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금속 함량에 의한 하천 퇴적물의 구분과 연대 측정

        홍성조,Pretzsch,Kurt 한국지형학회 1999 한국지형학회지 Vol.6 No.1

        독일 니더직센 남부와 헤센 북부에서 중금속 함량 분석을 이용하여 하천 퇴적물을 구분하거나 연대 측정을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이네 계곡의 "Aue"에서 중금속 함량과 베라 계곡과 그 지류에서 중금속 함량이 분석되고 해석되었다. 중금속으로 심하게 오염된 라이네 계곡에 비해 베라 계곡에서는 약 10배 정도 약한 중금속 오염이 측정되었다. 따라서 상이한 하천 퇴적물을 구분할 때에는 보링지점으로서 우선 지류와 본류의 합류 지점이나 선상지 부분이 특히 중요하다. 이와 같은 지점에서는 종종 본류 유역과 지류 유역으로부터 유래하는 상이한 하천 퇴적물의 퇴적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틀면 라이네의 하천 퇴적물은 중금속 함량이 많은 하르쯔(Harz) 지류에 의해 대부분 오염되었다. 하르쯔 지역에서는 적어도 1000년 전통의 광산작업이 진행되었으며, 그로 인하여 지류들이 오염되었지만 하류에 있는 지류들은 중금속 함량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중금속 함량에 의한 하천 퇴적물의 구분이 여기서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동일한 유역에서 유래하는, 즉 동일한 지질 조건하에서의 하천 퇴적물도 중금속 함량의 극대치와 극소치에 의해 절대적인 시간을 구분할 수 있었다(홍 1995). 중금속 함량 분석방법과 해석은 연구지역에 있어서 퇴적물 구분과 연대 측정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게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하천 퇴적물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이며, 연구 결과의 확인 및 보완을 위하여 화분분석과 탄소 동위원소 연대 측정을 병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AAS분석기가 있을 경우엔 비교적 비용면에서 아주 저렴하여 이 방법을 통한 하천 퇴적물의 구분과 연대 측정을 권장하는 바이며, 이를 통한 최근의 토양 오염 상태를 측정하여 그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서울시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거주자특성 및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홍성조 한국교통대학교 2015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0 No.-

        The low-rise multi-family housing (called Dasedae-Dagagoo) accounting for 27.45% of housing stocks in Seoul and second-largest type in urbanized areas in Korea. And this type of housing units are usually constructed without improving the infrastructure of an existing residential area. Therefore, multi-family housing necessarily leads to poor living conditions. However, multi-family housing plays an important role as affordable urban housing in urbanized areas in Kore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pict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living conditions and housing affordability of multi-family housing. This study used raw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from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and 1,017 samples are used to analyze. Findings of this study shows that multi-family housing serves as affordable housing for the lower income classes, small families, and young householders; the role of multi-family housing as an affordable housing type is remarkable in the rental housing market; multi-family housing is not a great help to the minimum-income class. This class suffers from high housing expenditures and poor living conditions.

