는 인식 대상을 분리시킨다. 근대적 이성의 경우 인식 주체는 ‘방법’을 재생하고 반복하는 주체로 간주될 뿐, 지식을 통한 인식 주체의 발달이 어떤 것인지는 설명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플라톤의 교육이론으로 대표되는 고대적 이성은 ‘무시케’, ‘개별 교과’, ‘변증법’으로 이어지는 교육을 통하여 주체와 대상 간에 이루어지는 합일로 해석될 수 있다. 근대적 이성의 발달은 주체와 무관한 대상에 관한 정보들의 축적이며, 이러한 지식은 마음 전체의 발달을 실현할 수 없다. 이에 반해 고대적 이성의 발달은 인식의 주체와 대상, 그리고 열망의 주체와 대상의 합일을 통하여 각각 ‘사고의 획득’과 ‘아름다움을 향한 열망’으로서의 ‘자발성’을 획득한다. 교육 받은 마음은 ‘방법’에 의존하여 ‘대상’에 관한 정보들을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대상의 합일을 통하여 획득하는자발성이다. Plato s allegory of the cave is important in order to have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mind through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In interpreting the allegory, Bloom focuses on the difference between Socrates and the Enlightenment. For the Enlightenment, knowledge acquisition has the image of bringing the torch into the cave in order to illuminate everything in the dark. The torch stands for Reason which is to expel the darkness of ignorance. The Reason on which the Enlightenment places confidence is to be identified as the Modern Reason represented as the deductive method of Descartes. The Modern reason separates the knowing subject from the object of knowledge by applying the deductive method of mathematics to natural phenomena. Though the Modern reason is to obtain a lot of informations by applying the method on a variety of areas, it is not able to explain what is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knowing subject. Indeed, the Cartesian method pulls apart the knowing subject, that is, the pure thought, and the material to which the method is to be applied.. The Ancient reason represented as the Plato s, is to be considered as the unity of knowing subject and the object of knowledge. The unity consists of the education of mousike , sciences , and dialectics , all of which is to make a sequence in the curriculum of the Philosopher-King . For Plato, knowledge acquisition is not the accumulation of many informations which are independent of the knowing subject. It is to gain the spontaneity of mind, that is the love of the beauty and the creation of mind . The former is to be gained by mousike , and the latter as the thought by sciences , and the spontaneity is completed in “dialectics”. The ignorance is not to be overcome by the accumulation of more information produced by applying the method, but by possessing the spontaneity of mind through the unity of subject and object.

      • KCI우수등재

        임상실습에서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간호사의 무례함, 대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홍윤경(Hong, Yunkyung),김영혜(Kim, Younghae),손현미(Son, Hyunmi) 한국간호행정학회 2016 간호행정학회지 Vol.2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nurse’s incivility experienced by nursing students and coping against incivility on burnout in clinical practice. Methods: A cross-sectional correlation study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20 nursing student from four universities in Busan and Yangsan, South Korea.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on incivility, coping, and burnout. Finally total 117 nursing students’ data was analyzed except 3 nursing students who had never experienced nurse’s incivility for clinical practice. Data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97.5% of subjects (n=120) experienced incivility. Inciv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avoiding focused coping and burnout. Incivility and avoiding focused cop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urnout. The explained variance for burnout was 10.0% and avoiding focused coping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burnout. Conclusion: Most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 the nurses’ incivility. Judging incivility as a difficult problem to solve, students use more avoiding focused coping strategy and burnout is increased. Therefore education is needed to improve the coping strategies at incivility. Additionally colleges and hospitals should establish the formal reporting system to handle the incivility.