      • KCI등재

        독일 헤센북부 베라강 하류에서의 홀로세 계곡 및 하천발달

        홍성조 한국지형학회 1996 한국지형학회지 Vol.3 No.1

        독일 헤센북부 베라강 하류유역과 그 주변지역 지류계곡들을 대상으로 하여 홀로세에서의 계곡 및 하천발달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형형성작용의 발달에 대한 공간적인 비교를 위해서는 지금까지 논의된 사항을 시, 공간적으로 종합고찰하고 하천지형 형성작용과 관련시켜 설명할 수 있다. 베라강하류에서 플라이스토세/홀로세의 전환기에 형성된 계곡형태는 범람원계곡이다. 이 시기에 하천지형 형성작용은 망류하천 시스템으로 특징지어지며, 소규모의 지류와 대규모 지류의 상류에서는 작은 도랑들을 통해서 물이 흘렀다. 아틀란틱 후기까지 베라강과 대규모 지류의 중·하류에서는 홀로세 자갈의 퇴적현상이 이루어졌다. 베라강하류에서의 퇴적시기는 프레보레알에서 아틀란틱후기까지로 추정할 수 있다. 베라강하류에서 홀로세에 넓고 평평하게 이루어지는 자갈퇴적 현상의 종료국면은 망류하천시스템에서 분기된 하천시스템 내지 사행하는 하천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어서 미세한 퇴적물들이 넓고 평평하게 퇴적되었다. 아틀란틱 후기전부터 베라강하류와 대규모 지류계곡의 합류지점에 최초의 선상지 퇴적현상이 이루어 졌으며 그 시기는 청동기시대로 추정된다. 아틀란틱후기에 유기물이 많은 모래가 퇴적된 도랑은 베라강에서의 하천지형 형성작용이 분기되거나 사행하는 하천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것을 특징짓는 발견물이다. 서브보레알과 청동기시대 동안에 가장 오래된 아우엔렘의 상단에 모래의 퇴적현상이 있었는데 이것은 이 시기에 소·대규모계곡에서 하방침식이 강화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철기시대와 중세에 베라계곡에서는 오래된 아우엔렘(A2/A3)이 퇴적되었는데, 이는 베라유역에서의 심화된 농경문화적인 부산물이다. 황폐화시기와 산업화사이에(16세기에서 18세기 중기) 아우엔모래(S4)가 퇴적되었으며 적은 함량의 중금속은 30년 전쟁과 그 이후의 시기 동안에 미약한 경제활동을 나타낸다. 신 선상지는 오래된 아우엔렘의 퇴적시기동안에 비교적 짧은 기간동안에 퇴적되었으며 대부분 구선상지보다 좁은 면적으로 퇴적되었다. 이어서 지류계곡과 베라강에는 지금까지 최근의 아우엔렘이 퇴적되었다. 현재, 특히 대규모 지류계곡에서는 강한 측방침식 현상을 관찰할 수 있으며, 베라강 하류에서는 제방공사 때문에 그에 상당하는 측방침식이 관찰되지 않는다.

      • KCI등재

        대형유통업체 입점 시 전통시장 이용감소의 영향요인

        홍성조,김성희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3

        전통시장의 활성화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형유통업체와의 경쟁상태를 고려한 상태에서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연구는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규 대형유통업체의 입점시 전통시장과 대형유통업체의 소비자 만족도 및 이용행태와 전통시장 이탈 의사(이용 감소 의사) 사이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소비자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후 대형유통업체 신규 입점 시 전통시장의 이용횟수를 줄일 예정인 그룹과 이용횟수의 변동이 없는 그룹으로 표본을 분리하여 소비자의 부문별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T-검정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이후에 부문별 만족도와 구매빈도 변수들을 요인분석을 통하여 축소하고 전통시장의 이용횟수 감소비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연구문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T검정, 회귀분석 결과 모두 전통시장 이용자의 이탈 의사는 전통시장에서의 만족도 보다는 대형유통업체의 만족도와 연관이 컸다. 즉 전통시장의 낮은 만족도가 아닌 대형유통업체에서의 높은 만족도가 소비자 이탈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로, 전통시장 이탈 의도는 현재의 전통시장 이용행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특히 전통시장을 자주 방문하며, 1회 방문 당 소비액이 적은 사용자들의 이탈의사가 크게 나타났다. 세 번째로 현재 자동차를 이용하여 전통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들의 경우 인접지역에 대형유통업체가 신규 입점하는 경우에 전통시장 이탈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이미 대형유통업체 인근에 거주하는 소비자(보행으로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는 대형유통업체의 신규 입점 시에도 전통시장 이용 감소가 작게 나타났다.