      • KCI등재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에 따른 다집단분석

        홍윤경 ( Hong¸ Yoon Kyo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1 청소년복지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와 진로성숙도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와 성별 집단에 따른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소재 7개 중학교 2·3학년 재학 중인 청소년 1,02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분석과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SEM)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집단 간의 매개효과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중학생의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인 진로성숙도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가정이나 학교 현장에서 어떤 양육방식을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를 제시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으며 성별 집단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를 감안한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개입방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Whether basic psychological need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effect of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as examined. Also, whether there is the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was investigated. For doing this, data obtained from 1,020 students who were in 2nd and 3rd grade at 7 middle school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multi-group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ith their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mediation effect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preliminary data that are helpful for the way of desirably parenting in the family and school to enhanc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were provided. In addition, intervention plans to improve adolescents' career maturity considering the awareness of the gender difference were suggested.

      • KCI등재

        구성적 학습방법으로서의 "발견학습"

        홍윤경 ( Yun Kyung H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3

        본 논문의 목적은 발견학습을 `구성적` 학습방법으로 해석하는 것에 있다. 발견학습은 학습자가 다수의 구체적 사실들로부터 일반적 원리를 스스로 도출하는 `귀납적` 학습방법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귀납적 학습방법으로서의 발견학습은, 엄밀하게 따지면, 교사의 설명식 수업에 의거한 학습과 차별화되지 않는다는 난점을 안고 있다. 귀납적 학습방법의 원리를 따르는 `추상모형`은, 첫째, 교사와 달리 학생은 구체적 사실들로부터 일반적 원리를 도출할수 없다는 점, 둘째, `추상`을 통하여 획득할 수 없는 개념도 있다는 점에서, 발견학습의 모형으로 견지될 수 없다. 귀납적 학습방법 역시 추상모형에 들어있는 인식론적 난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이러한 인식론적 난점은, 발견학습을 학문적 추론방식을 획득하는 `구성적` 학습방법으로 규정할 때에 극복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은, 교사의 탁월한 언어구사력을 통하여, 인식의 주관적 조건을 전달하고, 그로 말미암아 학습자로 하여금 학문적 추론방식을 획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술에 의거한 학습을 전형으로 삼는 구성적 학습방법은, 교사의 언어적 설명이 학습자의 `발견`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귀납적 학습방법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learning by discovery` not so much `inductive method` as `constructive method. `Learning by discovery` has been defined as the inductive method to discover the general principle which is common in many concrete facts. However, this point of view cannot solve how to differentiate it with learning by instruction. `Abstractionism`, which is a model of `learning by discovery`, is grounded on the inductive method. It is not relevant as a model of `learning by discovery` because, firstly, children cannot abstract the principle from concrete facts, while teacher can do it, and secondly there are some concepts which cannot be acquired through abstraction. These difficulties can be overcome by determining `learning by discovery` as a `constructive method` for acquiring scientific reasoning. Subjective condition of knowing, which is the essence of discovery, is transmitted through constructive method. Teacher`s excellent command of language, which is exhibited in the Socratic art of conversation, makes a learner discover scientific reasoning. Constructive method is an alternative to inductive method, for it highlights up the point that teacher`s command of language including instruction, is indispensible for learning by discovery.

      • KCI등재

        가다머(H.G. Gadamer)의 예술론에 비추어 본 ‘교육 내용의 내면화 비유’에 관한 해석

        홍윤경 ( Hong Yun Ky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가다머의 예술 이론에 비추어 ‘교육 내용의 내면화 비유’를 해석하고, 이 해석에 의거하여 교육 내용의 성격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내면화 비유는 마음과 이질적인 교육 내용이 마음과 동질적인 것으로 변화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가다머의 예술 이론에 비추어 보면 예술 작품은 ‘자기 표현’과 ‘감상자’의 측면으로 구성되며, 내면화는 마음과 이질적인 ‘자기 표현’의 측면이 감상자의 ‘본질의 인식’을 통하여 마음과 동질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술 작품의 감상은 미메시스(Mimesis)의 산물을 통하여 본질을 인식하는 것이다. 본질의 인식은 학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것은 누구에게나, 어디에서나 동일한 객관적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 언어의 초대와 감상자의 협력이 결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다머의 예술 이론에 비추어 보면 교육 내용은 내면화되어야 할 것이 아니라 자기 망각의 형태로 학습자의 자아에 실현되는 것이다. 이 때의 자아는 예술 작품의 자기 표현과 무관한 자의적 상상력, 동기, 의도를 가진 주관적 자아가 아니라 ‘본질의 인식’에 수반되는 정서를 획득한 자아이다. 초대와 협력의 결속체는 온전한 의미의 교육 내용인 동시에 온전한 자아이다. 온전한 교육 내용은 학습자의 마음에 장차 내면화되어야 할 그 무엇이 아니다. 그것은 예술 작품의 자기 표현이 감상자의 자기 망각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실현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analogy of internalization” in light of Gadamer’s theory of art, and derive an implication on the nature of school subjects. The main point of the analogy of internalization is to expose the nature of mind in regard to the subjects Internalization involves a change from the subjects that are different from mind, into something that is homogeneous to the mind. According to Gadamer, a work of art consists of the aspect of “self-expression” and that of “appreciator”. Internalization is to be explained as the change from self-expression in a work of art which is different from mind, into something that is homogeneous to the mind through the recognition of appreciator. Appreciation of a work of art is to recognize the essence of it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k of Mimesis. The recognition of the essence is to be considered as the learning of a work of art. It is not to apprehend the object of learning which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knowing subject, but to realize the unity of the invitation of the author and the cooperation of the appreciator. According to Gadamer’s theory of art, the school subjects are not something to be internalized, but to be realized in the knowing subject as the form of “self-forgetfulness”. “The self” in this sense is not the subjective one having the arbitrary imagination, intentions, and motives, which are irrelevant to the self expression of a work of art, but that of acquiring on the emotion, judgment, feeling which are followed by the recognition of the essence. The unity of invitation and cooperation is the whole self as well as the whole subject matter. The subject matter in the proper sense does not mean something to be internalized, but the one which is to be revealed through binding together the self expression in a work of art and the self-forgetfulness of the appreciator as the learner.

      • KCI등재

        ‘사랑의 사다리’ 비유에 함의된 학습과 교수의 의미

        홍윤경(Yun-Kyung Hong)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3 敎育思想硏究 Vol.37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대화편『향연』의 ‘사랑의 사다리’ 비유에 나타난 ‘상승 운동’의 의미를 고찰하고, 그것에 함의된 학습과 교수의 의미를 밝히는 것에 있다. 상승 운동에는 ‘사람에 대한 사랑’과 ‘아름다움의 관조’가 공존하는데, 블라스토스는 전자와 후자의 특징을 각각 이타심과 이기심으로 규정하고 양자를 대비시킨다. 그러나 ‘사람에 대한 사랑’과 ‘아름다움의 관조’는 대비되는 것이 아니라 융합적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융합을 가능케 하는 것은 애자의 사랑의 산물, 즉 애자가 창조하는 ‘아름다운 말’, ‘좋은 이야기’ 등이다. 이 융합적 관계에 비추어 보면 관조는 아름다움을 획득하고자 하는 이기적인 욕망이 아니라, 애인를 성장시키고자 하는 애자의 헌신과 의지 등 오히려 이타성을 띤 애자의 인격을 반영한다. 애자의 사랑은 애인의 개별적 특이성에 대한 집착이나 소유욕이 아니라, 선을 향한 ‘완전한 존재’의 욕망으로 해석될 수 있다. 대화편 『파이드로스』에 나타난 영혼 신화에 비추어 보면 애자의 사랑은 애인을 통하여 신을 상기함으로써 애인과 자신의 삶에 신의 양식과 방식을 구현하고자 하는 열망이다. 애자가 창조한 ‘아름다운 말’, ‘좋은 이야기’ 등은 애자 자신을 보다 온전한 아름다움의 학습으로 안내한다. 애자가 창조한 ‘아름다운 말’과 ‘좋은 이야기’는 애자 자신을 성장시킬 뿐만 아니라 애자와 애인을 매개함으로써 애인의 삶에도 아름다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내용이다. 이 의미의 교육 내용은 중립적, 몰인격적인 것이 아니라 애자로서의 교사의 훌륭한 인격을 반영한다. 또한 사랑과 융합된 관조는 일련의 명제들 혹은 덕목으로 추상될 수 없다. 그것은 매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발휘되는 인격으로 해석되어야 마땅하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cept of learning and teaching proposed in Plato’s Symposium, focusing on the metaphor of “the ladder of love.” The “upward movement” in the metaphor is to be interpreted as the process of learning undertaken by the lover. The upward movement involves “love of person” as well as “the contemplation of beauty.” Vlastos contrasts “love of person” with “the contemplation of beauty” when analyzing the structure of the upward movement. According to him, love of person is selfless while the contemplation of beauty is egoistic in its satisfaction of the lover’s desire for beauty. However, the love of person is transformed into the contemplation of beauty, and the two are merged. This fusion is made possible by “the beautiful speech” and “the good story” created by the lover. Considering the fusion, the contemplation of beauty is not satisfaction of the lover’s egoistic desire, but the altruistic state of mind originating from the lover’s commitment to the learning of the beloved. The lover is not obsessed with the individuality of the beloved, but represents the complete being for the good. If we consider the metaphor of soul in the Phaedrus, the lover who encounters the beloved, remembers God and desires to embody the manners of God in the life of the beloved as well as himself.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over, the beautiful speech and good story guide him into the learning of the beauty. The beloved is able to embody beauty in his life by learning the speech and story created by the lover. The content of education such as “the beautiful speech” and “the good story,” which reflect the good character of the lover, are not to be considered impersonal or neutral.