      • KCI등재

        홀로세에서의 사면침식과 지형특성의 변화

        홍성조,JOISTEN, H .,PRETZSCH,K . 한국지형학회 1998 한국지형학회지 Vol.5 No.1

        중부유럽의 넓은 뢰스지대인 $quot;Hildesheimer 뢰스평원$quot;에서 약 36 ha 크기의 농경지를 대상으로 지표면에서의 토양침식과 변화를 연구하였다. 농업적 이용에 의해 야기된 토양침식에 대한 주요변수는 사면경사와 상이한 사면형태였다. 약 140개의 보링과 6개의 발굴, 그리고 보링시 얻은 토양표본에 대한 실험실분석으로부터 이 공간내에서의 토양침식강도와 변화에 대한 개관을 종합할 수 있었다. 횡단면 A는 지속적으로 철형의 사면을 나타내며 하부사면범위에서 요형의 경향을 보인다. 이 단면은 중간사면부분에서 강력한 토양침식현상($gt;100 ㎝)을 나타낸다. 횡단면 B에서는 중간사면 아래에서의 철-요형 사면에서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토양침식(30-40㎝) 현상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횡단면 C는 지속적으로 직선상의 사면인데 미약한 토양침식을 나타내는 비교적 안정된 상태를 보인다. 이런 현상은 특히 횡단면 A, B에 비해 작은 사면경사를 통해서 그 설명이 가능하다. 연구지역에서 수많은 보링에 의해서 년평균 토양침식율은 약 0.4 ㎜/1년으로 계산되었다. Zusammenfassung : Im groessten zusamrnenhaengenden Loessgebiet Mitteleuropas, der Hildesheimer Loessboerde, ist ein 36 ha grosses landwirtschaftlich genutztes Versuchsfeld auf die Variablitaet der Bodenerosion untersucht worden. Ca. 140 durchgefuehrte Bohrungen, 6 Grabungen, sowie zahlreiche laboranalytische Untersuchungen der dabei gewonnenen Bodenproben, koennen als Synthese einen guten Ueberblick ueber die Bodenerosionsvariablitaet und -intensitaet in diesem Raum geben. Das Querprofil A zeigt weitgehend einen konvexen Hang, mit konkaver Tendenz im Unterhangbereich. Es weist im unteren Mittelhang die staerkste Bodenerosion($gt;100 ㎝) auf. Beim Querprofil B handelt es sich um einen konvex-konkaven Hang mit einer im unteren Mittelhang ebenfalls starken Bodenerosion(30-40 ㎝ Bodenverlust). Das Querprofil C stellt hingegen ein weitgehend gestreckten Hang dar, der relativ stabile Verhaeltnisse mit geringer Bodenerosion zu verzeichnen hat. Dies ist wohl ueberwiegend durch die geringere Hangneigung gegenueber Querprofil A und B zu erklaeren. Auf Grund der zahlreichen Bohnungen im Untersuchungsgebiet wurde eine durchschnittliche Bodenerosionsrate von ca 0.4 ㎜/Jahr errechnet.

      • 우선권이 있는 복수 계층 대기행렬시스템의 대기 시간의 분석

        홍성조 동국대학교 산업기술연구원 1996 산업기술논문집 Vol.7 No.-

        복수 계층을 가지고 단일 서어버에 의해 제한서비스 규칙 혹은 게이트서비스 규칙에 따라 서비스되는 대기행렬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의 평균 대기 시간을 구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시스템의 상태와 대기 시간에 관련된 비용함수를 정의하고, 일반적인 바쁜 기간 분석, 리틀의 공식 및 PASTA성질을 이용하여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평균 대기 시간을 구할 수 있는 연립방적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이를 행렬의 형태로 나타내어 실제의 계산 알고리즘을 쉽게 구축할 수 있게 하였다. We investigate a multi-class priority queue with gated-limited service disciplines, and propose a new approach to the analysis of waiting times of customers. We formulate mean waiting times as cost functions on the state of the system. We first consider the system at an arbitrary state to obtain explicit formulae for the mean waiting times. Then we derive their steady state values using the PASTA(Poisson Arrivals See Time Averages) property and Little's formula.

      • 다세대·다가구주택 밀집지역의 도시조직에 관한 연구

        홍성조 한국교통대학교 2014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9 No.-

        Despite the importance of multi-family houses(Dasaedae·Dagagoo), there is a lack of studies on urban fabric of areas with concentrated multi-family house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ypes of blocks & lots in areas with concentrated multi-family houses by in-depth analysis of spatial structure. To achieve this we selected 6 areas that multi-family houses contains more than 75% of total residences in area. And we built data on lots and blocks in these are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are 10 types of block in the areas. 2 or 4 row deep blocks are common, and 4 row deep blocks generally have 40~55m depth, and 2 row deep blocks generally have 20~35m depth. 4 row deep blocks have under 4m width dead-end alleys or loop shaped alleys to serve middle lots in block. There are 12 types of lots in the areas. Average area of lots in the areas is bigger than whole average area of Seoul. Slenderness ratio of lots in object areas is 1.67 which is bigger than general slenderness ratio of lots in low-rise residential areas in seo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