      • KCI등재

        리쾨르의 “미메시스(Mimesis) 이론”에 함의된 자기 지식의 개념 연구

        홍윤경(Hong, Yun-K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리쾨르의 ‘미메시스론’에 의거하여 이야기의 학습을 통하여 획득하는 자기지식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리쾨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의 개념을 계승하면서도 그것을 창작의 이론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야기 속에 들어있는 타인의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자기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재개념화한다. 리쾨르가 전개하는 ‘삼중의 미메시스론’에 의 하면 미메시스 Ⅰ은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갖추는 과정이며, 미메시스 Ⅱ는 이야기 속에 들어 있는 사고, 즉 ‘가지적 전체’가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일을 가능케 한다. 마지막으로 미메시스 Ⅲ은 ‘가지적 전체’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발견하는 과정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그것을 규범에 비추어 평가하는 것이며, 이 과정 에서 타인의 행동에 관한 이해는 추상성을 띤 규범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이야기 학습을 통하여 타인의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독자는 자신이 따르는 현실의 규범에 관한 지식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규범과 관련하여 독자가 갖게 된 구체적 지식은 다시 독자 자신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규범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 은 독자 자신의 행동에 관한 자기 지식으로 연결된다. 자기 지식은 소크라테스 식의 검토를 통하여 획득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타인의 행동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해함으로써 규범에 관한 지식을 확장시키고, 그것에 비추어 자신의 행동을 이해할 때도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concept of self-knolwedge acquired by story learning. Ricoeur, succeeding to Aristotle’s theory of Mimesis, does not confine Aristotle’s to the theory of story creating, but reconceptualize it as the process of acquiring self-knowledge by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in the story. According to Ricoeur’s theory on “triple Mimesis”, the first Mimesis, that is, MimesisⅠ is to have the pre-understanding which is necessary to understand other’s action. Secondly, MimesisⅡ makes possible for the reader to have the question on “the intelligible whole”, which is the “thought” in the story. Lastly, Mimesis Ⅲ i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on “the intelligible whole” for oneself.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is to evaluate it in the light of the norms. As the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expands, the knolwedge of norms is to be concretized. The concretized knowledge of norms makes the reader understand his or her action better than before. The concrete knowledge of norms leads to self-knowledge on reader’s own action. Self-knowledge is to be acquired not only by Socrates’ examination on ones’ beliefs and opinions, but also by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by story learning.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facilitates to develop the knowledge of norms, which makes possible to reflect on one’s own ac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